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에서 사용되는 만딩어군 언어로, '타구시어'라고도 불린다. 밤바라어와 매우 유사하며, 콩 도시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방언이 존재한다. 역사적으로는 만딩어군 상인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유럽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링구아 프랑카로 자리 잡았다. 현재는 코트디부아르와 부르키나파소에서 널리 사용되며, 구글 번역에도 추가되었다. 음운론적으로 다양한 자음과 7개의 모음을 가지며, 라틴 문자와 응코 문자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트디부아르의 언어 - 밤바라어
    밤바라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며 약 910만 명이 서아프리카 7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2023년 말리 공용어 지위를 획득했고,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응코 문자 등으로 표기되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가진다.
  • 코트디부아르의 언어 - 만딩어
    만딩어는 서아프리카에서 약 910만 명이 사용하는 만데어족 언어군으로, 밤바라어, 만딘카어, 마닝카어, 줄라어 등이 있으며 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로 표기된다.
  • 부르키나파소의 언어 - 밤바라어
    밤바라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며 약 910만 명이 서아프리카 7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2023년 말리 공용어 지위를 획득했고,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응코 문자 등으로 표기되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가진다.
  • 부르키나파소의 언어 - 만딩어
    만딩어는 서아프리카에서 약 910만 명이 사용하는 만데어족 언어군으로, 밤바라어, 만딘카어, 마닝카어, 줄라어 등이 있으며 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로 표기된다.
줄라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줄라어
고유어 이름Julakan
줄라어ߖߎ߬ߟߊ߬ߞߊ߲
사용 국가부르키나파소
말리
코트디부아르
사용자줄라족
모어 화자약 256만 3천 명 (2012–2021년)
제2 언어 화자약 1027만 8천 명 (2012–2013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니제르-콩고 어족
어파만데어파
어군서부
분파만딩어군
세부 분파동부
언어밤바라어-줄라어
언어 코드
ISO 639-1없음
ISO 639-2dyu
ISO 639-3dyu
Glottologdyul1238
Glottolog 이름줄라어
문자
문자 체계은코 문자
라틴 문자
아자미

2. 사용 지역

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링구아 프랑카이다. 코트디부아르에서는 '타구시어(Tagboussikan)'라고도 불리며, 상인들이 주로 사용한다.[13] 밤바라어와 매우 유사하며,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1]

과거 '줄라(jula)'는 민족명이 아니라 '상인'을 의미하는 만딩어 단어였다. 세누포 농부와 같은 비무슬림 인구와 무슬림 상인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밤바라나 만딘카처럼 만딩어를 사용하는 상인들을 지칭하는 외래어가 되었다.[1] 시간이 지나면서 말리에서 유래한 밤바라어의 단순화된 형태에 마닌카어 요소가 섞인 형태를 가리키는 널리 사용되는 공용어가 되었다.[8]

사헬에서 온 수백만 명의 이주 노동자가 유입되면서 코트디부아르에서 줄라어 사용이 더욱 증가했다. 많은 부르키나베인들이 코트디부아르에 머무는 동안 줄라어를 배우고 고국으로 돌아가면서 더 널리 보급되었다. 오늘날 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인구의 최소 61%, 부르키나베 인구의 약 35%(주로 국가 남부 또는 서부에 거주)가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다.[1]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줄라'라는 명칭이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어, 식자층과 언론은 '말린케(Malinke)'라는 명칭을 선호하기도 한다.

2. 1. 방언

줄라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에서는 민족 간의 링구아 프랑카로서 '타구시어(tagboussikan)'라고 불리는 줄라어가 상인들에게 사용된다. 이것은 밤바라어에 매우 가깝다.[13] 이 외에도 줄라어로 통칭되는 지역 언어 변종은 20개 이상 존재한다. Kong, Ivory Coast|콩|콩영어 줄라어가 줄라어를 대표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콩 도시 주변 지역은 역사적으로 줄라어의 고향으로 여겨진다.

