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 공산당 서기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소련 공산당의 최고위 직책이다. 이 직책은 1922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신설되었으며, 초기에는 당의 행정 및 징계 업무를 담당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서기장직을 활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소련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되었으며,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이 서기장직을 역임했다.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했으나, 1991년 쿠데타 실패 이후 사임하면서 서기장직은 폐지되었고, 소련 공산당은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기장 - 유엔 사무총장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의 행정 수반이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유엔 총회에서 임명되고, 5년의 임기로 연임 가능하며, 옹호자, 외교관, 공무원, 최고 경영자(CEO)의 역할을 수행한다.
  • 서기장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국공산당의 최고위 직책으로, 1982년 주석직 폐지 후 당내 최고 지도자이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에서 선출되고, 장쩌민 시대부터 국가주석 및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으며 현재 총서기는 시진핑이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17년 설립 - 퓰리처상
    퓰리처상은 조지프 퓰리처의 유언에 따라 제정되어 1917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상으로, 언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며 컬럼비아 대학교 퓰리처상 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1917년 설립 - 군사혁명위원회
    군사혁명위원회는 1917년 러시아 혁명 당시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이디어로 창설된 볼셰비키 주도의 무장 봉기 지휘 기관으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산하 페트로그라드 군사혁명위원회를 필두로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10월 혁명에서 무장 봉기를 주도,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소련 공산당 서기장
직책 개요
직위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서기장
휘장[[파일:КПСС.svg|100px|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휘장]]
휘장 설명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휘장
소속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스타일동무 서기장 (비공식)
유형당 지도자
지위국가 지도자
약칭없음
구성원및 서기국
관저크렘린 상원
소재지모스크바 크렘린
지명권자중앙위원회
임기종신
초대 서기장이오시프 스탈린
마지막 서기장블라디미르 이바시코 (대행)
계승공산당 연합 의장
연봉10,000 소비에트 루블 (연간)
각주.
통칭
통칭 (약칭)겐세크 (генсек)
이미지
이오시프 스탈린
최장수 역임이오시프 스탈린 1922년 4월 3일 – 1952년 10월 16일, 데 팍토 1953년 3월 5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근무지
근무지모스크바 카자코프 관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 역사

10월 혁명 이전 당 서기의 역할은 대체로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었다.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은 후, 1919년 책임 서기실이 설치되었다.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한 후, 블라디미르 레닌은 1922년에 당의 행정 및 징계 목적을 위해 사무총장직을 신설했다. 사무총장의 주요 임무는 당원 구성을 결정하고 당내 직책을 할당하며 당 행사를 기록하고, 당 지도자와 구성원에게 당 활동을 알리는 것이었다.

초대 중앙위원회 서기국장은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였으나, 그가 1919년 3월 16일에 사망하면서, 엘레나 스타소바가 그 뒤를 이었다. 이후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등이 중앙위원회 책임 서기를 역임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스베르들로프가 이오시프 스탈린이 소련의 지도자 지위에 오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레닌은 내각을 구성하면서 이오시프 스탈린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 스탈린은 민주집중제 원칙을 이용하여 자신의 직책을 당 지도자, 나아가 소련 지도자의 직책으로 바꾸었다.

1922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신설된 소련 공산당 서기장직은 초기에는 행정 및 징계 목적의 직책이었다.[12] 주요 임무는 당원 구성을 결정하고 당 내 직책을 할당하는 것이었다. 레닌은 이오시프 스탈린을 서기장으로 임명했고, 스탈린은 민주집중제 원칙을 이용하여 서기장직을 당과 소련의 지도자 직책으로 바꾸었다.[12]

1924년 레닌 사후, 스탈린은 서기장직을 이용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다. 1928년까지 스탈린은 소련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었고, 서기장직은 국가 최고 직책이 되었다.[12] 1934년 제17차 당대회에서는 스탈린을 서기장으로 공식 재선출하지 않았지만, 다른 모든 직책에 재선출되어 당 지도자로 남았다.[12]

