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축구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축구 협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 기구이다. 1924년 설립되어 1931년 FIFA에 가입했으며, 1952년 FIFA 정식 회원으로 인정받았다. 1974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 1979년 FIFA에 재가입했다. 협회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여자 대표팀을 관리하며, 중국 슈퍼 리그를 포함한 4개의 프로 리그를 운영한다. 협회는 중국 국가체육총국의 관리 감독을 받으며, 승부 조작, 부패 등의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리그 - 중국 을급리그
중국 을급리그는 중국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3부 리그로, 1989년 공식 출범하여 2004년 갑급 리그로 개편되었으며, 현재 다수의 클럽이 참가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리그 - 중국 축구 갑급 A리그
중국 축구 갑급 A 리그는 1987년부터 2003년까지 운영되었던 중국의 세미 프로 및 프로 축구 리그이며, 다롄 스더가 최다 우승을, 상하이 선화가 1995년에 우승했으나 2003년 우승은 승부 조작으로 박탈되었고, 2004년 중국 슈퍼 리그로 개편되었다. - 1924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콜롬비아 축구 연맹
콜롬비아 축구 연맹은 콜롬비아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을 관장하며, FIFA와의 분쟁을 겪었지만 1990년대 FIFA 월드컵 진출 성과를 거두었으며, CONMEBOL과 협력하여 축구 발전을 도모하고, 2024년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패배 후 혼란에 대해 사과했으며, 현재 회장은 라몬 헤수룬이다. - 1924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중화민국 축구 협회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타이완의 축구 협회로서 FIFA와 AFC의 회원국이며, 국가대표팀 운영 및 국내 리그 관리, 유소년 육성 및 재정 자립도 강화를 통해 대만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중국의 축구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2년 FIFA 가입 후 공식 활동을 시작하여 2002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나, 2010년대 이후 침체기를 겪으며 동아시아 라이벌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팀 운영 및 정책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 중국의 축구 - 축국
축국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군사 훈련, 오락 등으로 발전했으며, 한나라 시대에 황실에서 인기를 얻고 송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명나라 시대에 쇠퇴하여 사라진 공을 차는 스포츠이다.
중국 축구 협회 | |
---|---|
기본 정보 | |
![]() | |
설립 | 1924년 (구 중화민국)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
FIFA 가입 | 1931년 |
AFC 가입 | 1974년 |
EAFF 가입 | 2002년 |
공식 웹사이트 | 중국 축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 |
명칭 (중국어) | |
간체 | 中国足球协会 |
번체 | 中國足球協會 |
병음 | Zhōngguó Zúqiú Xiéhuì |
로마자 표기 | Chungkuo Tsuch'iu Hsieh-hui |
2. 역사
중국 대륙 최초의 전국적인 축구 관련 조직은 송나라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1], 현대적인 중국 축구 협회(CFA)는 1924년 중화민국 시기에 설립되었다. 1931년 국제축구연맹(FIFA)에 가입했으며, 1936년 베를린 올림픽[2]과 1948년 런던 올림픽[3]에 참가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축구 협회는 1955년 1월 3일 중화전국체육총회 산하 기구로 재편되었다. FIFA는 중화인민공화국 측의 회원 자격을 인정했으나, 1954년 대만의 중화민국 축구 협회 가입에 반발하여 1958년 FIFA를 탈퇴했다.[6][7] 이후 국제 사회에서의 지위 변화에 따라 1974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했고, 1979년 FIFA에도 재가입했다.[7] 이 과정에서 대만 측은 '중화 타이베이 축구 협회' 명칭으로 회원 자격을 유지하게 되었다. 2002년에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1992년 덩샤오핑의 남순강화 이후 사회주의 시장 경제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중국 축구 협회는 1993년 '중국 축구 사업 10년 발전 계획'을 발표하고 남자 리그의 프로화와 국가대표팀 강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이 계획에는 독일 출신 클라우스 슐라프너를 감독 겸 기술 고문으로 영입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8] 이러한 노력의 결과, 남자 대표팀은 2002 FIFA 월드컵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여자 대표팀은 1980년대부터 아시아의 강호로 군림하며 AFC 여자 아시안컵 7연패를 달성했고, 1995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한편, 1997년 홍콩과 1999년 마카오 반환 이후에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이들 지역의 축구 협회는 중국 축구 협회와 별도로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중국 축구는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막대한 자본 투자에도 불구하고 남자 대표팀은 2002년 이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으며, 여자 대표팀의 국제 경쟁력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홈 이점에도 불구하고 남자팀은 조별 리그 탈락, 여자팀은 8강 진출에 그쳤다. 시진핑 주석은 2015년, 2030년까지 아시아 최고, 205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축구 강국이 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지만[9], 고질적인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축구계 전반에 만연한 부패는 심각한 수준이다. 2022년부터 대대적인 반부패 조사가 진행되어[9], 2024년 8월에는 전 중국 축구 협회 당서기 두자오차이가 610만달러 이상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유죄를 인정했다.[10] 같은 해 9월에는 전 국가대표 선수 진징다오, 궈톈위를 포함한 선수 및 관계자 38명이 승부 조작 등의 혐의로 영구 제명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11] 또한, 여러 프로 구단들이 재정난으로 리그에서 퇴출당하고[26], 헝다 그룹의 경영 위기가 광저우 헝다 등 주요 구단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등 리그 운영의 불안정성도 심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역시 중국 축구 발전에 어려움을 더했다.
