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랑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랑장은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된 군사 직책이다.

중국에서는 진나라부터 당나라, 송나라 시대까지 황궁의 수비와 호위를 담당했으며, 시대에 따라 역할과 위상이 변화했다. 전한 시대에는 궁궐 수비와 전차, 기병을 통솔하는 역할을 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오관중랑장, 좌/우 중랑장, 호분중랑장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군벌들이 휘하 무관에게 중랑장 직책을 부여했고, 당나라 시대에는 금군과 위사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부활했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2군 6위에 배치되었으며, 장군과 낭장 사이의 정5품 무관직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의흥친군위의 5품 무관직으로 사용되었으나, 조선 문종 이후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2. 중국의 중랑장

(秦)에서 동한(東漢) 중기까지 중랑장은 주로 황궁의 문을 지키고 황실 호위대를 통솔하는 역할을 했다. 광록훈(光祿勳)의 지휘를 받았으며, 평상시에는 궁궐 문을 지키고 전쟁 시에는 전차(戦車)나 기병(騎兵)으로 충원되어 질록 비 600석인 중랑(中郎)을 통솔했다.

전한 시대에는 오관중랑장(五官中郎將), 좌중랑장(左中郎将), 우중랑장(右中郎將)이 있었고, 선제 때 우림(羽林)을 담당하는 우림중랑장(羽林中郎将)이, 평제 원시 원년(1년)에는 호분(虎賁)을 담당하는 호분중랑장(虎賁中郎將)이 추가되었다. 이들의 품계는 모두 비이천석(比二千石)이었다.

후한 시대에도 오관, 좌, 우, 호분, 우림중랑장이 유지되었고, 모두 비이천석이었다. 후한 말기에는 동서남북 사중랑장이 설치되어 원정군 지휘관이 되기도 했다. 황건적의 난노식이 북중랑장, 동탁이 동중랑장에 임명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각 군벌 수장들이 휘하 무관에게 중랑장 직을 널리 하사했다.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는 오관중랑장이 되었는데, 이는 승상의 부관직과 같았다. 주유(周瑜)는 건위중랑장, 제갈량(諸葛亮)은 군사중랑장이었다. 동탁(董卓)의 측근 여포(呂布), 우보(牛輔), 동월(董越)이나 유표(劉表)의 측근 황충(黃忠) 등도 중랑장을 지냈다. 지방 군벌들은 잡호중랑장이나 잡호교위처럼 원래 직급에 다른 칭호를 섞어 부하에게 포상하기도 했다. 제갈량은 유비(劉備)가 형주(荊州)를 평정할 때 군사중랑장이었고, 익주(益州) 수복 후에는 군사장군(軍師將軍)이 되었는데, 이는 잡호중랑장이 잡호장군보다 낮고 잡호교위보다는 높은 지위였음을 보여준다.

남북조 시대 남조 유송(劉宋)에서는 광주자사(廣州刺史)가 평월중랑장(平越中郞將)을 겸하는 등 소수민족 지역에 중랑장이나 교위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나라에서 중랑장은 각 부(府)·위(衛)의 금군, 위사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부활했고, 품계는 정4품 또는 종4품이었다. 부병제에서 내부(內府) 3위(衛)인 친위(親衛), 훈위(勳衛), 익위(翊衛)에 중랑장과 낭장이 배치되었고, 좌·우 감문위(監門衛)와 좌·우 천우위(千牛衛)는 대장군과 장군을 두었으나 중랑장이 직장(直長)과 천우의 직무를 관할했다.

나라 이후 각 위의 중랑장은 점차 명예직이 되었다.

2. 1. 진(秦) ~ 전한(前漢)

(秦)에서 전한(前漢) 시기 중랑장은 주로 황궁의 문을 지키고 황실을 호위하는 역할을 맡았다. 광록훈(光祿勳)의 지휘를 받았으며, 평상시에는 궁궐 문을 지키고, 전쟁 시에는 전차(戦車)나 기병(騎兵)으로 충원되어 중랑(中郎, 품질은 비육백석比六百石)을 통솔하였다.[1]

전한 시대에는 오관중랑장(五官中郎將), 좌중랑장(左中郎将), 우중랑장(右中郎將)의 세 중랑장이 있었다. 이후 선제(宣帝) 때 우림(羽林)을 담당하는 우림중랑장(羽林中郎将)이, 평제(平帝) 원시(元始) 원년(1년)에는 호분(虎賁)을 담당하는 호분중랑장(虎賁中郎將)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각 중랑장의 품계는 모두 비이천석(比二千石)이었다.[1]