1950년대 스탈린은 서기국 업무에서 물러나 게오르기 말렌코프에게 감독을 맡겼다. 1952년 제19차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당 서기국에서 물러나겠다는 요청을 했지만 거부되었다. 결국 대회는 서기장 직함을 공식 폐지했지만, 스탈린은 최고 서열의 당 서기로 남아 당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했다.[13]

스탈린은 당내에서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요절하면서 권력을 잡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9][10] 또한 레닌은 스탈린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권력 남용을 이유로 스탈린의 해임을 요구하는 소책자를 저술했지만 스탈린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레프 카메네프의 도움으로 살아남아 직책을 유지했다.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게오르기 말렌코프가 당 서기국을 감독하게 되었으나, 이는 잠재적 후계자로서 그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15] 1952년 10월 제19차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당 서기국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대의원들은 그의 의도를 확신하지 못해 이 요청을 거부했다.[16] 결국, 대회는 스탈린의 사무총장 직함을 공식적으로 폐지했지만, 스탈린은 여전히 최고 서열의 당 서기로 남아 당에 대한 궁극적인 통제력을 유지했다.[13]

스탈린의 사망 이후, 게오르기 말렌코프니키타 흐루쇼프를 포함한 사무국 주요 인사들 간의 권력 투쟁이 발생했다. 말렌코프는 각료회의 의장이 되었지만, 9일 후 사무국에서 사임해야 했다. 이는 흐루쇼프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1953년 9월 14일, 흐루쇼프는 제1서기로 선출되었다. 흐루쇼프는 탈스탈린화를 추진하며 정적들을 제거하고 제1서기의 권한을 강화했다.

1964년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흐루쇼프는 실각하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제1서기로 취임했다. 브레즈네프는 초기에는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와 함께 집단 지도부를 구성하여 권력을 분점했다. 1966년 제23차 당 대회에서 제1서기 직함은 다시 '서기장'으로 변경되었다.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집단 지도 체제로 인해 서기장의 권한이 제한되기도 했지만, 브레즈네프는 급진적인 개혁을 피함으로써 자신의 영향력을 점차 강화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사망 이후, 유리 안드로포프콘스탄틴 체르넨코는 브레즈네프 시대와 유사한 방식으로 국가를 통치했다. 이들은 브레즈네프 시대의 정책 기조를 대체로 유지하며, 급진적인 개혁을 피함으로써 권력을 유지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 3월 서기장에 취임하여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했다. 페레스트로이카는 경제, 사회 전반의 개혁을, 글라스노스트는 정보 공개와 언론 자유 확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개혁 정책은 소련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90년, 고르바초프는 소련 대통령직을 신설하여 권력을 이양하고, 공산당의 권력 독점을 약화시켰다. 이는 서기장 권한 축소와 소련 공산당 해체 과정으로 이어졌다.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후, 고르바초프는 서기장직을 사임했다. 그의 부관이었던 블라디미르 이바슈코가 서기장 대행을 맡았으나, 5일 후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이 공산당 활동을 중단시키면서 소련 공산당은 해체되었다.

2. 1. 초기 서기직 (1917-1922)

10월 혁명 이전 당 서기의 역할은 대체로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었다.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은 후, 1919년 책임 서기실이 설치되었다.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한 후, 블라디미르 레닌은 1922년에 당의 행정 및 징계 목적을 위해 사무총장직을 신설했다. 사무총장의 주요 임무는 당원 구성을 결정하고 당내 직책을 할당하며 당 행사를 기록하고, 당 지도자와 구성원에게 당 활동을 알리는 것이었다.

초대 중앙위원회 서기국장은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였으나, 그가 1919년 3월 16일에 사망하면서, 엘레나 스타소바가 그 뒤를 이었다. 이후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등이 중앙위원회 책임 서기를 역임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스베르들로프가 이오시프 스탈린이 소련의 지도자 지위에 오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레닌은 내각을 구성하면서 이오시프 스탈린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 스탈린은 민주집중제 원칙을 이용하여 자신의 직책을 당 지도자, 나아가 소련 지도자의 직책으로 바꾸었다.

