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력 퍼텐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력 퍼텐셜은 중력장과 관련된 스칼라장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의 위치 에너지를 나타낸다. 질량 M인 점 입자로부터 거리 x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중력 퍼텐셜은 -GM/x로 정의되며, 여기서 G는 중력 상수이다. 중력 퍼텐셜은 중력 가속도의 음의 기울기와 같으며, 질량 분포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계량 텐서로 대체되며, 시간 지연, 중력 적색 편이, 중력 렌즈 등의 효과를 설명한다. 지구, 태양, 은하수와 같은 천체의 중력 퍼텐셜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며, 탈출 속도와 원궤도 속도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텐셜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퍼텐셜 - 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
    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은 운동하는 점전하가 속도와 가속도를 고려하여 생성하는 전자기 퍼텐셜을 기술하는 공식으로, 전자기 복사 효과를 포함하여 전자기장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고전 전자기학과 상대성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양자역학적 영역에서는 한계를 보인다.
  • 중력 - 중력 가속도
    중력 가속도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가속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와 같으며, 지구의 경우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에서 가장 작고 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 중력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고전역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 고전역학 -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해밀토니언은 계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연산자로서, 고전역학의 해밀토니안에서 유래하며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 계의 시간적 진화를 결정하고, 그 고유값은 허용된 에너지 준위를 나타낸다.
중력 퍼텐셜

2. 정의

중력 퍼텐셜(\Phi)은 중력장 \mathbf g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mathbf g=-\nabla\Phi=\mathbf F/m

질량 M인 물체가 발생시키는 중력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Phi=-\frac{GM}r

중력 퍼텐셜은 단위 질량당 위치 에너지와 같으므로, 위치 \boldsymbol{r}에 있는 질량 m인 입자의 위치 에너지 U ( \boldsymbol{r} )는 그 점의 중력 퍼텐셜 \Phi ( \boldsymbol{r} )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U ( \boldsymbol{r} ) = m \Phi ( \boldsymbol{r} )

이 입자에 작용하는 힘 \boldsymbol{F} ( \boldsymbol{r}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12]

:\boldsymbol{F} ( \boldsymbol{r} ) = - \boldsymbol{\nabla} U ( \boldsymbol{r} ) = - m \boldsymbol{\nabla} \Phi ( \boldsymbol{r} )

즉, 중력 퍼텐셜 기울기의 -1배는 그 점에서의 중력 가속도 \boldsymbol{g}와 같다.[13]

:\boldsymbol{g} ( \boldsymbol{r} ) = - \boldsymbol{\nabla} \Phi ( \boldsymbol{r} )

중력 퍼텐셜 \Phi는 기준점(통상 무한 원점)에서 공간 내의 주어진 위치로 물체가 중력만의 작용으로 이동했을 때 획득하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즉, 중력이 하는 )의 부호를 반전시킨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14]

:\Phi ( \boldsymbol{r} ) = - \frac{ 1 }{ m } \int_\infty^\boldsymbol{r} \boldsymbol{F} ( \boldsymbol{r}' ) \cdot d\boldsymbol{r}'

예를 들어 균일 중력장 내에서 중력 가속도 방향을 z축 음의 방향으로 선택할 때(즉, 연직 상방을 z축으로 할 때), 중력 퍼텐셜 \Phi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5]

:\Phi ( z) = g z

따라서 고도차 \Delta h의 두 점 간의 질량 m인 물체의 위치 에너지 차이 \Delta U\Delta U = m g \Delta h로 쓸 수 있다.

2. 1. 수학적 형태

질량이 ''M''인 점 입자로부터 거리 ''x''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중력 스칼라 퍼텐셜 ''V''는 무한대에서부터 그 지점까지 단위 질량을 가져오기 위해 외부에서 해줘야 하는 일 ''W''로 정의될 수 있다.[2][3][4][5]

:V(x)|V(x)영어 = W/m|W/m영어 = 1/m * ∫x F ⋅ d''x''|1/m * ∫x F ⋅ dx영어 = 1/m * ∫x (GmM/x2)dx|-1/m * ∫x (GmM/x2)dx영어 = -GM/x|-GM/x영어

여기서 ''G''는 중력 상수이고, '''F'''는 중력이다. 곱 ''GM''은 표준 중력 매개변수이며, ''G'' 또는 ''M''을 개별적으로 아는 것보다 더 높은 정밀도로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퍼텐셜의 단위는 에너지/질량으로, 예를 들어 MKS 단위계에서 J/kg이다. 통상적으로 정의된 곳에서는 항상 음수이며, ''x''가 무한대로 갈수록 0에 가까워진다.

