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전구는 2016년 2월 창설된 중국 인민해방군의 5대 전구 중 하나로, 중국 동북부 지역의 네이멍구 자치구,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산둥성을 관할한다. 보하이만과 황해, 동해 일부를 해상 관할 구역으로 하며, 몽골, 러시아, 한국, 일본과 인접해 있다. 북부전구는 육상, 해상, 방공,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한반도 유사시 개입 가능성이 높은 부대로 평가받는다. 현재 사령원은 왕창 상장이며, 정치위원은 정쉬안 중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양시 - 선양 방송
    선양 방송은 중국 선양시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텔레비전 및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랴오닝 방송,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등과 경쟁하고 있다.
  • 선양시 - 철서구 (영화)
    철서구는 2003년 개봉한 중국 다큐멘터리 영화로, 톄시구 노동자들의 열악한 환경과 소외된 삶을 3부작으로 나누어 조명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구 - 남부전구
    남부전구는 2016년 중국 인민해방군 군구 개편으로 창설된 5개 전구 중 하나로, 중국 남부 지역과 남중국해를 관할하며 남해 함대를 포함한 육해공군으로 구성되어 남중국해 안보 유지와 타이완 상륙 작전 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광저우에 사령부를 두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구 - 중부전구
    중부전구는 2016년 창설된 중국 인민해방군의 5개 전구 중 하나로, 베이징과 톈진을 포함한 중국 중심부 영토를 방어하며 베이징에 사령부를 두고 육군과 공군을 주축으로 작전을 지휘 및 통제한다.
  • 2016년 설립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2016년 설립 -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는 고용노동 관련 민원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전국 단일 번호 1350을 통해 고용지원센터 대표 전화를 통합 운영하며, 상담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북부전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지도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지도
명칭 (한자)北部战区
명칭 (병음)Běifāng Zhànqū
명칭 (영어)Northern Theater Command
약칭 (영어)NTC
기본 정보
창설일2016년 2월 1일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소속중국공산당
군종전구
역할지휘 통제
규모군관구
지휘 체계중국인민해방군
본부랴오닝성 선양시
웹사이트http://eng.chinamil.com.cn/armed-forces/northern-theatre-command.htm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슬리브 휘장
슬리브 휘장
지휘부
사령관왕창 공군 상장
정치위원정쉬안 상장
참모장장궈핑 상장
관할 지역
담당 지역중국 동북부
조직
육군북부전구 육군
해군북부전구 해군
공군북부전구 공군
육군 기관지난시

2. 역사

2016년 2월 1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해방군 전구 성립 대회에서 시진핑 당 총서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임)가 북부전구를 포함한 5개 전구의 사령관과 정치위원에게 군기를 수여하면서 정식으로 창설되었다.[5] 기존의 7대 군구(선양, 베이징, 지난, 난징, 광저우, 청두, 란저우) 체제에서 5대 전구(북부, 중부, 서부, 동부, 남부) 체제로의 개편은 30년 만에 이루어진 대대적인 군사 개혁이었다.[7] 이러한 개편은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북한 핵·미사일 문제, 남·동중국해 영유권 갈등 등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7]

2017년 4월 25일, 북부전구는 북중 접경지역에 최고 수준의 '1급 전비 태세'를 발령하고 20만 병력을 대기시킨 적이 있다.

2020년 3월, 한국 육군교육사령부는 '중국 지상군의 작전 수행 양상 및 북부 전구 작전 수행 역량'이라는 제목의 외부 용역 과제를 통해 북부전구를 한반도에 가장 큰 위협으로 표현했다.[6]

북부전구의 기원은 조선족이 많이 참여했던 제4야전군이며, 한국 전쟁 당시 제4야전군이 의용군으로 참전했던 역사적 배경 때문에 북한과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3. 관할 구역

북부전구는 네이멍구 자치구,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산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부 지역의 5개 성급 행정구역을 관할한다.[2] 해상 관할 구역은 보하이만, 황해, 동해 일부를 포함한다.[2] 관할 면적은 354만km2로,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영토(약 10만km2)의 35배가 넘는다. 중국의 5대 전구 중 해안선 길이가 세 번째로 길다.

4. 군사적 가치

북부전구는 지리적, 전략적,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해상: 보하이만은 폐쇄적인 지형 덕분에 미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의 군함이나 항공기가 접근하기 어렵고, 레이더 감시에도 제약이 많아 중국 해군의 활동에 유리하다.[1]
  • 육상: 동북 3성 바로 아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위치해 있어, 북한 급변사태 시 미군, 한국군이 북상할 경우, 중국은 북부전구를 통해 대응할 수 있다.[5]
  • 방공: 미국에서 중국으로 날아가는 전략 미사일의 최단 거리는 북부전구가 담당하는 동북삼성의 상공을 통과한다. G2인 중국은 MD를 구축해야 하므로, 북부전구가 전략 미사일 전투 임무를 맡는 것은 필연적이다.[8]
  • 경제: 북부전구가 전담하는 지역은 5대 전구 중에서 경제력 규모가 2위이며, 중국 소수민족 중 경제 수준이 가장 높은 조선족의 거주 지역으로 정치적인 영향력도 상당하다.

