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지느러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지느러미는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 동물의 신체 부위로, 주로 추진, 운동 제어, 생식, 방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지느러미는 쌍을 이루는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쌍을 이루지 않는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등으로 구분되며, 각 지느러미는 동물의 종류와 생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왔다. 지느러미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운동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부 동물에서는 짝짓기, 먹이 유인, 방어 등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특히, 지느러미의 진화는 육상 동물의 다리 진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로봇 기술에도 응용되어 수중 로봇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상어 지느러미 절단과 같은 남획은 상어 개체 수 감소를 초래하며, 상어 지느러미 수프 소비와 관련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육뼈대계 - 근수축
    근수축은 힘과 길이에 따라 등척성, 등장성 등으로 분류되며, 활주 필라멘트 이론에 의해 근원섬유, 미오신, 액틴 등의 단위로 이루어져 골격근, 평활근, 심근 등에서 발생하고, 루이지 갈바니의 전기 자극 실험을 시작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근육뼈대계 - 볼프의 법칙
    뼈는 가해지는 하중에 반응하여 재형성되는 볼프의 법칙에 따라 기계적 변환을 통해 하중을 감지하고, 골세포와 골전구 세포를 이용하여 재형성이 조절되며, 테니스 선수 팔 뼈 강화, 역도 선수 골밀도 증가, 우주비행사 골밀도 감소 등이 그 예시이다.
  • 어류해부학 - 아가미
    아가미는 수생 동물이 물속에서 산소를 흡수하도록 돕는 다양한 형태의 호흡 기관이며, 얇은 구조와 역류 교환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적인 기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 어류해부학 - 등지느러미
    등지느러미는 수생 척추동물의 등 중앙선에 위치하여 몸의 좌우 기울임을 방지하고 방향 전환을 돕는 짝을 이루지 않는 지느러미이며, 일부 어종은 추진력, 먹이 유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종을 식별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지느러미
개요
물고기 지느러미 다이어그램
경골어류의 지느러미 (1) 가슴지느러미 (쌍지느러미), (2) 배지느러미 (쌍지느러미), (3) 등지느러미, (4) 기름지느러미, (5) 뒷지느러미, (6) 꼬리지느러미
정의물고기 몸에서 뻗어나온 뼈로 덮인 피부의 가시 또는 광선
기능
주요 기능추진력
방향 조절
안정
종류
쌍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홀지느러미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기타기름지느러미
가시
구조
골격연골
경골
피부피부로 덮임
광선가시 광선
연골 광선
진화
초기 형태원시적인 피부 주름 형태에서 진화
다양성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
활용
수영물을 밀어 추진력을 얻음
몸의 방향을 바꿈
안정성자세를 유지하고 균형을 잡음
생존먹이 포획
포식자 회피
추가 정보
중요성물고기의 생존과 생태계에 필수적
연구지느러미의 진화와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진행
변형종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기능을 가짐

2. 종류

(등뼈 지느러미)

140px
상어의 등지느러미
납줄개의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항문지느러미
140px
뒷지느러미/항문지느러미는 배쪽 표면에 항문/총배설강 뒤에 위치한다.기름지느러미
140px
송어의 기름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뒤쪽과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쪽 등에 있는 부드럽고 살찐 지느러미이다. 많은 어류 과에는 없지만, 진정골어류목 중 9개(퍼코프시포르메스목, 마이크토피포르메스목, 오울로피포르메스목, 스토미이포르메스목, 연어목, 청어목, 카라신목, 메기목 및 아르젠티니포르메스목)에서 발견된다.[7] 이 목의 유명한 대표는 연어, 카라신과 및 메기이다.꼬리지느러미
(꼬리 지느러미)
140px


140px
불균형 꼬리지느러미 (A)

140px
균형 꼬리지느러미 (C)
꼬리지느러미는 꼬리자루 끝에 위치한 꼬리지느러미이다. 대부분의 분류군에서 추진력에 사용된다. 꼬리지느러미는 축골격의 척추와 지느러미뼈(방사골)에 의해 지지된다.꼬리 용골

작은 지느러미
140px
일부 종류의 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는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에 수평 꼬리 용골을 가지고 있다. 배의 용골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꼬리자루의 측면 돌기이며, 일반적으로 비늘로 구성되어 꼬리지느러미에 안정성과 지지력을 제공한다. 각 측면에 하나씩 쌍을 이루는 용골이 있거나, 위아래로 두 쌍이 있을 수 있다.


2. 1. 쌍을 이루는 지느러미

지느러미는 '''쌍을 이루는 것'''과 '''쌍을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뉜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쌍을 이루는 반면,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쌍을 이루지 않으며 몸의 중앙선을 따라 위치한다. 모든 종류의 지느러미에 대해, 진화 과정에서 특정 지느러미가 사라진 많은 어류 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팔 지느러미)
140px
쌍을 이루는 가슴지느러미는 각 측면에 위치하며, 보통은 아가미뚜껑 바로 뒤에 접혀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네발동물의 앞다리 또는 두발 보행 네발동물의 상지와 상동적이다.
배지느러미/복부지느러미
(배 지느러미)
140px
쌍을 이루는 배지느러미 또는 복부지느러미는 배 지느러미(배/venterla)이며, 일반적으로 가슴지느러미 아래쪽과 뒤쪽에 배쪽으로 위치하지만, 많은 어류 과에서는 가슴지느러미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예: 대구). 이것은 네발동물의 뒷다리 또는 두발 보행 네발동물의 아랫다리와 상동적이다. 배지느러미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위아래로 이동하고, 급격하게 방향을 바꾸고, 빠르게 정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2. 쌍을 이루지 않는 지느러미

지느러미는 '''쌍을 이루는 것'''과 '''쌍을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뉜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쌍을 이루는 반면,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쌍을 이루지 않으며 몸의 중앙선을 따라 위치한다. 모든 종류의 지느러미에 대해, 진화 과정에서 특정 지느러미가 사라진 많은 어류 이 있다.

몸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전진운동을 도우며, 추진력을 내고 몸을 지지하는 지느러미는 극조와 연조로 나눌 수 있다.

등지느러미
(등뼈 지느러미)
뒷지느러미/항문지느러미 뒷지느러미/항문지느러미는 배쪽 표면에 항문/총배설강 뒤에 위치한다.
지방지느러미 지방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뒤쪽과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쪽 등에 있는 부드럽고 살찐 지느러미이다. 많은 어류 과에는 없지만, 31개의 진정골어류목 중 9개에서 발견된다.[7]
꼬리지느러미
(꼬리 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꼬리자루 끝에 위치한 꼬리지느러미이다. 대부분의 분류군에서 추진력에 사용된다. 꼬리지느러미는 축골격의 척추와 지느러미뼈(방사골)에 의해 지지된다.
꼬리 용골

작은 지느러미
일부 종류의 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는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에 수평 꼬리 용골을 가지고 있다. 배의 용골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꼬리자루의 측면 돌기이며, 일반적으로 비늘로 구성되어 꼬리지느러미에 안정성과 지지력을 제공한다. 각 측면에 하나씩 쌍을 이루는 용골이 있거나, 위아래로 두 쌍이 있을 수 있다.


