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지상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지상파는 송신소를 지상에 두고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위성방송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된다. 전파 특성에 따라 직접파, 반사파, 회절파로 나뉘며, 이 중 직접파와 지면반사파를 합쳐 공중파라고 한다. 지상파 방송은 라디오와 텔레비전 모두에서 사용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을 지원한다. 디지털 방송은 유럽, 북미 등 여러 국가에서 도입되었으며, 각 국가별로 방송 현황 및 기술 표준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의 역사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의 역사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지상파
개요
설명지상파 텔레비전은 무선 전파를 통해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송출된 신호는 방송탑을 거쳐 가정의 안테나로 수신된다.
기술적 측면
전송 방식무선 전파
전송 거리64 ~ 97 km
초기 전송 기술1939년, W2XBS (NBC 실험 방송국)의 방송 안테나 설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방송 안테나밀애커 (독일)
역사
컬러 방송 도입1960년대
현황 및 추세
시청률2012년, 방송 시청률 증가
OTT 서비스 경쟁OTT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의 경쟁 심화
시장 전망여전히 상당한 시청자 유지
딜로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상파 텔레비전은 여전히 건재
참고 자료
관련 링크BBC: 텔레비전 및 라디오 수신 도움말
TVObscurities: 1960년대 컬러 텔레비전 혁명
TVTechnology: 닐슨, 2012년 방송 의존도 증가
Broadband TV News: 딜로이트, 지상파 텔레비전의 놀라운 생명력
Radio & Television Business Report: OTT가 지상파를 잠식하고 케이블을 죽이고 있는가?

2. 전파 특성

지상파는 송신소를 지상에 두고 지상파를 이용하는 방송을 의미하며, 위성방송의 반의어로 사용된다. 라디오텔레비전 모두 위성방송보다 보급률이 높다. 하지만 위성방송이 국가~초국가 지역(일본의 경우 전국)에 거의 같은 강도의 전파를 보낼 수 있는 것과 달리, 지상파 방송은 원칙적으로 수신 가능한 지역이 송신소 인근 지역으로 제한된다. 송신소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계 강도가 약해진다. 반면 지상파 방송은 거의 반사·회절하지 않는 센티미터파(SHF)를 사용하는 위성방송에 비해, 수신 안테나의 위치나 방향 제약이 비교적 적고, 또한 더 소형이다.[15]

라디오 방송 중 초단파 방송은 대부분 공중파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서만 복조할 수 있지만, 장파 방송·중파 방송·단파 방송에서는 지표면 회절파[15]나 전리층파에 의해 장거리 송수신(BCL)이 가능하다.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야가 좋은 산 정상이나 높은 전파탑에 설치된 송신소 안테나에서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및 센티미터파(SHF, 수신 불량 지역 일부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방송한다. 일본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극초단파를 사용하고 있다(UHF 방송국). 이러한 전파는 회절이 약하고 전리층 반사도 하지 않는 직접파가 주요 전파 방식이 되는 주파수 대역이다.[15] 따라서 도도부현 단위당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를 세울 필요가 있다.

NHK 가고시마 방송국・시미즈산 디지털 텔레비전 중계국

2. 1. 전파의 종류

전파의 전파 종류에는 수신점에 직접 도달하는 '''직접파''', 지면·지형·건물 등에서 반사하여 도달하는 '''반사파''', 지면·지형·건물 등에서 회절하여 도달하는 '''회절파'''가 있다(3종류로 명확하게 나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성질이 복합한다. 반사하고 회절하는 파동도 발생한다).[15]

그중에서 지상(지구상)의 어떤 두 점 사이의 지상파 전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직접파 및 지면에서의 반사파('''지면반사파''')이며, 이 두 가지를 합쳐 '''공중파'''라고 한다. 공중파는 거리의 역제곱으로 감쇠하고, 또 지평선이나 장애물을 넘어서는 도달하지 않는다.

지면에서의 회절파를 '''지면회절파''' 또는 지표파라고 한다.[15] 지면회절파(지표파)는 거리의 역 4승으로 급격히 감쇠하지만, 지평선을 넘을 수 있으므로, 공중파보다 더 멀리까지 도달한다.

