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직성 부동, 즉 죽은 척은 일부 동물들이 포식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는 포식자를 속이거나, 짝짓기를 용이하게 하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나타나며, 동결 행동과는 구분된다. 죽은 척은 곤충, 어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에서 관찰되며, 특히 북미주머니쥐가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인간에게서도 극심한 외상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과학적 연구 도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적 방어 기제 - 가시 (식물)
가시는 식물에서 뾰족하게 튀어나온 구조로, 초식 동물을 방어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며, 방범, 울타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생물학적 방어 기제 - 볼프의 법칙
뼈는 가해지는 하중에 반응하여 재형성되는 볼프의 법칙에 따라 기계적 변환을 통해 하중을 감지하고, 골세포와 골전구 세포를 이용하여 재형성이 조절되며, 테니스 선수 팔 뼈 강화, 역도 선수 골밀도 증가, 우주비행사 골밀도 감소 등이 그 예시이다. - 반포식자 적응 - 보호색
보호색은 생물이 주변 환경과 유사한 색, 무늬, 형태 등으로 자신을 숨기는 위장 전략으로, 시각적 위장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위장도 포함하며 포식자-피식자 간 공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반포식자 적응 - 야행성
야행성은 동물들이 포식자 회피, 수분 보존, 자원 경쟁 완화 등의 이점을 얻기 위해 밤에 활동하는 생활 방식이지만, 광공해와 서식지 교란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인간의 경제 활동과 건강 문제와도 관련되는 개념이다.
죽은 척 |
---|
2. 정의 및 특징
강직성 부동(죽은 척 또는 가사 반응)은 일부 동물들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행동이다. 이는 포식자에게 잡히는 등 극심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7] 겉보기에는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일부 동물들은 의식을 유지하며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탈출 기회를 노린다.[8]
의사(擬死) 상태는 동물에 따라 다양하다. 곤충은 손발을 오므리거나 뻗은 채 굳어지고, 척추동물은 체온, 심박수, 호흡수를 늦추고 사취나 체액을 내어 포식자에게 감염증 등을 경계하게 한다.[81][82] 이러한 행동은 먹이를 잡거나 구애 활동에도 이용된다.[81][82]
이반 파블로프는 척추동물의 가사 기작을 "부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원래 자세로 돌아가려 할 때 저항을 받고, 그 저항을 이겨낼 수 없는 경우 뉴런의 과잉 흥분을 진정시키기 위한 초제한적 억제가 걸려온다"고 설명했다.
가사는 포식자에게 잡혔을 때 신체 손상을 방지하고 도피 기회를 제공한다. 가사 중인 동물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하며, 저항 반사 기능이 저하되는 강직증 현상을 보인다. 가사 지속 시간은 수분에서 수십 분이며, 가사 중에는 호흡수 및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저하된다.
2. 1. 동결 행동과의 차이
긴장성 부동성은 동물의 동결 행동과는 다르다.[3][5]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비친 사슴과 "죽은 척하는" 주머니쥐는 각각 동물이 동결 상태에 있거나 죽은 척하는 일반적인 예시이다. 동결은 포식자와 피식자의 상호 작용 초기에 피식자가 위협을 감지하고 식별하지만, 포식자는 아직 피식자를 보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3] 동결은 감지 전에 발생하여 피식자를 더 잘 위장하고 포식자의 공격을 막는 데 사용되므로, 주요 방어 기제로 간주된다.[5]긴장성 부동성은 포식자가 피식자를 감지하거나 접촉한 후에 발생하며, 포식자의 ''추가'' 공격이나 피식자의 섭취를 막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3][5] 긴장성 부동성은 포식자 공격 시퀀스의 후반부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차 방어 기제로 간주되며 따라서 동결과는 구별된다.[3][5] 동결 상태의 동물은 경직되지만, 종종 똑바로 서 있으며 동결 상태일 때 자세를 바꾸지 않는 반면, 긴장성 부동성 동안에는 동물이 종종 경직되고 자세를 바꾼다.[3][5][2]
동결 행동과 긴장성 부동성은 모두 서맥(심박수 감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동결 반응은 교감 신경계 또는 부교감 신경계가 관여하는지에 따라 빠른 호흡 또는 호흡 증가, 심박수 증가, 혈압 증가 및 소화 억제를 동반할 수 있다.[9] 반면에 긴장성 부동성 상태의 척추동물은 서맥과 함께 호흡수를 줄이거나 혀를 내미는 경우가 많아, 이 행동을 동결 반응과 더욱 구별한다.[3]
3. 목적
죽은 척은 포식, 방어, 번식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행동이다.