3. 경골어류의 지느러미

경골어류는 경골어강이라는 분류군을 형성한다. 경골어류는 단단한 뼈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연골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진 연골어강과 대조적이다. 경골어강은 조기어아강과 육기어아강으로 나뉜다. 어류의 대부분은 조기어아강에 속하며, 3만 종이 넘는 매우 다양하고 풍부한 그룹으로, 현존하는 척추동물 중 가장 큰 분류군이다. 먼 옛날에는 육기어아강이 많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거의 멸종되어 현생종은 8종뿐이다. 경골어류는 극조(棘條)와 인상조(鱗狀條)라고 불리는 극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레(swim bladder, 浮き袋)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어류는 지느러미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상과 침강 사이의 중립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부레가 없는 어류도 많으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실러캔스(ハイギョ)로, 부레가 진화한 경골어류의 공통 조상으로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원시적인 폐를 가진 어류이다. 또한 경골어류는 아가미뚜껑(鰓蓋)이 있으며, 이는 지느러미를 사용하지 않고 헤엄치는 것을 보조하는 호흡을 돕는다.[13]

대구과 어류인 큰입배가자미의 골격


|thumb|160px|right|조기어강의 골격

3. 1. 육기어류

육기어류는 총기류(Sarcopterygii)라고 불리는 경골어류의 한 강이다. 이들은 살집 있고, 엽상의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련의 뼈로 몸에 연결되어 있다.[16] 육기어류의 지느러미는 다른 모든 어류의 지느러미와 다르게 각각 몸에서 뻗어나온 살집 있고, 엽상이며, 비늘로 덮인 줄기에 붙어 있다.[118] 가슴 지느러미는 사지동물의 사지와 비슷한 관절을 가지고 있다.[118] 이러한 지느러미는 진화하여 최초의 사지동물 육상 척추동물(양서류)의 다리가 되었으며, 데본기 시대에 나타났다. 총기류는 대부분의 조기어류(일부 진골어류 제외)의 단일 등지느러미와는 달리, 밑 부분이 분리된 두 개의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이질적인(화석 분류군만 해당) 또는 이분적인 꼬리지느러미이다.

실러캔스와 같이 지느러미가 있는 육기어류는 몸에서 뻗어나온 살집 있고, 엽상이며, 비늘로 덮인 줄기에 지느러미가 붙어 있다. 많은 지느러미 덕분에 실러캔스는 기동성이 뛰어나 물속에서 거의 모든 방향으로 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Latimeria chalumnae''(시트론 / CC-BY-SA-3.0)의 살집 있는 엽상의 가슴지느러미


현존하는 실러캔스 ''Latimeria chalumnae''(시트론 / CC-BY-SA-3.0)의 가슴띠와 지느러미 골격


육기아강(肉鰭亜網)의 어류는 이 실러캔스(シーラカンス)처럼 살덩이 같은 귀 모양의 지느러미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많은 지느러미 덕분에 실러캔스는 기동성이 높아 수중에서 거의 모든 방향으로 몸을 향할 수 있다.


실러캔스는 현존하는 육기어류의 한 종류이다. 이 그룹의 현존하는 두 종인 서인도양 실러캔스(''Latimeria chalumnae'')와 인도네시아 실러캔스(''Latimeria menadoensis'')는 ''Latimeria'' 속에 속한다. 실러캔스는 데본기 초기에 약 4억 8백만 년 전에 현재의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119]

실러캔스의 운동은 독특하다. 실러캔스는 주로 해류의 상승류나 하강류를 이용하여 이동한다.[120] 이들은 물속에서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사용한다. 해저에 있을 때는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이동에 사용하지 않는다. 실러캔스는 꼬리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빠르게 출발할 수 있는 추진력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지느러미 덕분에 실러캔스는 기동성이 뛰어나 물속에서 거의 모든 방향으로 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120] 실러캔스는 거꾸로 서서 헤엄치거나 배를 위로 향한 채 헤엄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로스털 기관은 실러캔스에게 전기 감각을 제공하여 장애물을 피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120]

폐어 또한 현존하는 육기어류이다. 폐어는 아프리카(''프로토프테루스속''), 오스트레일리아(''네오세라토두스속''), 남아메리카(''레피도시렌속'')에 서식한다. 폐어는 데본기 시대에 진화했다. 유전자 연구와 고생물학적 자료는 폐어가 육상 척추동물과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임을 확인시켜 준다.[17]

지느러미 배열과 몸의 모양은 육기어류에서 비교적 보수적이다. 그러나 화석 기록에는 ''앨레니프테루스속'', ''레벨라트릭스속'', ''포레이아속'' 또는 사지형류와 같이 변칙적인 형태를 보이는 몇 가지 예가 있다.

''Neoceratodus forsteri''영어


3. 2. 조기어류

대구의 일종인 명태는 조기류로, 세 개의 등지느러미와 두 개의 뒷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조기류는 경골어류의 한 강으로, 극조강(Actinopterygii)이라고 불린다. 조기류의 지느러미는 가시 또는 줄기(ray)를 포함하며, 가시 줄기만, 연조만, 또는 그 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18] 만약 둘 다 존재한다면, 가시 줄기는 항상 앞쪽에 위치한다. 가시는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날카롭다. 줄기는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하며, 분절되어 있으며, 가지를 칠 수 있다. 줄기의 이러한 분절은 가시와 구별하는 주요 차이점이다. 가시는 특정 종에서는 유연할 수 있지만,[19] 절단되지 않는다.[20][21]

가시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메기에서는 방어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많은 메기는 가시를 바깥쪽으로 고정할 수 있다. 쥐치도 가시를 사용하여 틈에 자신을 고정시켜 잡아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골질조(lepidotrichia)는 일반적으로 뼈로 구성되지만, 초기 경골어류 - 예를 들어 ''키롤레피스(Cheirolepis)'' - 는 상아질과 법랑질도 가지고 있었다.[22] 골질조는 분절되어 있고, 서로 겹쳐 쌓인 일련의 원반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피부 비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2] 지느러미 줄기 형성의 유전적 기반은 특정 단백질 생산에 대한 유전자로 여겨진다. 엽상지느러미를 가진 어류에서 사지동물의 사지로의 진화는 이러한 단백질의 상실과 관련이 있다는 제안이 있다.[23]

4. 연골어류의 지느러미

연골어류는 연골어강(Chondrichthyes)에 속하는 어류로, 뼈 대신 연골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진다. 이 강에는 상어, 가오리류, 흉상어류가 포함된다.[24]

상어 지느러미 골격은 길쭉하고 부드러우며 분절되지 않은 '''케라토트리키아(ceratotrichia)'''라는 탄력있는 단백질 섬유로 지지된다. 이는 머리카락과 깃털의 각질(keratin)과 유사하다.[24] 가오리류에서는 흉지느러미가 머리에 연결되어 매우 유연하다. 대부분의 상어는 헤테로세르칼 꼬리(heterocercal tail)를 가지는데, 이는 이동에 도움이 된다.[24]

상어의 지느러미는 케라토트리키아(ceratotrichia)라는 연골조직으로 지지된다.


현대 연골어류와 달리, 멸종된 클리마티드(climatiids)와 멸종된 디플라칸티드(diplacanthids)는 짝을 이룬 지느러미와 관련된 피부 가시뿐만 아니라 흉부 피부판도 가지고 있었다.[26]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가장 오래된 종은 중국 하부 실루리아기(아에로니안절)에서 발견된 멸종된 아칸토디안(acanthodian) 멸종된 ''판징산니아 레노바타(Fanjingshania renovata)''이다.[27] 등지느러미 가시는 현존하는 연골어류에서는 드물지만, 멸종된 히보돈티류(Hybodontiformes), 멸종된 크테나칸투스류(Ctenacanthiformes) 또는 멸종된 크세나칸티다(Xenacanthida)와 같은 많은 화석 그룹에서 일반적으로 발달되었다.