엄밀하게는 지상파에 포함하지 않지만, 전리층에서의 반사파는 '''전리층파'''라고 한다. 전리층파는 거리의 역 1승으로 완만하게 감쇠할 뿐만 아니라 지평선을 넘으므로, 매우 멀리까지 도달한다.

3. 방송 방식



송신소를 지상에 두고, 지상파를 이용하는 방송을 '''지상파 방송'''이라고 한다. 위성방송의 반의어이다.

방송 송수신 기술은 역사상 최초의 방식이며, 라디오텔레비전 모두 위성방송보다 보급률이 높다. 위성방송은 국가~초국가 지역(일본의 경우 전국)에 거의 같은 강도의 전파를 보낼 수 있지만, 지상파 방송은 원칙적으로 수신 가능한 지역이 송신소 인근으로 제한된다. 송신소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계 강도가 약해진다. 반면 지상파 방송은 거의 반사·회절하지 않는 센티미터파(SHF)를 사용하는 위성방송에 비해, 수신 안테나의 위치나 방향 제약이 비교적 적고, 더 소형이다.

라디오 방송 중 초단파 방송은 대부분 공중파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서만 복조할 수 있지만, 장파 방송·중파 방송·단파 방송에서는 지표면 회절파[15]나 전리층파에 의해 장거리 송수신(BCL)이 가능하다.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야가 좋은 산 정상이나 높은 전파탑에 설치된 송신소 안테나에서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및 센티미터파(SHF, 수신 불량 지역 일부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방송한다. 일본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극초단파를 사용하고 있다(UHF 방송국). 이러한 전파는 회절이 약하고 전리층 반사도 하지 않는 직접파가 주요 전파 방식이 되는 주파수 대역이다.[15] 따라서 도도부현 단위당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를 세울 필요가 있다.

3. 1. 아날로그 방송

송신소에서 멀리 떨어진 수신 불량 지역에서는 지붕 위에 설치된 텔레비전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을 수신해야 했다.


ST61 회의 이후, 1964년 영국에서 BBC2가 도입되면서 UHF 주파수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영국에서는 VHF 채널이 기존의 405선 시스템을 유지한 반면, UHF는 625선 방송(나중에 PAL 컬러를 사용)에만 사용되었다. 405선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은 UHF 대역에서 4개의 아날로그 프로그램이 도입된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마지막 405선 송신기는 1985년 1월 6일에 중단되었다.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으로의 단계적 폐지 및 전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VHF Band III가 PAL 방송에 사용되었다.

유럽 전역에서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의 성공 여부는 국가마다 달랐다. 각국은 ST61 계획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 대한 권리를 가졌지만, 모든 주파수가 서비스에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최초의 NTSC 표준은 1941년에 도입되었다. 이 표준은 초당 60필드의 속도로 525선의 수직 해상도를 가진 흑백 영상 전송 방식을 정의했다. 1950년대 초, 이 표준은 컬러 텔레비전을 위한 하위 호환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DTT) 도입 이전까지 NTSC 표준은 아메리카 대륙과 일본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 멕시코는 모든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했고 미국과 캐나다는 거의 모든 아날로그 TV 방송국을 폐쇄했지만,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PAL-N 표준을 사용하고 DTT 플랫폼을 시험 중)를 제외한 나머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NTSC 표준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7]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ATSC는 디지털 고화질 지상파 전송을 위한 ATSC 표준을 개발했다. 이 표준은 미국, 캐나다,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를 포함한 많은 아메리카 국가에서 채택되었지만, 후자의 네 개국은 ISDB-Tb를 선호하여 결정을 번복했다.[8][9]

범미주 지상파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채널 2~6(VHF-저대역, 54~88 MHz, 유럽에서는 대역 I로 알려짐), 7~13(VHF-고대역, 174~216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II로 알려짐), 그리고 14~51(UHF 텔레비전 대역, 470~698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V 및 대역 V)에서 작동한다. 아날로그 전송과 달리 ATSC 채널 번호는 무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국이 어떤 주파수로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채널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ATSC 스트림 메타데이터의 일부로 가상 채널이 정의된다.[10] 또한, 무료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기와 신호 증폭기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지상파 텔레비전 신호를 재방송하여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주파수 할당표는 범미주 텔레비전 주파수 참조)[11]

아날로그 텔레비전 채널 2~6, 7~13, 14~51은 미국에서 LPTV 중계기 방송국에만 사용된다. 52~69 채널은 일부 기존 방송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통신 회사가 해당 신호 스펙트럼을 비우도록 방송국에 통보하면 이러한 채널은 비워야 한다. 관례적으로 방송 텔레비전 신호는 수평 편파로 전송된다.

