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와이외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와이외즈는 전설 속에서 롱기누스의 창을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 샤를마뉴 대제의 검으로, 1270년부터 1825년까지 프랑스 국왕의 대관식에서 사용되었다. 이 검은 10세기경 제작된 중세 칼날을 포함하여 여러 시대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는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검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며, 칼의 형태는 전체 길이 105cm, 칼날 길이 82.8cm, 무게 1.630kg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브르 박물관 소장품 - 목욕하고 나오는 다이아나
    "목욕하고 나오는 다이아나"는 목욕 후 젖은 머리카락을 정돈하는 다이아나 옆에 님프가 다가와 그녀의 다리를 바라보는 모습과 화살통, 활, 사냥개, 사냥 동물 등 사냥의 여신을 상징하는 물건들이 묘사되어 있으며, 고급 실크 원단으로 몸을 가린 다이아나의 신분을 강조하는 그림으로, 1930년경 조각 작품 "Diane des tropiques"로 차용되었다.
  • 도검 유물 - 칠지도
    칠지도는 일본 이소노카미 신궁에 소장된 백제에서 왜에 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칼로, 칼날에 3개씩 가지가 뻗어 칠지도라 불리며 금상감 명문에는 제작 연도와 하사 내용이 기록되어 고대 한일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 도검 유물 - 월왕구천검
    월왕구천검은 1965년 후베이성에서 발견된 춘추전국시대 월나라 왕 구천의 청동 검으로, 뛰어난 보존 상태와 검신 명문을 통해 구천의 소유임을 알 수 있으며, 독특한 합금 비율, 제작 기술, 칼집 밀폐성 덕분에 부식되지 않아 국외 전시가 금지된 문화유물로 후베이성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대관보기 - 슈타이어마르크 공작모
    슈타이어마르크 공작모는 1871년부터 2015년까지 출판된 슈타이어마르크 공작 관련 문헌 목록으로, 지역의 역사, 미술, 문화를 다룬다.
  • 대관보기 - 영국의 대관보기
    영국의 대관보기는 왕실 권위와 역사를 상징하는 왕관, 홀, 검, 예복 등의 물품으로,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이 거행된 1066년 이후 왕실 장신구 세트로 갖춰져 훼손과 복구, 새로운 보석 제작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 런던 타워에 전시 및 보존되고 있다.
주와이외즈
개요
종류
소유자샤를마뉴
어원
프랑스어Joyeuse (조와이외즈)
역사적 맥락
관련 인물샤를마뉴
관련 작품롤랑의 노래
전승이 칼은 샤를마뉴가 이슬람교도와의 싸움에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유래802년 무어인과의 싸움에서 획득했다고 한다.
묘사칼날에는 롱기누스의 창의 일부가 박혀 있다고 한다.
특징햇빛 아래서 30번이나 색깔이 변한다고 한다.
현재 상태
보관 장소루브르 박물관
참고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것은 13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 문화
등장 작품마블 코믹스
Fate/Grand Order

2. 전설 속의 주와이외즈

샤를마뉴 대제의 전설적인 검 주와이외즈에는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이 검은 롱기누스의 창 조각을 품고 있으며,[1] 롤랑뒤랑달 등 다른 유명한 검들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다고도 한다.[2][3] 11세기 서사시 ''롤랑의 노래''는 주와이외즈를 하루에도 여러 번 색깔이 변하는 신비로운 검으로 묘사했으며, 후대의 ''벌핀치의 신화''에서는 샤를마뉴가 이 검으로 적장을 물리치는 이야기가 등장한다.[2] 또한, 프랑스 아르데슈의 주와이외즈 마을 이름이 전투 중 잃어버렸다 되찾은 이 검에서 유래했다는 전설과,[2] 샤를마뉴의 적수였던 사라센 군주 발리강이 자신의 검을 프레시에즈라고 이름 지었다는 이야기도 ''롤랑의 노래''에 전해진다.[5]

2. 1. 제작 배경 및 묘사

전설에 따르면 주와이외즈는 롱기누스의 창 조각을 포멜 안에 넣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1] 칼날은 롤랑뒤랑달이나 오지에의 쿠르타나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3]

20세기 초에 나온 한 어린이 책에서는 주와이외즈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샤를마뉴 대제가 허리에 차고 다녔던 귀중품 중 하나는 '주와이외즈'였다. 이 칼은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칼자루 안에 우리 구세주의 옆구리를 찌른 창의 끝부분을 담고 있었다. 그는 또한 순례자의 주머니를 찼는데, 이는 '예루살렘으로의 여정을 대비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의 삶이 순례자의 길과 같고, 우리의 기쁨이 순례자의 쉼과 같으며, 우리의 희망이 야자수와 같음을 기억하기 위함'이었다."[4]

11세기의 서사시 ''롤랑의 노래''는 주와이외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Si ad vestut sun blanc osberc sasfret,''

:''Laciet sun elme, ki est a or gemmet,''

:'' Ceinte Joiuse, unches ne fut sa per,''

:'' Ki cascun jur muet.XXX. clartez.''