대부분의 물고기와 마찬가지로 상어의 꼬리는 추진력을 제공하며, 속도와 가속도는 꼬리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상어는 등쪽 부분이 배쪽 부분보다 현저하게 큰 헤테로세르칼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상어의 척추가 등쪽 부분으로 뻗어 있어 근육 부착을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기 때문이다.[28]

범상어는 큰 위쪽 엽을 가지고 있어 느린 순항과 갑작스러운 속도 증가가 가능하다. 살상어처럼 정어리와 청어와 같은 떼 지어 사는 물고기를 사냥하는 상어는 빠르게 헤엄치는 먹이를 따라잡는 데 도움이 되는 큰 아래쪽 엽을 가지고 있다.[29] 청상어가 강력하고 길쭉한 위쪽 엽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오징어를 기절시키는 것과 같이, 꼬리는 상어가 먹이를 더 직접적으로 잡는 데 도움이 된다.

흰점상어의 꼬리지느러미


가오리는 추진력을 위해 확장된 흉지느러미에 의존한다. 비슷하게 확장된 흉지느러미는 홀로세팔리(Holocephali)(흉상어류와 그 화석 친척)에 속하는 멸종된 페탈로돈티류(Petalodontiformes) 또는 멸종된 ''아퀼로람나(Aquilolamna)''(셀라키모르파(Selachimorpha)])와 멸종된 ''

5. 지느러미의 기능

5. 1. 추진력 발생

익형 모양의 지느러미는 움직일 때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지느러미의 양력이 물이나 공기를 움직이게 하여 지느러미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다. 수생 동물은 지느러미를 물속에서 앞뒤로 움직여 상당한 추력을 얻는다. 종종 꼬리지느러미가 사용되지만, 일부 수생 동물은 가슴지느러미로부터 추력을 발생시킨다.[93] 물고기는 수직 꼬리지느러미를 좌우로 움직여 추력을 얻고, 가오리는 큰 가슴지느러미로 추력을 얻는다.

공동 현상은 음압으로 인해 액체 내에 기포(공동)가 형성된 후 즉시 격렬하게 붕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상당한 손상과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35] 공동 현상으로 인한 손상은 돌고래와 참치와 같은 강력한 수영을 하는 해양 동물의 꼬리지느러미에 발생할 수 있는데, 해양 표면 근처에서 더 발생하기 쉽다. 돌고래는 꼬리에 붕괴되는 공동 기포가 너무 고통스러워 속도를 제한해야 할 수 있지만,[36] 참치는 신경 말단이 없는 뼈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기포를 느끼지 못함에도 공동 기포가 지느러미 주변에 증기막을 생성하여 속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더 빨리 헤엄칠 수 없다. 참치에게서 공동 현상 손상과 일치하는 병변이 발견되었다.[36]

전갱이과 어류(참치, 고등어, 가다랭이)는 특히 고성능 수영 선수이며, 몸 뒤쪽 가장자리를 따라 작고 광선이 없는, 움츠릴 수 없는 지느러미인 소지느러미가 줄지어 있다. 2000년과 2001년 연구에 따르면 "소지느러미는 안정적인 수영 중 국부적인 흐름에 유체 역학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며, "가장 뒤쪽의 소지느러미는 흐름을 발달하는 꼬리 와류로 돌리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수영하는 고등어의 꼬리가 생성하는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37][38][39]

물고기는 여러 지느러미를 사용하므로, 주어진 지느러미가 다른 지느러미와 유체 역학적 상호 작용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꼬리(미) 지느러미 바로 상류에 있는 지느러미는 꼬리 지느러미의 유동 역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접 지느러미일 수 있다. 2011년에 체적 영상 기술을 사용한 연구자들은 "자유롭게 헤엄치는 물고기가 생성하는 후류 구조의 첫 번째 순간적인 3차원 보기"를 생성할 수 있었고, "연속적인 꼬리 움직임은 연결된 고리 와류 사슬의 형성으로 이어졌다"는 것과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후류는 후속 꼬리 움직임의 시간 틀 내에서 대략 꼬리 지느러미 후류에 의해 빠르게 흡입된다"는 것을 발견했다.[40]

5. 2. 운동 제어

물고기는 운동을 시작한 후 다른 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운동 자체를 제어할 수 있다.[93][41] 물고기는 배나 비행기처럼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및 회전 운동(피칭, 요잉, 롤링)을 포함하는 6자유도를 제어해야 한다.[42][43][44]

산호초 어류는 외양 어류와 몸 모양이 다른 경우가 많다. 외양 어류는 속도를 내기 위해 유선형으로 만들어졌지만, 산호초 어류는 제한된 공간과 복잡한 환경에서 기동성이 중요하므로 방향 전환과 급선회 능력을 최적화하는 몸을 발달시켰다.[46] 나비고기, 데미셀피시, 엔젤피시와 같은 많은 산호초 어류는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브레이크처럼 사용하여 복잡한 기동을 가능하게 한다.[47] 또한, 이들은 팬케이크처럼 옆으로 납작한 몸을 진화시켜 바위 틈새에 들어갈 수 있도록 배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를 발달시켰다.[46] 복어, 가시복, 상자돔과 같은 일부 어류는 헤엄치는 데 가슴지느러미에 의존하고 꼬리지느러미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47]

5. 3. 생식

수컷 연골어류(상어와 가오리)와 일부 난태생 경골어류의 수컷은 교미 기관으로 기능하도록 변형된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내부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생식 부속지이다.[48][49] 경골어류에서는 이를 ''교미기(gonopodia)'' 또는 ''수컷지느러미(andropodia)''라고 하고, 연골어류에서는 ''교접기(claspers)''라고 한다.

''교미기(Gonopodia)''는 아나블렙스과와 검정모기고기과과의 일부 종의 수컷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움직일 수 있는 교미 기관으로 기능하도록 변형된 항문 지느러미이며, 짝짓기 중에 암컷에게 정액을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50] 수컷의 항문 지느러미의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가시는 정자가 배출되는 관 모양의 구조로 형성된다.[50] 짝짓기를 할 준비가 되면 교미기는 똑바로 서서 암컷을 향해 앞으로 향한다. 수컷은 잠시 기관을 암컷의 생식구에 삽입하는데, 이때 고리 모양의 적응으로 암컷을 잡아 수정을 확실히 한다. 암컷이 정지하고 파트너가 자신의 교미기로 암컷의 항문에 접촉하면 수정된다. 정자는 암컷의 난관에 보관된다. 이를 통해 암컷은 수컷의 추가적인 도움 없이 언제든지 스스로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종에서는 교미기가 전체 몸길이의 절반에 달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자칼리테트라 헬레리''의 "긴꼬리" 품종과 같이 지느러미가 너무 길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호르몬 처리된 암컷은 교미기를 발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번식에는 쓸모없다.