2. 2. 스탈린 시대 (1922-1953)

1922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신설된 소련 공산당 서기장직은 초기에는 행정 및 징계 목적의 직책이었다.[12] 주요 임무는 당원 구성을 결정하고 당 내 직책을 할당하는 것이었다. 레닌은 이오시프 스탈린을 서기장으로 임명했고, 스탈린은 민주집중제 원칙을 이용하여 서기장직을 당과 소련의 지도자 직책으로 바꾸었다.[12]

1924년 레닌 사후, 스탈린은 서기장직을 이용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다. 1928년까지 스탈린은 소련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었고, 서기장직은 국가 최고 직책이 되었다.[12] 1934년 제17차 당대회에서는 스탈린을 서기장으로 공식 재선출하지 않았지만, 다른 모든 직책에 재선출되어 당 지도자로 남았다.[12]

1950년대 스탈린은 서기국 업무에서 물러나 게오르기 말렌코프에게 감독을 맡겼다. 1952년 제19차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당 서기국에서 물러나겠다는 요청을 했지만 거부되었다. 결국 대회는 서기장 직함을 공식 폐지했지만, 스탈린은 최고 서열의 당 서기로 남아 당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했다.[13]

스탈린은 당내에서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요절하면서 권력을 잡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9][10] 또한 레닌은 스탈린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권력 남용을 이유로 스탈린의 해임을 요구하는 소책자를 저술했지만 스탈린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레프 카메네프의 도움으로 살아남아 직책을 유지했다.

2. 3. 스탈린 사후 ~ 브레즈네프 시대 (1953-1982)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게오르기 말렌코프가 당 서기국을 감독하게 되었으나, 이는 잠재적 후계자로서 그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15] 1952년 10월 제19차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당 서기국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대의원들은 그의 의도를 확신하지 못해 이 요청을 거부했다.[16] 결국, 대회는 스탈린의 사무총장 직함을 공식적으로 폐지했지만, 스탈린은 여전히 최고 서열의 당 서기로 남아 당에 대한 궁극적인 통제력을 유지했다.[13]

스탈린의 사망 이후, 게오르기 말렌코프니키타 흐루쇼프를 포함한 사무국 주요 인사들 간의 권력 투쟁이 발생했다. 말렌코프는 각료회의 의장이 되었지만, 9일 후 사무국에서 사임해야 했다. 이는 흐루쇼프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1953년 9월 14일, 흐루쇼프는 제1서기로 선출되었다. 흐루쇼프는 탈스탈린화를 추진하며 정적들을 제거하고 제1서기의 권한을 강화했다.

1964년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흐루쇼프는 실각하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제1서기로 취임했다. 브레즈네프는 초기에는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와 함께 집단 지도부를 구성하여 권력을 분점했다. 1966년 제23차 당 대회에서 제1서기 직함은 다시 '서기장'으로 변경되었다.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집단 지도 체제로 인해 서기장의 권한이 제한되기도 했지만, 브레즈네프는 급진적인 개혁을 피함으로써 자신의 영향력을 점차 강화했다.

2. 4.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시대 (1982-1985)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사망 이후, 유리 안드로포프콘스탄틴 체르넨코는 브레즈네프 시대와 유사한 방식으로 국가를 통치했다. 이들은 브레즈네프 시대의 정책 기조를 대체로 유지하며, 급진적인 개혁을 피함으로써 권력을 유지했다.

2. 5. 고르바초프 시대와 소련 붕괴 (1985-1991)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 3월 서기장에 취임하여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했다. 페레스트로이카는 경제, 사회 전반의 개혁을, 글라스노스트는 정보 공개와 언론 자유 확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개혁 정책은 소련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90년, 고르바초프는 소련 대통령직을 신설하여 권력을 이양하고, 공산당의 권력 독점을 약화시켰다. 이는 서기장 권한 축소와 소련 공산당 해체 과정으로 이어졌다.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후, 고르바초프는 서기장직을 사임했다. 그의 부관이었던 블라디미르 이바슈코가 서기장 대행을 맡았으나, 5일 후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이 공산당 활동을 중단시키면서 소련 공산당은 해체되었다.