아시아 지역의 지상파 방송은 1939년 일본의 NHK 방송기술연구소가 실험 방송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은 태평양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다. 1953년 2월 1일, NHK가 본격적인 방송을 시작했다. 1953년 8월 28일에는 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니혼테레비가 개국했다. 한편, 필리핀에서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알토 방송 시스템(현재 ABS-CBN)이 미국 라디오 코퍼레이션(RCA)의 도움을 받아 1953년 10월 23일 최초의 상업 지상파 방송국 DZAQ-TV를 개국했다.

3. 2. 디지털 방송

최초의 미국방송규격위원회(NTSC) 표준은 1941년에 도입되었다. 이 표준은 초당 60필드의 속도로 525선의 수직 해상도를 가진 흑백 영상 전송 방식을 정의했다. 1950년대 초, 이 표준은 컬러 텔레비전을 위한 하위 호환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DTT) 도입 이전까지 NTSC 표준은 아메리카 대륙과 일본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 멕시코는 모든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했고 미국과 캐나다는 거의 모든 아날로그 TV 방송국을 폐쇄했지만,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PAL-N 표준을 사용하고 DTT 플랫폼을 시험 중)를 제외한 나머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NTSC 표준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7]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고급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는 디지털 고화질 지상파 전송을 위한 ATSC 표준을 개발했다. 이 표준은 미국, 캐나다,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를 포함한 많은 아메리카 국가에서 채택되었지만, 후자의 네 개국은 ISDB-Tb를 선호하여 결정을 번복했다.[8][9]

범미주 지상파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채널 2~6(초고주파(VHF)-저대역, 54~88 MHz, 유럽에서는 대역 I로 알려짐), 7~13(VHF-고대역, 174~216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II로 알려짐), 그리고 14~51(극초단파(UHF) 텔레비전 대역, 470~698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V 및 대역 V)에서 작동한다. 아날로그 전송과 달리 ATSC 채널 번호는 무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국이 어떤 주파수로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채널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ATSC 스트림 메타데이터의 일부로 가상 채널이 정의된다.[10] 또한, 무료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기와 신호 증폭기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여 지상파 텔레비전 신호를 재방송하여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주파수 할당표는 범미주 텔레비전 주파수 참조)[11]

아날로그 텔레비전 채널 2~6, 7~13, 14~51은 미국에서는 LPTV 중계기 방송국에만 사용된다. 52~69 채널은 일부 기존 방송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통신 회사가 해당 신호 스펙트럼을 비우도록 방송국에 통보하면 이러한 채널은 비워야 한다. 관례적으로 방송 텔레비전 신호는 수평 편파로 전송된다.

1990년대 중반, 유럽 전역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CEPT는 ST61 주파수 계획에 디지털 텔레비전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체스터 '97" 회의를 소집했다. 1990년대 후반과 21세기 초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의 도입으로 ITU는 지역 무선통신 회의를 소집하여 ST61 계획을 폐지하고 DTT 방송 전용의 새로운 계획을 대체했다.

2005년 12월, 유럽 연합은 2012년까지 모든 아날로그 오디오 및 아날로그 비디오 텔레비전 전송을 중단하고 모든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을 디지털 오디오 및 디지털 비디오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모든 EU 국가는 DVB-T 사용에 동의했다). 네덜란드는 2006년 12월에 전환을 완료했으며, 일부 EU 회원국은 2008년(스웨덴)과 2009년(덴마크)에 전환을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영국은 2007년 말부터 지역별로 아날로그 방송 중단을 시작했지만 2012년 10월 24일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노르웨이는 2009년 12월 1일에 모든 아날로그 텔레비전 전송을 중단했다.[12] 발표에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두 회원국은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2012년까지 전환을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EU 회원국들은 2012년 말까지 아날로그 텔레비전 전송을 중단했다.

