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구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라트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지역 종교를 위해 건설된 거대한 계단식 신전으로, '높이' 또는 '첨탑'을 의미하는 고대 아시리아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수메르, 아카드, 엘람, 에블라, 바빌로니아인들이 건설했으며, 각 지구라트는 사원 단지의 일부였다. 우르 지구라트와 두르 샤르킨과 같은 주요 지구라트들은 흙벽돌과 구운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신전과 연결된 경사로 또는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지구라트는 신들의 거처로 여겨졌으며, 사제들만 출입이 가능했다. 또한 성경의 바벨탑 기록과 연관되며, 현대 건축에도 영향을 미쳐 알 자쿠라 빌딩과 같은 건물에 그 형태가 반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라트 - 우르의 지구라트
    우르의 지구라트는 우르남무 왕이 달의 신 난나를 기리기 위해 건설한 거대한 계단식 피라미드로, 슐기 왕 시대에 완성되었고 신바빌로니아 시대에 재건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지구라트 - 바벨탑
    바벨탑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간이 하늘에 닿기 위해 건설하려다 신의 방해로 실패하고 언어가 나뉘게 되었다는 설화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여러 외경과 문헌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후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주어 소통의 중요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상징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 사원 - 배화신전
    배화신전은 조로아스터교에서 불을 숭배하기 위해 지어진 사당으로, 아타쉬라는 불을 모시는 장소이며 불의 등급에 따라 아타쉬 다드가, 아타쉬 아다란, 아타쉬 바흐람으로 나뉘고 사산 제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오늘날에도 조로아스터교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사원 - 웁살라 신전
    웁살라 신전은 고대 스웨덴 감라웁살라에 위치했던 북유럽 이교 신전으로, 브레멘의 아담이 토르, 오딘, 프레이의 옥좌와 희생 의식을 묘사했으며,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으나 정확한 형태와 기록의 신빙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기념물 - 우리는 우리의 산
    '우리는 우리의 산'은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수도 스테파나케르트에 위치한 아르메니아인들의 문화적 상징인 기념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의 갈등 촉발과 System of a Down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며 전쟁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 기념물 - 기념건축물
    기념 건축물은 특정 인물, 사건, 문화, 사상 등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건축물이나 조형물로, 랜드마크 역할과 역사적, 정치적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적 의미와 세금 낭비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지구라트
개요
우르의 지구라트
우르의 지구라트
유형거대한 계단식 구조물
위치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기원전 4천년기 후반 ~ 기원전 6세기
건축 목적신전, 종교 의식
어원
어원아카드어 "ziqqurratum" (높이다, 올리다)
로마자 표기Jigeurateu
건축
재료햇볕에 말린 벽돌 (내부), 구운 벽돌 (외부)
특징계단식 테라스 구조
꼭대기에 신전 위치
다양한 층과 계단
기능 및 중요성
종교적 의미신과 인간의 연결, 신을 숭배하는 장소
사회적 의미권력 과시, 도시의 중심
천문학적 의미천문 관측 (일부 학설)
주요 지구라트
우르의 지구라트위치: 이라크, 텔 무콰이야르
시대: 기원전 21세기
특징: 가장 잘 보존된 지구라트 중 하나
초가 잔빌 지구라트위치: 이란, 초가 잔빌
시대: 기원전 13세기
특징: 엘람 왕국 시대의 지구라트
에테멘앙키위치: 바빌론
시대: 기원전 6세기 (신바빌로니아 시대)
특징: 바벨탑으로 알려짐, 현재는 유적만 존재
아카르쿠프 지구라트위치: 이라크, 바그다드 근처
시대: 기원전 15세기
특징: 카사이트 왕조 시대의 지구라트
참고 문헌

