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배속된 상륙 작전 부대이다. 1953년 창설되었으나 1957년 해체되었고, 1979년 재창설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1950년대에는 타이완 상륙 작전을 대비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부대 규모를 확장하여 여러 국제 훈련에 참여했다. 해군육전대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으며, 2017년 해군 육전대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현재 8개 여단(6개의 해군 육전병 여단, 1개의 특수 작전병 여단, 1개의 함재 항공기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 화기, 장갑차, 포병 및 방공 무기, 항공기를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설립된 단체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53년 설립된 단체 -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는 한국 정치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로서, 학술 연구, 학술지 발간, 연구 발표회 개최, 국내외 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대의민주주의 제도 개선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진보 정당 정책 연구, 정치 현안 분석 및 정책 결정 근거 제시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충성 | 중국공산당 |
종류 | 해병대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창설일 | 1953년 4월 |
특기 | 상륙전 VBSS 신속대응군 |
규모 | 40,000명 |
별명 | 陆地猛虎,海上蛟龙 (lùdì měnghǔ, hǎishàng jiāolóng) 육지의 맹호, 바다의 교룡 |
색상 | 흰색 파란색 |
현재 지휘관 | 미상 |
주둔지 | 광둥성 차오저우시 |
장비 | |
공격 헬리콥터 | 하얼빈 Z-9WA |
화물 헬리콥터 | 창허 Z-8 창허 Z-18 |
다용도 헬리콥터 | 하얼빈 Z-9C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국공 내전 둥산섬 전역 이장산 전투 파라셀 제도 해전 트리톤 제도 해전 해양방패 작전 아덴 만 해적 퇴치 작전 예멘에서의 중국 및 외국 국적자 대피 |
관련 정보 | |
해군 편제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모토 | 陆地猛虎,海上蛟龙 (lùdì měnghǔ, hǎishàng jiāolóng) |
설명 | 육지의 맹호, 바다의 교룡 |
기타 | |
언어별 명칭 | 중국어 간체: 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 (Zhōngguó Rénmín Jiěfàngjūn Hǎijūnlùzhànduì)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Navy Marine Corps (PLANMC) |
2. 역사
=== 창설과 해체 (1950년대) ===
1952년 5월, 육군 제85사단이 포병연대를 제외하고 수병사단으로 재편되어 해군으로 이관되었다. 이들은 중국 대륙 남동부 해안 방어, 어선 호위, 어업 임무를 수행했다.[7] 1953년 3월 18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해군육전대를 정식으로 창설하고, 같은 날을 해군육전대의 공식 기념일로 지정하였다.[7]
1953년 4월, 화둥 군구 해군 예하에 제1해군 육전병 연대 및 수륙전차 교도 연대가 설립되었다. 1953년 7월 15일, 이 부대 산하 1개 대대가 둥산섬 전역에 참전하여 중화민국 국군과 격돌하였다.
1954년 12월 9일, 수병사단을 타이완섬으로의 상륙전이 가능한 해군육전사단으로 개편하였다.[7] 이는 제1해군 육전병 연대 및 수륙전차 교도 연대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한국 전쟁이 끝날 무렵, 해군육전대는 8개 사단, 110,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그러나 1957년 1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해군육전사단과 변방 제14연대(변방 제14연대/邊防14團중국어)를 병합하여 수비 제11사단으로서 육군으로 복군시켰다. 같은 해,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는 전군 조직 개편을 통해 해군 육전병 사단을 폐지하고, 상하이 경비구 수비부에 편입시켰다. 이는 중국 지도부가 타이완 섬 점령 계획을 포기하면서 이루어졌다.[7] 해병대 해체 이후, 인민해방군 해군은 여러 보병 및 상륙 전차 연대로 구성된 해군 보병 부대를 유지했다.[7]
=== 재창설과 발전 (1970년대 이후) ===
1979년 중앙군사위원회 (CMC)는 해군육전대를 재창설하고 인민해방군 해군(PLAN) 산하로 조직했다.[7] 1980년 5월 5일, 하이난에서 제1해병여단이 창설되었다.[7] 이는 육군 제131사단 제391연대를 기초로 난하이 함대 예하에 창설된 것이다.