질량 분포와 관련된 퍼텐셜은 점 질량 퍼텐셜의 중첩이다. 질량 분포가 점 질량의 유한한 집합이고, 점 질량이 점 '''x'''1, ..., '''x'''''n''에 위치하고 질량이 ''m''1, ..., ''m''''n''이면, 점 '''x'''에서의 분포의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V(x)|V(x)영어 = Σi=1n -Gmi/||''x'' - ''x''i|||Σi=1n -Gmi/||x - xi||영어

질량 분포가 3차원 유클리드 공간 '''R'''3에서 질량 보렐 측도 ''dm''으로 주어지면, 퍼텐셜은 -''G''/과 ''dm''의 컨볼루션이다. 좋은 경우 이는 적분과 같다.

:V(''x'')|V(x)영어 = -∫R3 G/||''x'' - ''r''|| dm(''r'')|-∫R3 G/||x - r|| dm(r)영어

여기서 는 점 '''x'''와 '''r'''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이다. '''r'''에서의 분포 밀도를 나타내는 함수 ''ρ''('''r''')이 있어서 1=''dm''('''r''') = ''ρ''('''r''') ''dv''('''r''')영어이고, 여기서 ''dv''('''r''')은 유클리드 부피 요소이면, 중력 퍼텐셜은 체적 적분이다.

:V(''x'')|V(x)영어 = -∫R3 G/||''x'' - ''r''|| ρ(''r'')dv(''r'')|-∫R3 G/||x - r|| ρ(r)dv(r)영어

''V''가 연속 질량 분포 ''ρ''('''r''')에서 나오는 퍼텐셜 함수이면, ''ρ''는 라플라스 연산자 Δ|Δ영어를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ρ(''x'')|ρ(x)영어 = 1/(4πG) * ΔV(''x'')|1/(4πG) * ΔV(x)영어

이는 ''ρ''가 연속적이고 경계 집합 외부에서 0일 때마다 점별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라플라스 연산자가 분포의 의미에서 취해지면 질량 측도 ''dm''도 같은 방식으로 복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력 퍼텐셜은 푸아송 방정식을 만족한다.

3. 위치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어떤 위치에서의 중력 퍼텐셜(''V'')은 그 위치에서의 단위 질량당 퍼텐셜 에너지(''U'')이다.

:V영어 = U/m영어

여기서 ''m''은 물체의 질량이다. 퍼텐셜 에너지는 무한대에서부터 주어진 공간 위치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중력장에 의해 수행된 일과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 만약 물체의 질량이 1킬로그램이라면, 그 물체에 할당되는 퍼텐셜 에너지는 중력 퍼텐셜과 같다. 따라서 퍼텐셜은 무한대에서 단위 질량을 이동시키는 중력장에 의해 수행된 일의 음수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는 위치에 거의 독립적인 장을 가정하여 방정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 표면 근처에서는 중력 가속도 ''g''가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높이에서 다른 높이로의 퍼텐셜 에너지 차이는 높이 차이에 대해 근사적으로 선형 관계를 갖는다.

:ΔU영어 ≈ mgΔh영어

중력 퍼텐셜은 단위 질량당의 위치 에너지와 같으므로, 위치 '''r'''영어에 있는 질량 ''m''의 입자가 갖는 위치 에너지 U영어 ('''r'''영어)는, 그 점의 중력 퍼텐셜 Φ영어 ('''r'''영어)과

:U영어 ('''r'''영어) = mΦ영어 ('''r'''영어)

라는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 입자에 작용하는 힘 '''F'''영어 ('''r'''영어)은

:'''F'''영어 ('''r'''영어) = - ∇U영어 ('''r'''영어) = - m∇Φ영어 ('''r'''영어)[12]

으로 쓸 수 있다. 즉 중력 퍼텐셜의 기울기의 -1배는 그 점에서의 중력 가속도 '''g'''영어와 같다.[13]

:'''g'''영어 ('''r'''영어) = - ∇Φ영어 ('''r'''영어)

반대로, 중력 퍼텐셜 Φ영어는 기준점 (통상 무한 원점)에서 공간 내의 주어진 위치로 물체가 중력만의 작용으로 이동했을 때 획득하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 (즉 중력이 하는 )의 부호를 반전시킨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14]

영어 ('''r'''영어) = - 1/m영어'''r'''영어 '''F'''영어 ('''r''''영어) · d'''r''''영어

예를 들어, 균일 중력장 내에서는, 중력 가속도의 방향을 z축 음의 방향으로 선택할 때 (즉, 연직 상방을 z축으로 할 때), 중력 퍼텐셜 Φ영어

영어 (z영어) = gz영어[15]

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고도차 Δh영어의 두 점 간의 질량 ''m''의 물체의 위치 에너지의 차 ΔU영어는 ΔU = mgΔh영어로 쓸 수 있다.

