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 직함이다. 1921년 중국 공산당 창당 이후, 중앙국 서기,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중앙위원회 총서기 등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43년부터 1982년까지는 중앙위원회 주석이 최고 지도자 직책을 수행했다. 1982년 당 대회에서 총서기직이 부활하면서 당의 최고 직책이 되었으며, 국가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관례가 확립되었다. 초대 총서기는 후야오방이며,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이 역임했다. 현재 총서기는 시진핑이며,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선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기장 - 소련 공산당 서기장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공산당의 최고위 직책이었으며,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이 역임했고, 고르바초프 사임 후 폐지되었다.
  • 서기장 - 유엔 사무총장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의 행정 수반이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유엔 총회에서 임명되고, 5년의 임기로 연임 가능하며, 옹호자, 외교관, 공무원, 최고 경영자(CEO)의 역할을 수행한다.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 중국공산당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중국공산당 - 인민대회당
    인민대회당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 서쪽에 위치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 등 주요 정치 행사와 문화 공연이 열리는 1959년 건립된 건축물로, 만인대회당, 국가연회장, 각 지역 이름을 딴 홀 등을 갖추고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시진핑
소속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현직시진핑
현직 시작일2012년 11월 15일
직책 종류당 지도자
최고 지도자
호칭총서기 (비공식)
동지 (공식)
관저친정전, 중난하이
임명 기관중앙위원회
임명자중앙위원회
임기5년, 연임 가능
보고 대상중앙위원회
설립 근거당 헌법
소재지베이징
전임 직책주석 (1943–1976)
초대 총서기천두슈
직책 형성일1921년 7월 23일
공식 명칭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비공식 명칭최고 지도자
소속 위원회정치국 상무위원회
지위국가 지도자급 공무원
연봉136,620 위안 (약 19000 달러)
관련 기관총서기 판공실
중앙서기처
중앙국가안전위원회
관련 부처중앙판공청
역사
전임 직위중국 공산당 중앙국 서기 (1921-1927)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1945-1982)
초대 총서기천두슈(중국공산당 중앙국 서기)
초대 총서기후야오방(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스타일
공식 호칭총서기 동지
약칭총서기
소속 정당중국공산당
약칭중국 공산당 중앙 총서기, 당 총서기, 총서기
직책 시작1927년
선출 기관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공식 웹사이트중국공산당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중국공산당 최고 지도자의 정식 명칭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 제1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앙국 서기
  • 제2차, 제3차 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 제4차 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총서기
  • 제5차, 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총서기 (제6차 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다는 설도 있음)
  • 1943년 3월 20일~1982년 제12회 대회: 중앙위원회 주석
  • 제12차 대회 이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약칭: 중공 중앙 총서기, 중국공산당 총서기, 중공 총서기)
  • 제8차 대회와 제12차 대회에도 '총서기' 직책이 있었으나, 중앙서기처의 일상 업무 처리가 주된 역할이었고 당의 최고 지도자는 아니었다.


1927년 제5차 전국대표대회 기간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당 제3차 수정 규약 제27조에 따라 중앙위원회 총서기 직책이 처음 규정되었다.[16]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앙위원 중 1인을 선출하며, 중앙정치국과 함께 당의 전국 정치 사업을 지도하는 권한을 가졌다.[16]

1928년 제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개정된 당규약에서는 총서기 관련 조문이 삭제되었다.[16] 이후 1956년 제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개정된 당규약 제37조에 다시 총서기 직책이 등장했지만, 직무 권한은 명확히 규정되지 않았다.[16] 1969년 제9차 전국대표대회 개정 당규약에서는 다시 총서기 관련 조문이 삭제되었다.[16]

1982년 제1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개정된 당규약 제21조에 총서기 직책이 다시 등장하면서, 선출 방법과 직무 권한이 명확히 규정되었다.[16] 이 내용은 현재의 제18차 전국대표대회 개정 당규약 제22조와 같으며, 총서기는 같은 해 폐지된 당 주석의 지위를 계승하게 되었다.[16]

장쩌민 시대부터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국가주석 및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2. 1. 건국 이전

중국공산당의 초기 최고 지도자 직함은 중앙국 서기,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중앙위원회 총서기 등으로 다양했다. 1943년부터 1982년까지는 중앙위원회 주석이 최고 지도자 직책이었다.[16] 이 시기에는 천두슈, 취추바이, 샹중파, 왕밍, 보구, 장원톈 등이 주요 지도자로 활동했다. 마오쩌둥은 1945년부터 1976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위원회 주석을 역임했다.