::"[샤를마뉴]는 고운 흰색 사슬 갑옷과 금으로 장식된 보석 박힌 투구를 쓰고 있었고, 옆에는 주와이외즈가 걸려 있었는데, 그에 필적할 칼은 없었다. 그 색깔은 하루에도 서른 번씩 변했다."

약 700년 후 토머스 벌핀치가 쓴 ''벌핀치의 신화''에서는 샤를마뉴 대제가 주와이외즈를 사용하여 사라센 지휘관 코르스블레(Corsuble)의 목을 베고, 동료인 오지에를 기사로 임명하는 장면을 묘사했다.[2]

프랑스 아르데슈(Ardèche)에 있는 주와이외즈 마을의 이름은 이 칼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다. 샤를마뉴 대제가 전투 중에 칼을 잃어버렸는데, 그의 기사 중 한 명이 되찾아왔다. 샤를마뉴는 감사의 표시로 그 기사에게 '주와이외즈'라는 이름의 분봉령(fief)을 하사했다고 한다.[2]

''롤랑의 노래''에 등장하는 사라센의 군주 발리강(Baligant)은 샤를마뉴 대제에게 뒤지지 않으려는 마음에서 자신의 칼 이름을 프레시에즈(Précieuse, '귀중한')라고 지었다.[5]

루이 14세와 ''주와이외즈'' (1701년, 아시앙트 리고)

2. 2. 아르데슈 주와이외즈 마을과의 연관성

아르데슈(Ardèche)에 위치한 주와이외즈 마을은 샤를마뉴 대제의 검 주와이외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샤를마뉴 대제가 전투 중 검 주와이외즈를 잃어버렸는데, 그의 기사 중 한 명이 이를 되찾아왔다고 한다. 샤를마뉴 대제는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그 기사에게 '주와이외즈'라는 이름의 분봉령을 하사했고, 이것이 마을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2]

2. 3. 발리강의 프레시에즈

롤랑의 노래에 등장하는 사라센의 장군 발리강은 샤를마뉴 대제에게 뒤처지지 않기 위해 자신의 칼을 프레시에즈라고 이름 지었다.[5]

3. 프랑스 왕들의 대관식 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된 주와이외즈


샤를마뉴의 검으로 알려진 주와이외즈는 프랑스 왕들의 대관식에서 사용된 상징적인 검이다. 오랜 기간 프랑스 군주의 즉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예식용 검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오늘날 전해지는 검은 여러 시대의 부품들이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그 역사와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6]

3. 1. 대관식에서의 사용



샤를마뉴의 검으로 알려진 "주와이외즈"는 1270년 필리프 3세의 대관식부터 1825년 샤를 10세의 대관식까지 프랑스 왕의 대관식 행렬에서 선두에 서서 운반되었다. 이 검은 1505년부터 생 드니 대성당 보물창고에 보관되어 오다가 1793년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보존된 "주와이외즈"는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부품이 추가되어 복합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검의 핵심인 칼날은 10세기경 제작된 오크쇼트 유형 XII 형태로 추정된다. 마틴 콘웨이는 이 칼날이 실제 샤를마뉴의 검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9세기 초의 것으로 보았고, 가이 레이킹은 13세기 초로 추정했다. 일부에서는 1804년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준비 과정에서 중세 칼날이 현대 복제품으로 교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루브르 박물관의 공식 설명에 따르면, 손잡이는 10~11세기, 자루받이는 12세기, 칼집은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6]

3. 2. 현재 상태 및 진위 여부



샤를마뉴의 검으로 알려진 "주와이외즈"는 1270년(필리프 3세)부터 1825년(샤를 10세 대관식)까지 프랑스 국왕의 대관식 행렬에서 사용되었다. 이 검은 적어도 1505년부터 생 드니 대성당 보물창고에 보관되다가 1793년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져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오늘날의 "주와이외즈"는 오랜 세월 동안 대관식 검으로 사용되면서 여러 시대의 부품들이 결합된 복합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검의 핵심인 칼날은 10세기경 제작된 오크쇼트 유형 XII의 중세 칼날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칼날의 정확한 제작 연대와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마틴 콘웨이는 이 칼날이 실제로 샤를마뉴의 검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9세기 초의 것으로 추정했고, 가이 레이킹은 13세기 초의 것으로 보았다. 심지어 일부에서는 1804년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준비 과정에서 기존의 중세 칼날이 현대의 복제품으로 교체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루브르 박물관의 공식 설명에 따르면, 검의 다른 부분들의 추정 제작 연대는 다음과 같다.[6]

  • 손잡이: 10~11세기
  • 자루받이: 12세기
  • 칼집: 13세기

4. 형태

2012년 클뤼니 미술관에 전시된 13세기 칼집과 함께 전시된 ''주와이외즈''.


칼 전체 길이는 105cm이며, 칼날 부분은 82.8cm를 차지한다. 칼 밑 부분의 너비는 4.5cm이고, 두께는 2.2cm이다. 전체 무게는 1.63kg이다.

5. 갤러리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된 ''주와이외즈''


프랑스 대관식 검 "주와이외즈"


자루의 세부 묘사


블레즈 알렉상드르 데고프의 작품 ''프랑스 왕의 대관식 왕관'', 1878년 만국 박람회에 처음 전시됨.