3. 1. 탈출 속도와 원궤도 속도

어떤 천체가 만드는 중력 퍼텐셜을 \Phi ( \boldsymbol{r} )이라고 한다. 위치 \boldsymbol{r}에 있는 입자가 이 천체의 중력권을 탈출하여 무한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 입자의 역학적 에너지 E = \frac{ 1 }{ 2 } \boldsymbol{v}^2 + \Phi ( \boldsymbol{r} )이 0 이상이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 속도

:v_\mathrm{esc} = \sqrt{ - 2 \Phi ( \boldsymbol{r} ) }

를 위치 \boldsymbol{r}에서의 탈출 속도라고 부른다[16][17]。또한, 구면 대칭 퍼텐셜 \Phi ( r )에서 반지름 r로 등속 원운동을 할 때의 속도

:v_\mathrm{c} = \sqrt{ r \partial_r \Phi ( r ) }

를 원궤도 속도라고 부른다[17]

4. 구면 대칭계

구각 정리에 의해 구면 대칭 질량 분포는 분포 외부의 관찰자에게 모든 질량이 중심에 집중된 것처럼 행동하며, 효과적으로 점 질량으로 작용한다.[7] 지구 표면에서 가속도는 표준 중력 ''g''로 주어지며, 대략 9.8 m/s2이다. 하지만 이 값은 위도와 고도에 따라 약간씩 달라진다. 지구는 타원체이기 때문에 가속도의 크기는 적도보다 극지방에서 약간 더 크다.

구면 대칭 질량 분포 내에서는 구면 좌표계에서 푸아송 방정식을 풀 수 있다. 반경 ''R'', 밀도 ρ, 질량 ''m''인 균일한 구형 물체 내에서 구 내부의 중력 ''g''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며, 구 내부의 중력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7][8]

:V(r) = \frac {2}{3} \pi G \rho \left[r^2 - 3 R^2\right] = \frac{Gm}{2R^3} \left[r^2 -3 R^2\right], \qquad r \leq R,

이것은 구 외부의 퍼텐셜 함수에 미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면 대칭 질량 분포 \rho = \rho ( r )의 경우 중력 퍼텐셜 \Phi 역시 구면 대칭성을 가지며 동경 r만의 함수가 된다. 이 때 중력 퍼텐셜에 관한 푸아송 방정식은 라플라시안의 구면 좌표 표시 공식에 의해

:\frac{ 1 }{ r^2 } \frac{ d }{ d r } \left( r^2 \frac{ d \Phi }{ d r } \right) = 4 \pi G \rho

로 다시 쓸 수 있다. 이는 즉시 적분되어 중력 가속도 g = - \partial_r \Phi 및 중력 퍼텐셜 \Phi

:g ( r ) = - \frac{ G M ( r ) }{ r^2 } , \ \ \Phi ( r ) = - \int_r^\infty \frac{ G M ( r' ) }{ r'^2 } dr'

로 구해진다[17]。 여기에 M ( r )은 동경 r 이내의 질량

:M ( r ) = \int_0^r 4 \pi r'^2 \rho ( r' ) dr'

이다. 특히 이 중력 가속도 g ( r )의 표기는 원점 r = 0에 질량 M ( r )의 질점이 존재할 때 생기는 중력 가속도와 같다[21]

반지름 R의 균일 밀도 \rho를 갖는 구의 경우 중력 퍼텐셜 \Phi에 관한 적분을 실행할 수 있으며

:\Phi ( r ) = \begin{cases} - \frac{ 2 }{ 3 } \pi G \rho ( 3 R^2 - r^2 ) & r \leq R \\ - 4 \pi G \rho R^3 / 3 r & r \geq R \end{cases}

을 얻을 수 있다[22]

5. 다중극 전개

질량 분포가 유계인 영역에 한정될 때, 그 외부의 진공 영역에서의 중력 퍼텐셜은 구면 조화 함수를 사용하여 다중극 전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23][24] 특히 축대칭인 계의 경우, 중력 퍼텐셜은 르장드르 다항식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25]

구면 좌표 ( r, \theta, \varphi )를 사용하면, 다중극 전개는 다음과 같다.

:\Phi ( r, \theta, \varphi ) = - G \sum_{l = 0}^\infty \sum_{m = - l}^l \frac{ 4 \pi }{ 2 l + 1 } \frac{ Q_{l m} }{ r^{l+1} } Y_{l m} ( \theta, \varphi )

여기서 Y_{l m}구면 조화 함수이며, Q_{l m}은 질량 분포의 다중극 모멘트(스토크스 계수)이다.

