맨위로가기

아이작 와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작 와츠는 167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비국교도이자 찬송가 작가, 신학자, 논리학자이다. 그는 6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아름다운 주 예수는"과 같은 작품은 영어 찬송가 중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와츠는 옥스퍼드 대학교나 캠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비국교도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런던의 교회 목사로 활동했다. 그의 저서 "지성의 향상"은 마이클 패러데이를 비롯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와츠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적 관점을 가졌으며, 18세기에 영국 찬송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유산은 웨스트민스터 사원 기념물, 여러 도시의 기념 동상, 찰스 디킨스, 허먼 멜빌 등 다양한 문화 작품에서의 인용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논리학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논리학자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사우샘프턴 출신 - 리시 수낵
    리시 수낵은 1980년 영국에서 태어나 2015년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2020년 재무장관을 거쳐 2022년 10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영국의 총리를 역임했다.
  • 사우샘프턴 출신 - 밀비나 딘
    밀비나 딘은 1912년 타이타닉호 최연소 승객으로 생존했으며, 2009년 사망하며 타이타닉호 생존자는 모두 사라졌다.
  • 1674년 출생 - 존 포터
    존 포터는 17-18세기 영국의 성공회 성직자이자 학자로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고전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였으며, 앤 여왕의 국왕 전속 사제, 옥스퍼드 주교를 거쳐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 1674년 출생 - 필리프 2세 도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 도를레앙 공작은 루이 14세의 조카이자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의 아들로, 루이 15세의 섭정으로서 프랑스를 통치하며 재정, 외교, 문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지만 경제적, 정치적 도전에 직면했다.
아이작 와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 수 없는 예술가의 초상화
초상화
존칭 접두사성직자
이름아이작 와츠
출생일1674년 7월 17일
출생지사우샘프턴, 햄프셔, 잉글랜드
사망일1748년 11월 25일
사망지스토크뉴잉턴, 미들섹스, 잉글랜드
직업찬송가 작가, 신학자
알려진 작품놀라운 십자가를 바라볼 때
기쁘다 구주 오셨네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도움 되신 주
추가 정보
웹사이트Isaac Watts
Isaac Watts on Preaching

2. 생애

와츠는 1674년 잉글랜드 햄프셔주 사우스햄프턴에서 태어났으며, 독실한 비국교도(Nonconformist)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 역시 아이작 와츠(Isaac Watts)였으며, 자신의 신념 때문에 두 차례 투옥된 경험이 있었다. 와츠는 사우스햄프턴 킹 에드워드 6세 학교에서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등 고전 교육을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운문에 재능을 보였는데, 1681년경 7세부터 시를 짓기 시작했다. 기도 중에 눈을 뜨고 있던 이유를 묻자 "계단이 없어서 작은 쥐는 기도를 하려고 줄을 타고 올라갔다네."라고 운율에 맞춰 대답했다가 체벌을 받기도 했다. 이때 "아버지, 아버지, 불쌍히 여겨 주세요. 더 이상 시를 짓지 않겠습니다."라고 울며 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2]

비국교도였기 때문에 당시 성공회 신자에게만 개방되었던 옥스퍼드 대학교나 캠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할 수 없었고, 정부 관직에도 나아갈 수 없었다. 국교회 대학 진학을 포기한 그는 1690년 스토크 뉴잉턴의 비국교도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수학했다. 이후 그의 생애 대부분은 현재 런던 중심부의 일부인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을 마친 후, 와츠는 런던의 대형 독립 교회인 마크 레인 회중 예배당(Mark Lane Congregational Chapel)의 목사로 임명되어 1701년부터 22년간 사역했다.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설교자 양성에도 힘썼다. 그는 당시 비국교도 회중교회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비종파적이거나 에큐메니컬한 종교관을 가졌으며, 특정 교파의 이익보다는 교육과 학문 증진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개인 교사로도 활동했으며, 스토크 뉴잉턴 스토크 뉴잉턴 처치 스트리트의 플리트우드 하우스(Fleetwood House)에서 비국교도인 하탑(Hartopp) 가족과 함께 지냈다. 이를 계기로 이웃인 토마스 애브니 경과 메리 애브니 여사와 친분을 쌓게 되었다. 1701년 메리 여사가 오빠로부터 스토크 뉴잉턴 영지를 상속받은 후, 와츠는 애브니 가문과 총 36년간 함께 살게 되었는데, 주로 그들의 두 번째 저택인 애브니 하우스(Abney House)에서 지냈다. 1722년 토마스 애브니 경이 사망한 후에도 미망인 메리 여사와 딸 엘리자베스와 함께 애브니 하우스에서 계속 거주했다. 그는 특히 애브니 공원의 정원을 좋아했으며, 이곳에서 많은 책과 찬송가를 쓰는 데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와츠의 ''기도에 대한 안내''(Guide to Prayer), 4판(1725년), 표지


와츠는 18세인 1692년부터 찬송가 작곡을 시작하여, 1707년 영국 최초의 창작 찬송가집을 출판했다. 평생 6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그중 "아름다운 주 예수는"은 "영어로 쓰인 가장 아름다운 찬송가"(매슈 아널드), "참된 그리스도인 심정의 음조"(존 그레섬 메이천)라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1741년에 출판된 저서 "The improvement of the mind"(지성의 향상)는 훗날 제본소 견습생이었던 마이클 패러데이가 읽고 큰 영향을 받은 책으로도 알려져 있다.