만딩 제어는 방언 연속체이므로 언어 간에 명확한 구분은 없다. 북서부 방언은 마닝카어에 가깝고, 줄라어가 아닌 마닝카어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1999년 국제 SIL의 조사에서는 Mahou (langue)|마후어|마후어프랑스어, 카니가어, Koyaka|코야|코야영어어, 오디엔네어, 본두크어, 콜로어, 워로드그어가 존재하며, 최소 5개의 방언으로 구분된다고 결론지었다.[14]

코트디부아르에서 "Jula"라는 호칭은 부정적인 뉘앙스로 사용되기 때문에, 식자층과 언론은 "Malinke"라는 호칭을 선호한다. Nouchi (langue)|누시어|누시어프랑스어는 줄라어와 수수어라는 2개의 만딩 계열 언어에서 유래했다. 누시어에서의 줄라어 계 차용어는 화자의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15]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콩 줄라(Kong Jula)
  • 디울라 베이큘레(Dioula Véhiculaire)
  • 타그부시칸(Tagboussikan)

3. 역사

과거에 줄라어("jula")는 민족명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상인'을 의미하는 만딩어 단어였다. 이 용어는 주로 세누포 농부와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비무슬림 인구와 무슬림 상인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밤바라나 만딘카와 그들의 언어와 같은 만딩어를 사용하는 상인들을 지칭하는 외래어가 되었다.[1]

15세기경부터 서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져 나갔고, "줄라"는 밤바라족이나 만딘카족 등, 만딩고어를 사용하는 상인 및 그 언어를 가리키는 엑소님(외부에서 부르는 명칭)이 되었다.[16]

수 세기에 걸친 민족 발생 과정은 보보디울라소, 오디엔느, 콩과 같은 현대 도시의 일부 공동체가 이 명칭을 그들의 민족 정체성 중 하나로 채택하도록 이끌었다.[2][3][4] 이들 공동체는 부르키나파소와 코트디부아르 대부분의 시장에서 들을 수 있는 줄라어의 공용어 형태와 구별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줄라어를 사용한다.[5][6][7]

유럽 침략자들은 그들 상인에게 의존했기 때문에, 식민지화는 줄라어의 확대와 영향을 멈추지 못하고, 오히려 증폭시켰다. 프랑스어와 줄라어는 매우 빠르게, 코트디부아르 인근에서 새롭게 탈부족화된 무산계급 사이에서 경쟁 상태에 들어섰다.[23]

현재, "줄라"는 마닌카어 요소가 섞인 간략화된 말리밤바라어도 가리키게 되었다. 이 간략화된 언어는 널리 사용되는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다.[24] 사헬로부터 수백만 명의 이민 노동자의 유입 이후, 링구아 프랑카의 필요성으로 인해 코트디부아르에서의 줄라어 사용이 더욱 촉진되었다. 많은 부르키나파소인들은 코트디부아르 체류 중에 줄라어를 배우고, 모국에서 더 널리 사용하게 했다. 오늘날, 줄라어는 최소한 코트디부아르인의 약 61%와 부르키나파소인의 약 35%(주로 동국 남부 내지 서부 거주자)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16]

2024년 6월 27일, 구글 번역에 줄라어가 추가되었다.

4. 음운론

4. 1. 자음

줄라어는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다.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등이 있다.

}

| ŋ|ㅇmul

|-

! rowspan="2" |파열음

! 무성

| p|ㅍmul

| t|ㅌmul

| c|mul

| k|ㅋmul

|-

! 유성

| b|ㅂmul

| d|ㄷmul

| ɟ|mul

| ɡ|ㄱmul

|-

! rowspan="2" |마찰음

! 무성

| f|mul

| s|ㅅmul

|

|

| h|ㅎmul

|-

! 유성

| v|mul

| z|mul

|

|

|

|-

! colspan="2" |설전음

|

| r|ㄹmul

|

|

|

|-

! colspan="2" |접근음

|

| l|mul

| j|mul

| w|mul

|

|}[25]