많은 국가가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하고 있다. 호주는 DVB-T 표준을 채택했으며, 정부의 산업 규제 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통신 미디어청(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은 2012년까지 모든 아날로그 전송을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의무적인 디지털 전환은 2009년 초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 아날로그 전환이 처음으로 이루어진 곳은 2010년 빅토리아 주의 외딴 지역 도시인 밀두라였다. 정부는 전환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저소득층 주택에 무료 디지털 셋톱 변환기 상자를 제공했다. 호주의 주요 무료 방송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모두 디지털 전송 라이선스를 받았으며, 각각 모든 시장에 고화질 채널과 표준화질 채널을 하나 이상 방송해야 한다.

북미에서는 ATSC에서 제시한 사양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의 표준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FCC가 2009년 6월 12일을 아날로그 서비스 중단의 최종 마감일로 설정했다. 모든 텔레비전 수신기는 이제 ATSC를 사용하는 DTT 튜너를 포함해야 한다. 캐나다에서는 CRTC가 2011년 8월 31일을 대도시 지역과 주도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전송 서비스가 중단되는 날짜로 설정했다.[13][14] 멕시코에서는 IFT가 2015년 12월 31일에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사용을 중단했다.

일본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극초단파를 사용하고 있다(UHF 방송국).

4. 나라별 방송 현황

유럽에서는 UHF 주파수가 1964년 BBC2의 도입과 함께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영국에서는 VHF 채널이 기존의 405선 시스템을 유지한 반면, UHF는 625선 방송(PAL 컬러를 사용)에만 사용되었다. 405선 시스템의 텔레비전 방송은 UHF 대역에서 4개의 아날로그 프로그램이 도입된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마지막 405선 송신기는 1985년 1월 6일에 종료되었다.

1990년대 중반, 유럽 전역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CEPT는 ST61 주파수 계획에 디지털 텔레비전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체스터 '97" 회의를 소집했다. 1990년대 후반과 21세기 초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의 도입으로 ITU는 지역 무선통신 회의를 소집하여 ST61 계획을 폐지하고 DTT 방송 전용의 새로운 계획으로 대체했다. 2005년 12월, 유럽 연합은 2012년까지 모든 아날로그 오디오 및 아날로그 비디오 텔레비전 전송을 중단하고 모든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을 디지털 오디오 및 디지털 비디오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모든 EU 국가는 DVB-T 사용에 동의).

필리핀에서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알토 방송 시스템(현재 ABS-CBN 방송(ABS-CBN Corporation))이 미국 라디오 코퍼레이션(RCA)의 도움을 받아 1953년 10월 23일 최초의 상업 지상파 방송국 DZAQ-TV를 개국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DVB-T 표준을 채택했으며, 정부의 산업 규제 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통신 미디어청(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은 2012년까지 모든 아날로그 전송을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의무적인 디지털 전환은 2009년 초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 아날로그 전환이 처음으로 이루어진 곳은 2010년 빅토리아 주의 외딴 지역 도시인 밀두라였다. 정부는 전환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저소득층 주택에 무료 디지털 셋톱 변환기 상자를 제공했다. 호주의 주요 무료 방송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모두 디지털 전송 라이선스를 받았으며, 각각 모든 시장에 고화질 채널과 표준화질 채널을 하나 이상 방송해야 한다.

캐나다에서는 CRTC가 2011년 8월 31일을 대도시 지역과 주도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전송 서비스가 중단되는 날짜로 설정했다.[13][14] 멕시코에서는 IFT가 2015년 12월 31일에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사용을 중단했다.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방송 문서를 참조하면 지상파 방송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4. 2. 일본

아시아 지역의 지상파 방송은 1939년 일본의 NHK 방송기술연구소가 실험 방송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다. 1953년 2월 1일, NHK(일본방송협회)가 본격적인 방송을 시작했고, 1953년 8월 28일에는 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닛폰TV(닛폰텔레비전방송망)가 개국했다.[15]

일본에서 텔레비전 방송은 일반적으로 시야가 좋은 산 정상이나 높은 전파탑에 설치된 송신소 안테나에서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및 센티미터파(SHF, 수신 불량 지역 일부 등)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방송한다. 일본의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극초단파를 사용하고 있다(UHF 방송국). 이러한 전파는 회절이 약하고 전리층 반사도 하지 않는 직접파가 주요 전파 방식이 되는 주파수 대역이다.[15] 따라서 도도부현 단위당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를 세울 필요가 있다.