2. 1. 중화민국(대만)과의 관계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축구 협회는 중화민국 시절인 1931년에 '중화전국체육협진회'가 획득했던 국제축구연맹(FIFA) 회원 자격을 승계받았다. 그러나 대만에 재건된 중화민국의 중화민국 축구 협회(당시 중화전국축구위원회)가 1954년 FIFA에 새로 가입하자, 중국 축구 협회는 이에 반발했다. 중국 축구 협회는 중화민국 축구 협회의 회원 자격 배제를 요구했으나 FIFA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1958년 FIFA를 탈퇴했다.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1971년 국제 연합에서 중국 대표권을 획득하는 등 국제 사회에서 정통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중국 축구 협회는 1974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했고, 1979년에는 FIFA에도 재가입했다. 중국 축구 협회의 AFC 가입 당시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으로 소속을 옮겼다. FIFA 재가입 과정에서는, FIFA가 중화민국 축구 협회가 "차이니스 타이베이 축구 협회"라는 영문 명칭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FIFA 회원 자격을 유지하도록 중재했다. 1981년부터 중화민국 축구 협회가 대외적으로 이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양측 협회는 FIFA 내에서 공존하게 되었다. (차이니스 타이베이 문서 참조)
2. 2. 홍콩, 마카오와의 관계
1997년 홍콩 반환과 1999년 마카오 반환 이후, 중국 정부는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축구 협회와 마카오 축구 협회의 독립적인 지위를 인정했다. 이에 따라 홍콩과 마카오 축구 협회는 중국 축구 협회와는 별개의 조직으로 운영되며, FIFA 및 AFC 회원 자격을 유지하고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3. 조직
중국 축구 협회는 중국 국가체육총국의 관리 감독 아래 운영된다. 초기에는 축구계 인사가 회장을 맡았으나, 1992년부터는 국가체육총국의 책임자가 회장직을 겸임하게 되면서 회장직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명예직으로 바뀌었다. 협회의 실질적인 운영은 1989년에 신설된 제1부회장(전직 부회장)이 담당하며, 1996년부터는 국가체육총국 산하 축구운동관리센터 주임직을 겸하며 협회의 실권을 행사해왔다. 다만, 일부 부회장의 전문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3. 1. 역대 회장 및 부회장
대 | 임기 | 회장(주석) | 부회장(제1부회장) |
---|---|---|---|
1대 | 1955년 ~ 1979년 | 황종 | 해당 없음 |
2대 | 1979년 ~ 1985년 | 리펑로우 | 해당 없음 |
3대 | 1985년 ~ 1989년 | 위안 웨이민 | 해당 없음 |
4대 | 1989년 ~ 1992년 | 녠 웨이쓰 | 쑨바오룽 |
5대 | 1992년 ~ 2000년 | 위안 웨이민 | 왕쥔성 |
6대 | 2000년 ~ 2004년 | 옌스둬 | |
7대 | 2005년 ~ 2008년 | 셰야룽 | |
8대 | 2009년 | 난융 | |
9대 | 2010년 ~ 2013년 | 웨이디 | |
10대 | 2014년 ~ 2019년 | 차이전화 | 장젠 |
11대 | 2019년 ~ 2023년 | 천 쉬위안 | 두자오차이 |
12대 | 2023년 ~ 현재 | 쑹카이 | 쑨원 |
중국 축구 협회 초기 회장은 황종, 리펑로우 등 축구계 인사가 맡았으며, 이들은 대부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나 코치 경력이 있었다. 그러나 1992년부터 협회 회장(주석)은 국가체육총국(옛 국가체육위원회)의 책임자가 겸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회장직은 실권이 없는 명예직 성격이 강해졌다.