와츠는 1748년 스토크 뉴잉턴의 애브니 홀(Abney Hall)에서 사망했으며, 번힐 필즈에 묻혔다. 그는 방대한 양의 찬송가, 논문, 교육 서적, 에세이를 남겼다. 그의 작품들은 18세기 비국교도 독립파와 종교 부흥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필립 도드리지는 자신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을 와츠에게 헌정하기도 했다.

3. 신학적 관점

그는 아르미니우스주의 교리를 주장하였다.[13] 또한, 도덕적인 필연성과 불가능성은 물리적이고 자연적인 필연성 및 불가능성과 같다고 보았다.

그러나 와츠 자신은 그의 저작에서 스스로를 온건한 칼뱅주의자라고 밝혔다. 그는 선택 교리는 옹호했지만, 유기 교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조너선 에드워즈는 와츠가 의지의 자유 문제에 있어서 펠라기우스의 입장을 따랐으며, 결과적으로 칼뱅주의에서 벗어났다고 평가했다.

4. 찬송가

아이작 와츠는 영국 찬송가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성가 음악 학자 스티븐 마리니(Stephen Marini), 데니 프루토(Denny Prutow), 마이클 르페브르(Michael LeFebvre) 등에 따르면, 와츠는 기존의 시편 중심 예배 관행에서 벗어나 예배에 사용될 "그리스도인 경험의 독창적인 노래"를 위한 새로운 시를 도입하는 변화를 이끌었다. 이전까지 교회에서는 주로 다윗 왕 시대부터 레위인들에 의해 불려온 시편을 노래하는 전통을 따랐으며, 이는 신약 교회 초기부터 와츠 시대까지 이어져 왔다. 종교 개혁 시기 장 칼뱅과 같은 인물들도 시편을 번역하여 회중 찬송을 장려했지만, 와츠는 여기서 더 나아가 새로운 찬송가를 적극적으로 창작하고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

와츠는 시편을 단순히 번역하는 것을 넘어, 신약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모방'하여 찬송가로 만드는 독창적인 방식을 선보였다. 그는 1719년 출판한 운문 시편의 제목에서 시편이 "신약의 언어로 모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와츠 자신은 이러한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시편 기자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으로 종교를 묘사하는 곳에서는 종종 믿음과 사랑을 그것에 더했습니다. 그가 하나님의 자비를 통해 죄 사함에 대해 말하는 곳에서는 구세주의 공로를 더했습니다. 그가 염소와 수소를 희생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곳에서는 차라리 하나님의 어린 양인 그리스도의 희생을 언급했습니다. 그가 시온으로 외치며 언약궤에 참석할 때, 나는 구세주의 승천이나 지상 교회에 대한 그의 임재를 노래합니다. 그가 풍부한 부, 명예, 장수를 약속하는 곳에서는 복음에서 드러나고 신약에서 약속된 은총, 영광, 영원한 생명을 위해 이러한 전형적인 축복 중 일부를 바꿨습니다.”

와츠는 신학자이자 논리학자이기도 했지만, 특히 찬송가 작곡가로서 큰 명성을 얻었다. 1707년 출판된 그의 '찬송가와 영적인 노래'(Hymns and Spiritual Songseng)는 영국 교회에 본격적으로 찬송가를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다작 활동은 다른 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영국 예배 음악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 기여했다.[3] 와츠는 1692년 18세부터 찬송가 작곡을 시작하여 생애 동안 6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와츠가 작곡한 찬송가들은 그의 신학적 깊이와 시적 재능 덕분에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 여러 교파의 찬송가집에 수록되어 널리 불리고 있다.[3] 특히 그가 작사한 "주 달려 죽은 십자가"(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eng)는 매슈 아널드로부터 "영어로 쓰인 가장 아름다운 찬송가"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4. 1. 주요 찬송가 (한국어)

아이작 와츠가 작곡한 수많은 찬송가 중 상당수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여러 교파의 찬송가집에 수록되어 널리 불리고 있다. 한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불리는 대표적인 찬송가는 다음과 같다.