1990년대에 중국과 타이완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해군육전대가 확장되었다. 제1해병여단은 증강 및 재무장되었다. 1998년 7월,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PLAGF) 제41집단군의 제164기계화보병사단이 인민해방군 해군 남해 함대로 전속되어 제164해병여단이 되었으며, 기지는 광둥성 잔장시에 위치했다.[7] 1997년부터의 군사 개혁에 따라, 1998년 7월 1일에 육군 제164사단은 해군 난하이 함대 예하의 제164해군 육전병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7년 2월, 제26집단군의 제77기계화보병여단이 인민해방군 해군으로 전속된 것으로 알려졌다.[7] 2017년 4월에 시작된 부대의 규모 확대에 의해, 2019년 2월 시점에서 해군 육전대는 8개 여단 체제 (6개의 해군 육전병 여단, 1개의 특수 작전병 여단, 회전익기를 운용하는 1개의 함재 항공기 여단)가 되었다. 새롭게 추가된 4개의 새로운 해군 육전병 여단은 육군 부대에서 예속 변경하여 편성되었다.
해군육전대는 RIMPAC을 포함한 여러 국제 훈련에 참여했으며, 부시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 기간 동안 해군 참모에 따르면 "평온과 질서"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해병대와 상호 훈련 및 우호적인 문화 교류를 했다.[8]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인민해방군과 해군육전대는 2018년 환태평양 훈련에 초청받지 못했고, 미 해병대는 해군육전대에 대항하는 훈련을 받았다.[9][10][11]
2. 1. 창설과 해체 (1950년대)
1952년 5월, 육군 제85사단이 포병연대를 제외하고 수병사단으로 재편되어 해군으로 이관되었다. 이들은 중국 대륙 남동부 해안 방어, 어선 호위, 어업 임무를 수행했다.[7] 1953년 3월 18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해군육전대를 정식으로 창설하고, 같은 날을 해군육전대의 공식 기념일로 지정하였다.[7]1953년 4월, 화둥 군구 해군 예하에 제1해군 육전병 연대 및 수륙전차 교도 연대가 설립되었다. 1953년 7월 15일, 이 부대 산하 1개 대대가 둥산섬 전역에 참전하여 중화민국 국군과 격돌하였다.
1954년 12월 9일, 수병사단을 타이완섬으로의 상륙전이 가능한 해군육전사단으로 개편하였다.[7] 이는 제1해군 육전병 연대 및 수륙전차 교도 연대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한국 전쟁이 끝날 무렵, 해군육전대는 8개 사단, 110,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그러나 1957년 1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해군육전사단과 변방 제14연대(邊防14團중국어)를 병합하여 수비 제11사단으로서 육군으로 복군시켰다. 같은 해,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는 전군 조직 개편을 통해 해군 육전병 사단을 폐지하고, 상하이 경비구 수비부에 편입시켰다. 이는 중국 지도부가 타이완 섬 점령 계획을 포기하면서 이루어졌다.[7] 해병대 해체 이후, 인민해방군 해군은 여러 보병 및 상륙 전차 연대로 구성된 해군 보병 부대를 유지했다.[7]
2. 2. 재창설과 발전 (1970년대 이후)
1979년 중앙군사위원회 (CMC)는 해군육전대를 재창설하고 인민해방군 해군(PLAN) 산하로 조직했다.[7] 1980년 5월 5일, 하이난에서 제1해병여단이 창설되었다.[7] 이는 육군 제131사단 제391연대를 기초로 난하이 함대 예하에 창설된 것이다.1990년대에 중국과 타이완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해군육전대가 확장되었다. 제1해병여단은 증강 및 재무장되었다. 1998년 7월,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PLAGF) 제41집단군의 제164기계화보병사단이 인민해방군 해군 남해 함대로 전속되어 제164해병여단이 되었으며, 기지는 광둥성 잔장시에 위치했다.[7] 1997년부터의 군사 개혁에 따라, 1998년 7월 1일에 육군 제164사단은 해군 난하이 함대 예하의 제164해군 육전병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7년 2월, 제26집단군의 제77기계화보병여단이 인민해방군 해군으로 전속된 것으로 알려졌다.[7] 2017년 4월에 시작된 부대의 규모 확대에 의해, 2019년 2월 시점에서 해군 육전대는 8개 여단 체제 (6개의 해군 육전병 여단, 1개의 특수 작전병 여단, 회전익기를 운용하는 1개의 함재 항공기 여단)가 되었다. 새롭게 추가된 4개의 새로운 해군 육전병 여단은 육군 부대에서 예속 변경하여 편성되었다.
