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동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아리동맥은 무릎 아래에서 시작하여 종아리뼈 안쪽을 따라 발까지 내려가는 다리의 동맥이다. 뒤정강동맥과 함께 종아리동맥을 이루며, 종아리뼈, 종아리앞칸, 종아리가쪽칸에 혈액을 공급한다. 'peroneal artery'와 'fibular artery' 두 가지 명칭으로 불리며, 해부학 용어집에서는 'fibula'에서 파생된 용어를 더 선호한다. 종아리동맥은 뒤정강동맥으로 교통가지를, 가쪽앞복사동맥으로 관통가지를, 발꿈치뼈의 가쪽 부분으로 발꿈치가지를 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종아리동맥 | |
---|---|
개요 | |
이름 | 종아리동맥 |
라틴어 이름 | arteria fibularis, arteria peronea |
영어 이름 | fibular artery, peroneal artery |
기원 | 보통 정강종아리동맥, 가끔 오금동맥 |
가지 | 앞정강동맥으로 가는 교통가지 뒤정강동맥으로 가는 관통가지 |
정맥 | 종아리정맥 |
혈액 공급 | 종아리가쪽칸 |
관련 문서 | 회음동맥 |
![]() | |
![]() | |
연구 정보 | |
참고 문헌 | | Day C, Orme R. Popliteal artery branching patterns -- an angiographic study. Clin Radiol. 2006 Aug;61(8):696–9. doi:10.1016/j.crad.2006.03.014. PMID 16843754. |
2. 구조
정강종아리동맥은 무릎 바로 아래의 종아리 위쪽 부분에서 뒤정강동맥과 종아리동맥으로 갈라진다.[4][2] 종아리동맥은 종아리뼈의 바로 안쪽에서 종아리뒤칸의 깊은층을 따라 발 쪽으로 주행한다.[4][2] 주행 중 여러 가지를 내어 주변의 종아리앞칸, 종아리가쪽칸 및 종아리뼈 등에 혈액을 공급한다.[4][2]
일부 문헌에서는 종아리동맥이 뒤정강동맥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다고 설명하기도 하지만, 혈관외과나 성형외과에서는 정강종아리동맥의 임상적 중요성을 강조한다.[4][2]
종아리동맥을 따라 작은 동반정맥인 종아리정맥(비골정맥)이 함께 주행한다.[4][2]
2. 1. 가지
종아리동맥은 주행 중 여러 가지를 내어 주변 구조물에 혈액을 공급한다. 주요 가지는 다음과 같다.[4][2]- 관통가지 (perforating branches): 종아리앞칸과 가쪽칸에 혈액을 공급하며, 가쪽앞복사동맥으로도 가지를 낸다.
- 영양동맥 (nutrient artery): 종아리뼈에 혈액을 공급한다.
- 교통가지 (communicating branch): 뒤정강동맥과 연결된다.
- 발꿈치가지 (calcaneal branches): 발꿈치뼈의 가쪽 부분으로 혈액을 공급한다.
3. 명칭
역사적으로 그리스어 단어인 perone|페로네grc와 라틴어 단어인 fibula|피불라lat는 다리의 작은 뼈, 즉 종아리뼈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함께 사용되어 왔다. 다리에 있는 많은 동맥, 정맥, 신경, 근육의 이름은 주변에 있는 뼈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다. 예를 들어 정강뼈 근처에 있는 앞정강근과 정강신경이 그렇다.
이러한 이유로 종아리뼈 근처를 지나는 동맥 역시 peroneal artery|페로니얼 아터리eng와 fibular artery|피뷸러 아터리eng라는 두 가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 종아리뼈를 가리키는 표준 해부학 용어는 fibula|피불라lat로 정해졌지만, 이 뼈 주변의 동맥, 신경, 근육 명칭에는 여전히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peroneal|페로니얼grc이라는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해부학 용어의 국제 표준인 Terminologia Anatomica에서는 fibula|피불라lat와 perone|페로네grc에서 파생된 용어 모두 사용 가능하다고 인정하지만, fibula|피불라lat에서 파생된 용어를 더 선호하는 용어로 제시하고 있다.
참고로 fibula|피불라lat와 perone|페로네grc는 모두 '브로치의 핀' 또는 '버클'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4.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Popliteal artery branching patterns -- an angiographic study
[2]
논문
Reconstruction of large mandibulofacial defects with the composed double skin paddle fibula free flap: a review of 32 procedures.
2014-06
[3]
논문
Popliteal artery branching patterns -- an angiographic study
[4]
논문
Reconstruction of large mandibulofacial defects with the composed double skin paddle fibula free flap: a review of 32 procedures.
201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