4. 2. 모음

colspan="2"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ㅁmuln|ㄴmul{{lang|mul|ɲ|}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u
중고모음eo
저중모음ɛɔ
저모음a



줄라어의 7개 모음은 장모음-단모음, 구강 모음-비모음의 대립을 가진다.[25]

5. 표기 체계

로마자 정서법은 부르키나파소 국립 언어 위원회 줄라어 소위원회에서 규제한다. 1971년 설립된 이 소위원회는 줄라어 알파벳 제정 작업을 시작하여 1973년에 발표, 1979년에 공식 지위를 획득했다. 이후 차용어를 위해 글자가 추가되고 일부 글자가 변경되었다.

부르키나파소에서 줄라어 알파벳은 28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각 문자는 단일 음소를 나타낸다. 장모음은 이중 자음으로, 비모음은 'n'을 붙여 표기한다.

1973년에 성조 표기가 권장되었으나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2003년 전사 가이드에서도 다시 권장되지 않았다. 성조는 사전에서나 다의성 회피가 필요한 경우에만 표기된다.

예:


  • "a" (낮은 성조): 그, 그녀
  • "á" (높은 성조): 당신들


응코 문자는 1949년 솔로마나 칸테가 만딩어군 언어들을 위해 고안한 문자 체계이다. 유니코드로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프랑스어의 영향과 자금 부족으로 인해 주로 정규 교육 외에서 사용되며, 표지판 등에는 체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1]

5. 1. 라틴 문자

줄라어 정서법은 부르키나파소 국립 언어 위원회 줄라어 소위원회에서 규제한다. 1971년 7월 15일, 줄라어 국가 소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71년 7월 16일 줄라어 알파벳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1973년 7월 27일에 알파벳이 발표되었고, 1979년 2월 2일에 공식 지위를 얻었다. 나중에 몇몇 글자가 추가되었는데, 차용어에 c, j영어가 추가되었고, 다른 글자는 sh영어에서 s영어로, ny영어에서 ɲ영어로 대체되었다.

줄라어 알파벳
ABCDEƐFGHIJKLMNƝŊOƆPRSTUVWYZ
abcdeɛfghijklmnɲŋoɔprstuvwyz



부르키나파소에서 줄라어 알파벳은 28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글자는 하나의 음소를 나타낸다. 정서법에서 장모음은 두 글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e/는 e영어로, /eː/는 ee영어로 표기한다. 모음의 비음화는 n이 뒤따르며, 예를 들어 /ẽ/는 en영어으로 표기한다.

1973년에 성조 표기를 권장했지만, 실제로는 표기하지 않는다. 2003년에 발표된 표기 가이드에서는 이 권장 사항을 반복하지 않는다. 성조는 사전 작업에서만 표기한다. 그러나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특정 경우에는 성조 표기가 의무적이다.

예를 들어:


  • a영어 "그/그녀" (3인칭 단수 대명사)
  • á영어 "너희" (2인칭 복수 대명사)

5. 2. 응코 문자 (N'Ko)

응코 문자는 1949년 솔로마나 칸테가 만딩어군 언어들을 위해 고안한 문자 체계이다. 유니코드로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프랑스어의 영향과 자금 부족으로 인해 주로 정규 교육 외에서 사용되며, 표지판 등에는 체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1]

6. 대중 매체에서의 사용

판타 레지나 나크로 감독의 2004년 영화 ''진실의 밤''에서 줄라어가 사용되었다. 이는 부르키나파소 최초의 여성 감독 연출 작품이다.[1]

7. 기타 명칭

줄라어는 듀울라어, 디율라어, 디울라어, 디우라어, 베히큘레 디울라, 줄라, 듈라, 콩 줄라, 타그부시칸, 무역 줄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1] 과거에 '줄라'는 민족명이 아니라 만딩어에서 '상인'을 의미했다.[1] 이 용어는 세누포 농부와 같은 비무슬림 인구와 무슬림 상인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후 밤바라나 만딘카와 같이 만딩어를 사용하는 상인들을 가리키는 외래어가 되었다.[1]

코트디부아르에서 만딩어를 사용하는 원어민들은 이 단순화된 언어를 경멸적인 용어인 '타그부시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줄라어의 다양한 명칭은 아래 표와 같다.