4. 1. 해상

보하이만은 폐쇄적인 지형 덕분에 미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의 군함이나 항공기가 접근하기 어렵고, 레이더 감시에도 제약이 많아 중국 해군의 활동에 유리하다.[1] 랴오둥반도산둥반도가 모두 북부전구에 속해 있어 보하이만 방어에 유리하다.[1]

4. 2. 육상

동북 3성 바로 아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위치해 있다. 북한 급변사태 시 미군, 한국군이 북상해 올라올 경우, 중국은 북부전구를 통해 대응할 수 있다.[5]

4. 3. 방공

미국에서 중국으로 날아가는 전략 미사일의 최단 거리는 북부전구가 담당하는 동북삼성의 상공을 통과한다. G2인 중국 역시 미국 못지않게 MD를 구축해야 하므로, 북부전구가 전략 미사일 전투 임무를 맡는 것은 필연적이다. 실제로 헤이룽장(黑龍江)성 솽야산(雙鴨山)의 한 항공우주관측제어소에는 조기경보 레이더가 설치되어 있다.[8] 이는 미국의 SSPARS와 거의 흡사하며 포지션도 같다.

4. 4. 경제

북부전구가 전담하는 지역은 5대 전구 중에서 경제력 규모가 2위이다. 그리고 중국의 소수민족 중 경제 수준이 가장 높은 조선족의 거주 지역으로, 정치적인 영향력도 상당하다.

5. 위상

북부전구는 2020년 기준 세계 경제력 순위 10위인 대한민국과 12위인 러시아와 영토로 가장 인접한 부대이기 때문에 중국군 내에서 위상이 높은 편이다. 무엇보다 중국을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최고의 지대여서 전략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선양 J-11 전투기를 생산하는 심양 항공 공사(瀋陽 飛機 工業)가 위치해 있기도 하다. 만주20세기 전반, 아시아 패권을 쥐고 있던 일본 제국이 지배했었기 때문에 아시아 패권의 상징이기도 하다.[1]

6. 부대 구성

북부 전구는 북부 전구 육군(지난 소재), 북부 전구 해군(칭다오 소재), 북부 전구 공군(선양 소재)으로 구성된다.[3][4]


  • 북부 전구 육군은 제78집단군, 제79집단군, 제80집단군으로 구성된다.
  • 북부 전구 해군은 후루다오 해군 기지, 장거좡 해군 기지, 뤼순 해군 기지, 다롄 기지, 옌타이 기지, 위치 해군 기지를 포함한다.
  • 북부 전구 공군 예하 부대 및 기지, 전투 시리즈 번호, 제작 기종은 다음과 같다.


부대기지전투 시리즈 번호제작
제1 전투기 사단안산 (제1 연대, 제3 연대), 치펑 (제2 연대)1XX2XJ-11B (제1 연대), J-10A (제2 연대), J-8F (제3 연대)
제11 사단 (지상 지원)쓰핑 (제31 연대), 다롄 (제32 연대)2XX2XJH-7A (제31 연대), Q-5 (제32 연대)
제16 사단 (특수)선양 (제46 연대, 제47 연대), 선양 (제48 연대)2XX7XJQ-8 (제46 연대), Y-8 (제47 연대) Y-8, Z-9 (제48 연대)
제21 사단 (공중 전투)무단장, 치치하얼, 옌볜3XX2XJ-8H, J-7, 자오롄-9; J-7; J-7
다롄 기지단둥 (제88 여단), 푸란뎬 (제89 여단), 잉청쯔 (제90 여단)4XX1XJ-7E (제88 여단), J-11A/BS (제89 여단)
제4 여단 (레이더)칭다오
제5 항공 사단웨이팡 (제13 연대, 제15 연대) 주청 (제14 연대)1XX6XQ-5 (제13 연대, 제14 연대), JH-7A (제15 연대)
제12 전투 항공 사단원덩2XX3XJ-7, J-10A (제36 연대), J-8
제19 사단 (공중 전투)지닝3XX0XJ-11B (제55 연대), Su-27SK/UBK/J-11A


6. 1. 육군

북부전구 육군은 지난에 사령부를 두고 있으며, 제78집단군, 제79집단군, 제80집단군으로 구성되어 있다.[9]