3. 역대 서기장 목록

(1932년 – 1994년)

90px
1991년 8월 24일 – 1991년 8월 29일이바시코는 소련 공산당 제28차 대회에서 부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고르바초프가 사임함에 따라 서기장 권한대행이 되었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소련 공산당은 정치적으로 무력화되어 있었고 8월 29일 공산당이 아예 불법정당으로 금지됨으로써 이바시코의 서기장 임기는 불과 닷새만에 끝났다.


3. 1. 엘레나 스타소바 (1917-1918, 1919)

엘레나 스타소바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1917년-1918년)를 거쳐, 러시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1918년-1919년)을 역임하였다.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사망 이후 1919년 3월부터 1919년 12월까지 서기국 주석직을 맡았다. 스타소바는 기술서기로서 네 명의 여직원과 함께 지구당 세포 관리, 업무 할당, 회계 기록, 당 예산 분배, 당 구조 정책 공식화, 신임 인력 배치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서기국이 해산된 이후 책임서기직이 신설되었으나, 스타소바는 책임서기에 적합한 인물로 고려되지 않았다.

어두운 옷을 입고 안경을 쓴 여자
엘레나 스타소바

3. 2.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1918-1919)

야코프 스베르들로프는 1918년부터 1919년 3월 16일 사망할 때까지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을 역임했다. 스베르들로프는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업무보다는 기술적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초기 당 조직 구축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검은 양복, 검은 셔츠, 안경을 쓴 남자
90px

3. 3.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1919-1921)

회색 양복, 밝은 셔츠, 어두운 넥타이를 한 남자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크레스틴스키/Никола́й Никола́евич Крести́нскийru(1883년 – 1938년)는 1919년 12월부터 1921년 3월까지 러시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를 역임했다. 당시 책임서기직은 서기처럼 기능했다. 크레스틴스키는 이미 정치국, 조직국, 서기국에 적을 두고 있었고, 크레스틴스키의 다른 직함들과 비교했을 때 책임서기는 사소한 자리에 불과했다. 크레스틴스키가 책임 비서로 선출되자 엘레나 스타소바는 비서로 강등되었다.

3. 4.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1921-1922)

A man in a dark suit, light shirt and dark tie, smiling
90px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1921년 3월 러시아 공산당 제10차 대회에서 책임서기로 선출되었다. 몰로토프는 책임서기가 정치국 총회에 참여해야 한다는 조항 덕분에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다.

3. 5. 이오시프 스탈린 (1922-1952)

90px


블라디미르 레닌의 사후 서기장에 취임한 이오시프 스탈린은 서기장직을 전연방의 최고 지도자직으로 개편하였다. 1922년부터 1953년까지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직과 함께 소련의 최고 지도자직을 역임하였다. 전연방 공산당 제17차 대회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공식적으로 서기장으로 재선출되지는 않았고 그 뒤로 서기장 직함이 이야기에 오르는 일은 거의 없어졌다. 1952년 10월 16일 열린 전연방 공산당 제19차 대회에서 서기장직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3. 6. 니키타 흐루쇼프 (1953-1964)

An elderly bald man in a suit, with several medals pinned on it
니키타 흐루쇼프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3년 9월 14일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로 취임했다. 흐루쇼프는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제1서기직을 재설치했다. 1957년 게오르기 말렌코프는 흐루쇼프의 제1서기직 권력이 무한해질 것을 우려하여 그를 실각시키려 했으나, 흐루쇼프는 정치적 암투 끝에 말렌코프를 역으로 실각시키고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1964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흐루쇼프를 실각시키고 제1서기직을 이어받았다.

3. 7.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64-1982)

니키타 흐루쇼프가 실각한 이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회는 한 사람이 서기장과 주석을 겸임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이에 따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제1서기를 맡고, 알렉세이 코시긴이 주석직을 맡았다.