  • 기쁘다 구주 오셨네 (Joy to the Worldeng): 시편 98편에 기반하여 작사되었으며, 미국의 로웰 메이슨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 주 달려 죽은 십자가 (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eng)
  • 십자가 군병 되어서 (Am I a Soldier of the Cross?eng)
  • 천성을 향해 가는 성도들아 (Come We That Love the Lordeng): 종종 "시온으로 행진하네"(Marching to Zioneng)라는 후렴구와 함께 불린다.
  • 웬 말인가 날 위하여 (Alas! and Did My Saviour Bleed?eng)
  • 만유의 주 앞에 (Jesus Shall Reign Where'er the Suneng): 시편 72편에 기반하여 작사되었다.
  • 예부터 도움 되시고 (Our God, Our Help in Ages Pasteng): 시편 90편에 기반하여 작사되었다.
  • 이 날은 주님 정하신 (This is the Day the Lord Hath Madeeng)
  • 전능왕 오셔서 (I Sing the Mighty Power of Godeng): 원래 제목은 "창조와 섭리에 대한 찬양"(Praise for Creation and Providenceeng)이며, ''어린이들을 위해 쉬운 언어로 시도된 신성한 노래''에서 발췌되었다.
  • 나의 목자 되신 주 (My Shepherd Will Supply My Needeng): 시편 23편에 기반하여 작사되었다.
  • 내 영혼아 주 찬양하여라 (Bless, O My Soul! the Living Godeng): 시편 103편에 기반하여 작사되었다.


와츠의 찬송가는 영국 성공회의 고대와 현대의 찬송가, 옥스퍼드 공통 찬송가집, 합동개혁교회의 선교 찬송가, 크리스타델피아인 찬송가, 미국 성공회의 ''1982년 찬송가'', ''복음 루터교 예배'', 침례교 찬송가, 장로교 삼위일체 찬송가 및 감리교 찬송가와 시편 등 여러 찬송가집에 포함되어 있다.[3] 그의 찬송가 중 일부는 기독교 과학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찬송가집에서도 사용된다.

5. 저술 활동

아이작 와츠는 비국교도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로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1681년경 7세부터 운문을 짓기 시작하여 1692년 18세부터 찬송가 작곡을 시작했으며, 1707년 영국 최초의 창작 찬송가집인 ''Hymns and Spiritual Songs|찬송가와 영적 노래eng''를 출판했다. 평생 6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그가 작사한 "아름다운 주 예수는"과 같은 찬송가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찬송가 외에도 신학, 논리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저서 중 ''Logick|논리학eng''(1724)은 초기 화학 원소 개념을 다루며 원소와 화합물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보였고[5], ''The Improvement of the Mind|정신 수양eng''(1741)은 젊은 시절의 마이클 패러데이가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아 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1. 주요 저서

6. 유산 및 기념

아이작 와츠 사후 그의 유품은 비국교도(청교도/회중교회파)들이 세운 코네티컷 식민지의 예일대학교에 기증되었다. 그가 다녔던 사우샘프턴의 킹 에드워드 6세 학교는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기숙사 제도(House system)의 기숙사 중 하나의 이름을 "왓츠"로 지었다.

잉글랜드 성공회와 루터교회는 매년 11월 25일 성인력(Calendar of Saints)에서 와츠(와 그의 목회 활동)를 기념한다.[6]

왓츠의 분힐 필즈(Bunhill Fields) 묘


런던에 있는 왓츠의 유일한 공공 조각상은 애브니 공원 묘지(Abney Park Cemetery), 스톡 뉴잉턴(Stoke Newington)에 있다.


왓츠가 태어난 도시, 사우샘프턴(Southampton)의 왓츠 공원(Watts Park)에 있는 왓츠 동상


왓츠를 기리는 가장 오래된 기념물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있으며, 그의 사후 곧 완공되었다. 분힐 필즈에 있는 그의 묘는 1808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메리 애브니 여사와 하탑 가문이 기증하여 세운 원래의 묘를 대체한 것이다.[7]

또 다른 초기 기념물은 분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왓츠의 사후 그가 활동했던 런던 예배당을 위해 제작 의뢰된 흉상이다. 이 예배당은 18세기 후반에 철거되었고, 기념물의 나머지 부분은 부유한 지주가 마지막 순간에 구해내어 리버풀 근처 그의 예배당에 설치했지만, 흉상이 남아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또 다른 흉상은 런던 중심부에 있는 비국교도 단체인 윌리엄스 도서관에 있다.