2. 역사

"지구라트"라는 단어는 고대 아시리아어로 높이, 첨탑을 의미하는 ''ziqqurratum''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높이 솟아오르다라는 뜻의 ''zaqārum''에서 파생되었다.[6] 우르 지구라트는 기원전 21세기경 우르 제3왕조 동안 난나/신을 기리기 위해 우르남무 왕이 건설한 신수메르 지구라트이다.[6] 우르의 지구라트(에・테멘・니글)는 기원전 2100년경, 우르 제3왕조의 우르-남무가 건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제1층이 바닥면 62.5m×43m, 높이 11m, 제2층이 바닥면 38.2m×26.4m, 높이 5.7m이며, 최상부에는 달의 신 난나를 모시는 신전을 올렸다. 직사각형 기부의 네 모서리는 거의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으며, 정면과 좌우에서 곧게 계단이 뻗어 있다. 정면 계단만 3층까지 닿아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윗면이 밑면보다 작은 측면이 사다리꼴인 상자를 겹쳐 놓은 듯한 건축물이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건축에 사용되는 질 좋은 목재가 적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자주 사용되는 흙벽돌과 구운 벽돌이 사용되었다. 몸체 주요 부분은 흙벽돌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은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벽에는 버트레스(부벽)라고 불리는 돌출부가 있어, 규칙적으로 요철이 생겨 단조롭지 않고 음영이 있는 외관을 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각 변이나 벽체의 능선은 중앙에서 팽창되어 있는데, 이미 시각적 보정 효과를 노린 표현이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이라크에 위치해 있다.

두르 샤르킨은 기원전 8세기 말,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사르곤 2세에 의해 조성되었다. 기부가 직사각형이었던 우르의 지구라트와는 달리, 각 변이 약 43m인 정사각형의 기부를 가지고 있었다. 중심부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약 7번 감아 올라가는 경사로를 통해 정상에 도달하는 구조이며, 경사로의 폭은 1.8m이다. 정사각형의 기부와 나선형의 경사로 구조는 신 바빌로니아 시대의 바빌론 지구라트(에테멘안키)와 유사하다. 4층까지의 외벽에는 하부부터 각각 흰색, 검은색, 빨간색, 파란색의 채색이 확인되었다.

2. 1. 기원

"지구라트"라는 단어는 고대 아시리아어로 높이, 첨탑을 의미하는 ''ziqqurratum''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높이 솟아오르다라는 뜻의 ''zaqārum''에서 파생되었다.[6] 우르 지구라트는 기원전 21세기경 우르 제3왕조 동안 난나/신을 기리기 위해 우르남무 왕이 건설한 신수메르 지구라트이다.[6]

2. 2. 발전

"지구라트"라는 단어는 고대 아시리아어로 높이, 첨탑을 의미하는 ''ziqqurratum''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높이 솟아오르다라는 뜻의 ''zaqārum''에서 파생되었다. 우르 지구라트는 기원전 21세기경 우르 제3왕조 동안 난나/신을 기리기 위해 우르남무 왕이 건설한 신수메르 지구라트이다.[6]

2. 3. 주요 지구라트

"지구라트"라는 단어는 고대 아시리아어로 높이, 첨탑을 의미하는 ''ziqqurratum''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높이 솟아오르다라는 뜻의 ''zaqārum''에서 파생되었다.[6]

우르 지구라트는 기원전 21세기경 우르 제3왕조 동안 난나/신을 기리기 위해 우르남무 왕이 건설한 신수메르 지구라트이다.[6] 우르의 지구라트(에・테멘・니글)는 기원전 2100년경, 우르 제3왕조의 우르-남무가 건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제1층이 바닥면 62.5m×43m, 높이 11m, 제2층이 바닥면 38.2m×26.4m, 높이 5.7m이며, 최상부에는 달의 신 난나를 모시는 신전을 올렸다. 직사각형 기부의 네 모서리는 거의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으며, 정면과 좌우에서 곧게 계단이 뻗어 있다. 정면 계단만 3층까지 닿아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윗면이 밑면보다 작은 측면이 사다리꼴인 상자를 겹쳐 놓은 듯한 건축물이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건축에 사용되는 질 좋은 목재가 적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자주 사용되는 흙벽돌과 구운 벽돌이 사용되었다. 몸체 주요 부분은 흙벽돌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은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벽에는 버트레스(부벽)라고 불리는 돌출부가 있어, 규칙적으로 요철이 생겨 단조롭지 않고 음영이 있는 외관을 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각 변이나 벽체의 능선은 중앙에서 팽창되어 있는데, 이미 시각적 보정 효과를 노린 표현이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이라크에 위치해 있다.

두르 샤르킨은 기원전 8세기 말,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사르곤 2세에 의해 조성되었다. 기부가 직사각형이었던 우르의 지구라트와는 달리, 각 변이 약 43m인 정사각형의 기부를 가지고 있었다. 중심부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약 7번 감아 올라가는 경사로를 통해 정상에 도달하는 구조이며, 경사로의 폭은 1.8m이다. 정사각형의 기부와 나선형의 경사로 구조는 신 바빌로니아 시대의 바빌론 지구라트(에테멘안키)와 유사하다. 4층까지의 외벽에는 하부부터 각각 흰색, 검은색, 빨간색, 파란색의 채색이 확인되었다.