2. 2. 건국 이후

1982년 제12차 당 대회에서 총서기직이 부활하면서, 당 주석직을 대체하고 당의 최고 직책이 되었다. 후야오방이 총서기직 부활 이후 첫 총서기가 되었다.[5] 덩샤오핑 시대에는 총서기보다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권력이 더 강했다.[5] 장쩌민 시대부터 총서기가 국가주석과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관례가 확립되었다.[5] 이는 총서기가 국가원수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최고사령관이자 인민해방군의 최고 지휘관이 되기 위함이었다.

3. 선출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명목상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들 중에서 선출된다.[6] 그러나 실제 총서기 선출 방식은 시대에 따라 다양했다. 가장 최근의 총서기인 후진타오시진핑은 중앙서기처 서기장을 거쳐 총서기로 선출되었다. 이 비공식적인 과정에 따라 서기장은 당 대회를 앞두고 현직 정치국 위원들과 퇴임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들의 협의를 통해 내정되었다. 그 후 서기장은 차기 당 대회에서 세대교체의 일환으로 퇴임하는 총서기를 계승했다.

4. 권한과 지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하는 총서기는 1명이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소집하고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의 활동을 주재하는 등 직무상 중국공산당의 최고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5] 총서기의 권한과 역할은 모호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임기 제한이나 후계자 선출에 관한 서면 규칙은 없다. 그러나 중국이 일당 국가이기 때문에 총서기는 국가와 정부에 대한 최고 권력과 권위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중국의 "최고 지도자"로 간주된다.[7][8]

중국 공산당 당헌에 따르면, 총서기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직권 위원으로 활동한다.[9] 중국 공산당 규정에 따르면, 총서기는 정치국 및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 소집을 담당하며, 중앙서기처의 업무를 주재한다. 또한 중앙위원회, 정치국 및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의 의제를 설정한다.[10] 2017년 10월 제19차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 이후 모든 정치국 위원들은 매년 서면 보고서를 중국 공산당 총서기에게 제출한다.[11]

총서기의 연봉은 연간 136620CNY (약 19200USD)으로 알려져 있다.[12]

5. 역대 총서기

역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다음과 같다.

기수사진이름직함임기
9--마오쩌둥중앙위원회 주석1945년 6월 19일~1976년 9월 9일
101956년 9월 28일~1969년 4월 28일
111969년 4월 28일~1973년 8월 30일
121973년 8월 30일~1976년 9월 9일 (사망)
임시
화궈펑중앙위원회 주석1976년 10월 7일~1981년 6월 27일
131977년 7월 16일~1977년 8월 19일
141977년 8월 19일~1981년 6월 27일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당 서열 최고위 인물이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후야오방, 자오쯔양의 사례처럼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2]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당 서열 최고위 인물에게 "'''를 주요 대표로 하는 중국의 공산주의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당 중앙의 핵심'''"이라는 호칭은 '''시진핑'''에게만 주어졌다.[1]

5. 1. 건국 이전

기수사진이름직함임기비고
1
천두슈중앙국 서기1921년 7월 1일~1922년 7월 16일
2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1922년 7월 16일~1923년 6월 12일
31923년 6월 12일~1925년 1월 11일
41925년 1월 11일~1927년 4월 27일
5중앙위원회 총서기1927년 4월 27일~1927년 8월 7일4.12 사건과 난창 폭동 실패로 실각
임시취추바이임시 중앙위원회 총서기1927년 8월 7일~1928년 6월 18일
6
샹중파중앙위원회 총서기1928년 6월 18일~1934년 1월 15일실권은 리리싼왕밍 등에게
임시
왕밍중앙위원회 총서기 대리1931년 6월~1931년 9월
7
보구중앙위원회 총서기1934년 1월 15일~1935년 1월 15일
8
장원톈1935년 1월 15일~1945년 4월 23일실권자는 마오쩌둥


5. 2. 건국 이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의 총서기는 다음과 같다.