4. 3.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의 방송은 중국공산당의 강력한 통제를 받는다. 모든 방송사는 국영 기업이며,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의 직접적인 감독을 받는다.[1] 주요 방송사로는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중국국제텔레비전(CGTN), 중국국가라디오(CNR), 중국국제방송(CRI) 등이 있다.[1]

4. 4. 미국

최초로 미국방송규격위원회(NTSC) 표준이 1941년에 도입되었다. 이 표준은 초당 60필드의 속도로 525선의 수직 해상도를 가진 흑백 영상의 전송 방식을 정의했다. 1950년대 초, 이 표준은 컬러 텔레비전을 위한 하위 호환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DTT) 도입 이전까지 NTSC 표준은 아메리카 대륙과 일본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7]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고급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는 디지털 고화질 지상파 전송을 위한 ATSC 표준을 개발했다. 이 표준은 미국, 캐나다,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를 포함한 많은 아메리카 국가에서 채택되었지만, 후자의 네 개국은 ISDB-Tb를 선호하여 결정을 번복했다.[8][9]

범미주 지상파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채널 2~6(초고주파(VHF)-저대역, 54~88 MHz, 유럽에서는 대역 I로 알려짐), 7~13(VHF-고대역, 174~216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II로 알려짐), 그리고 14~51(극초단파(UHF) 텔레비전 대역, 470~698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V 및 대역 V)에서 작동한다. 아날로그 전송과 달리 ATSC 채널 번호는 무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국이 어떤 주파수로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채널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ATSC 스트림 메타데이터의 일부로 가상 채널이 정의된다.[10] 또한, 무료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기와 신호 증폭기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여 지상파 텔레비전 신호를 재방송하여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주파수 할당표는 범미주 텔레비전 주파수 참조)[11]

아날로그 텔레비전 채널 2~6, 7~13, 14~51은 미국에서는 LPTV 중계기 방송국에만 사용된다. 52~69 채널은 일부 기존 방송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통신 회사가 해당 신호 스펙트럼을 비우도록 방송국에 통보하면 이러한 채널은 비워야 한다. 관례적으로 방송 텔레비전 신호는 수평 편파로 전송된다.

북미에서는 ATSC에서 제시한 사양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의 표준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FCC가 2009년 6월 12일을 아날로그 서비스 중단의 최종 마감일로 설정했다. 모든 텔레비전 수신기는 이제 ATSC를 사용하는 DTT 튜너를 포함해야 한다.

4. 5. 기타 국가

유럽 전역의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의 성공 여부는 국가마다 달랐다. 각국은 ST61 계획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든 주파수가 서비스에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7]

최초의 미국방송규격위원회(NTSC) 표준은 1941년에 도입되었다. 1950년대 초, 이 표준은 컬러 텔레비전을 위한 하위 호환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DTT) 도입 이전까지 NTSC 표준은 아메리카 대륙과 일본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 멕시코는 모든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했고 미국캐나다는 거의 모든 아날로그 TV 방송국을 폐쇄했지만,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PAL-N 표준을 사용하고 DTT 플랫폼을 시험 중)를 제외한 나머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NTSC 표준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7]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고급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는 디지털 고화질 지상파 전송을 위한 ATSC 표준을 개발했다. 이 표준은 미국, 캐나다,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를 포함한 많은 아메리카 국가에서 채택되었지만, 후자의 네 개국은 ISDB-Tb를 선호하여 결정을 번복했다.[8][9]