방어대부분의 포식자는 살아있는 먹이만 사냥하기 때문에, 죽은 척은 포식자의 공격을 멈추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10] 딱정벌레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죽은 척하는 시간이 긴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져, 죽은 척이 실제로 생존에 도움이 되는 행동임을 보여준다.[11]
코뱀은 위협을 받으면 몸에서 악취를 풍겨 포식자를 쫓아내며,[12] 버지니아주머니쥐는 죽은 척하는 행동으로 유명하다.[13] 불곰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사람에게도 죽은 척이 권장되기도 한다.[17]
번식피사우라 미라빌리스 수컷 거미는 짝짓기 시 암컷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죽은 척을 하며, 이는 짝짓기 성공률을 높인다.[20]
포식님보크로미스 속 시클리드는 죽은 척을 하여 먹이를 유인하는 방식으로 사냥을 한다.[21] 이들은 죽은 물고기처럼 보이는 것에 이끌린 청소 동물이 접근하면, 재빨리 잡아먹는 전략을 사용한다.[22]
3. 1. 방어
대부분의 포식자가 살아있는 먹이만 잡기 때문에, 죽은 척은 포식자의 반응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10]딱정벌레류의 인공 선택 실험에서 죽은 척하는 시간의 길이에 대한 유전적 변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죽은 척하는 시간이 더 긴 개체들이 더 짧은 개체들보다 선택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11] 이는 죽은 척하기가 실제로 적응적임을 시사한다.
코뱀의 경우, 위협받는 개체는 등을 뒤집어 죽은 척하며, 몸에서는 악취가 나는 휘발성 액체가 흘러나온다. 고양이와 같은 포식자는 죽은 척하는 뱀에 흥미를 잃는데, 이는 뱀이 죽은 것처럼 보이고 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썩은 냄새가 나는 동물은 전염병에 대한 예방책으로 본능적으로 피하기 때문에, 뱀의 적응은 그러한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다. 갓 부화한 새끼들 또한 쥐가 그들을 먹으려고 할 때 본능적으로 이러한 행동을 보인다.[12]
포유류에서는, 버지니아주머니쥐(일반적으로 주머니쥐라고 불림)가 방어적 죽은 척하기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이다. "죽은 척하기"는 "죽은 척하다"라는 뜻의 관용구이다.[13] 이 표현은 위협받을 때 죽은 듯한 자세로 반응하는 것으로 유명한 버지니아주머니쥐의 특징에서 유래되었다.[14][15]
불곰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는 인간에게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사항은 엎드려 얼굴을 손/팔/팔꿈치로 가리고 '죽은 척'하는 것이다.[17]
죽은 척하기는 말벌 ''Nasonia vitripennis'',[18] 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와 같은 많은 무척추동물에서도 관찰되었다.[19]
동물은 체온, 심박수, 호흡수를 늦추고 사취나 체액을 내어 포식자에게 감염증 등의 경계를 일으키게 한다.
Miyatake 등(2004)은 피식자로서 쌀도둑거저리(딱정벌레목)와 포식자로서 아단송왕거미(거미목) 사이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왕거미는 쌀도둑거저리를 발견하면 공격하지만, 한 번의 공격으로는 죽일 수 없고, 쌀도둑거저리는 죽은 척을 한다. 왕거미가 공격을 반복할 때, 피식자가 움직이면 공격이 계속되어 죽는 반면, 움직이지 않으면 공격을 멈추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들은 단정을 피하면서도 죽은 척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시사했다.[97]
개구리가 뱀에게 쏘이면 굳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 또한 생존 전략으로 갖춰진 능력이다.