  • 육군사령부: 지난
  • 사령원: 쉬젠루(石正露) 중장
  • 정치위원: 정쑤언(郑璇) 중장

  • 제78집단군(81021부대): 지린성 창춘시 (구 선양 군구 제16집단군)
  • 제8 합성여단
  • 제48 합성여단(第48合成旅團旅團)
  • 제69합성여단
  • 제115합성여단
  • 제202합성여단
  • 제2024합성여단
  • 제21포병여단
  • 제78특전여단
  • 제78육항여단
  • 제78방공여단
  • 제78공정방화여단
  • 제89근무지원여단

  • 제79집단군(81043부대): 랴오닝성 랴오양 (구 선양 군구 제39집단군)
  • 제46합성여단
  • 제116 합성여단
  • 제190 합성여단
  • 제119 합성여단
  • 제200 합성여단
  • 제79방공여단
  • 제79포병여단
  • 제79공병여단
  • 육군항공 제9연대
  • 화생방연대
  • 부교연대
  • 통신연대
  • 전자대반응단
  • 특수병대대

  • 제80집단군(71146부대): 산둥성 웨이팡시 (구 지난 군구 제26집단군)
  • 제47합성여단
  • 제69 합성여단
  • 제118합성여단
  • 제138합성여단
  • 제199합성여단
  • 제203합성여단
  • 제80포병여단
  • 제80특전여단
  • 제80육항여단
  • 제80방공여단
  • 제80공정방화여단
  • 제80근무지원여단

6. 2. 해군

칭다오에 사령부를 둔 북해함대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2020년 기준, 북부전구 해군은 항공모함 1척, 상륙함 2척, 방공구축함 15척, 미사일 호위함 35척, 재래식 잠수함 8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함대 총 톤수는 60만ton이다.[3][4]

2020년 중국 전구별 항공모함 및 수상함 보유수
전구항공모함상륙함방공구축함미사일 호위함원잠재래식잠수함함대총톤수
북부1215350860만ton
동부02193263290만ton
남부12182642470만ton
전체2652931064220만ton


  • 북해함대 사령부
  • 사령원: 후종밍(胡中明) 중장
  • 정치위원: 푸야오취안(傅耀泉) 중장


북부 전구 해군에는 다음의 해군 기지들이 있다.

  • 후루다오 해군 기지
  • 장거좡 해군 기지
  • 뤼순 해군 기지
  • 다롄 기지
  • 옌타이 기지
  • 위치 해군 기지

6. 3. 공군

북부전구 공군은 선양에 사령부를 두고 있으며, 다롄과 지난에 공군 기지를 운용한다.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800대가 넘는 전투기와 폭격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공군 전체 전술기 숫자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이다.[11]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단둥과 인근에 있는 안산 공군기지, 다롄 공군기지에는 선양 J-11 전투기를 배치해 유사시 한반도 상공에서의 제공권 장악을 위한 준비를 마쳤고, 산둥반도의 라이양 공군기지에 H-6G/K 폭격기를, 라이산 공군기지와 웨이팡 공군기지에 시안 JH-7을 배치하고 주변 기지에 청두 J-10 전투기를 대량으로 배치하고 있다.[11] 웨이하이 공군기지에는 제12전투기 사단ㆍ여단과 웨이팡 공군기지의 제5공격 사단ㆍ여단 등이 배치돼 있다.

2018년 2월 14일, 중국은 J-20을 산둥성에 배치했다. 신랑 군사망에 따르면, 젠-20이 배치된 곳은 허베이성 창저우 비행훈련기지, 동부전구 왕하이(王海) 공군여단, 그리고 최근 건설된 산둥반도 모 공군기지다. 이 중 산둥반도 공군기지는 황해(우리의 서해)와 발해만을 바라보는 곳이다. 이 매체는 젠-20 전용 격납고와 계류장이 건립돼 있는 산둥반도 기지의 위성사진을 게재했다. 신랑 군사망은 "작전반경 2000km인 젠-20이 산둥반도 최전선 기지에서 출격해 마하 2.5의 속도로 날아갈 경우 단 30분이면 1200km 떨어진 일본 이와쿠니[12]에 도달할 수 있고 일본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고 전했다.[13]

2020년 기준, 북부전구 공군의 주요 기지 및 배치 전력은 다음과 같다.