직책역할추가 설명
오관중랑장중랑, 시랑, 낭중 통솔
좌중랑장중랑, 시랑, 낭중 통솔
우중랑장중랑, 시랑, 낭중 통솔
우림중랑장우림랑 통솔, 황제 숙위 시종선제 때 설치
호분중랑장호분랑 통솔, 황제 숙위 시종평제 원시 원년(1년) 설치, 좌·우 복야(僕射), 좌·우 계장(階長, 비육백석比六百石) 등의 속관을 둠


2. 2. 후한(後漢) ~ 삼국 시대

후한 시대에도 중랑장은 계속 설치되었으며, 오관, 좌, 우, 호분, 우림중랑장이 있었고, 모두 비이천석의 품계를 받았다.[1] 오관, 좌, 우 중랑장은 중랑(비육백석), 시랑(비사백석), 낭중(비삼백석)을 통솔했다. 호분중랑장은 황제의 숙위시종을 맡았고, 좌·우 복야(僕射), 좌·우 계장(비육백석)을 비롯하여 중랑, 시랑, 낭중을 거느렸다. 호분랑은 본인이 사망하면 아들이 대를 이어 취임했다.[2] 우림중랑장은 호분중랑장과 직무가 같았고 우림랑(비삼백석)을 거느렸으며, 우림좌우감(비육백석)이 우림기를 맡았다. 후한 말기에는 동서남북 사중랑장이 설치되어 원정군의 지휘관 역할을 맡았다. 황건적의 난노식이 북중랑장, 동탁이 동중랑장으로 임명되었다.

후한 말, 각 군벌의 수장은 장군호를 스스로 임명하고, 부하를 독자적인 이름을 가진 중랑장으로 임명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유비제갈량을 군사중랑장으로 임명했다.

비이천석 이상의 관리는 황제의 허가 없이 체포할 수 없는 특권과, 형제나 아들을 랑으로 임명할 수 있는 임자(任子) 특권이 있었다. 이들의 인수는 은인청수(銀印靑綬)였다.

2. 3. 남북조 시대 ~ 수(隋)

남북조 유송(劉宋)에서는 광주자사(廣州刺史)가 평월중랑장(平越中郞將)을 겸하는 등 소수민족 지역에 중랑장이나 교위를 설치하기도 하였다.[1]

2. 4. 당(唐) ~ 송(宋)

왕조에서 중랑장은 각 부(府)·위(衛)의 금군, 위사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부활하였고, 품계는 대체로 정(正)4품 또는 종(從)4품이었다. 당의 부병제에서 내부(內府) 3위(衛), 즉 친위(親衛), 훈위(勳衛), 익위(翊衛)에는 모두 중랑장과 낭장이 배치되었다. 좌·우 감문위(監門衛)와 좌·우 천우위(千牛衛)의 경우 대장군과 장군을 두었으나 부병을 거느리지는 않았고, 중랑장이 직장(直長)과 천우의 직무를 관할하도록 하였다.[1]

왕조 이후 각 위의 중랑장은 차츰 허직(虛職, 명예직)이 되었다.[1]

3. 한국의 중랑장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중랑장의 이름이 처음 나타난다. 고려에서는 2군 6위에 중랑장이 배치되었고, 조선 초기에는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의 5품 무관직을 중랑장이라 하였다.[1]

고려의 중랑장은 장군보다 낮고 낭장보다 높은 정5품 직급이었다. 2군 6위의 장군 보좌관으로, 장군 아래에 각각 두 명의 중랑장이 있었다. 중랑장은 2군 6위의 90명 외에 도부외 1명, 충용위 12명을 합쳐 총 103명이 있었다.[1]

문종 30년(1076년) 개정된 전시과에 따르면, 중랑장은 제6과에 속하여 전(田) 70결과 시(柴) 27결을 받았다.[1]

3.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중랑장은 2군 6위 등 10곳에 배치되었으며, 총 103인이었다. 장군 아래, 낭장 위에 위치했으며, 품계는 정5품이었다. 전시과 체제에서 제6과에 속하여 전(田) 70결과 시(柴) 27결을 지급받았다.[1]

고려 문종 30년(1076년)에 개정된 전시과에 따른 중랑장의 배치 현황은 다음과 같다.[1]

부대배치 현황
응양군1령
용호군2령
좌우위보승 10령, 정용 12령
신호위보승 5령, 정용 1령
흥위위보승 5령, 정용 7령
금오위정용 6령, 역령 1령
천우위상령 1령, 해령 1령
감문위1령
도부외1인
충용4위12인



중랑장 관직은 조선 세종 때까지 존재했으며, 문종 이후로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1]

3. 2. 조선 시대

조선 초기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의 5품 무관직을 중랑장이라 하였다.[1] 세종 때까지 중랑장 관직이 존재했으며, 문종 이후로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1]

참조

[1] 서적 이천석의 특권 한서 null
[2] 서적 속한서 유소주인 순작 진백관표주 null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