3. 2. 번식
피사우라 미라빌리스 종에서 수컷 거미는 짝짓기 동안 암컷 거미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교한 선물 증정 의식과 죽은 척을 하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죽은 척을 덜 하는 수컷보다 더 자주 보이는 수컷이 암컷과의 짝짓기에 성공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20] 유럽 키시다구모(Pisaura mirabilis)는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기 위해 둥지로 데려가지만, 기회를 봐서 암컷과 교미를 한다. 이 연구에서도 죽은 척하는 거미가 성공률이 더 높았다.[94] 일부 상어의 경우, 과학자들은 짝짓기와 관련지어 수컷의 물기가 암컷을 부동 상태로 만들어 짝짓기를 용이하게 한다고 주장한다.[7]3. 3. 포식

동아프리카의 말라위호에 고유종인 ''님보크로미스(Nimbochromis)''(잠자는 시클리드)는 죽은 척을 공격적인 의태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대형 포식성 어류이다. 이 물고기는 바닥 퇴적물 위에 옆으로 누워 얼룩덜룩한 색상을 띤다. 죽은 물고기처럼 보이는 것에 이끌린 청소 동물들이 포식자를 조사하기 위해 접근하면, ''N. livingstoni''는 죽은 척을 그만두고 몸을 일으켜 너무 가까이 다가온 불운한 청소 동물을 재빨리 잡아먹는다.[21][22] 탕가니카호의 아프리카 시클리드 ''람프로로그스 레마이리(Lamprologus lemairii)''[23]와 중앙 아메리카의 옐로우재킷 시클리드 ''파라크로미스 프리드리히스탈리이(Parachromis friedrichsthalii)''[24]에서도 이와 유사한 전략이 관찰되었다.
4. 예시
방어 목적으로, 죽은 척하기는 대부분의 포식자가 살아있는 먹이만 잡기 때문에, 포식자가 희생자에게 반응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존한다.[10]
딱정벌레류를 대상으로 한 인공 선택 실험에서 죽은 척하는 시간의 길이에 유전적 변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죽은 척하는 시간이 더 긴 개체들이 짧은 개체들보다 선택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11] 이는 죽은 척하기가 실제로 적응적임을 시사한다.
코브라는 위협받으면 몸을 뒤집고 악취가 나는 액체를 분비하며 죽은 척을 한다. 고양이와 같은 포식자는 썩은 냄새를 전염병과 연관시켜 피하기 때문에, 죽은 척하는 코브라에게 흥미를 잃는다. 갓 부화한 새끼 코브라도 쥐가 접근하면 본능적으로 죽은 척을 한다.[12]
포유류 중에서는 버지니아주머니쥐가 죽은 척하기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죽은 척하다(play possum)"라는 관용구는 위협을 느낄 때 죽은 듯한 자세를 취하는 주머니쥐의 특징에서 유래했다.[13][14][15] 그러나 이 본능은 현대 사회에서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어, 로드킬을 먹는 주머니쥐는 다가오는 차량에 죽은 척으로 반응하여 로드킬을 당할 수 있다.[16] 한편, "죽은 척하기"는 상대를 속여 취약한 위치로 유인하기 위해 부상, 의식불명, 잠 등 취약한 척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13]
불곰 공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엎드려 얼굴을 가리고 '죽은 척'하는 것이 일반적인 권고 사항이다.[17]
죽은 척하기는 말벌 ''Nasonia vitripennis'',[18] 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등 많은 무척추동물에서도 관찰된다.[19]
4. 1. 무척추동물
죽은 척하기는 딱정벌레, 나방, 사마귀, 매미, 귀뚜라미, 거미, 말벌, 꿀벌, 개미 등 다양한 절지동물에서 관찰된다.[5][20][25][26][27][28] 불개미의 어린 일개미는 경쟁 개미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죽은 척하기를 사용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이 경향은 줄고 인접 군체의 일개미와 싸우는 것을 선택한다.[27] 어린 개미는 부드러운 외골격 때문에 더 취약하지만, 죽은 척하기를 통해 공격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4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7]풀잠자리 유충(''Chrysoperla plorabunda'')은 포식자와 가까이 마주치면 강직성 부동(긴장성 무활동) 상태에 들어가며, 에너지 스트레스를 받는 유충이 이러한 행동을 더 보이는 경향이 있다.[29]
말벌 ''Nasonia vitripennis''[18]과 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19]에서도 죽은 척하기가 관찰되었다. 벌의 경우, 긴장성 무활동은 더듬이나 복부를 반복적으로 두드리는 등의 자극으로 유발될 수 있다.[25][28] 2020년 연구에 따르면, 이 행동의 빈도와 지속 시간은 벌의 성별과 환경 온도에 영향을 받지만, 배경색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25]
혼인 선물 증정 거미 ''Pisaura mirabilis'' 수컷은 죽은 척하기를 구애 행동에 포함시키는데, 죽은 척하는 수컷이 암컷과 교미할 가능성과 교미 시간이 더 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
4. 2. 척추동물
긴장성 부동은 상어,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포함한 많은 척추동물 분류군에서 관찰되는 현상이다.[3][5]- 상어는 짝짓기와 관련하여 수컷의 물기가 암컷을 부동 상태로 만들어 짝짓기를 용이하게 한다는 주장이 있다.