주와이외즈 검


알브레히트 뒤러의 『카를 대제』

5. 1. 루브르 박물관 소장 주와이외즈



샤를마뉴의 검 "주와이외즈"로 알려진 이 검은 1270년 필리프 3세의 대관식부터 1825년 샤를 10세의 대관식까지 프랑스 왕의 대관식 행렬에서 사용되었다. 이 검은 적어도 1505년부터 생 드니 대성당 보물창고에 보관되어 오다가, 1793년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보존된 "주와이외즈"는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부품이 추가되어 복합적인 형태를 띤다. 검의 핵심인 칼날은 10세기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오크쇼트 유형 XII의 중세 칼날이다. 마틴 콘웨이는 이 칼날이 실제로 샤를마뉴의 검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9세기 초의 것으로 보았고, 가이 레이킹은 13세기 초로 추정했다. 일부에서는 1804년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을 위해 검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세 칼날이 현대 복제품으로 교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루브르 박물관의 공식 설명에 따르면, 검의 손잡이는 10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자루받이는 12세기에, 칼집은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6]

5. 2. 샤를마뉴 대제와 주와이외즈

전설에 따르면 주와이외즈는 롱기누스의 창을 포멜 안에 넣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1] 또한, 이 칼날은 롤랑뒤랑달이나 오지에의 쿠르타나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3]

20세기 초에 쓰인 한 어린이 책에서는 주와이외즈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샤를마뉴 대제가 허리에 차고 다녔던 귀중한 물건 중 하나는 '주와이외즈'였다. 이 칼은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칼자루 안에 우리 구세주의 옆구리를 찌른 창의 머리를 담고 있었다. 그는 또한 순례자의 주머니를 찼는데, 이는 '예루살렘으로의 여정을 대비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 삶이 순례자의 길과 같고, 우리의 기쁨이 순례자의 쉼과 같으며, 우리의 희망이 야자수와 같음을 기억하기 위함'이었다."[4]

11세기의 서사시 ''롤랑의 노래''는 주와이외즈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Si ad vestut sun blanc osberc sasfret,''
''Laciet sun elme, ki est a or gemmet,''
'' Ceinte Joiuse, unches ne fut sa per,''
'' Ki cascun jur muet.XXX. clartez.''
"[샤를마뉴]는 고운 흰색 사슬 갑옷과 금으로 장식된 돌이 박힌 투구를 쓰고 있었고, 옆에는 주와이외즈가 걸려 있었는데, 그것에 필적할 칼은 없었다. 그것의 색깔은 하루에 서른 번이나 변했다."


약 700년 후, ''벌핀치의 신화''에서는 샤를마뉴 대제가 주와이외즈를 사용하여 사라센 지휘관 코르스블레의 목을 베고, 그의 동료 오지에를 기사로 임명했다고 전한다.[2]

프랑스 아르데슈 지역에 있는 주와이외즈 마을은 이 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샤를마뉴 대제가 전투 중에 주와이외즈를 잃어버렸는데, 그의 기사 중 한 명이 이를 되찾아왔다. 샤를마뉴 대제는 그에게 감사를 표하며 주와이외즈라는 이름의 분봉령을 하사했다고 한다.[2]

''롤랑의 노래''에 등장하는 사라센의 장군 발리강은 샤를마뉴 대제에게 뒤지지 않으려는 마음에서 자신의 칼 이름을 프레시에즈(Précieuse)라고 지었다고 한다.[5]

5. 3. 기타



참조

[1] 서적 Song of Roland
[2] 문서 Bullfinch's Mythology, Legends of Charlemagne, Chapter 24
[3] 서적 Barbarians, Marauders, and Infidels: The Ways of Medieval Warfare https://archive.org/[...] MJF Books
[4] 서적 A Child's Book of Warriors https://archive.org/[...] J.M Dent & Sons 1907
[5] 서적 Song of Roland
[6] 웹사이트 Coronation sword and scabbard of the Kings of France http://www.louvre.fr[...] 2021-01-03
[7] 문서 「ジョワユーズ」は、{{Harvnb|佐藤訳『中世文学集2 ローランの歌・狐物語』|p=188}}、{{Harvnb|市場訳・ブルフィンチ『シャルルマーニュ伝説 中世の騎士ロマンス』|p=338}} などにみられる表記。
[8] 문서 英語の「[[wikt:joyful|joyful]]」に相当する語。
[9] 문서 「ジョワイユーズ」は、{{Harvnb|有永訳『ロランの歌』}}、{{Harvnb|『デジタル大辞泉プラス』}}などにみられる表記。
[10] 문서 Bullfinch's Mythology, Legends of Charlemagne, Chapter 24
[11] 문서 "[[en:Joyeuse]] 01:55, 17 July 2007 UTC の版より引用"
[12] 문서 프랑스어로 "즐거움", "환희"를 의미함.
[13] 문서 Bullfinch's Mythology, Legends of Charlemagne, Chapter 24
[14] 서적 Barbarians, Marauders, and Infidels: The Ways of Medieval Warfare https://archive.org/[...] MJF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