해군육전대는 RIMPAC을 포함한 여러 국제 훈련에 참여했으며, 부시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 기간 동안 해군 참모에 따르면 "평온과 질서"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해병대와 상호 훈련 및 우호적인 문화 교류를 했다.[8]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인민해방군과 해군육전대는 2018년 환태평양 훈련에 초청받지 못했고, 미 해병대는 해군육전대에 대항하는 훈련을 받았다.[9][10][11]
3. 조직 구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PLANMC)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부 및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6] 2017년에는 해군 육전대 사령부가 설치되었으며, 인사, 훈련, 장비에 대한 책임을 진다. 사령부의 사령원·정치위원의 직무 등급은 정군직(正军职, corps-level)으로, 이는 육군의 집단군, 공군의 공강병군(空降兵军)과 동격이다.
18,000명의 해병이 남부 전구, 6,000명이 동부 전구, 12,000명이 북부 전구에 배속되어 있다.[6] 이들 여단은 기갑, 포병, 미사일, 대공 방어, 군사 물자를 포함한 합동 병과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7개의 여단은 다음과 같다.[6]
- 제1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一旅중국어 및 제2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二旅중국어 (전 제164 해병 여단) - 모두 잔장 주둔
- 제3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三旅중국어 진장 주둔
- 제4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四旅중국어 제양 주둔
- 제5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五旅중국어 라오산 구 주둔
- 제6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六旅중국어 하이양 주둔.[6]
- 제7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七旅중국어 "자오롱 특공대" (싼야 주둔); 특수 부대
또한 밍광, 추저우, 안후이에 주둔하는 해병대 독립 항공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独立航空兵旅중국어으로 알려진 해병대 항공 부대가 있다.[12] 2017년에 창설되었다.
각 해병 여단은 여단 본부 및 지원 중대, 3개의 해병 합동 병과 대대 (05식 수륙양용 전차/ZTD-05중국어를 갖춘 중대, 05식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ZBD-05중국어를 갖춘 중대, VP4 ATV/CS/VP4 ATV중국어를 갖춘 경대대), 공중 강습 대대, 해병 포병 대대, 방공 대대, 해병 정찰 대대, 전투 지원 대대, 지원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6]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PLAGF) 수륙양용 합동 병과 여단에 추가적인 수륙양용 공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13]
2020년판 밀리터리 밸런스에 따르면 해군 육전대의 총 인원은 25,000명으로 추정되며, 1개 기계화 해군 육전 병 여단, 3개 경 해군 육전 병 여단, 2개 수륙 양용 해군 육전 병 여단, 1개 특수 작전 병 여단의 총 7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6개의 해군 육전 병 여단은 북부 전구, 동부 전구, 남부 전구의 3개 전구에 각각 2개씩 배속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미국 국방부의 2020년판 중국의 군사력에 관한 연례 보고서에서도 새롭게 창설된 4개 해군 육전 병 여단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만 완전히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의 부대는 원래의 2개 해군 육전 병 여단뿐이며, 새로운 해군 육전 병 여단이 원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원 배치 · 훈련 · 장비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아직 없다고 하고 있다. 또한 6개의 해군 육전 병 여단에 더하여 자체 1개 항공 여단 및 1개 특수 작전 병 여단이 설립된 것도 언급하고 있다.
3. 1. 사령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PLANMC)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부 및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6] 2017년에는 해군 육전대 사령부가 설치되었으며, 인사, 훈련, 장비에 대한 책임을 진다. 사령부의 사령원·정치위원의 직무 등급은 정군직(正军职, corps-level)으로, 이는 육군의 집단군, 공군의 공강병군(空降兵军)과 동격이다.해군육전대의 사령부는 참모부, 정치작전부, 군수(보장/保障중국어)부, 장비부, 기율검사위원회로 구성된다.