''교접기(Clasper)''는 연골어류 수컷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교미 기관으로 기능하도록 변형된 골반지느러미의 후부이며, 교미 중에 암컷의 항문으로 정액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상어의 짝짓기 행위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체공을 통해 사이펀으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교접기 중 하나를 들어 올리는 것이 포함된다.[53][54] 그런 다음 교접기를 항문에 삽입하여 우산처럼 열어 위치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사이펀이 수축하여 물과 정액을 배출하기 시작한다.[53][54]

다른 어류에서도 비슷한 특징을 가진 기관이 발견되는데, 예를 들어 ''헤미람포돈'' 또는 굿데과[51]의 ''수컷지느러미(andropodium)''가 있다.

5. 4. 기타 기능

지느러미는 해저에서 걷거나 서 있기, 물 위를 활강하기, 체온 조절, 먹이 기절시키기, 과시(포식자 위협, 구애), 방어(독이 있는 지느러미 가시, 산호 사이 고정), 먹이 유인, 부착 구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55][56]

바다돛새치는 눈에 띄는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헤엄칠 때 몸의 홈에 넣어 유선형을 만든다.[55] 바다돛새치의 거대한 등지느러미는 대부분 접혀 있지만, 작은 물고기 떼를 모으거나 활동량이 많은 후 체온을 식히기 위해 펼치기도 한다.[55][56] 개구리물고기는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바다 바닥을 따라 걷는다.[57] 날치는 확장된 가슴지느러미 덕분에 물 표면 위로 활강할 수 있다. 여우상어는 매우 긴 꼬리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먹이를 기절시킨다. 삼각대물고기는 긴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해 바다 바닥에서 움직이고 서 있는다.

동방날치둑지는 큰 가슴지느러미를 평소에는 몸에 붙이고 있다가 위협을 받으면 펼쳐 포식자를 놀라게 한다. 저서어인 동방날치둑지는 배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바다 바닥을 따라 걷는다.[58][59]

지느러미는 성적 장식으로서 적응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구애 중에 암컷 시클리드인 ''Pelvicachromis taeniatus''는 크고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보라색 배지느러미를 보여준다. 연구에 따르면 수컷은 더 큰 배지느러미를 가진 암컷을 선호하며, 암컷 물고기의 배지느러미가 다른 지느러미보다 불균형적으로 더 크게 자란다.[60][61]

놀래기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산호 틈으로 들어가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가시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고정한다.[62] 낚시꾼물고기의 등지느러미 첫 번째 가시는 변형되어 먹이를 유인하는 낚싯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미끼가 된다. 빨판상어는 변형된 첫 번째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타원형의 빨판 모양의 기관으로 다른 해양 생물에 붙어 있다. 라이온피시는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뒷지느러미에 독성 가시(지느러미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방어에 사용한다.

6. 지느러미의 진화

## 지느러미의 진화

### 쌍지느러미의 진화

어류의 짝지느러미(쌍지느러미) 진화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가설은 아가미궁설과 측면 지느러미 주름설이다. 1870년에 제시된 "게겐바우어 가설"이라고도 불리는 아가미궁설은 짝지느러미가 아가미 구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63][156] 1876년 카를 게겐바우어(Karl Gegenbaur)는 모든 척추동물의 쌍지느러미와 사지가 원시지느러미의 변형이라는 상동성(Homology (biology)) 모델을 제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흉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와 같은 쌍으로 된 부속물은 아가미궁에서 분화되어 뒤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다.[65][158] 그러나 화석 기록에는 이 가설을 뒷받침할 형태학적, 계통발생학적 증거가 제한적이며,[66][159] 골반지느러미의 전후 이동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67][160]

1877년에 처음 제안된 측면 지느러미 주름설은 짝지느러미가 아가미 바로 뒤의 표피를 따라 세로로 뻗은 측면 주름에서 싹튼다고 주장하며 아가미궁설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64][157] 이 이론은 쌍지느러미가 물고기의 체벽을 따라 있는 측면 주름에서 발달했다고 가정한다.[161] 그러나 화석 기록에서 측면 주름에서 지느러미로의 전이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었으며,[68][162] 흉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가 서로 다른 진화적 및 기전적 기원에서 유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66][159]

최근 짝지어진 부속지의 발생과 진화에 대한 연구는 칠성장어와 같이 짝지어진 지느러미가 없는 척추동물을 가장 기본적인 살아있는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가진 척추동물인 연골어류(Chondrichthyes)와 비교하였다.[69][163] 2006년 연구자들은 중앙 지느러미의 분절화 및 발달에 관여하는 동일한 유전자 프로그래밍이 흉상어의 짝지어진 부속지 발달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70][164] 2009년 시카고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연골어류 아가미궁과 짝지어진 지느러미의 초기 발달에 공유된 분자 패턴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1][165]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가미궁 이론에 대한 재고를 촉구하였다.[68][162]

### 지느러미에서 사지로의 진화

어류는 모든 포유류, 파충류, 조류, 양서류의 조상이다.[72] 특히, 육상 사지동물(네 발 달린 동물)은 어류에서 진화하여 약 3억 9천만 년 전에 처음으로 육지로 진출했다.[73] 이들은 이동을 위해 짝을 이룬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사용했으며, 가슴지느러미는 앞다리(인간의 경우 팔)로, 배지느러미는 뒷다리로 진화했다.[74] 사지동물의 걸어 다니는 다리를 만드는 유전적 기구의 상당 부분은 이미 어류의 헤엄치는 지느러미에 존재한다.[75][76]

A) 엽상지느러미 어류의 헤엄치는 지느러미와 B) 사지동물의 걸어 다니는 다리의 비교. 서로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뼈는 같은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사 구조와 상동구조의 차이를 인식하고 다음과 같은 예언적인 비교를 했다. "새는 어떤 면에서 물고기와 닮았다. 새는 몸의 위쪽에 날개가 있고 물고기는 몸의 앞쪽에 두 개의 지느러미가 있다. 새는 몸의 아랫부분에 발이 있고 대부분의 물고기는 몸의 아랫부분과 앞지느러미 근처에 두 번째 지느러미 한 쌍을 가지고 있다."[77]

2011년, 호주 모나쉬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원시적이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폐어를 사용하여 "골반 지느러미 근육의 진화를 추적하여 사지동물의 하중 지지 뒷다리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알아냈습니다." [78][79] 시카고 대학교의 추가 연구에 따르면 바닥을 걷는 폐어는 이미 육상 사지동물의 보행 자세의 특징을 진화시켰다.[80][81]

수렴 진화의 전형적인 예에서, 익룡의 앞다리, 조류 및 박쥐는 독립적인 경로를 따라 날개로 더욱 진화했다. 나는 날개가 있더라도 걸어 다니는 다리와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가슴지느러미의 유전적 청사진의 핵심 측면은 유지되었다.[82][83]

평행하지만 독립적인 진화에서 고대 파충류 ''이크티오사우루스 코무니스(Ichthyosaurus communis)''는 물고기(또는 돌고래)와 매우 유사한 지느러미(또는 플리퍼)를 발달시켰습니다.