2020년 중국 전구별 공군기 보유수(항공단 개수) *3세대는 중화인민공화국기준
전구J-11J-10J-16J-20JH-7Su-27Su-303세대전투기(계)조기경보기(계)
북부150(3)60(2)50(2)050(1)002608



부대기지전투 시리즈 번호제작
제1 전투기 사단안산 (제1 연대, 제3 연대), 치펑 (제2 연대)1XX2XJ-11B (제1 연대), J-10A (제2 연대), J-8F (제3 연대)
제11 사단 (지상 지원)쓰핑 (제31 연대), 다롄 (제32 연대)2XX2XJH-7A (제31 연대), Q-5 (제32 연대)
제16 사단 (특수)선양 (제46 연대, 제47 연대), 선양 (제48 연대)2XX7XJQ-8 (제46 연대), Y-8 (제47 연대) Y-8, Z-9 (제48 연대)
제21 사단 (공중 전투)무단장, 치치하얼, 옌볜3XX2XJ-8H, J-7, 자오롄-9; J-7; J-7
다롄 기지단둥 (제88 여단), 푸란뎬 (제89 여단), 잉청쯔 (제90 여단)4XX1XJ-7E (제88 여단), J-11A/BS (제89 여단)
제4 여단 (레이더)칭다오
제5 항공 사단웨이팡 (제13 연대, 제15 연대) 주청 (제14 연대)1XX6XQ-5 (제13 연대, 제14 연대), JH-7A (제15 연대)
제12 전투 항공 사단원덩2XX3XJ-7, J-10A (제36 연대), J-8
제19 사단 (공중 전투)지닝3XX0XJ-11B (제55 연대), Su-27SK/UBK/J-11A


7. 지휘부

북부전구 지휘부[1]
직책이름취임퇴임비고
사령관송보선 (宋普选|쑹푸쉬안중국어)2016년 2월2017년 9월
사령관이교명 (李桥铭|리차오밍중국어)2017년 9월2022년 9월
사령관왕강 (王强|왕창중국어)2022년 9월현직
정치위원저익민 (褚益民|추이민중국어)2016년 2월2017년 4월
정치위원범효준 (范骁骏|판샤오쥔중국어)2017년 4월2022년 1월
정치위원유청송 (刘青松|류칭쑹중국어)2022년 1월2023년 6월
정치위원정선 (郑璇|정쉬안중국어)2023년 6월현직


8.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 국군은 북부전구를 한반도의 주요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 2020년 육군교육사령부의 연구 용역 보고서에서는 북부전구를 북한군보다 더 큰 위협으로 명시했다.[6] 이는 문재인 정부의 국방 전략인 '플랜B'(미·중 패권 경쟁 속 주변국 군사력 증강 대비)와 맥을 같이 한다.[14] '플랜A'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계획이며, '플랜B'는 중국·일본과 같은 인접국의 군사력 증강에 대비하는 전략이다. 북부전구는 북한 급변사태 발생 시 한반도에 개입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중국군 전력으로 평가된다.

다만, 북부전구의 기원이 되는 조직인 제4야전군 창설에 조선족이 많이 관여하였고, 한국 전쟁 시대에 제4야전군이 의용군으로 참전한 점, 현재도 북부전구의 관할로 여겨지는 지역에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점 등을 들어 북한과의 관계가 지적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feng (in chinese) http://news.ifeng.co[...]
[2] 웹사이트 ifeng(in chinese) http://news.ifeng.co[...]
[3] 웹사이트 Chinese Armed Forces ORBAT Part 3: Ground Forces https://jjamwal.in/y[...] 2021-01-27
[4] 웹사이트 PLA orbat update, Northern Theater Command (78th, 79th and 80th GA) http://china-defense[...]
[5] 뉴스 習近平主席、中国人民解放軍の5つの「戦区」発足宣言 https://www.sankei.c[...] 2016-02-01
[6] 뉴스 북한군 아닌 中북부전구 중앙일보 2020-07-02
[7] 뉴스 “스텔스기 레이더상 비교하면 美 F22 구슬, 中 J20 배구공” 신동아 2018-07-01
[8] 웹인용 "[팩트체크] 中, 이미 한반도 전역 탐지 가능한 ‘초대형 레이더’ 운용 중" https://www.joongang[...] 2020-07-03
[9] 문서 제80집단군은 궈샤오둥(郭曉東) 소장(원스타)이 지휘했다.
[10] 문서 랴오닝(遼寧)성 진저우(錦州)에 주둔했던 구 [[제40 집단군]]의 지휘관은 장쉐펑(張學鋒) 소장이었다.
[11] 뉴스 냉철하게 살펴본 동북아 군사력 -발톱 겨눈 중국 서울신문 2015-08-19
[12] 문서 미국 해병대 전투비행대대 소속의 F-35B와 일본 항공자위대 소속의 F-35A 등 80대의 F-35가 배치된 [[이와쿠니 공군기지]]는 '아시아 최강의 공군기지'로 불린다.
[13] 뉴스 中스텔스기 젠-20, 한·일 겨냥해 산둥반도 배치 조선일보 2018-02-15
[14] 웹인용 "[단독]육군이 본 한반도 최대 위협 북한군 아닌 중국 북부전구" https://www.joongang[...] 20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