범미주 지상파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채널 2~6(초고주파(VHF)-저대역, 54~88 MHz, 유럽에서는 대역 I로 알려짐), 7~13(VHF-고대역, 174~216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II로 알려짐), 그리고 14~51(극초단파(UHF) 텔레비전 대역, 470~698 MHz, 다른 지역에서는 대역 IV 및 대역 V)에서 작동한다. 아날로그 전송과 달리 ATSC 채널 번호는 무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국이 어떤 주파수로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채널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ATSC 스트림 메타데이터의 일부로 가상 채널이 정의된다.[10] 또한, 무료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기와 신호 증폭기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여 지상파 텔레비전 신호를 재방송하여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주파수 할당표는 범미주 텔레비전 주파수 참조)[11]

아날로그 텔레비전 채널 2~6, 7~13, 14~51은 미국에서는 LPTV 중계기 방송국에만 사용된다. 52~69 채널은 일부 기존 방송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통신 회사가 해당 신호 스펙트럼을 비우도록 방송국에 통보하면 이러한 채널은 비워야 한다. 관례적으로 방송 텔레비전 신호는 수평 편파로 전송된다.

아시아 지역의 지상파 방송은 1939년 일본의 NHK 방송기술연구소가 실험 방송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들은 태평양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다. 1953년 2월 1일, NHK(일본방송협회)가 본격적인 방송을 시작했다. 1953년 8월 28일에는 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닛폰TV(닛폰텔레비전방송망)가 개국했다. 한편, 필리핀에서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알토 방송 시스템(현재 ABS-CBN 방송(ABS-CBN Corporation))이 미국 라디오 코퍼레이션(RCA)의 도움을 받아 1953년 10월 23일 최초의 상업 지상파 방송국 DZAQ-TV를 개국했다.

많은 국가가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DVB-T 표준을 채택했으며, 정부의 산업 규제 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통신 미디어청(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은 2012년까지 모든 아날로그 전송을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의무적인 디지털 전환은 2009년 초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 아날로그 전환이 처음으로 이루어진 곳은 2010년 빅토리아 주의 외딴 지역 도시인 밀두라였다. 정부는 전환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저소득층 주택에 무료 디지털 셋톱 변환기 상자를 제공했다. 호주의 주요 무료 방송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모두 디지털 전송 라이선스를 받았으며, 각각 모든 시장에 고화질 채널과 표준화질 채널을 하나 이상 방송해야 한다.

북미에서는 ATSC에서 제시한 사양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의 표준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elp receiving TV and radio https://www.bbc.co.u[...] 2020-09-28
[2] 웹사이트 The Color Revolution: Television In The Sixties http://www.tvobscuri[...] TVObscurities 2017-09-04
[3] 뉴스 OTA Homes Cross 16M Mark, Per Nielsen https://www.tvtechno[...] TVTechnology 2019-02-13
[4] 웹사이트 Nielsen: Broadcast Reliance Grew in 2012 https://www.tvtechno[...] 2013-01-14
[5] 웹사이트 Deloitte: Terrestrial TV has surprising staying power https://www.broadban[...] 2019-12-11
[6] 웹사이트 Is OTT Eating Into OTA, While Killing Cable TV? https://www.rbr.com/[...] 2020-07-25
[7] 웹사이트 NTSC Broadcast Standards http://cw.routledge.[...] 2007
[8] 웹사이트 About ATSC https://www.atsc.org[...]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2017-09-04
[9] 웹사이트 ATSC Standards https://www.atsc.org[...]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2017-09-04
[10] 서적 ATSC Standard: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Cable http://www.atsc.org/[...]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2017-09-04
[11] 웹사이트 FCC regulations CFR 47 Part 74 Subpart L: FM Broadcast Translator Stations and FM Broadcast Booster Stations http://edocket.acces[...] Edocket.access.gpo.gov 2017-09-04
[12] 웹사이트 DVB – Digital Video Broadcasting – Norway http://www.dvb.org/a[...] Digital Video Broadcasting Project
[13] 보도자료 The Commission establishes a new approach for Canadian conventional television http://www.crtc.gc.c[...] Canadian Radio-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2007-05-17
[14] 웹사이트 Broadcasting Public Notice CRTC 2007–53 http://www.crtc.gc.c[...] Canadian Radio-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2007-05-17
[15] 백과사전 지상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