최초의 포유류는 트라이아스기(2억 5190만 년 전에서 2억 140만 년 전 사이)에 나타났습니다. 이들 포유류의 여러 그룹은 바다로 돌아가기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고래목(고래, 돌고래, 돌고래)가 포함된다. 최근 DNA 분석에 따르면 고래목은 우제류 내에서 진화했으며, 하마와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84][85] 약 2300만 년 전에 곰 같은 또 다른 육상 포유류 그룹이 바다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바다표범이다.[86] 고래와 바다표범에서 걸어 다니는 다리가 된 것은 독립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헤엄치는 지느러미로 진화했다. 앞다리는 플리퍼가 되었고, 뒷다리는 사라지거나(고래목) 플리퍼로 변형되었습니다(바다표범). 고래목에서는 꼬리 끝에 두 개의 지느러미, 즉 꼬리지느러미가 생겼다.[87] 물고기 꼬리는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좌우로 움직입니다. 고래목 꼬리지느러미는 수평이고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는 고래목의 척추가 다른 포유류와 같은 방식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입니다.[88][89]

돌고래와 이크티오사우루스 모두에서 완전히 수생 생활에 대한 유사한 적응이 발견됩니다.


이크티오사우루스는 돌고래와 닮은 고대 파충류이다. 이들은 약 2억 4500만 년 전에 처음 나타나 약 9000만 년 전에 사라졌다. 육지 조상을 가진 이 해양 파충류는 물고기에 너무 강하게 수렴하여 실제로 수생 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진화시켰다.[90]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이크티오사우루스가 자신의 가장 좋아하는 수렴 진화의 예라고 말했다.[91]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위치(사지, 몸, 꼬리)의 지느러미 또는 플리퍼는 펭귄(날개에서 변형됨), 바다거북(앞다리가 플리퍼로 변형됨), 모사사우루스(사지가 플리퍼로 변형됨), 바다뱀(수직으로 확장된 평평한 꼬리지느러미)과 같은 잠수 조류를 포함한 여러 다른 사지동물 그룹에서도 진화했다.

6. 1. 쌍지느러미의 진화

어류의 짝지느러미(쌍지느러미) 진화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가설은 아가미궁설과 측면 지느러미 주름설이다. 1870년에 제시된 "게겐바우어 가설"이라고도 불리는 아가미궁설은 짝지느러미가 아가미 구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63][156] 1876년 카를 게겐바우어(Karl Gegenbaur)는 모든 척추동물의 쌍지느러미와 사지가 원시지느러미의 변형이라는 상동성(Homology (biology)) 모델을 제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흉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와 같은 쌍으로 된 부속물은 아가미궁에서 분화되어 뒤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다.[65][158] 그러나 화석 기록에는 이 가설을 뒷받침할 형태학적, 계통발생학적 증거가 제한적이며,[66][159] 골반지느러미의 전후 이동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67][160]

1877년에 처음 제안된 측면 지느러미 주름설은 짝지느러미가 아가미 바로 뒤의 표피를 따라 세로로 뻗은 측면 주름에서 싹튼다고 주장하며 아가미궁설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64][157] 이 이론은 쌍지느러미가 물고기의 체벽을 따라 있는 측면 주름에서 발달했다고 가정한다.[161] 그러나 화석 기록에서 측면 주름에서 지느러미로의 전이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었으며,[68][162] 흉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가 서로 다른 진화적 및 기전적 기원에서 유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66][159]

최근 짝지어진 부속지의 발생과 진화에 대한 연구는 칠성장어와 같이 짝지어진 지느러미가 없는 척추동물을 가장 기본적인 살아있는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가진 척추동물인 연골어류(Chondrichthyes)와 비교하였다.[69][163] 2006년 연구자들은 중앙 지느러미의 분절화 및 발달에 관여하는 동일한 유전자 프로그래밍이 흉상어의 짝지어진 부속지 발달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70][164] 2009년 시카고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연골어류 아가미궁과 짝지어진 지느러미의 초기 발달에 공유된 분자 패턴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1][165]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가미궁 이론에 대한 재고를 촉구하였다.[68][162]

6. 2. 지느러미에서 사지로의 진화

어류는 모든 포유류, 파충류, 조류, 양서류의 조상이다.[72] 특히, 육상 사지동물(네 발 달린 동물)은 어류에서 진화하여 약 3억 9천만 년 전에 처음으로 육지로 진출했다.[73] 이들은 이동을 위해 짝을 이룬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사용했으며, 가슴지느러미는 앞다리(인간의 경우 팔)로, 배지느러미는 뒷다리로 진화했다.[74] 사지동물의 걸어 다니는 다리를 만드는 유전적 기구의 상당 부분은 이미 어류의 헤엄치는 지느러미에 존재한다.[75][76]

아리스토텔레스는 상사 구조와 상동구조의 차이를 인식하고 다음과 같은 예언적인 비교를 했다. "새는 어떤 면에서 물고기와 닮았다. 새는 몸의 위쪽에 날개가 있고 물고기는 몸의 앞쪽에 두 개의 지느러미가 있다. 새는 몸의 아랫부분에 발이 있고 대부분의 물고기는 몸의 아랫부분과 앞지느러미 근처에 두 번째 지느러미 한 쌍을 가지고 있다."[77]

2011년, 호주 모나쉬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원시적이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폐어를 사용하여 "골반 지느러미 근육의 진화를 추적하여 사지동물의 하중 지지 뒷다리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알아냈습니다." [78][79] 시카고 대학교의 추가 연구에 따르면 바닥을 걷는 폐어는 이미 육상 사지동물의 보행 자세의 특징을 진화시켰다.[80][81]

수렴 진화의 전형적인 예에서, 익룡의 앞다리, 조류 및 박쥐는 독립적인 경로를 따라 날개로 더욱 진화했다. 나는 날개가 있더라도 걸어 다니는 다리와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가슴지느러미의 유전적 청사진의 핵심 측면은 유지되었다.[82][83]

최초의 포유류는 트라이아스기(2억 5190만 년 전에서 2억 140만 년 전 사이)에 나타났습니다. 이들 포유류의 여러 그룹은 바다로 돌아가기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고래목(고래, 돌고래, 돌고래)가 포함된다. 최근 DNA 분석에 따르면 고래목은 우제류 내에서 진화했으며, 하마와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84][85] 약 2300만 년 전에 곰 같은 또 다른 육상 포유류 그룹이 바다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바다표범이다.[86] 고래와 바다표범에서 걸어 다니는 다리가 된 것은 독립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헤엄치는 지느러미로 진화했다. 앞다리는 플리퍼가 되었고, 뒷다리는 사라지거나(고래목) 플리퍼로 변형되었습니다(바다표범). 고래목에서는 꼬리 끝에 두 개의 지느러미, 즉 꼬리지느러미가 생겼다.[87] 물고기 꼬리는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좌우로 움직입니다. 고래목 꼬리지느러미는 수평이고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는 고래목의 척추가 다른 포유류와 같은 방식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입니다.[88][89]

이크티오사우루스는 돌고래와 닮은 고대 파충류이다. 이들은 약 2억 4500만 년 전에 처음 나타나 약 9000만 년 전에 사라졌다. 육지 조상을 가진 이 해양 파충류는 물고기에 너무 강하게 수렴하여 실제로 수생 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진화시켰다.[90]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이크티오사우루스가 자신의 가장 좋아하는 수렴 진화의 예라고 말했다.[91]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위치(사지, 몸, 꼬리)의 지느러미 또는 플리퍼는 펭귄(날개에서 변형됨), 바다거북(앞다리가 플리퍼로 변형됨), 모사사우루스(사지가 플리퍼로 변형됨), 바다뱀(수직으로 확장된 평평한 꼬리지느러미)과 같은 잠수 조류를 포함한 여러 다른 사지동물 그룹에서도 진화했다.

