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이다. 역대 대사로는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권희경 (정치인), 손성필 등이 있으며,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에는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이 대사를 역임했다. 현재 대사는 신홍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모스크바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으로, 아르메니아를 겸임하며, 러시아 연방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고, 이르쿠츠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영사관을 두고 있다. - 모스크바 주재 공관 - 주러시아 오스트리아 대사관
주러시아 오스트리아 대사관은 1906년 니키타 라자레프가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인 니콜라이 민도프스키 하우스를 사용하며, 1927년부터 오스트리아 대사관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1986년 중국에 설립된 주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대사관 내 호텔 건설이 추진되기도 했으며, 이주연, 권오직, 지재룡, 리룡남 등 여러 대사를 거쳤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2019년 북러정상회담
20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간의 회담으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러시아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및 미국의 역할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주조 러시아 대사관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1948년 소련이 북한을 승인한 후 평양에 설치된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으로, 한반도 분단 관련 논의 장소였으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봉쇄 조치가 시행되기도 했다.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러시아어 명칭 | Посольство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한국어 명칭 | 로씨야련방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
위치 | 모스크바 모스필몹스카야 거리 72 (Мосфильмовская ул., 72) |
외교 정보 | |
대사 | 신홍철 |
관할 지역 | 러시아 |
웹사이트 | 없음 |
주소 (러시아어) | |
주소 (영어) | |
기타 | |
설립일 | 1940년대 추정 |
2. 역대 대사
wikitext
2. 1. 주소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2. 1. 1. 주영하 (1908년)
주영하는 초대 주소련 대사로 북한-소련 외교 관계 수립에 기여하였다.2. 1. 2. 이상조 (1915년)
이상조는 북한과 소련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6][7]2. 1. 3. 리신팔
리신팔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역임하였다.2. 1. 4. 김충원
김충원[8]2. 1. 5. 정두환
정두환[9]2. 1. 6. 염태준
염태준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였다.2. 1. 7. 권희경
권희경은 두 차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역임하였다.[10]2. 1. 8. 김재봉
김재봉[11]2. 1. 9. 권희경 (정치인)
권희경[10]은 북한 외교관으로, 주소련 대사를 두 차례 역임했다. 첫 번째 임기는 김재봉 대사의 후임이었고, 두 번째 임기는 손성필 대사의 전임이었다.[11]2. 1. 10. 손성필
손성필2. 2.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손성필은 러시아 연방 수립 이후 초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다. 이후 박의춘, 김영재[12], 김형준, 신홍철 등이 대사를 역임했다. 박의춘 해임 이후 김영재[12]가 임명되기 전까지 손성필이 직무를 대리하기도 했다.2. 2. 1. 손성필
주어진 섹션 제목은 '손성필'이지만, 출력된 내용은 손성필에 대한 정보 없이 다른 대사들의 임명에 대한 내용만 담고 있습니다. 주어진 `source`에서 '손성필'에 대한 언급이 첫 줄에 있으므로, 이 정보를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요약'에서 제시된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초대 대사를 역임한 손성필 대사의 역할"을 강조해야 합니다.다음은 수정된 출력입니다:
손성필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초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역임했다. 박의춘 전 외무상이 해임된 후, 2000년에 김영재[12]가 임명되기 전까지 직무를 대리하기도 했다. 이후 김형준, 신홍철 등이 대사를 역임했다.
2. 2. 2. 박의춘
박의춘2. 2. 3. 김영재
김영재[12]2. 2. 4. 김형준
김형준2. 2. 5. 신홍철
김형준의 후임으로, 주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이다.[12]참조
[1]
웹사이트
http://www.mid.ru/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ussia)
2008-06-25
[2]
뉴스
The North Korean Ambassador to Moscow has threatened USA with nuclear weapons
http://weaponews.com[...]
[3]
뉴스
North Korea’s new ambassador arrives in Moscow - embassy
https://tass.com/wor[...]
TASS
[4]
웹사이트
北朝鮮の駐ロ大使に申紅哲氏 前任は党国際部長に就任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5]
웹인용
embassies.info
https://embassies.in[...]
[6]
웹인용
태영호·조성길보다 충격... '김일성 반대' 북 외교관의 망명
https://www.ohmynews[...]
2020-10-09
[7]
웹인용
"[모스크바 25時 朴寬用의원 訪蘇 비망록] 초대 駐蘇대사 李相朝와 통화"
https://www.busan.co[...]
[8]
저널
북한 핵프로그램의 시작과 성장: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2019-01
[9]
웹인용
외교부 OPEN DATA
https://opendata.mof[...]
[10]
웹인용
"[외교문서공개]북한, 소련 아프간 침공 지지 거부"
https://www.asiae.co[...]
2011-02-21
[11]
웹인용
소, 북괴접근에 적극적
https://www.joongang[...]
1976-10-16
[12]
웹인용
북한 신임 러시아 대사에 김영재 무역성 부상
https://www.hani.co.[...]
2006-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