18,000명의 해병이 남부 전구, 6,000명이 동부 전구, 12,000명이 북부 전구에 배속되어 있다.[6] 이들 여단은 기갑, 포병, 미사일, 대공 방어, 군사 물자를 포함한 합동 병과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7개의 여단은 다음과 같다.[6]
- 잔장 주둔의 제1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一旅중국어 및 제2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二旅중국어 (전 제164 해병 여단)
- 진장 주둔의 제3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三旅중국어
- 제양 주둔의 제4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四旅중국어
- 라오산 구 주둔의 제5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五旅중국어
- 하이양 주둔의 제6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六旅중국어[6]
- 싼야 주둔의 제7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七旅중국어 "자오롱 특공대" (특수 부대)
또한 밍광, 추저우, 안후이에 주둔하는 해병대 독립 항공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独立航空兵旅중국어으로 알려진 해병대 항공 부대가 있다.[12] 2017년에 창설되었다.
각 해병 여단은 여단 본부 및 지원 중대, 3개의 해병 합동 병과 대대 (05식 수륙양용 전차/ZTD-05중국어를 갖춘 중대, 05식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ZBD-05중국어를 갖춘 중대, VP4 ATV/CS/VP4 ATV중국어를 갖춘 경대대), 공중 강습 대대, 해병 포병 대대, 방공 대대, 해병 정찰 대대, 전투 지원 대대, 지원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6]
중국 인민해방군(PLA)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PLAGF) 수륙양용 합동 병과 여단에 추가적인 수륙양용 공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13]
3. 2. 직속 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PLANMC)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부 및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
2020년판 밀리터리 밸런스에 따르면 해군 육전대의 총 인원은 25,000명으로 추정되며, 1개 기계화 해군 육전 병 여단, 3개 경 해군 육전 병 여단, 2개 수륙 양용 해군 육전 병 여단, 1개 특수 작전 병 여단의 총 7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13] 6개의 해군 육전 병 여단은 북부 전구, 동부 전구, 남부 전구의 3개 전구에 각각 2개씩 배속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미국 국방부의 2020년판 중국의 군사력에 관한 연례 보고서에서도 새롭게 창설된 4개 해군 육전 병 여단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만 완전히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의 부대는 원래의 2개 해군 육전 병 여단뿐이며, 새로운 해군 육전 병 여단이 원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원 배치 · 훈련 · 장비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아직 없다고 하고 있다. 또한 6개의 해군 육전 병 여단에 더하여 자체 1개 항공 여단 및 1개 특수 작전 병 여단이 설립된 것도 언급하고 있다. 같은 보고서에는 6개의 해군 육전 병 여단의 대략적인 소재지가 도해되어 있다.
18,000명의 해병이 남부 전구, 6,000명이 동부 전구, 12,000명이 북부 전구에 배속되어 있다.[6] 이들 여단은 기갑, 포병, 미사일, 대공 방어, 군사 물자를 포함한 합동 병과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7개의 여단은 다음과 같다.[6]
- 제1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一旅중국어 및 제2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二旅중국어 (전 제164 해병 여단) - 모두 잔장 주둔
- 제3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三旅중국어 진장 주둔
- 제4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四旅중국어 제양 주둔
- 제5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五旅중국어 라오산 구 주둔
- 제6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六旅중국어 하이양 주둔.[6]
- 제7해군육전여단(특종부대)(제7 해병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第七旅중국어) "자오롱 특공대" 싼야 주둔; 특수 부대
또한 밍광, 추저우, 안후이에 주둔하는 해병대 독립 항공 여단/中国人民解放军海军陆战队独立航空兵旅중국어으로 알려진 해병대 항공 부대가 있다.[12] 2017년에 창설되었다.
각 해병 여단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6]
- 1 × 여단 본부 및 지원 중대
- 3 x 해병 합동 병과 대대 (1 x ZTD-05 수륙양용 전차를 갖춘 중대, 1 ×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를 갖춘 중대, 1 × VP4 ATV를 갖춘 경대대)
- 1 x 공중 강습 대대
- 1 x 해병 포병 대대
- 1 × 방공 대대
- 해병 정찰 대대
- 전투 지원 대대
- 지원 지원 대대
PLA 해군육전대 의원과 PLA 해군육전대 훈련기지는 광둥성 광저우시에 있다.