브레즈네프는 흐루쇼프를 실각시킨 뒤 서기장에 올라 알렉세이 코시긴 주석과 권력을 양분하여 집단지도체제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브레즈네프 재임 초기에는 뚜렷한 최고 권력자가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가 되면서 브레즈네프의 영향력이 코시긴의 그것을 압도하기 시작했고, 브레즈네프는 급진적 개혁 시도를 거부하면서 서기장의 권한을 다시 확대하였다. 1966년 소련 공산당 제23차 대회에서 "제1서기" 직함은 다시 "서기장"으로 환원되었다.

3. 8. 유리 안드로포프 (1982-1984)

브레즈네프의 장례식을 준비 및 관리하는 위원회의 의장이 되면서 서기장 후보 물망에 올랐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국가를 운영하였으나 재임 2년 만에 사망하였다.

성명
(생몰연도)
증명사진재임기간비고
유리 안드로포프
(1914년 – 1984년)
A baldman in a suit wearing glasses
90px
1982년 11월 12일 – 1984년 2월 9일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의 장례식을 준비 및 관리하는 위원회의 의장이 되면서 서기장 후보 물망에 올랐다. 브레즈네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국가를 운영하였으나 재임 2년 만에 사망하였다.


3. 9. 콘스탄틴 체르넨코 (1984-1985)

100px


콘스탄틴 체르넨코콘스탄틴 체르넨코/Константин Черненкоru(1911년 – 1985년)는 1984년 2월 13일 유리 안드로포프의 후임으로 서기장에 선출되었다. 체르넨코는 서기장 선출 당시 72세였고, 건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었다. 그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국가를 운영했으며, 재임 1년 만인 1985년 3월 10일 사망하였다.

3. 10. 미하일 고르바초프 (1985-1991)

1985년 3월 11일부터 1991년 8월 24일까지 재임한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붕괴 직전인 1990년 소련 인민대표회의에서 1977년 소련 헌법의 제6조를 삭제하여 소련 공산당의 "소비에트 사회 지도 및 안내" 지위를 약화시켰다. 이로 인해 서기장의 권력은 크게 줄었고, 고르바초프는 대통령 직함으로 통치했다. 1991년 8월 쿠데타 이후, 고르바초프는 8월 24일 모든 당직에서 사퇴했다.

회색 양복, 흰 셔츠, 어두운 넥타이를 한 남자, 대머리에 회색 머리카락, 이마에 사마귀가 있음
미하일 고르바초프

3. 11.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1991)



'''블라디미르 이바시코'''(블라디미르 이바슈코/Влади́мир Ивашкоru, 1932년 – 1994년)는 소련 공산당 제28차 대회에서 부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사임함에 따라 서기장 권한대행이 되었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소련 공산당은 정치적으로 무력화되어 있었다. 1991년 8월 29일 공산당이 불법정당으로 금지됨으로써 이바시코의 서기장 임기는 닷새만에 끝났다.

4. 평가 및 비판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ГЛАВНЫЙ КОРПУС КРЕМЛЯ http://velib.com/rea[...] 2018-01-27
[2] 웹사이트 Soviet Union – General Secretary: Power and Authority http://www.country-d[...] 2022-11-28
[3] 서적 Who's Who in Russia since 1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4] 서적 Stalin: Revolutionary in an Era of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6-01-23
[5] 서적 Writings of Leon Trotsky: 1936–37 https://books.google[...] Pathfinder Press 2023-10-30
[6] 서적 The Secret File of Joseph Stalin: A Hidden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10-30
[7] 서적 Joseph Stalin: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10-30
[8]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9] 서적 Stalin and Stalinism: Revised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7-09
[10] 서적 The Russian Tragedy: The Burde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23-07-09
[11] 웹사이트 What Lenin's Critics Got Right https://www.dissentm[...] 2022-02-22
[12] 웹사이트 Secretariat, Orgburo, Politburo and Presidium of the CC of the CPSU in 1919–1990 – Izvestia of the CC of the CPSU. https://web.archive.[...] 1990-11-07
[13] Webarchive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 – 1953 https://books.google[...] 2023-04-16
[14]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СФСР от 6 ноября 1991 г. № 169 «О деятельности КПСС и КП РСФСР» http://kremlin.ru/ac[...] 2021-09-23
[15] 간행물 The Unknown Stalin https://books.google[...]
[16] 간행물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