- 어류는 잉어, 송사리, 송어, 붕어 등 여러 종에서 등을 잡히면 움직임을 멈추는 경우가 있다.
- 양서류는 개구리가 뱀에게 발각되지 않거나, 발각된 후에도 도망치기 위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경우가 있다.
- 파충류는 일부 뱀과 도마뱀에서 확인되었다.
- 조류는 배를 위로 향하게 하면 의사 상태가 된다.
- 포유류 중에서는 북미주머니쥐가 의사 행동으로 가장 유명하다.
4. 2. 1. 상어
일부 상어는 뒤집어서 손으로 제압하면 강직성 부동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가시상어, 레몬상어, 흰꼬리상어 등이 있다.[7][30][31][32] 길이 3~4미터의 상어는 인간이 눈 주위의 코 측면에 가볍게 손을 대면 강직성 부동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어의 등지느러미는 펴지고 호흡과 근육 수축은 더 안정적이고 완만해진다. 강직성 부동 상태는 회복되어 활동적인 행동을 재개하기 전까지 평균 15분 동안 지속된다. 과학자들은 상어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이러한 반응을 이용해 왔으며, 화학적 상어 기피제의 효과, 복용량, 농도 및 회복 시간을 더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연구에 활용되었다.[33] 강직성 부동은 상어에 대한 실험적 조작 동안 가벼운 형태의 마취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34][35]범고래는 큰 상어를 사냥하기 위해 상어의 강직성 부동 상태를 이용하기도 한다. 일부 범고래는 상어를 옆에서 들이받아 기절시킨 다음 뒤집어 강직성 부동 상태를 유도하고 오랫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일부 상어의 경우, 이는 물이 아가미를 통과하는 것을 막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37]
4. 2. 2. 어류
금붕어, 송어, 참붕어, 연, 오스카 등 다양한 어류에서 죽은 척이 관찰된다.[38] 특히, 님보크로미스 리빙스토니는 썩은 고기를 먹는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식하기 위해 죽은 척을 이용한다.[91][92] 이 물고기는 바닥에 옆으로 누워 죽은 물고기처럼 보이게 하여 청소 동물을 유인한 후, 가까이 다가온 먹이를 재빨리 잡아먹는다.[21][22]4. 2. 3. 양서류 및 파충류
개구리, 두꺼비, 도마뱀, 뱀 등에서 죽은 척 행동이 관찰된다.[41][42][43][85][86]돼지코뱀은 항문샘에서 불쾌한 악취를 분비하고 피를 토하며 죽음을 위장한다.[82] 무당개구리과에 속하는 일부 종들은 포식자에게 눈에 띄는 경계색을 가진 배를 드러내기도 한다.[82]
긴장성 부동은 여러 개구리과(개구리와 두꺼비)에서 발견될 수 있다.[41] 개구리류의 긴장성 부동은 대부분 눈을 뜨고 사지를 벌린 채 쉽게 움직이는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일부 종은 눈을 감고 있기도 하다.[41] 일부 종은 혀를 내밀기도 한다.[41]
긴장성 부동은 여러 도마뱀과 뱀 종에서도 관찰되었다.[42][43] 가장 흔한 예는 북아메리카 돼지코뱀이지만, 다른 뱀에서도 관찰되었다.[42] 이구아나에서 긴장성 부동은 반전, 제지 및 적당한 압력을 조합하여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긴장성 부동 동안 호흡률 감소, 리듬의 불규칙성, 진폭의 불규칙성을 포함한 호흡의 명백한 변화가 나타난다. 긴장성 부동의 장기간은 공포 가설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뇌간 활동 증가로 인한 피질 억제의 결과일 수 있다.[44]
카롤라이나 아놀에서도 긴장성 부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긴장성 부동의 특징은 포획 기간과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45] 긴장성 부동은 바다거북에서도 관찰된다.[46]
4. 2. 4. 조류