기수사진이름직함임기비고
15
후야오방1981년 6월 27일~1982년 9월 11일덩샤오핑이 실권을 가짐
16중앙위원회 총서기1982년 9월 12일~1987년 1월 15일다당제를 주장하여 실각
임시
자오쯔양1987년 1월 16일~1987년 11월 2일덩샤오핑이 실권을 가짐
171987년 11월 2일~1989년 6월 23일천안문 항쟁에 동조하여 실각
18
장쩌민1989년 6월 23일~1992년 10월 19일덩샤오핑이 실권을 가짐
191992년 10월 19일~1997년 9월 19일
201997년 9월 19일~2002년 11월 15일
21
후진타오2002년 11월 15일~2007년 10월 22일
222007년 10월 22일~2012년 11월 15일
23
시진핑2012년 11월 15일~2017년 10월 25일
242017년 10월 25일~2022년 10월 23일
252022년 10월 23일~


  • 초대: 후야오방 (1982년 9월 12일 ~ 1987년 1월 16일)
  • 대리: 자오쯔양 (1987년 1월 16일 ~ 1987년 11월 2일)
  • 제2대: 자오쯔양 (1987년 11월 2일 ~ 1989년 6월 23일)
  • 제3대: '''장쩌민''' (1989년 6월 24일 ~ 2002년 11월 15일)
  • 제4대: '''후진타오''' (2002년 11월 15일 ~ 2012년 11월 15일)
  • 제5대: '''시진핑''' (2012년 11월 15일 ~ )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당 서열 최고위 인물에게 "'''를 주요 대표로 하는 중국의 공산주의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당 중앙의 핵심'''"이라는 호칭은 '''시진핑'''에게만 주어졌다.[1]

후야오방, 자오쯔양 등 역대 총서기를 보더라도, 반드시 당 서열 최고위 인물이 이 직책에 취임했던 것은 아니다.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하는 인물이 당 서열 최고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당 서열 최고위 인물이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당 서열 최고위가 아닌 인물이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할 가능성도 있다.[2]

6. 기록

중국공산당 총서기생년월일정권내각재임 기간일수



장쩌민 전 총서기가 2022년 11월 30일에 사망하면서, 생존 중인 중국 공산당 총서기 출신 인물은 후진타오만 남게 되었다.[1]

6. 1. 재임 기록

기록 명칭기록 보유자 성명기록 내용
최장 재직 기간장쩌민13년 4개월
최단 재직 기간자오쯔양1년 7개월
최고령 취임장쩌민76세
최연소 취임시진핑59세
최다 횟수 당선시진핑3회
colspan="3" |


6. 2. 생존 중인 전임 총서기

장쩌민 전 총서기가 2022년 11월 30일에 사망하면서, 생존 중인 중국 공산당 총서기 출신 인물은 후진타오만 남게 되었다.[1]

이름재임 기간생년월일현 소속 정당현재 정치 활동
후진타오2002년–2012년1942년 12월 21일중국 공산당2022년 제20차 당 대회에 참석[1]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文革后的中南海:中央办事效率最高的时期 http://marry.lywzc.c[...] Comsenz Inc. 2018-02-07
[2] 웹사이트 Is it true Xi Jinping earns only US$19,000? – PoliticalSalaries.com https://politicalsal[...] 2024-10-16
[3] 뉴스 Who's Who in China's New Communist Party Leadership Lineup https://www.bloomber[...] 2012-11-15
[4] 뉴스 Xi Jinping's Radical Secrecy https://www.theatlan[...] 2022-08-21
[4] 뉴스 How Xi Jinping became the world's most powerful man https://www.thetimes[...]
[4] 뉴스 Xi and Putin, two of world's most powerful men, to meet in China, US absent https://www.newsweek[...] 2022-02-03
[5] 뉴스 Who leads the Communist Party? https://www.scmp.com[...] 2021-05-08
[6] 웹사이트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ssued the "Regulations on Work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s://www.gov.cn/z[...] 2020-10-12
[7] 뉴스 Ending Term Limits for China's Xi Is a Big Deal. Here's Why. https://www.nytimes.[...] 2018-03-10
[8] 뉴스 China's 'Chairman of Everything': Behind Xi Jinping's Many Titles https://www.nytimes.[...] 2017-10-25
[9] 웹사이트 Chapter III Central Organizations of the Party – Article 22 http://www.china.org[...]
[10] 웹사이트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ssued the "Regulations on Work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ttps://www.gov.cn/z[...] 2020-10-12
[11] 뉴스 The Political Bureau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held a meeting to study, deploy, study, publicize and implement the spirit of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Party http://www.xinhuanet[...] 2017-10-27
[12] 웹사이트 Is it true Xi Jinping earns only US$19,000? – Political Salaries https://politicalsal[...] 2024-10-16
[13] 기타
[14] 서적 中国共产党内重要法规(2016年版) 人民出版社
[15] 뉴스 習指導部、綱紀粛正さらに 6中総会で議論へ 権力集中狙い、反発も http://headlines.yah[...] 産経新聞 2016-10-03
[16] 서적 中国共产党章程汇编:从一大到十七大 中共党史出版社
[17] 웹사이트 Chapter III Central Organizations of the Party - Article 22 http://www.chin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