3. 구조 및 특징

지구라트는 고대 수메르인, 아카드인, 엘람인, 에블라인, 바빌로니아인들이 지역 종교를 위해 건설했다. 각 지구라트는 다른 건물들과 함께 사원 단지의 일부였다. 지구라트 이전에는 기원전 6천년기의 우바이드 시대부터 시작된 융기된 플랫폼이 있었다. 지구라트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플랫폼으로 시작되었다. 지구라트는 평평한 꼭대기를 가진 마스타바와 같은 구조였다. 햇볕에 말린 벽돌은 지구라트의 핵심을 이루었고, 바깥쪽에는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각 단계는 아래 단계보다 약간 작았다. 마감재는 종종 다양한 색상으로 유약을 칠했고 점성술적 의미가 있었을 수 있다. 왕들은 때때로 이 유약 처리된 벽돌에 자신의 이름을 새겼다. 층의 수는 2개에서 7개였다.

우르 지구라트의 부분적으로 재건된 정면과 접근 계단, 기원전 2100년경 우르-남무에 의해 처음 건설됨


초가 잠빌 지구라트(모형). 기원전 1300년경


고고학자 해리엇 크로포드에 따르면,

신전에 접근하는 방법은 지구라트의 한쪽 면에 있는 일련의 경사로 또는 기저에서 정상까지 나선형 경사로를 통해서였다. 메소포타미아 지구라트는 공공 예배나 의식을 위한 장소가 아니었다. 그들은 신들의 거처로 여겨졌으며, 각 도시에는 그 도시를 수호하는 신이 있었다. 지구라트나 그 기저의 방에는 사제들만 출입이 허용되었으며, 신들을 돌보고 그들의 필요를 돌보는 것은 그들의 책임이었다. 사제들은 수메르와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사회의 매우 강력한 구성원이었다.

페르시아 초가 잠빌에 있는 엘람의 두르-운타쉬 지구라트, 이란 후제스탄, 기원전 1300년경


가장 잘 보존된 지구라트 중 하나는 이란 서부에 있는 초가 잠빌이다.[7] 이란 카샨에 있는 시알크 지구라트는 기원전 3천년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지구라트로 알려져 있다.[8][9] 지구라트 디자인은 사원이 놓인 단순한 기단에서 여러 층의 테라스로 이뤄지고 사원으로 꼭대기가 장식된 수학 및 건축의 경이로운 구조까지 다양했다.

단순한 지구라트의 예는 고대 수메르의 우루크에 있는 백색 신전이다. 지구라트 자체는 백색 신전이 세워진 기단이다. 그 목적은 신전을 하늘에 더 가깝게 하고, 계단을 통해 지상에서 신전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이 피라미드 사원이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고 믿었다. 사실, 바빌론의 지구라트는 에테메난키로 알려졌는데, 이는 수메르어로 "하늘과 땅의 기초의 집"을 의미한다.

원래 건설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제안된 날짜는 기원전 14세기에서 9세기까지 다양하며, 문헌 증거는 기원전 2천년기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0] 불행히도, 이 거대한 구조물의 기저조차도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고고학적 발견과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이 탑은 일곱 개의 다색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묘한 비율의 사원으로 꼭대기가 장식되어 있다. 이 신전은 남색으로 칠해져 층의 꼭대기와 일치하는 색상을 유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전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계단이 있었으며, 그 중 두 개(측면을 따라)는 지구라트 높이의 절반만 올라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우르 지구라트(에・테멘・니글)는 기원전 2100년경, 우르 제3왕조의 우르-남무가 건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제1층이 바닥면 62.5m×43m, 높이 11m, 제2층이 바닥면 38.2m×26.4m, 높이 5.7m이며, 최상부에는 달의 신 난나를 모시는 신전을 올렸다. 직사각형 기부의 네 모서리는 거의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으며, 정면과 좌우에서 곧게 계단이 뻗어 있다. 정면 계단만 3층까지 닿아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윗면이 밑면보다 작은 측면이 사다리꼴인 상자를 겹쳐 놓은 듯한 건축물이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건축에 사용되는 질 좋은 목재가 적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자주 사용되는 흙벽돌과 구운 벽돌이 사용되었다. 몸체 주요 부분은 흙벽돌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은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벽에는 버트레스(부벽)라고 불리는 돌출부가 있어, 규칙적으로 요철이 생겨 단조롭지 않고 음영이 있는 외관을 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각 변이나 벽체의 능선은 중앙에서 팽창되어 있는데, 이미 시각적 보정 효과를 노린 표현이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이라크에 위치해 있다.