새는 배를 위로 향하게 하면 죽은 척하는 상태가 된다.[84] 닭은 땅에 그어진 선을 응시하는 현상인 닭 최면술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1646년 의사 아타나시우스 키르히가 처음 기록했다.강직성 무력증은 닭을 잠시 옆으로, 배로 또는 등으로 부드럽게 묶거나, 분필을 사용하여 닭의 부리에서 떨어진 바닥에 선을 긋고 머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유발할 수 있다.[47][49] 닭은 강직성 무력증의 유전적 기초를 설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에 사용되었다. 초기 연구는 강직성 무력증이 유전학의 영향을 받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춘 반면, 2019년의 한 연구에서는 흰 레그혼 닭과 붉은 뱅갈닭의 강직성 무력증을 잠재적으로 제어하는 5개의 유전자를 확인했다.[48][50][51]
몇몇 종의 오리에게서도 죽은 척이 효과적인 포식자 방어 반응으로 관찰되었다. Sargeant와 Eberhardt (1975)의 연구에 따르면, 죽은 척을 하는 오리가 저항하고 발버둥 치는 오리보다 여우의 공격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52] 오리들은 움직이지 않았지만 의식을 유지했고 탈출 기회를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죽은 척이 효과적인 포식자 반응이지만, 포획 직후에 먹이를 죽이거나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는 포식자에게는 유용하지 않다고 인정했다.[52]
4. 2. 5. 포유류
북미주머니쥐는 죽은 척 행동으로 유명하며, 죽은 척과 함께 감염을 의심하게 하는 악취를 풍기기도 한다.[82] 주머니쥐는 위협받을 때 죽은 듯한 자세로 반응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본능적인 행동이다.[14][15]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이 본능은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드킬을 먹고 사는 주머니쥐는 다가오는 차량의 위협에 대해 죽은 듯한 자세로 반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신도 로드킬이 될 수 있다.[16]너구리, 오소리, 다람쥐, 기니피그, 토끼 등도 죽은 척을 한다.
5. 인간의 강직성 부동
긴장성 무력증은 성폭력을 포함한[58][59][60] 극심한 외상을 겪는 인간에게서 발생한다고 가정되어 왔다.[56][57]
또한 긴장성 무력증이 인간의 기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방어적 고정은 인간의 부모-자녀 애착의 진화,[61] 지속적인 주의력 및 암시성,[62][63] 렘수면[64] 및 마음 이론[65]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유도
강직성 부동은 신체적 제약으로 유도되며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감소가 특징이며, 공포가 증폭된 반응으로 간주된다. 1970년 이후 특히 암탉을 포함한 동물 복지 평가의 척도로 사용되어 왔다.[66][67][68] 강직성 부동성 검사는 실험자가 포식자를 흉내 내어 반 포식자 반응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먹이 동물이 포식자가 집중력을 풀 때 탈출할 수 있도록 '죽은 척'하는 것이다. 죽은 척하는 새들은 종종 탈출 기회를 이용한다. 메추라기에서 강직성 부동성은 고양이에 의해 포식될 가능성을 줄인다.[69]
강직성 부동성을 유도하기 위해 동물을 옆으로 또는 뒤로 15초 동안 부드럽게 제약한다. 이는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에서 수행되거나 때로는 특별히 제작된 V자 또는 U자형 고정 받침대에서 수행된다. 설치류의 경우, 때로는 목덜미의 피부를 꼬집거나 클램프를 부착하여 반응을 유도하기도 한다.[70] 과학자들은 동물이 움직이지 않기 위해 필요한 유도의 수(15초 고정 기간), 첫 번째 주요 움직임(종종 다리의 순환 운동), 첫 번째 머리 또는 눈 움직임까지의 지연 시간, 부동성의 지속 시간(때로는 '정위 시간'이라고 함)과 같은 행동을 기록한다.