3. 3. 전구 소속 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PLANMC)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부 및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18] 18,000명의 해병이 남부 전구, 6,000명이 동부 전구, 12,000명이 북부 전구에 배속되어 있으며,[6] 이들 여단은 기갑, 포병, 미사일, 대공 방어, 군사 물자를 포함한 합동 병과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전구와 함대별로 2개 여단이 배정되어 있다.[18]
- 제1해군육전여단 - 남부전구, 잔장시
- * 지부티 보장기지 - 지부티에 1개 대대가 주둔중.
- 제2해군육전여단 - 남부전구, 진장시 쑤이시현
- 제3해군육전여단 - 동부전구, 푸젠성 진장시
- 제4해군육전여단 - 동부전구 제양시
- 제5해군육전여단 - 북부전구, 산둥성 칭다오시 라오산구
- 제6해군육전여단 - 북부전구 산둥성 하이양시[6]
각 해병 여단은 여단 본부 및 지원 중대, 3개 해병 합동 병과 대대 (ZTD-05 수륙양용 전차를 갖춘 중대,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를 갖춘 중대, VP4 ATV를 갖춘 경대대), 공중 강습 대대, 해병 포병 대대, 방공 대대, 해병 정찰 대대, 전투 지원 대대, 지원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6]
3. 4. 육군 소속 상륙 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은 추가적인 상륙전 전력으로서 양서합성여단을 운용하고 있다.[18][19]- 제72집단군 소속: 제5양서합성여단, 제124양서합성여단
- 제73집단군 소속: 제14양서합성여단, 제91양서합성여단
- 제74집단군 소속: 제1양서합성여단, 제125양서합성여단
3. 5. 여단 편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PLANMC)는 해군 본부,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부 및 중앙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 2020년판 밀리터리 밸런스에 따르면 해군 육전대의 총 인원은 25,000명으로 추정되며, 1개 기계화 해군 육전 병 여단, 3개 경 해군 육전 병 여단, 2개 수륙 양용 해군 육전 병 여단, 1개 특수 작전 병 여단의 총 7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6] 이들 여단은 기갑, 포병, 미사일, 대공 방어, 군사 물자를 포함한 합동 병과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각 해병 여단은 여단 본부 및 지원 중대, 3개의 해병 합동 병과 대대 (ZTD-05 수륙양용 전차를 갖춘 중대,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를 갖춘 중대, VP4 ATV를 갖춘 경대대), 공중 강습 대대, 해병 포병 대대, 방공 대대, 해병 정찰 대대, 전투 지원 대대, 지원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6]
7개의 여단은 다음과 같다.
- 제1 해병 여단 및 제2 해병 여단 (전 제164 해병 여단) - 모두 잔장 주둔
- 제3 해병 여단 진장 주둔
- 제4 해병 여단 제양 주둔
- 제5 해병 여단 라오산 구 주둔
- 제6 해병 여단 하이양 주둔.[6]
- 제7 해병 여단 "자오롱 특공대" 싼야 주둔; 특수 부대
또한 밍광, 추저우, 안후이에 주둔하는 해병대 독립 항공 여단으로 알려진 해병대 항공 부대가 있다.[12] 2017년에 창설되었다.
18,000명의 해병이 남부 전구, 6,000명이 동부 전구, 12,000명이 북부 전구에 배속되어 있다.[6]
4. 주요 장비
'''개인 장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개인 화기를 사용한다. 주력 소총은 95식 자동 소총이며, 95B식 카빈, 95식 분대 자동 화기, 88식 지정 사수 소총도 사용한다.[14] 05식 기관단총, 92식 권총, 수중 소총과 같은 특수 목적 화기도 보유하고 있다. 유탄 발사기로는 QLZ-87 유탄 발사기, 10식 저격 소총, QLU-11을 사용하며, 로켓 발사기로는 PF-89, PF-97, DZJ-08을 사용한다.[14]
'''장갑차'''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종류의 장갑차량을 운용한다. 15식 전차(ZTQ-15)는 정확한 배비 수는 불명이지만, 해군육전대의 주요 전차 전력으로 투입되고 있다. 수륙양용 전차로는 ZTD-05 73량을 보유하고 있다.
ZTL-11 수륙양용 돌격포는 2대 이상, ZBL-08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는 10대 이상을 운용 중이다. 또한,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 152량을 보유하여 상륙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WZ551 차륜형 장갑차도 운용한다.