명칭
줄라어
듀울라어
디율라어
디울라어
디우라어
디울라(Dioula)
베히큘레 디울라(Dioula Véhiculaire)
줄라(Diula)
줄라(Djula)
듈라(Dyoula)
듈라(Dyula)
줄라(Jula)
콩 줄라(Jula Kong)
콩 줄라(Kong Jula)
타그부시칸(Tagboussikan)
무역 줄라(Trade Jula)


참조

[1] 논문 Wer sind die Dyula?: Ethnizität und Bürgerkrieg in der Côte d'Ivoire http://www.giga-hamb[...] Institut für Afrika-Forschung 2005
[2] 서적 L’ethnisme jula: origines et évolution d’un groupe ethnolinguistique dans la boucle du Niger Karthala
[3] 서적 The Transmission of Islamic Learning in the Western Su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Juula and the Expansion of Islam into the Forest Ohio University Press
[5] 논문 Jula Ajami in Burkina Faso: A Grassroots Literacy in the Former Kong Empire https://repository.u[...] 2013-10-01
[6] 논문 Dioula de Kong : Côte d’Ivoire Université de Grenoble
[7] 서적 Dictionnaire du dioula d’Odienné: parler de Samatiguila Documents de Linguistique Africaine
[8] Youtube DIOULA: a Manding language variety of West Africa {{!}} Na baro kè 14 https://www.youtube.[...] 2023-02-21
[9] 서적 La terminologie de la médecine traditionnelle en milieu jula du Burkina Faso : méthode de recherche, langue de la santé et lexique julakan-français, français-julakan
[10] 간행물 Republic of Burkina Faso, Ministerial Decree no 54/ENC/CNU.
[11] 간행물 Republic of Burkina Faso, Ministerial Decree no 367/ENC/CNU.
[12] 논문 Le noyau du code orthographique du dioula du Burkina Faso 2001
[13] 간행물 Who Speaks "Mandekan"? A Note on Current Use of Mande Ethnonyms and Linguonyms http://mandelang.kun[...]
[14] 간행물 Enquête sur les dialectes mandé nord de Côte d'Ivoire http://llacan.vjf.cn[...]
[15] 논문 Le dioula véhiculaire : Situation sociolinguistique en Côte d’Ivoire https://journals.ope[...] Éditions universitaires européennes 2022-09-06
[16] 논문 Wer sind die Dyula?: Ethnizität und Bürgerkrieg in der Côte d'Ivoire http://www.giga-hamb[...] Institut für Afrika-Forschung 2005
[17] 서적 L’ethnisme jula: origines et évolution d’un groupe ethnolinguistique dans la boucle du Niger Karthala
[18] 서적 The Transmission of Islamic Learning in the Western Su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Juula and the Expansion of Islam into the Forest Ohio University Press
[20] 논문 Jula Ajami in Burkina Faso: A Grassroots Literacy in the Former Kong Empire https://repository.u[...] 2013-10-01
[21] 논문 Dioula de Kong : Côte d’Ivoire Université de Grenoble
[22] 서적 Dictionnaire du dioula d’Odienné: parler de Samatiguila Documents de Linguistique Africaine
[23] 웹사이트 Le nouchi et les rapports dioula-français http://www.unice.fr/[...] 2024-08-03
[24] Youtube DIOULA: a Manding language variety of West Africa {{!}} Na baro kè 14 https://www.youtube.[...] 2023-02-21
[25] 서적 La terminologie de la médecine traditionnelle en milieu jula du Burkina Faso : méthode de recherche, langue de la santé et lexique julakan-français, français-julakan
[26] 웹사이트 Ethnologue-Dyula https://www.ethnolog[...] 202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