두르 샤르킨은 기원전 8세기 말,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사르곤 2세에 의해 조성되었다. 기부가 직사각형이었던 우르의 지구라트와는 달리, 각 변이 약 43m인 정사각형의 기부를 가지고 있었다. 중심부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약 7번 감아 올라가는 경사로를 통해 정상에 도달하는 구조이며, 경사로의 폭은 1.8m이다. 정사각형의 기부와 나선형의 경사로 구조는 신 바빌로니아 시대의 바빌론 지구라트(에테멘안키)와 유사하다. 4층까지의 외벽에는 하부부터 각각 흰색, 검은색, 빨간색, 파란색의 채색이 확인되었다.

3. 1. 재료 및 건축 방식

지구라트는 고대 수메르인, 아카드인, 엘람인, 에블라인, 바빌로니아인들이 지역 종교를 위해 건설한 건축물이다. 각 지구라트는 다른 건물들과 함께 사원 단지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6천년기의 우바이드 시대부터 시작된 융기된 플랫폼에서 발전하였다. 지구라트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플랫폼 위에 햇볕에 말린 벽돌을 쌓아 올린 마스타바와 유사한 구조였다. 바깥쪽에는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으며, 각 단계는 아래 단계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졌다. 마감재는 종종 다양한 색상으로 유약을 칠했고, 왕들은 때때로 이 유약 처리된 벽돌에 자신의 이름을 새기기도 했다. 층의 수는 2개에서 7개였다.

고고학자 해리엇 크로포드에 따르면, 지구라트가 신전을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물리적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라트 신전에 접근하는 방법은 지구라트의 한쪽 면에 있는 일련의 경사로 또는 기저에서 정상까지 나선형 경사로를 통해서였다. 메소포타미아 지구라트는 공공 예배나 의식을 위한 장소가 아니었고, 신들의 거처로 여겨졌다. 지구라트나 그 기저의 방에는 사제들만 출입이 허용되었으며, 이들은 신들을 돌보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역할을 했다.

가장 잘 보존된 지구라트 중 하나는 이란 서부에 있는 초가 잠빌이다.[7] 이란 카샨에 있는 시알크 지구라트는 기원전 3천년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지구라트로 알려져 있다.[8][9] 지구라트 디자인은 사원이 놓인 단순한 기단에서 여러 층의 테라스로 이뤄지고 사원으로 꼭대기가 장식된 수학 및 건축의 경이로운 구조까지 다양했다.

단순한 지구라트의 예는 고대 수메르의 우루크에 있는 백색 신전이다. 지구라트 자체는 백색 신전이 세워진 기단으로, 신전을 하늘에 더 가깝게 하고 계단을 통해 지상에서 신전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었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이 피라미드 사원이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고 믿었다. 바빌론의 지구라트는 에테메난키로 알려졌는데, 이는 수메르어로 "하늘과 땅의 기초의 집"을 의미한다.

우르 지구라트는 기원전 2100년경 우르 제3왕조의 우르-남무가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층은 바닥면 62.5m×43m, 높이 11m, 제2층은 바닥면 38.2m×26.4m, 높이 5.7m이며, 최상부에는 달의 신 난나를 모시는 신전을 올렸다. 직사각형 기부의 네 모서리는 거의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으며, 정면과 좌우에서 곧게 계단이 뻗어 있다. 정면 계단만 3층까지 닿아 있었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건축에 사용되는 질 좋은 목재가 적었기 때문에 흙벽돌과 구운 벽돌이 사용되었다. 몸체 주요 부분은 흙벽돌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은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벽에는 버트레스(부벽)라고 불리는 돌출부가 있어 규칙적으로 요철이 생겨 단조롭지 않고 음영이 있는 외관을 하고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각 변이나 벽체의 능선은 중앙에서 팽창되어 있는데, 이미 시각적 보정 효과를 노린 표현이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이라크에 위치해 있다.