'''포병 및 방공 무기'''
중국 해병대는 PLZ-07B 자주 곡사포, PLL-09 자주 곡사포, 89식 자주 곡사포와 같은 다양한 포병 무기를 운용한다. 자동 및 수동 대공포 시스템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혼합하여 대공 방어를 수행하며, 95식 자주 대공 방어 플랫폼은 단거리 SAM 조합과 25mm포 4문을 장착하여 저고도 목표물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능력을 제공한다. 89식 122mm 자주포는 1999년 이후 해병대에 추가적인 화력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주포 시스템이다.
밀리터리 밸런스 2020년판에 따르면, 해군 육전대는 PLZ-07 20+문, PLZ-89 20+문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H-63 견인식 로켓포와 82mm 박격포, HN-5 지대공 미사일을 운용한다. 대전차 무기로는 HJ-73, HJ-8 대전차 미사일과 대전차 로켓포를 보유하고 있다.
'''항공기'''
해군 육전대에서 운용하는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 Z-9WA 공격 헬리콥터
- Z-9C 유틸리티 헬리콥터
- Z-18 수송 헬리콥터
4. 1. 개인 장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개인 화기를 사용한다. 주력 소총은 95식 자동 소총이며, 95B식 카빈, 95식 분대 자동 화기, 88식 지정 사수 소총도 사용한다. 05식 기관단총, 92식 권총, 수중 소총과 같은 특수 목적 화기도 보유하고 있다. 유탄 발사기로는 QLZ-87 유탄 발사기, 10식 저격 소총, QLU-11을 사용하며, 로켓 발사기로는 PF-89, PF-97, DZJ-08을 사용한다.해병대는 07식 해양 위장복을 착용했으나, 싱콩 위장 패턴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또한, GPS와 야간 투시경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전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해병대는 15식 전차, ZTL-11 수륙양용 돌격포, ZBL-08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 ZSL-10 수륙양용 장갑차, ZTD-05 수륙양용 돌격포,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 ZSD-05 수륙양용 장갑차, WZ551 차륜형 장갑차를 운용한다. 63A식 경전차는 105mm 주포와 강화된 장갑을 갖춘 최신형 수륙양용 경전차이다. 77식 수륙양용 장갑차는 노후화되었지만, 89식 및 63식 장갑차의 특수 개조 버전과 86식(WZ501) 보병 전투차가 함께 운용되고 있다.
대공 방어를 위해 자동 및 수동 대공포 시스템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95식 자주 대공 방어 플랫폼은 25mm 포 4문과 단거리 SAM을 장착하고 있다. 포병 전력으로는 PLZ-07B, PLL-09, 89식 자주 곡사포와 HJ-8, HJ-73 대전차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항공 전력으로는 Z-9WA 공격 헬리콥터, Z-9C 유틸리티 헬리콥터, Z-18 수송 헬리콥터를 운용한다.
4. 2. 기갑차량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종류의 장갑차량을 운용한다. 15식 경전차(ZTQ-15)는 정확한 배비 수는 불명이지만, 해군육전대의 주요 전차 전력으로 투입되고 있다.[14] 수륙양용 전차로는 ZTD-05 73량을 보유하고 있다.ZTL-11 수륙양용 돌격포는 2대 이상, ZBL-08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는 10대 이상을 운용 중이다. 또한, ZBD-05 수륙양용 보병 전투차 152량을 보유하여 상륙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WZ551 차륜형 장갑차도 운용한다.
해군육전대는 HJ-8과 HJ-73 대전차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PF-98 대전차 로켓포도 운용한다. 자주포 전력으로는 PLZ-07B 자주 곡사포와 PLL-09 자주 곡사포, 그리고 89식 자주 곡사포를 각각 20문 이상씩 보유하고 있다. 견인식 로켓포로는 PH-63을, 박격포로는 82mm 박격포를 운용한다. 대공 방어를 위해 HN-5 지대공 미사일을 사용한다.
2006년에는 미 해병대와 훈련 교환을 진행하며 95식 자동 소총을 사격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15] 2014년과 2016년에는 환태평양 훈련(RIMPAC)에 참가하여 미 해군과 함께 훈련하는 모습도 보였다.