강직성 부동성은 우리에 갇힌 암탉이 펜에 있는 암탉보다, 계단식 배터리 우리 상단에 있는 암탉이 하단에 있는 암탉보다, 손으로 운반되는 암탉이 기계식 컨베이어로 운반되는 암탉보다, 운송 시간이 더 긴 암탉이 운송 시간이 짧은 암탉보다 더 두려워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었다.[68][71][72][73]
과학적 도구로서의 강직성 부동성은 생쥐,[74] 저빌,[75] 기니피그,[76] 쥐,[70] 토끼[77] 및 돼지에 사용되었다.[78]
7. 일본 오소리, 너구리, 에조 너구리의 가사
일본 오소리, 너구리, 에조 너구리를 포함한 주로 포유류에서 '''가사'''(죽은 척)는 신체 손상을 막고 포식자에게서 벗어날 기회를 얻기 위한 행동이다.
'''가사의 기작'''
가사는 의도적인 행동이 아니라 자극에 대한 반사 행동이다. 너구리, 오소리, 다람쥐, 기니피그, 주머니쥐 등이 가사를 한다.[99] 가사를 유발하는 조건, 자세, 지속 시간은 동물마다 다르다.
이반 파블로프는 척추동물의 가사 기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부자연스러운 자세에 놓인 동물이 원래 자세로 돌아가려 할 때 저항을 받고, 그 저항을 이겨낼 수 없는 경우에는 뉴런의 과잉 흥분을 진정시키기 위한 초제한적 억제가 걸려온다."
'''가사를 유발하는 자극'''
구속 자극은 가사를 유발하는 자극 중 하나이다. 개구리나 비둘기는 강제로 천장을 보고 눕히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주머니쥐는 코요테에게 잡히면 몸을 둥글게 만다.
'''가사의 이점'''
가사는 포식자에게 잡혔을 때처럼 도망칠 수 없는 상황에서 신체 손상을 막고 도피 가능성을 높인다. 포식자가 갑자기 움직이지 않게 된 피식자의 힘을 풀 때 도망칠 기회가 생긴다.
'''가사의 특징'''
가사 중인 동물은 평소와 다른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하며 움직이지 않는다. 이는 저항 반사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강직증 현상 때문이다.
가사 지속 시간은 보통 수 분에서 수십 분이며, 갑자기 깨어난다. 막대기로 찌르는 등의 기계적인 자극을 주면 깨어난다.
가사 중에는 호흡수가 줄어들고,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반응도 떨어진다. 또한, 근육이 경직되어 같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anatosis
2014
[2]
논문
Dynamics of Changes in Electrical Activity in the Rabbit Cerebral Cortex during Sequential Sessions of "Animal Hypnosis"
2010-05-21
[3]
논문
A review of thanatosis (death feigning) as an anti-predator behaviour
2018-01-15
[4]
논문
Is death–feigning adaptive? Heritable variation in fitness difference of death–feigning behaviour
2004-11-07
[5]
서적
Death-Feigning in Insects: Mechanism and Function of Tonic Immobility
http://link.springer[...]
Springer Singapore
2021
[6]
논문
Animal hypnosis: a study of the induction of tonic immobility in chickens
[7]
논문
Tonic immobility in 12 elasmobranchs — use as an aid in captive husbandry
[8]
논문
The tonic immobility reaction of the domestic fowl: a review
[9]
논문
Freeze for action: neurobiological mechanisms in animal and human freezing
2017-02-27
[10]
논문
A classificatory review of mimicry systems
[11]
논문
Is death-feigning adaptive? Heritable variation in fitness difference of death-feigning behaviour
[12]
문서
Triumph of Life
PBS Home Video
2006
[13]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4]
논문
Behavioural aspects of feigned death in the opossum ''Didelphis marsupialis''
[15]
웹사이트
Playing Possum
http://www.wonderful[...]
Wonderful West Virginia
2011-05-11
[16]
웹사이트
Virginia Opossum
http://www.massaudub[...]
Mass Audubon
2011-05-11
[17]
웹사이트
How to survive a bear attack
http://www.mnn.com/e[...]