최초의 공공 조각상은 애브니 공원에 세워졌다. 왓츠는 30년 이상 영지에 거주했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이 공원은 1840년에 애브니 공원 묘지로 개장되었고, 왓츠의 조각상은 1845년에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세워졌다. 애브니 공원 예배당 앞, 왓츠 산책로(Dr Watts' Walk)에 위치하며, 영국의 저명한 조각가인 에드워드 호지스 베일리가 디자인했다. 이 장소에 기념 조각상을 세우는 계획은 1830년대 후반에 조지 콜리슨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그는 1840년 유럽과 미국, 특히 애브니 공원의 묘지 디자인에 관한 그의 책의 프런티스피스로 판화를 출판했다. 콜리슨의 제안은 채택되지 않았고, 대신 베일리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나중에 비슷한 조각상이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조성되어 그의 출생지인 사우샘프턴에 그의 이름을 딴 새로운 빅토리아 시대 공원에 세워졌다. 19세기 중반에는 사우샘프턴에 회중교회 왓츠 기념관(Congregational Dr Watts Memorial Hall)이 세워지기도 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개발로 인해 사라졌다. 그 자리에는 아이작 왓츠 기념 연합 개혁 교회(Isaac Watts Memorial United Reformed Church)가 세워졌다.

1974년 사우샘프턴시는 왓츠 탄생 300주년을 기념하여 데이비드 G. 파운틴(David G. Fountain)이 쓴 전기를 의뢰했다. 파운틴은 왓츠와 마찬가지로 사우샘프턴 출신의 비국교도 목사였다. 사우샘프턴 시청의 시계는 하루 세 번, 오전 8시, 정오 12시, 오후 4시에 '지난 시대 우리의 도움이신 하나님'(Our God, our help in ages past)의 첫 구절 멜로디를 세 번 울린다.[8]

7. 문화적 영향

「게으름과 장난에 대하여」


아이작 와츠의 시와 글은 후대의 문학과 문화에 다양한 영향을 주었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1850)에서는 학교 교장 스트롱 박사가 와츠의 시 "게으름과 장난에 대하여"의 구절을 인용한다.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 딕』(1851)에서는 포경선 피쿼드호의 투자자 중 한 명인 빌다드가 등장하는데, 선장이 선원들이 선상 민요와 같은 '불경한 노래'를 부르는 것을 금했기 때문에, 그녀는 각 선원의 침대에 와츠의 찬송가집을 놓아두었다.

와츠의 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게으름과 장난에 대하여"는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에서 "작은 악어는 어떻게 하는가"라는 제목으로 패러디되었다. 이 패러디는 원작 시보다 더 유명해지기도 했다. 이 시는 또한 미국의 만화 프로그램 "로키와 그의 친구들"의 한 코너에서도 불윙클 무스가 낭송했는데, 이때는 작가 이름 없이 "벌"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루이스 캐럴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와츠의 다른 시 "게으름뱅이"의 첫 구절("게으름뱅이의 목소리로다...") 역시 "'Tis the Voice of the Lobster"라는 시로 패러디했다.

1884년에 발표된 희가극 『프린세스 이다』 1막에서는 와츠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 대사가 나온다. 남성 출입이 금지된 이다 공주의 여자 대학교에 대해 그녀의 아버지 가마 왕이 "그녀는 와츠 박사의 '찬송가'(hymns, 남성(hims)과 발음 유사)조차 거의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코끼리 인간"으로 알려진 조셉 메릭이 자주 인용한 "내 모습이 다소 이상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나를 비난하는 것은 하나님을 비난하는 것이다..."로 시작하는 시는 종종 아이작 와츠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실제로는 마지막 몇 구절만이 와츠의 시("거짓된 위대함", Horae lyricae, 1743)에서 가져온 것이다.[9]

또한, 와츠가 1741년에 출판한 저서 The improvement of the mind|지성의 향상eng은 젊은 시절 제본소 견습생이었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참조

[1] 서적 Popular Hymns and their Writers
[2] 서적 A Late Lark Singing
[3] 논문
[4] 서적 Th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 II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1-00
[5] 웹사이트 Logick: Or, the right use of reason in the enquiry after truth, with a variety of rules to guard against error in the affairs of religion and human life, as well as in the sciences https://archive.org/[...] Printed for John Clark and Richard Hett
[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10
[7] 웹사이트 2014-02-24
[8] 웹사이트 West https://www.southamp[...] 2023-07-31
[9] 서적 The Poems of Isaac Watts, Volumes 44–46 https://books.google[...] Press of C. Whittingham
[10] 웹사이트 A short view of the whole Scripture history: with a continuation of the Jewish affairs from the Old Testament till the time of Christ; and an account of the chief prophecies that relate to him: represented in a way of question and answer .. http://archive.org/d[...] Boston, C. Ewer 1819-02-07
[11] 웹인용 Isaac Watts http://www.hymntime.[...] 2020-03-03
[12] 웹인용 Isaac Watts on Preaching https://banneroftrut[...] 2020-03-03
[13] 서적인용 Chayu ŭiji https://www.worldcat[...] Holy WavePlu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