:Q_{l m} = \int r^l \rho ( r, \theta, \varphi ) Y_{l m}^* ( \theta, \varphi ) \, r^2 dr \, \sin \theta d\theta \, d\varphi

0차 다중극 모멘트 Q_{0 0}은 계의 전체 질량 M과 같고, 질량 분포의 무게 중심을 좌표 원점으로 선택할 때 Q_{1m} = 0이다.[23] 따라서, 다중극 전개는 뉴턴 퍼텐셜 - G M / r에 사중극 모멘트 Q_{2 m} 등의 고차 모멘트에 의한 보정을 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지구와 같이 축대칭인 계의 경우, 다중극 모멘트 Q_{l m}m \neq 0일 때 0이 되고, 중력 퍼텐셜은 르장드르 다항식 P_l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25]

:\Phi ( r, \theta, \varphi ) = - \frac{ G M }{ r } \left\{ 1 - \sum_{l = 2}^\infty J_l \left( \frac{ R }{ r } \right)^l P_l ( \cos \theta ) \right\}

6. 일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 퍼텐셜은 계량 텐서로 대체된다. 중력장이 약하고 근원들이 빛의 속도에 비해 매우 느리게 움직일 때, 일반 상대성 이론은 뉴턴 중력으로 축소되며, 계량 텐서는 중력 퍼텐셜의 관점에서 전개될 수 있다.[9]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장은 계량 텐서에 의해 표시된다. 중력장이 약하고, 또한 중력원의 속도가 광속보다 충분히 느린 극한에서 일반 상대성 이론은 뉴턴 중력을 재현하며, 계량 텐서와 중력 포텐셜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26]

:ds^2 = - \left( 1+\frac{2\Phi}{c^2} \right) c^2 dt^2 + \left( 1-\frac{2\Phi}{c^2} \right) (dx^2 +dy^2 +dz^2)

이 결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 포텐셜은 시간 지연이나 중력 적색 편이[27], 중력 렌즈[28]와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계량 텐서가 민코프스키 공간에 매우 가깝고, 계량 텐서가 느리게 변하고, 시험 입자가 느리게 움직이는 경우 측지방정식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수렴한다. 이 경우 중력 퍼텐셜 \Phi는 계량 텐서의 성분 g_{tt}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g_{tt}=-1+2\Phi.

예를 들어, 슈바르츠실트 계량의 경우

:g_{tt}=-1-2GM/r

이므로, 뉴턴 역학의 공식 \Phi=-GM/r을 재현함을 알 수 있다.

7. 수치 값

다음 표는 지구, 태양, 은하수의 중력에 대한 여러 위치에서의 중력 퍼텐셜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즉, 지구 표면에 있는 물체는 지구의 중력장을 "탈출"하기 위해 60MJ/kg이, 태양의 중력장까지 탈출하려면 900MJ/kg이, 그리고 은하수의 중력장을 탈출하려면 130GJ/kg 이상이 필요하다. 퍼텐셜은 탈출 속도의 제곱의 절반이다.

위치기준
지구태양은하수
지구 표면60MJ/kg900MJ/kg≥ 130GJ/kg
저지구 궤도57MJ/kg900MJ/kg≥ 130GJ/kg
보이저 1호 (지구에서 170억km)23J/kg8MJ/kg≥ 130GJ/kg
지구에서 0.1 광년0.4J/kg140kJ/kg≥ 130GJ/kg


참조

[1] 서적 Electrostatics and magnetostatics of polarized ellipsoidal bodies: the depolarization tensor method Free Scientific Information
[2] 서적 Classical Dynamics of particles and systems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 Company
[3] 서적 Mathematical Methods For Physicists International Student Edition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4] 서적 Cambridge International AS and A Level Physics Courseboo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A-level Physics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6] 서적 The Theory of the Potential Dover Press
[7] 서적 A Student's Guide to Geophysical Equ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n Introduction to Planetary Atmospher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9] 서적 Einstein's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With Modern Applications in Cosm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 서적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60
[11] 간행물 gravitational-potential
[12]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13 天体の位置と運動」 日本評論社
[13] 서적 Galactic Dyna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力学 (物理入門コース1) 岩波書店
[15] 서적 力学 (物理入門コース1) 岩波書店
[16] 간행물 宇宙速度
[17] 서적 Galactic Dyna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서적 力学 (基幹講座物理学) 東京図書
[19]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13 天体の位置と運動」 日本評論社
[20]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13 天体の位置と運動」 日本評論社
[21]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13 天体の位置と運動」 日本評論社
[22] 서적 Galactic Dyna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Galactic Dyna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シリーズ現代の天文学13 天体の位置と運動」 日本評論社
[25] 서적 天体と軌道の力学 東京大学出版会
[26] 서적 深化する一般相対論 ブラックホール・重力波・宇宙論 丸善出版
[27] 서적 場の古典論 東京図書
[28] 서적 Gravitational Lens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Springer
[29] 뉴스 라플라스의 악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6-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