3. 2. 기능

지구라트는 고대 수메르인, 아카드인, 엘람인, 에블라인, 바빌로니아인들이 지역 종교를 위해 건설한 건축물이다. 각 지구라트는 다른 건물들과 함께 사원 단지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6천년기의 우바이드 시대부터 존재했던 융기된 플랫폼에서 발전하였다. 지구라트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플랫폼 위에 평평한 꼭대기를 가진 마스타바와 같은 구조로, 햇볕에 말린 벽돌을 중심으로 하고 바깥쪽은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 각 단계는 아래 단계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졌으며, 마감재는 종종 다양한 색상으로 유약을 칠해 점성술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고고학자 해리엇 크로포드에 따르면, 지구라트가 신전을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물리적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침식으로 인해 현재 남아있는 지구라트는 원래 높이보다 낮아졌지만, 문헌 증거를 통해 신전의 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지구라트가 이전의 플랫폼 위의 사원에서 발전했고, 작은 신사가 가장 높은 단계에 있었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신전에 접근하는 방법은 지구라트의 한쪽 면에 있는 경사로 또는 기저에서 정상까지 이어지는 나선형 경사로였다.

메소포타미아 지구라트는 공공 예배나 의식을 위한 장소가 아닌 신들의 거처로 여겨졌으며, 각 도시에는 그 도시를 수호하는 신이 있었다. 지구라트나 그 기저의 방에는 사제들만 출입이 허용되었고, 이들은 신들을 돌보고 그들의 필요를 채우는 책임을 맡았다. 사제들은 수메르와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사회에서 매우 강력한 구성원이었다.

가장 잘 보존된 지구라트 중 하나는 이란 서부에 있는 초가 잠빌이며,[7] 이란 카샨에 있는 시알크 지구라트는 기원전 3천년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지구라트로 알려져 있다.[8][9] 지구라트 디자인은 사원이 놓인 단순한 기단에서 여러 층의 테라스로 이뤄지고 사원으로 꼭대기가 장식된 수학 및 건축의 경이로운 구조까지 다양했다.

단순한 지구라트의 예는 고대 수메르의 우루크에 있는 백색 신전이다. 지구라트 자체는 백색 신전이 세워진 기단으로, 신전을 하늘에 더 가깝게 하고 계단을 통해 지상에서 신전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이 피라미드 사원이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고 믿었다. 바빌론의 지구라트는 에테메난키로 알려졌는데, 이는 수메르어로 "하늘과 땅의 기초의 집"을 의미한다.

바빌론 지구라트의 원래 건설 날짜는 기원전 14세기에서 9세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되지만, 문헌 증거는 기원전 2천년기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0] 현재 이 거대한 구조물의 기저조차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고고학적 발견과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이 탑은 일곱 개의 다색 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꼭대기에는 절묘한 비율의 사원이 있었다. 이 신전은 남색으로 칠해져 층의 꼭대기와 일치하는 색상을 유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전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계단이 있었으며, 그 중 두 개(측면을 따라)는 지구라트 높이의 절반만 올라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3. 3. 상징성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각 지구라트의 꼭대기에는 신전이 있었지만, 이러한 신전은 남아 있지 않다.[11] 기능적으로, 지구라트는 매년 저지대를 침수시키고 가끔 수백 킬로미터까지 범람하는 물에서 사제들이 피할 수 있는 높은 장소를 제공했다.[11] 또한 지구라트는 보안을 제공했는데, 신전은 세 개의 계단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소수의 경비병은 사제가 아닌 사람들이 엘레우시스 비의와 같은 입문 의식, 희생 제물 요리 및 희생 동물 소각과 같은 지구라트 꼭대기 신전의 의식을 하는것을 감시 할 수 있었다.[11] 각 지구라트는 안뜰, 창고, 욕실, 거주 공간을 포함하는 사원 단지의 일부였으며, 그 주변으로 도시가 퍼져 있었다.[11]

알 자쿠라 빌딩 (Al Zaqura Building), 1970년대 바그다드에 건설됨

4. 의의 및 영향

바벨탑의 성경 기록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메소포타미아의 거대한 지구라트 건설 사업과 연관되어 왔으며,[12] 특히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복원된 바벨탑 석비에 비추어 바빌론의 에테메난키 지구라트와 연관되어 왔다.[13]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이집트 피라미드의 디자인, 특히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사카라의 조세르왕의 피라미드, 기원전 2600년)의 계단식 디자인은 메소포타미아에서 건설된 지구라트에서 진화했을 수 있다.[14] 다른 이들은 조세르왕의 피라미드와 초기 이집트 피라미드는 벤치 모양의 마스타바 무덤에서 지역적으로 파생되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15][16]