실질적인 협회 운영과 중국 축구 관리는 1989년에 신설된 제1부회장(전직 부회장)이 맡게 되었다. 특히 1996년부터 제1부회장은 협회의 실권을 장악하고 국가체육총국 산하 축구운동관리센터 주임직을 겸임하며 중국 축구를 이끌었다. 하지만 첫 실권자였던 왕쥔성 이후 임명된 부회장들은 대부분 축구계 경력이 없는 비전문가 출신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지난 10여 년간 중국 축구가 비전문가에 의해 관리되는 특수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3. 2. 현 임원진
이름 | 직책 | 출처 |
---|---|---|
장자성 | 공산당 위원회 서기 | [22] |
쑹카이 | 부 당 서기 및 회장 | [22][23][24] |
쑨원 | 부회장 | [22][23][24] |
위안융칭 | 부 당 서기 겸 사무총장 | [22][23][24] |
양쉬 | 제2 부회장 | [22][23][24] |
쉬지런 | 제3 부회장 | [22][23][24] |
해당 없음 | 기술 이사 | [23][24] |
브란코 이반코비치 | 남자 대표팀 감독 | [23][24] |
안테 밀리치치 | 여자 대표팀 감독 | [23][24] |
쑨바오제 | 심판 위원회 의장 | [23] |
마오허밍 | 심판 코디네이터 | [23] |
중국 축구 협회 초기의 회장은 축구 관계자가 취임했으며, 대부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헤드 코치나 감독 경험자였다. 그러나 1992년부터 중국 축구 협회 주석(회장)은 중국 국가체육총국(옛 국가체육위원회)의 책임자가 겸임하게 되었다. 현재 주석은 국가체육총국 국장 류펑이지만, 실권은 없는 명예직이다. 현재 중국 축구 협회와 중국 축구의 실질적인 관리를 하고 있는 것은 축구 협회 제1부주석, 즉 '전직 부주석'이며, 1989년에 설치되어 1996년부터 축구 협회 실질적인 관리를 도맡아, 동시에 국가체육총국 축구운동관리센터의 주임도 겸임하고 있다. 그러나 처음 실권을 잡은 왕쥔성 이후의 모든 부주석은 축구 관계자가 아니었고, 지난 10년간 중국 축구계는 문외한이 관리하는 특수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4. 국가대표팀
중국 축구 협회는 남자 국가대표팀과 여자 국가대표팀을 관리하고 운영한다. 각 대표팀은 국제 축구 연맹(FIFA) 및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국제 대회에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여 참가한다.
4. 1. 남자 국가대표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中国国家足球队|중궈 궈자 주추 두이중국어)은 국제 축구 대회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한다. 국제 축구계에 재가입한 이후, 1998년 12월에 팀은 FIFA 랭킹 37위로 최고 랭킹을 기록했다.[12]2005년[13]과 2010년 EAFF 동아시안컵에서 우승했으며,[14] 1984년[15]과 2004년에서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했고,[16] 2002년에 유일하게 FIFA 월드컵에 출전하여 모든 경기에서 득점 없이 패배했다.[17]
4. 2. 여자 국가대표팀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中国国家女子足球队|중궈 궈자 뉘쯔 쭈추 두이중국어)은 국제 축구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한다. 이 팀은 흔히 "중국 여자 축구"(中国女足|중궈 뉘쭈중국어)라고 불리며, "강철 장미"(钢玫瑰|강메이구이중국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8] 이 팀은 2003년에 FIFA 랭킹 4위로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12]여자 축구팀은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1986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6년, 그리고 2022년에 총 9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3년과 2008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19][20]
5. 프로 리그
중국의 프로 축구는 중국 축구 협회(CFA)에서 주관하며, 현재 4개의 프로 리그로 구성되어 리그 간 승강제를 통해 운영된다. 최상위 리그는 2004년 중국 갑-A 리그를 개편하여 출범한 중국 슈퍼 리그이다. 2부 리그는 같은 해 창설된 중국 갑급 리그이다. 3부 리그는 중국 을급 리그로, 1956년 2부 리그로 시작했으나 1989년부터 3부 리그로 운영되고 있다. 4부 리그는 중국 축구 협회 회원 협회 챔피언스 리그이다. 이 리그에서 강등된 팀들은 각 지역의 CFA 회원 축구 협회가 운영하는 리그에서 활동하게 된다.
5. 1. 리그 시스템
16개 클럽
20개 클럽
56개 클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