4. 3. 포병 및 방공 무기
중국 해병대는 PLZ-07B 자주 곡사포, PLL-09 자주 곡사포, 89식 자주 곡사포와 같은 다양한 포병 무기를 운용한다. 자동 및 수동 대공포 시스템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혼합하여 대공 방어를 수행하며, 95식 자주 대공 방어 플랫폼은 단거리 SAM 조합과 25mm포 4문을 장착하여 저고도 목표물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능력을 제공한다. 89식 122mm 자주포는 1999년 이후 해병대에 추가적인 화력을 제공하는 최초의 자주포 시스템이다.밀리터리 밸런스 2020년판에 따르면, 해군 육전대는 PLZ-07 20+문, PLZ-89 20+문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H-63 견인식 로켓포와 82mm 박격포, HN-5 지대공 미사일을 운용한다. 대전차 무기로는 HJ-73, HJ-8 대전차 미사일과 대전차 로켓포를 보유하고 있다.
4. 4. 항공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는 독자적인 항공기 부대를 보유하지 않고, 해군 항공대 소속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 강습 상륙, 항공 화력 지원, 특수 작전 지원 및 기타 항공 지원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해군 육전대는 자체 항공 여단을 창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해군 육전대에서 운용하는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 Z-9WA 공격 헬리콥터
- Z-9C 유틸리티 헬리콥터
- Z-18 수송 헬리콥터
5. 국제 관계 및 평가
해군 육전대는 2017년에 신설된 지부티 주둔 기지에 기지 경비를 위해 파견되었다. 밀리터리 밸런스 2020년판은 1개 해군 육전 병대(中隊)의 전개를 추정하고 있다. 전개 부대의 규모에 대해서는 미국 해군대학 중국해사연구소의 보고서에서는 대대 본부 요원과 1개 기계화 보병 중대의 규모로 추정하고 있으며, 최근 현지 TV 방송국의 취재를 인용한 중국 온라인 매체의 기사는 해당 기지에 해군 육전대 특수작전병 부대의 파견을 시사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media.defens[...]
[2]
웹사이트
解放军海军陆战队:既做海上蛟龙 也当雪域猛虎-新华网
http://news.xinhuane[...]
[3]
웹사이트
陆地猛虎海上蛟龙:中国海军陆战队素质世界居前
http://www.chinanews[...]
2017-01-26
[4]
논문
中共軍改後海軍陸戰隊的建構與發展(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Chinese Communist Marines following its Military Reform)
https://navy.mnd.go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China)
2019-10-01
[5]
웹사이트
PLANMC may be re-equipping for combined arms, multidomain operations
https://www.janes.co[...]
2021-06-03
[6]
뉴스
How special are PLA special forces?
https://www.business[...]
2020-01-30
[7]
웹사이트
China's PLA Marines: An Emerging Force
https://thediplomat.[...]
[8]
뉴스
China wants 'tranquillity', navy chief says ahead of new warships reveal
https://www.reuters.[...]
2019-04-22
[9]
웹사이트
U.S. Kicks China out of military exercise
https://www.politico[...]
[10]
웹사이트
US Marines are practicing seizing small islands as a possible China fight looms in the Pacific
https://www.business[...]
[11]
웹사이트
US continues to train with allies in the event of Chinese attack
https://www.wearethe[...]
2020-04-29
[12]
문서
https://media.defens[...]
[13]
서적
China Maritime Report No. 20: The PLA Army Amphibious Force
2022
[14]
웹사이트
Chinese PLA Ground Forces and Marines to Replace QBZ-95-1 with Completely New NON-BULLPUP Rifle?
https://www.thefirea[...]
2017-05-18
[15]
웹사이트
China: features of PLA latest combat camouflage uniforms
https://www.armyreco[...]
[16]
논문
中共軍改後海軍陸戰隊的建構與發展
https://navy.mnd.gov[...]
중화민국 국방부
2020-11-03
[17]
웹인용
应对台海局势?解放军海军陆战队扩编50%,打造最强登陆力量?
https://www.163.com/[...]
NetEase
2023-01-25
[18]
논문
China Maritime Report No. 20: The PLA Army Amphibious Force
https://digital-comm[...]
China Maritime Studies Institute, U.S Naval War College
2022-04
[19]
논문
China Maritime Report No. 20: The PLA Army Amphibious Force
https://digital-comm[...]
China Maritime Studies Institute, U.S Naval War College
202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