지구라트의 형태는 1970년대부터 현대 건축과 브루탈리즘 건축에서 부활했다. 알 자쿠라 빌딩은 이라크 바그다드에 위치한 정부 건물이다. 이곳은 이라크 총리의 사무실로 사용된다. 바그다드의 바빌론 호텔 또한 지구라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체트 홀리필드 연방 빌딩은 그 형태 때문에 구어체로 "지구라트"로 알려져 있다. 이 건물은 1968년에서 1971년 사이에 건설된 미국 정부 건물로, 캘리포니아 라구나 니겔에 위치해 있다. 더 많은 예시로는 캘리포니아 웨스트 새크라멘토의 더 지구라트와 런던의 SIS 빌딩이 있다.

도버 항구의 P&O 건물.

4. 1. 현대 건축에의 영향

바벨탑의 성경 기록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메소포타미아의 거대한 지구라트 건설 사업과 연관되어 왔으며,[12] 특히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복원된 바벨탑 석비에 비추어 바빌론의 에테메난키 지구라트와 연관되어 왔다.[13]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이집트 피라미드의 디자인, 특히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사카라의 조세르왕의 피라미드, 기원전 2600년)의 계단식 디자인은 메소포타미아에서 건설된 지구라트에서 진화했을 수 있다.[14] 다른 이들은 조세르왕의 피라미드와 초기 이집트 피라미드는 벤치 모양의 마스타바 무덤에서 지역적으로 파생되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15][16]

지구라트의 형태는 1970년대부터 현대 건축과 브루탈리즘 건축에서 부활했다. 알 자쿠라 빌딩은 이라크 바그다드에 위치한 정부 건물로, 이라크 총리의 사무실로 사용된다. 바그다드의 바빌론 호텔 또한 지구라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체트 홀리필드 연방 빌딩은 그 형태 때문에 구어체로 "지구라트"로 알려져 있으며, 1968년에서 1971년 사이에 건설된 미국 정부 건물로, 캘리포니아 라구나 니겔에 위치해 있다. 더 많은 예시로는 캘리포니아 웨스트 새크라멘토의 더 지구라트와 런던의 SIS 빌딩이 있다.

참조

[1] 서적 Uruk: First City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9
[2] 웹사이트 Search Entry http://www.assyrianl[...] 2020-07-30
[3] 웹사이트 Search Entry http://www.assyrianl[...] 2020-07-30
[4] 웹사이트 מילון מורפיקס {{!}} זקר באנגלית {{!}} פירוש זקר בעברית https://www.morfix.c[...] 2020-07-30
[5] 문서 see also Akkadian ''[http://www.assyrianlanguages.org/akkadian/dosearch.php?searchkey=5918&language=id zaqru]'' 'protruding, high', corresponding to Hebrew ''[https://www.morfix.co.il/%D7%96%D7%A7%D7%95%D7%A8 zaqur]'' (זָקוּר) 'protruding out, upwards'
[6] 웹사이트 The Ziggurat of Ur http://www.mesopotam[...] 2017-11-24
[7] 웹사이트 Tchogha Zanbi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7-07-15
[8] 서적 The Neolithisation of Iran: the formation of new societies British Association for Near Eastern Archaeology and Oxbow Books
[9] 간행물 The Neolithic to Chalcolithic Transition in the Qazvin Plain, Iran: Chronology and Subsistence Strategies
[10] 간행물 The Tower of Babel: Archaeology, history, and cuneiform texts http://eprints.soas.[...]
[11] 간행물 Aramco World Magazine 1968-03
[12]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13] 웹사이트 MS 2063 - The Schoyen Collection https://www.schoyenc[...] 2020-07-30
[14] 서적 Middle East Patterns, Student Economy Edition: Places, People,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15] 서적 How the Great Pyramid Was Built By Craig B. Smith https://books.google[...]
[16] 서적 How to Survive in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History 2020-04-29
[17] 문서 IPAc-en|ˈ|z|ɪ|g|ʊ|ˌ|r|æ|t。言語圏によって読み方が異なるが、英語では「ジグラット」や「ジギュラート」等と発音する。
[18] 서적 室内学入門 建築資料研究社
[19] 서적 ビジュアル解説 インテリアの歴史 秀和システム
[20] 서적 세상엔 알고 싶은 건축물이 너무도 많아 어크로스 2022
[21] 문서 스기모토 다쓰히코 외(2022), 22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