[18]
논문
Variation in propensity to exhibit thanatosis in ''Nasonia vitripennis'' (Hymenoptera: Pteromalidae)
[19]
논문
Motor output characterizing thanatosis in th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20]
논문
Thanatosis as an adaptive male mating strategy in the nuptial gift–giving spider ''Pisaura mirabilis''
[21]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2]
논문
Field observation on death feigning: a unique hunting behavior by the predatory cichlid, ''Haplochromis livingstonii'', of Lake Malawi
[23]
논문
Darwin's pond: Malawi and Tanganyika
[24]
논문
Feigning death in the Central American cichlid ''Parachromis friedrichsthalii''
[25]
논문
Factors Affecting Thanatosis in the Braconid Parasitoid Wasp Heterospilus prosopidis
2021-01-10
[26]
논문
Duration of Thanatosis is Based on Temperature in Estigmene acrea1
2020-03-31
[27]
논문
Young fire ant workers feign death and survive aggressive neighbors
2008-04-05
[28]
논문
Variation in Propensity to Exhibit Thanatosis in ''Nasonia vitripennis'' (Hymenoptera: Pteromalidae)
2006
[29]
논문
Why fake death? Environmental and genetic control of tonic immobility in larval lacewings (Neuroptera: Chrysopidae)
https://academic.oup[...]
2023-07-21
[30]
논문
Tonic immobility in the smooth dogfish shark, ''Mustelus canis'' (Pisces, Carcharhinidae)
[31]
논문
Induction and duration of tonic immobility in the lemon shark, ''Negaprion brevirostris''
[32]
논문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uring tonic immobility in the black tipped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a''
[33]
웹사이트
Tonic immobility
http://www.sharkdefe[...]
2006-01-28
[34]
논문
Habitat use and foraging behavior of tiger sharks (''Galeocerdo cuvier'') in a seagrass ecosystem
[35]
논문
Movements of tiger sharks (''Galeocerdo cuvier'') in coastal Hawaiian waters
[36]
논문
"The Stress Physiology of Extended Duration Tonic Immobility in the Juvenile Lemon Shark, Negaprion Brevirostris (Poey 1868)."
2011
[37]
뉴스
Orcas vs great white sharks: in a battle of the apex predators who wins?
https://www.theguard[...]
2017-11-16
[38]
간행물
Tonic immobility in the smooth dogfish shark, ''Mustelus canis'' (Pisces, Carcharhinidae)
1986
[39]
간행물
Induction and duration of tonic immobility
1977
[40]
간행물
Field observations of death feigning in the convict tang, ''Acanthurus triostegus'' (Linnaeus), with comments on the nocturnal color pattern in juvenile specimens
1991
[41]
간행물
Is it all death feigning? Case in anurans
2010-07-12
[42]
간행물
Death feigning by grass snakes (Natrix natrix) in response to handling by human "predators."
2007
[43]
간행물
Playing dead to stay alive: death-feigning in ''Liolaemus occipitalis'' (Squamata: Liolaemidae)
2010
[44]
간행물
Tonic immobility in the lizard, iguana iguana
1970
[45]
간행물
Tonic immobility in Anolis carolinensis: Effects of time and conditions of captivity
1978
[46]
간행물
Tonic Immobility in Newly Emerged Sea Turtle Hatchlings
https://meridian.all[...]
2016
[47]
간행물
The tonic immobility reaction in chickens: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y
1971
[48]
간행물
Genetic influence on tonic immobility in chickens
1974
[49]
간행물
Animal hypnosis: a study in the induction of tonic immobility in chickens
1950
[50]
간행물
Tonic Immobility Responses of White Leghorn Hens Affected by Induction Techniques and Genetic Stock Differences
1984
[51]
간행물
Genetical Genomics of Tonic Immobility in the Chicken
2019-05-07
[52]
간행물
Death Feigning by Ducks in Response to Predation by Red Foxes (''Vulpes fulva'')
1975
[53]
간행물
Tonic immobility in feral and domestic dutch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mountain cottontail (Sylvilagus nuttalli), and whitetail jackrabbit (Lepus townsendi) as a function of posture
1978
[54]
간행물
Proven cardiac changes during death-feigning (tonic immobility) in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2014-02-11
[55]
간행물
Tonic immobility as a predator-defense in the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1981
[56]
간행물
Tonic Immobility is Associated with PTSD Symptoms in Traumatized Adolescents
2021
[57]
간행물
Assessing Post-Traumatic Tonic Immobility Responses: The Scale for Tonic Immobility Occurring Post-Trauma
2019
[58]
간행물
Victim reactions during rape/sexual assault: A preliminary study of the immobility response and its correlates
https://digitalcommo[...]
1993
[59]
뉴스
Why many rape victims don't fight or yell
https://www.washingt[...]