7. 로봇 지느러미

물고기의 추진에 지느러미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일부 물고기는 90% 이상의 추진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고 계산되었다.[93] 물고기는 잠수함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가속하고 기동하며, 물의 소란과 소음도 적게 발생시킨다. 이는 수중 동물의 이동을 모방하려는 생체 모방적인 수중 로봇 연구로 이어졌다.[94] 한 예로, [http://fibo.kmutt.ac.th/ 현장 로봇 연구소]에서 제작한 로봇 참치는 참치형 운동을 분석하고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5]



1990년대, CIA는 수중 정보를 탐지되지 않고 수집하도록 설계된 '찰리'라는 로봇 메기를 제작했다.[185] 2005년, 런던씨라이프 수족관은 에섹스 대학교 컴퓨터 과학과에서 만든 세 마리의 로봇 물고기를 전시했다. 이 물고기들은 자율적으로 헤엄치고 실제 물고기처럼 장애물을 피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작자는 "참치의 속도, 파이크의 가속도, 뱀장어의 항해 기술을 결합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96][97][98]

독일의 Festo가 개발한 ''아쿠아펭귄''은 펭귄의 유선형 모양과 앞 지느러미를 이용한 추진 방식을 복제한 것이다.[99][100] Festo는 또한 각각 만타, 해파리, 바라쿠다의 이동을 모방한 ''아쿠아레이'',[101] ''아쿠아젤리'',[102] ''아이라쿠다''를 개발했다.[103]

2004년, MIT의 휴 허는 개구리 다리의 근육을 로봇에 이식하고 전기로 근육 섬유를 맥동시켜 로봇을 헤엄치게 함으로써 살아있는 작동기를 가진 생체 기계공학 로봇 물고기의 시제품을 만들었다.[104][105]

로봇 물고기는 물고기 설계의 개별 부분을 나머지 부분과 분리하여 조사할 수 있는 등 일부 연구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생물학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동물 설계의 중요한 측면이 간과될 위험이 있다. 로봇 물고기를 통해 연구자들은 유연성이나 특정 운동 제어와 같이 단일 매개변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연구자들은 살아있는 물고기에서는 쉽지 않은 힘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로봇 장치는 또한 운동 표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운동학 연구와 상관된 유체역학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개별 구성 요소(예: 펄럭이는 부속물의 외적 스트로크 대 내적 스트로크)를 별도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이는 살아있는 동물을 다룰 때 달성하기 어려운 일이다."[106]

8. 남획과 보존 (한국의 관점)

국제인도주의협회(Humane Society International)에 따르면, 매년 약 1억 마리의 상어가 지느러미를 얻기 위해 죽임을 당하는데, 이러한 행위를 상어 지느러미 절단(shark finning)이라고 한다.[32]

