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조 러시아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이다. 1948년 북한 독립 직후 소련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한반도 분단과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봉쇄 조치를 겪었으며, 2023년 9월 북한 내 두 번째 대사관으로 인원 입국을 허용했다. 역대 대사로는 테렌티 시티코프,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등이 있으며, 현재 알렉산드르 마체고라가 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함경북도와 라선시를 제외한 북한 전 지역을 관할하며, 주한 러시아 대사관보다 규모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 주재 공관 - 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
    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은 1973년 북한과 수교한 말레이시아가 2004년 평양에 개설했으나 김정남 암살 사건과 외교 관계 악화로 2021년 폐쇄된 대사관이다.
  • 평양 주재 공관 - 주조 스웨덴 대사관
    주조 스웨덴 대사관은 스웨덴이 북한 평양에 설치한 대사관으로, 1975년 정식 개설되어 북한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특히 미국과 북한 간 이익 보호국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러시아의 재외 공관 - 주한 러시아 대사관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제국 간 외교 관계 수립 후 단절과 재개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주한 러시아 대사관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하여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는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이다.
  • 러시아의 재외 공관 -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은 워싱턴 D.C.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으로, 1807년 외교 관계 수립 후 1822년 설치되어 냉전 시대 첩보 활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양국 간 소통 채널 역할을 수행한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2019년 북러정상회담
    20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간의 회담으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러시아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및 미국의 역할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주재하는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의 역대 대사들이 북소 및 북러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주조 러시아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조 러시아 대사관
주조 러시아 대사관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중구역
개관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대사
웹사이트주조 러시아 대사관
외교 관계
대사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소 정보
주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중구역 서문동
관련 기관
상위 기관러시아 외무부
산하 기관주청진 러시아 총영사관

2. 역사

1948년, 북한 독립 이후 소련은 즉시 북한을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그 직후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소련이 남한과 미국의 군사력에 대해 북한과 논의하는 장소가 되었는데,[1] 이는 한반도 분단을 군사력으로 종식하는 것의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북한 정부는 북한의 코로나19 범유행 확산을 막기 위해 대사관에 봉쇄 조치를 강행했다. 당시 상황이 매우 심각하여 러시아 대표단과 그 가족들이 북한 내 철도 운행 중단으로 인해 철도 카트를 밀어 북한을 떠났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2023년 9월, 대사관은 수년간의 봉쇄 조치 이후 인원 입국을 허용한 북한 내 두 번째 대사관이 되었다.[3] 이는 그 달 말에 열린 2023년 북러 정상회담을 예상한 조치로 보인다.

3. 역대 대사

1991년 이후 주북한 러시아 대사는 다음과 같다.[1]

대사임명종결비고
알렉산드르 파노프1991년 1월 29일1996년 1월 22일
발레리 데니소프1996년 1월 22일2000년 7월 24일
안드레이 카를로프2000년 7월 24일2006년 1월 20일
발레리 수히닌2006년 1월 20일2014년 12월 18일
알렉산드르 마체고라2014년 12월 18일현직


3. 1. 주 조선 러시아 제국 공사

3. 2. 주 대한제국 러시아 제국 공사

3. 3. 주조 소련 대사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테렌티 시티코프1948년 10월1950년 10월
2블라디미르 라주바예프1950년 11월1953년 9월
3세르게이 수즈탈레프1953년 9월1955년 6월
4바실리 이바노프1955년 6월1957년 2월
5알렉산드르 푸자노프1957년 2월1962년 6월
6바실리 모스코프스키1962년 6월1965년 5월
7안드레이 고르차코프1965년 6월1967년 4월
8니콜라이 수다리코프1967년 4월1974년 8월
9글레프 크리울린1974년 8월1982년 12월
10니콜라이 슙니코프1982년 12월1987년 10월
11겐나디 바르토셰비1987년 10월1990년 10월
12알렉산드르 카프토1990년 10월1992년 1월


3. 4. 주조 러시아 대사

1991년부터 현재까지 주 북한 러시아 대사는 다음과 같다.[1]

대사임명종결비고
알렉산드르 파노프1991년 1월 29일1996년 1월 22일
발레리 데니소프1996년 1월 22일2000년 7월 24일
안드레이 카를로프2000년 7월 24일2006년 1월 20일
발레리 수히닌2006년 1월 20일2014년 12월 18일
알렉산드르 마체고라2014년 12월 18일현직



1948년부터 1992년까지 주 북한 소련 대사는 다음과 같다.

대사임명종결비고
테렌티 시치코프1948년 10월1950년 10월
블라디미르 라주바예프1950년 11월1953년 9월
세르게이 수즈탈레프1953년 9월1955년 6월
바실리 이바노프1955년 6월1957년 2월
알렉산드르 후자노프1957년 2월1962년 6월
바실리 모스코프스키1962년 6월1965년 5월
안드레이 코르사코프1965년 6월1967년 4월
니콜라이 수다리코프1967년 4월1974년 8월
글레브 크류린1974년 8월1982년 12월
니콜라이 슈브니코프1982년 12월1987년 10월
겐나디 발트셰비치1987년 10월1990년 10월
알렉산드르 카프토1990년 10월1992년 1월
유리 파데예프1992년 1월1996년 8월
발레리 데니소프1996년 8월2001년 7월
안드레이 카를로프2001년 7월2006년 12월
발레리 수히닌2006년 12월2012년 4월
알렉산드르 치모닌2012년 4월2014년 12월
알렉산드르 마체고라2014년 12월현직


4. 관할 구역

함경북도라선시를 제외한 북한 전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5. 특이 사항

주한 러시아 대사관과 비교하면 한반도에서 가장 큰 러시아 재외 공관이다.[1] 1948년, 북한의 독립 이후 소련은 즉시 북한을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그 직후 대사관은 소련이 남한과 미국의 군사력에 대해 북한과 논의하는 장소가 되었는데,[1] 이는 한반도 분단을 군사력으로 종식하는 것의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북한 정부는 북한의 코로나19 범유행 확산을 막기 위해 대사관에 봉쇄 조치를 강행했다. 당시 상황이 매우 심각하여 러시아 대표단과 그 가족들이 북한 내 철도 운행 중단으로 인해 철도 카트를 밀어 북한을 떠났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2023년 9월, 대사관은 수년간의 봉쇄 조치 이후 인원 입국을 허용한 북한 내 두 번째 대사관이 되었다.[3] 이는 그 달 말에 열린 2023년 북러 정상회담을 예상한 조치로 보인다.

6. 같이 보기


  • 북한-러시아 관계
  • 러시아의 외교 공관 목록
  • 북한 주재 외교 공관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Telegram from Gromyko to Tunkin at the Soviet Embassy in Pyongyang https://digitalarchi[...] 1949-09-11
[2] 웹사이트 With North Korea's Border Closed To Trains, Russian Diplomats Push Their Way Out https://www.npr.org/[...] 2021-02-26
[3] 웹사이트 Russian embassy in North Korea allowed new staff for first time since pandemic https://www.reuters.[...] 2023-09-07
[4] 뉴스 В КНДР прошла церемония открытия памятной доски в честь Андрея Карлова — РТ на русском https://russian.rt.c[...]
[5] 웹인용 서울주재 러시아공사 베베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http://www.kci.go.kr[...] 2024-01-27
[6] 서적 Korea's Appeal to the Conference on Limitation of Armament https://books.google[...] 1922
[7] 웹인용 "아관파천 러시아측 핵심인물은 스페예르" https://www.yna.co.k[...] 2024-01-27
[8] 서적 The Tide at Sunrise https://books.google[...]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