2015-06-23
[60]
간행물
Sexual trauma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tonic immobility than other types of trauma — A population based study
2017-03-07
[61]
간행물
Social engagement and attachment: a phylogenetic perspective
2003
[62]
간행물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nimal hypnosis
1969
[63]
간행물
Hypnosis, tonic immobility and electroencephalogram
2013
[64]
간행물
The origin of REM sleep: A hypothesis
2012
[65]
간행물
Theory of Mind: Towards an Evolutionary Theory
https://drive.google[...]
2018
[66]
간행물
Effect of varying conditions of fear on immobility reactions in domestic chickens (Gallus gullus)
1970
[67]
간행물
Tonic immobility as a measure of fear in the domestic fowl
1979
[68]
간행물
Tonic immobility ("righting time") in laying hens housed in cages and pens
1981
[69]
간행물
A critical review of fear tests used on cattle, pigs, sheep, poultry and horses
https://www.openacce[...]
2007
[70]
간행물
The effects of acute stress and acute corticosterone administration on the immobility response in rats
2009
[71]
논문
Fearfulness of caged laying hens: The effects of cage level and type of roofing
[72]
논문
Fear levels in laying hens carried by hand and by mechanical conveyors
[73]
논문
Effects of transportation on the tonic immobility fear reactions of broilers
[74]
논문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 and interleukin-6 on cataleptic immobility and locomotor activity in mice
[75]
논문
Effects of the cannabinoid CB1 receptor antagonist rimonabant in models of emotional reactivity in rodents
[76]
논문
Activation o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receptors from the basolateral or central amygdala increases the tonic immobility response in guinea pigs: An innate fear behaviour
[77]
논문
Handling effects on body weight and behaviour of group-housed male rabbits in a laboratory setting
[78]
논문
Individual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strategies in pigs
[79]
웹사이트
動物が「死んだふり」をするのは、敵から逃れるためだけではない
https://natgeo.nikke[...]
2022-03-28
[80]
웹사이트
動物催眠
https://kotobank.jp/[...]
[81]
웹사이트
動物が死んだふりをする理由。自己防衛、求愛儀式、獲物を惹きつけるなどなど、種によって様々
https://karapaia.com[...]
2022-03-27
[82]
웹사이트
大仰な死の演技をするカエルを発見、ブラジル
https://natgeo.nikke[...]
2022-03-27
[83]
웹사이트
ミジンコの仲間は「死んだふり」でヤゴを欺く
https://www.tohoku.a[...]
2022-03-28
[84]
서적
Zoologisches Wörterbuch
Gustav Fischer Verlag Jena
[85]
논문
Death feigning by grass snakes (Natrix natrix) in response to handling by human "predators."
https://doi.org/10.1[...]
2007
[86]
논문
Playing dead to stay alive: death-feigning in Liolaemus occipitalis (Squamata: Liolaemidae)
https://doi.org/10.1[...]
2010
[87]
논문
Tonic immobility in the smooth dogfish shark, ''Mustelus canis'' (Pisces, Carcharhinidae)
[88]
논문
Induction and duration of tonic immobility in the lemon shark, ''Negaprion brevirostris''
[89]
논문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uring tonic immobility in the black tipped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a''
[90]
웹사이트
サメの胚、“フリーズ”して身を守る
https://natgeo.nikke[...]
2022-03-28
[91]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92]
논문
Field observation on death feigning: a unique hunting behavior by the predatory cichlid, ''Haplochromis livingstonii'', of Lake Malawi
[93]
논문
Tonic immobility in the smooth dogfish shark, ''Mustelus canis'' (Pisces, Carcharhinidae)
[94]
논문
Thanatosis as an adaptive male mating strategy in the nuptial gift–giving spider ''Pisaura mirabilis''
[95]
웹사이트
死んだふり? 生物の生存戦略
https://www.yomiuri.[...]
2023-11-17
[96]
간행물
Honma et al., 2006,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73: 1631-1636.
http://journals.roya[...]
[97]
논문
Is death–feigning adaptive? Heritable variation in fitness difference of death–feigning behaviour
https://royalsociety[...]
2004-11-07
[98]
웹사이트
「ヘビににらまれたカエル」の生き残り戦略 – ヘビを引きつけてから逃げることで生残性が高まっている
https://academist-cf[...]
2020-06-16
[9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