상어 지느러미
지느러미가 잘린 상어들은 다시 바다에 버려져 죽게 된다.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상어 지느러미가 고급 요리 재료로 사용되는데, 상어 지느러미 수프(shark fin soup)가 대표적인 예이다.[33] 현재, 상어의 지속 가능성과 복지에 대한 국제적인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상어 지느러미 수프의 소비와 이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34] 많은 국가에서 상어 지느러미 절단은 금지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Muscle activity and hydrodynamic function of pelvic fins in trout ''(Oncorhynchus mykiss)''
[2]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biology, evolution, and ecology John Wiley & Sons
[3] 논문 The Mysterious Little Fatty Fin
[4] 논문 Hydrodynamic and phylogenetic aspects of the adipose fin in fishes http://eprints.uwe.a[...]
[5] 뉴스 Removal of trout, salmon fin touches a nerve http://www.cosmosmag[...] 2011-07-18
[6] 논문 Neural network detected in a presumed vestigial trait: ultrastructure of the salmonid adipose fin
[7] 논문 Developmental residue and developmental novelty – different modes of adipose-fin formation during ontogeny 2013-09-01
[8] 논문 The origins of adipose fins: an analysis of homoplasy and the serial homology of vertebrate appendages
[9] 서적 Hyman's Comparative Vertebrate Anatom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10-18
[10] 논문 On the evolution of bony fishes during the Triassic Period
[11] 서적 Text-book of Paleontology Macmillan and Company
[12] 논문 Redescription of ''Saurichthys madagascariensis'' Piveteau, 1945 (Actinopterygii, Early Triassic), with implications for the early saurichthyid morphotype
[13] 웹사이트 Osteichthyes - Bony Fish https://nhpbs.org/wi[...] New Hampshire PBS 2024-03-31
[1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Dipnoi - the lungfish https://ucmp.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24-03-31
[15] 논문 The Lungfish Transcriptome: A Glimpse into Molecular Evolution Events at the Transition from Water to Land
[16] 서적 Gaining Ground Indiana University
[17] 논문 Support for lungfish as the closest relative of tetrapods by using slowly evolving ray-finned fish as the outgroup
[18]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fishbase[...] 2024-10-01
[19] 웹사이트 Chapter 2 Lesson 2 Fins: Form and Function https://files.dnr.st[...] Minnesot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MinnAqua and th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Sport Fish Restoration 2024-12-05
[20] 웹사이트 Structure and Function - Fish https://manoa.hawaii[...] Curriculum Research & Development Group,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Hawai‘i 2024-12-05
[21] 논문 Form, Function, and Locomotory Habits in Fish Academic Press
[22] 논문 A micro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y of the postcranial dermal skeleton of the Devonian actinopterygian ''Cheirolepis canadensis'' 2016
[23] 논문 Loss of fish actinotrichia proteins and the fin-to-limb transition
[24] 논문 Function of the heterocercal tail in sharks: quantitative wake dynamics during steady horizontal swimming and vertical maneuvering http://jeb.biologist[...]
[25] 웹사이트 A Shark's Skeleton & Organs http://langonigraphi[...] 2009-08-14
[26] 서적 Acanthodii, Stem Chondrichthyes http://worldcat.org/[...] Verlag Dr. Friedrich Pfeil
[27] 논문 Spiny chondrichthyan from the lower Silurian of South China https://www.nature.c[...] 2022-09-01
[28] 웹사이트 Jaws: The Natural History of Sharks http://www.fathom.co[...] Columbia University 2009-08-29
[2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30] 논문 A basal elasmobranch, ''Thrinacoselache gracia'' n. gen and sp., (Thrinacodontidae, new family) from the Bear Gulch Limestone, Serpukhovian of Montana, USA 2008
[31] 논문 The early elasmobranch ''Phoebodus'':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morphology and a new time-scale for shark evolution 2019
[32] 웹사이트 Shark Finning http://www.hsi.org/i[...] Humane Society International
[33] 논문 Shark utilization, marketing and trade http://www.fao.org/D[...] 2013-01-21
[34] 웹사이트 In China, victory for wildlife conservation as citizens persuaded to give up shark fin soup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17-01-20
[35] 서적 Fundamentals of Cavi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36] 뉴스 Dolphins swim so fast it hurts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3-28
[37] 논문 Locomotion in scombrid fishes: visualization of flow around the caudal peduncle and finlets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ttp://jeb.biologist[...]
[38] 논문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finlet kinematics in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ttps://www.biodiver[...]
[39] 논문 Locomotion in scombrid fishes: morphology and kinematics of the finlets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ttp://jeb.biologist[...]
[40] 논문 Volumetric imaging of fish locomotion http://intl-rsbl.roy[...]
[41] 논문 Passive and active flow control by swimming fishes and mammals
[42] 서적 Locomotion by scombrid fishes: Hydromechanics, morphology and behavior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43] 웹사이트 Ship's movements at sea http://www.pomorci.c[...]
[44] 서적 Classical Mechanic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45] 논문 Dorsal fin in the white shark,Carcharodon carcharias: A dynamic stabilizer for fast swimming
[46] 서적 Pisces Guide to Caribbean Reef Ecology https://www.amazon.c[...] Gulf Publishing Company
[47] 웹사이트 Ichthyology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48] 웹사이트 Gambusia affinis http://www.sms.si.ed[...] Smithsonian Institution
[49] 논문 Notes on the Habits, Morphology of the Reproductive Organs, and Embryology of the Viviparous Fish Gambusia affinis https://books.google[...]
[50] 서적 Ichthyology Handbook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1]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Biology, Evolution, and Ecology http://www.blackwell[...] Wiley-Blackwell
[52] 논문 Re-evaluation of the ontogeny and reproductive biology of the Triassic fish ''Saurichthys'' (Actinopterygii, Saurichthyidae)
[53] 웹사이트 System glossary http://www.fishbase.[...]
[54] 서적 The Timetree of Lif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Aquatic Lif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56] 웹사이트 Species Spotlight: Atlantic Sailfish (''Istiophorus albicans'') http://www.littorals[...] littoralsociety.org
[57]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58] 웹사이트 Purple Flying Gurnard, ''Dactyloptena orientalis'' (Cuvier, 1829) http://australianmus[...] Australian Museum
[59] FishBase
[60] 뉴스 Female fish flaunt fins to attract a mate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0-10-08
[61] 논문 Male mate choice scales female ornament allometry in a cichlid fish
[62] 서적 Ken Schultz's Field Guide to Saltwater Fis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3] 논문 Memoirs: Notes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and Origin of the Median and Paired Fins of Fish
[64] 논문 Origin and Comparative Anatomy of the Pectoral Limb
[65] 서적 Elements of Comparative Anatomy Macmillan and Co.
[66] 논문 The Evolution of Paired Fins
[67] 논문 Memoirs: Notes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and Origin of the Median and Paired Fins of Fish
[68] 논문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69] 논문 Insights from Sharks: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Models of Fin Development
[70] 논문 Evidence That Mechanisms of Fin Development Evolved in the Midline of Early Vertebrates
[71] 논문 Shared Developmental Mechanisms Pattern the Vertebrate Gill Arch and Paired Fin Skeletons
[72] 뉴스 Primordial Fish Had Rudimentary Finger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08-09-23
[73] 뉴스 From fins to limbs and water to land https://news.harvard[...] The Harvard Gazzette 2020-11-25
[74] 서적 Fins into Limbs: Evolutio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5] 서적 Your inner fish: A journey into the 3.5 billion year history of the human body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76] 서적 From fins to fee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77] 논문 Understanding nature—form and function www.sicb.org/dl/saaw[...]
[78] 뉴스 Lungfish Provides Insight to Life On Land: 'Humans Are Just Modified Fish'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1-10-07
[79] 논문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Muscles of the Pelvic Fin
[80] 뉴스 A small step for lungfish, a big step for the evolution of walking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1-12-13
[81] 논문 Behavioral evidence for the evolution of walking and bounding before terrestriality in sarcopterygian fishes
[82] 논문 Fossils, genes and the evolution of animal limbs http://genepath.med.[...]
[83] 웹사이트 Vertebrate flight: The three solutions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09-29
[84]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missing link between the dolphin, whale and its closest relative, the hippo http://www.sciencene[...] Science News Daily 2005-01-25
[85] 논문 More DNA support for a Cetacea/Hippopotamidae clade: the blood-clotting protein gene gamma-fibrinogen 1997-05-01
[8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87] 서적 Some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etacean flippers and fluk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whales http://evolution.ber[...]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2012-11-27
[89] 논문 From Land to Water: the Origin of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http://www.evolbiol.[...]
[90] 간행물 Soupy Substrates: A Medium for the Exceptional Preservation of Ichthyosaurs of the Posidonia Shale (Lower Jurassic) of Germany
[91] 서적 Bent Out of Shape https://books.google[...] Norton
[92] 웹사이트 Charlie: CIA's Robotic Fis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06-04
[93] 논문 Review of Fish Swimming Modes for Aquatic Locomotion http://www.mor-fin.c[...]
[94] 웹사이트 What is the market for robot fish? http://rjmason.com/r[...]
[95] 웹사이트 Fish Robot http://fibo.kmutt.ac[...] Institute of Field Robotics
[96] 웹사이트 Robotic fish powered by Gumstix PC and PIC http://cswww.essex.a[...] Human Centred Robotics Group at Essex University
[97] 웹사이트 Robotic fish make aquarium debut http://edition.cnn.c[...] CNN 2005-10-10
[98] 뉴스 Merlin Entertainments tops up list of London attractions with aquarium buy http://www.thetimes.[...] Times of London 2008-05-03
[99] 뉴스 For Festo, Nature Shows the Way http://www.controlen[...] Control Engineering 2009-05-18
[100] 뉴스 Bionic penguins fly through water... and air http://www.gizmag.co[...] Gizmag 2009-04-27
[101] 뉴스 Festo AquaRay Robot http://www.technovel[...] Technovelgy 2009-04-20
[102] 뉴스 The AquaJelly Robotic Jellyfish from Festo http://www.engineeri[...] Engineering TV 2012-07-12
[103] 뉴스 Lightweight robots: Festo's flying circus http://www.theengine[...] The Engineer 2011-07-18
[104] 논문 A Swimming Robot Actuated by Living Muscle Tissue 2004-10
[105] 웹사이트 How Biomechatronics Works http://science.howst[...] HowStuffWorks 2012-11-22
[106] 논문 Swimming hydrodynamics: ten questions and the technical approaches needed to resolve them http://www.people.fa[...]
[107] 논문 Muscle activity and hydrodynamic function of pelvic fins in trout ''(Oncorhynchus mykiss)''
[108]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biology, evolution, and ecology John Wiley & Sons
[109] 논문 The Mysterious Little Fatty Fin
[110] 논문 Hydrodynamic and phylogenetic aspects of the adipose fin in fishes http://eprints.uwe.a[...]
[111] 뉴스 Removal of trout, salmon fin touches a nerve http://www.cosmosmag[...] 2011-07-18
[112] 논문 Neural network detected in a presumed vestigial trait: ultrastructure of the salmonid adipose fin
[113] 논문 Developmental residue and developmental novelty - different modes of adipose-fin formation during ontogeny 2013-09-01
[114] 논문 The origins of adipose fins: an analysis of homoplasy and the serial homology of vertebrate appendages
[115] 서적 Hyman's Comparative Vertebrate Anatomy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116] 서적 Text-book of Paleontology Macmillan and Company
[117] 뉴스 海の弾丸、マグロが高速で泳げる秘密とは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4-03-14
[118] 서적 Gaining Ground Indiana University
[119] 논문 Oldest Coelacanth, from the Early Devonian of Australia
[120] 논문 Locomotion of the Coelacanth Latimeria Chalumnae in Its Natural Environment
[121] 논문 A micro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y of the postcranial dermal skeleton of the Devonian actinopterygian ''Cheirolepis canadensis'' https://doi.org/10.4[...] 2016
[122] 논문 Loss of fish actinotrichia proteins and the fin-to-limb transition
[123] 논문 Function of the heterocercal tail in sharks: quantitative wake dynamics during steady horizontal swimming and vertical maneuvering http://jeb.biologist[...]
[124] 웹사이트 A Shark's Skeleton & Organs http://langonigraphi[...]
[125] 웹사이트 Jaws: The Natural History of Sharks http://www.fathom.co[...] Columbia University
[126]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127] 서적 Fundamentals of Cavi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28] 뉴스 Dolphins swim so fast it hurts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3-28
[129] 논문 Locomotion in scombrid fishes: visualization of flow around the caudal peduncle and finlets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ttp://jeb.biologist[...]
[130] 논문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finlet kinematics in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131] 논문 Locomotion in scombrid fishes: morphology and kinematics of the finlets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ttp://jeb.biologist[...]
[132] 논문 Volumetric imaging of fish locomotion http://intl-rsbl.roy[...]
[133] 논문 Passive and active flow control by swimming fishes and mammals
[134] 서적 Locomotion by scombrid fishes: Hydromechanics, morphology and behavior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35] 웹사이트 Ship's movements at sea http://www.pomorci.c[...]
[136] 서적 Classical Mechanic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137] 논문 Dorsal fin in the white shark,Carcharodon carcharias: A dynamic stabilizer for fast swimming
[138] 서적 Pisces Guide to Caribbean Reef Ecology https://www.amazon.c[...] Gulf Publishing Company
[139] 웹사이트 Ichthyology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140] 웹사이트 メダカとカダヤシ https://www.knsk-osa[...] 大阪府立環境農林水産総合研究所
[141] 웹사이트 Gambusia affinis http://www.sms.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1-10-21
[142] 논문 Notes on the Habits, Morphology of the Reproductive Organs, and Embryology of the Viviparous Fish Gambusia affinis https://books.google[...]
[143] 서적 Ichthyology Handbook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4] 서적 The Diversity of Fishes: Biology, Evolution, and Ecology http://www.blackwell[...] Wiley-Blackwell
[145] 웹사이트 System glossary http://www.fishbase.[...] 2013-02-15
[146] 서적 The Timetree of Lif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7] 서적 Aquatic Lif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48] 웹사이트 Species Spotlight: Atlantic Sailfish (Istiophorus albicans) http://www.littorals[...] 2012-04-01
[149]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50] 웹사이트 Purple Flying Gurnard, Dactyloptena orientalis (Cuvier, 1829) http://australianmus[...] 2012-11-02
[151] FishBase 2012-11-00
[152] 뉴스 Female fish flaunt fins to attract a mate https://www.scienced[...] 2010-10-08
[153] 논문 Male mate choice scales female ornament allometry in a cichlid fish http://www.biomedcen[...]
[154] 서적 Ken Schultz's Field Guide to Saltwater Fis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55] 논문 Shark utilization, marketing and trade http://www.fao.org/D[...]
[156] 논문 Memoirs: Notes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and Origin of the Median and Paired Fins of Fish
[157] 논문 Origin and Comparative Anatomy of the Pectoral Limb
[158] 서적 Elements of Comparative Anatomy Macmillan and Co.
[159] 논문 The Evolution of Paired Fins
[160] 논문 Memoirs: Notes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and Origin of the Median and Paired Fins of Fish
[161] 논문 Origin and Comparative Anatomy of the Pectoral Limb
[162] 논문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163] 논문 Insights from Sharks: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Models of Fin Development
[164] 논문 Evidence That Mechanisms of Fin Development Evolved in the Midline of Early Vertebrates
[165] 논문 Shared Developmental Mechanisms Pattern the Vertebrate Gill Arch and Paired Fin Skeletons
[166] 뉴스 Primordial Fish Had Rudimentary Fingers https://www.scienced[...] 2008-09-23
[167] 서적 How Vertebrates Left the Wat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8] 서적 Fins into Limbs: Evolutio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9] 서적 Your inner fish: A journey into the 3.5 billion year history of the human body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170] 서적 From fins to fee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71] 논문 Understanding nature-form and function www.sicb.org/dl/saaw[...]
[172] 뉴스 Lungfish Provides Insight to Life On Land: 'Humans Are Just Modified Fish' https://www.scienced[...] 2011-10-07
[173] 뉴스 A small step for lungfish, a big step for the evolution of walking https://www.scienced[...] 2011-12-13
[174] 논문 Behavioral evidence for the evolution of walking and bounding before terrestriality in sarcopterygian fishes
[175] 논문 Fossils, genes and the evolution of animal limbs http://genepath.med.[...]
[176] 웹사이트 Vertebrate flight: The three solutions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09-29
[177]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missing link between the dolphin, whale and its closest relative, the hippo http://www.sciencene[...] 2005-01-25
[178] 논문 More DNA support for a Cetacea/Hippopotamidae clade: the blood-clotting protein gene gamma-fibrinogen 1997-05-01
[179]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180] 서적 Some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etacean flippers and fluk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1]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whales http://evolution.ber[...]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2012-11-27
[182] 논문 From Land to Water: the Origin of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http://www.evolbiol[...]
[183] 간행물 Soupy Substrates: A Medium for the Exceptional Preservation of Ichthyosaurs of the Posidonia Shale (Lower Jurassic) of Germany
[184] 서적 Bent Out of Shape https://books.google[...] Norton
[185] 웹사이트 Charlie: CIA's Robotic Fish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6-12-12
[186] 논문 Review of Fish Swimming Modes for Aquatic Locomotion http://www.mor-fin.c[...]
[187] 웹사이트 What is the market for robot fish? http://rjmason.com/r[...] 2020-05-24
[188] 웹사이트 Fish Robot http://fibo.kmutt.ac[...] Institute of Field Robotics 2007-10-25
[189] 웹사이트 Robotic fish powered by Gumstix PC and PIC http://cswww.essex.a[...] Human Centred Robotics Group at Essex University 2007-10-25
[190] 웹사이트 Robotic fish make aquarium debut http://edition.cnn.c[...] CNN 2005-10-10
[191] 뉴스 Merlin Entertainments tops up list of London attractions with aquarium buy http://www.thetimes.[...] Times of London 2008-05-03
[192] 웹사이트 For Festo, Nature Shows the Way http://www.controlen[...] Control Engineering 2009-05-18
[193] 웹사이트 Bionic penguins fly through water... and air http://www.gizmag.co[...] Gizmag 2009-04-27
[194] 웹사이트 Festo AquaRay Robot http://www.technovel[...] Technovelgy 2009-04-20
[195] 웹사이트 The AquaJelly Robotic Jellyfish from Festo http://www.engineeri[...] Engineering TV 2012-07-12
[196] 웹사이트 Lightweight robots: Festo's flying circus http://www.theengine[...] The Engineer 2011-07-18
[197] 논문 A Swimming Robot Actuated by Living Muscle Tissue 2004-10
[198] 웹사이트 How Biomechatronics Works http://science.howst[...] HowStuffWorks 2012-11-22
[199] 논문 Swimming hydrodynamics: ten questions and the technical approaches needed to resolve them http://www.people.f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