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기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기(陳紀)는 후한 환제와 영제 시기에 활동한 관료로, 현재의 허난성 허창시 출신이다. 그는 당고의 금으로 인해 관직에 나가지 않고 저술 활동을 하였으며, 황건적의 난 이후 중앙 정부의 초청을 거절하다가 동탁의 압력으로 오관중랑장, 시중을 거쳐 평원국 상으로 임명되었다. 동탁의 장안 천도에 반대하고 태위 임명을 거절한 후 대홍려가 되었으며, 199년에 사망했다. 유비는 그에게 정치적 가르침을 받았고, 그의 아들 진군은 조위에서 근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9년 출생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129년 출생 - 사손서
    후한 말기의 관료 사손서는 학문이 뛰어났으며 왕윤의 동탁 제거 계획에 가담하여 동탁 암살 조서 위조에 기여했고, 대사농에 임명되었으나 이각에게 살해당한 후 헌제가 그의 공을 기려 아들을 제후에 봉했다.
  • 영천 진씨 - 지의
    지의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승려이자 천태종의 개조로, 혜사의 문하에서 지관법문과 북방계 교리를 익히고 천태교리를 확립했으며, 사선정 수행 체계를 발전시키고 불교 교리를 체계화하여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천 진씨 - 진군
    진군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구품관인법을 제정하고 조조, 조비, 조예 삼대에 걸쳐 중용되었으며, 엄격하고 공정한 성품으로 법제 정비에 힘썼다.
  • 199년 사망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199년 사망 - 공손찬
    공손찬은 후한 말 북방에서 세력을 떨친 무장으로, 백마의종을 이끌고 이민족과의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유우 살해 등 독단적인 행보로 인해 원소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최후를 맞이했다.
진기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진기
본관쉬창, 허난 성
원방(元方)
출생129년
사망199년 (향년 70세)
아버지진식
자녀진군
관직
오관중랑장(五官中郎將)189년
시중(侍中)189년 ~ 190년
평원상(平原相)190년 ~ ?
대홍려(大鴻臚)196년 ~ 199년
군주헌제
기타
직업관리, 학자
로마자 표기Chen Ji

2. 생애

진기(陳紀)는 현재의 허창시 허난성영천군(潁川郡) 허현 (許縣) 출신이다. 아버지 진식은 환제와 영제 시기에 걸쳐 재임한 저명한 관료였다.

진기는 당고의 금으로 인해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독서와 저술에 힘썼으나, 황건적의 난 이후 사면령이 내려지면서 여러 관직에 초빙되었지만 모두 거절하였다. 이후 동탁에 의해 강제로 관직에 나아가게 되었고, 동탁의 장안 천도에 반대하기도 하였다. 정치적 혼란을 피해 평원국으로 부임하였으며, 196년 헌제에 의해 대홍려로 임명되었다. 199년 71세의 나이로 재임 중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당고의 금

당고의 금으로 인해 진기는 관직에 나가지 않고 독서와 저술에 시간을 보냈다. 184년 황건적의 난이 발발하자 영제는 당고의 금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모든 사람에게 사면령을 내렸다. 이후 진기는 대장군, 사도, 사공, 태위의 중앙 정부 최고위 관료 4명으로부터 행정직에 참여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으나,[2] 모두 거절했다.

2. 2. 황건적의 난과 조정 출사

184년 황건적의 난이 발발하자 영제는 당고의 금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모든 사람에게 사면령을 내렸다. 이후 진기는 대장군, 사도, 사공, 태위 등 중앙 정부의 최고위 관료 4명으로부터 행정직에 참여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으나, 모두 거절했다.[2]

189년, 동탁이 낙양을 장악하자 진기는 오관중랑장에 임명되어 부득이 입경했고, 후에 시중으로 옮겨졌다.[2]

2. 3. 동탁 집권과 장안 천도 반대

189년, 영제 사후 정치적 혼란을 틈타 군벌 동탁이 자신의 군대를 낙양으로 이끌고 들어가 중앙 정부를 장악했다. 동탁은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했다. 동탁은 진기에게 낙양으로 와서 오관중랑장으로 근무할 것을 요청했고, 거절하면 죽임을 당할까 두려워한 진기는 이를 수락, 이후 시중으로 옮겨졌다.[2]

190년, 진기는 평원국의 재상으로 임명되었다. 진기가 부임하기 전 동탁은 동탁 토벌전에 대응하여 수도를 낙양에서 장안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고, 진기는 반대했다. 동탁은 불쾌했으나 진기의 명성을 존중하여 해치지 않았다. 일부 관료들은 진기를 사도로 임명할 것을 제안했으나, 진기는 정치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낙양을 떠나 평원국으로 급히 떠났다.[2]

2. 4. 평원상 부임과 이후 관직

190년, 동탁은 진기를 평원국(平原國)의 재상(相)으로 임명했다. 진기가 새로운 직책을 수행하기 위해 떠나기 전에, 동탁은 한곡관 동쪽의 군벌 연합군의 동탁 토벌전에 비추어 수도를 낙양에서 장안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의견을 구했다. 진기는 이 생각에 반대했다. 동탁은 매우 불쾌했지만 진기가 조정에서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해치지 않았다. 일부 관료들은 진기를 사도로 임명하는 것을 제안했다. 진기는 그 소식을 듣고 정치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낙양을 떠나 평원국으로 급히 떠났다.[2]

196년, 헌제가 원소태위로 임명했을 때 원소는 경쟁자인 조조가 맡고 있는 대장군보다 태위가 지위가 낮다는 이유로 임명을 거부했다. 원소는 대신 진기에게 태위 임명을 제안했지만 진기는 거절했다. 헌제는 이후 진기를 대홍려로 임명했다. 진기는 199년 71세(동아시아 나이 기준)로 재임 중 사망했다.[3]

2. 5. 죽음

陳紀|진기중국어199년에 71세(동아시아 나이 기준)로 대홍려 재임 중 사망했다.[3] 그의 아들 진군은 동한 말 군벌 조조 휘하에서 중앙 정부 관료를 지냈으며, 이후 삼국시대 조위에서 근무했다.

3. 가족 관계

진기의 아들 진군은 유비가 예주 자사였던 시절에 등용되었다.[4] 유비는 제갈량에게 "지금까지 진기(陳紀) 님이나 정현 님께 가서 항상 정치에 대해 훌륭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4]

세설신어』에는 진기 일족의 일화가 여럿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 진원방(진기)의 아들 장문(진군)은 영재가 있었고, 계방(진기의 동생 진담)의 아들 효선(진충)과 각각 아버지의 공덕을 논하며 다투었지만 결착을 내지 못했다. 그래서 조부 진식에게 묻자 "원방은 형이 되기 어렵고, 계방 또한 아우가 되기 어렵다(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라고 답했다.[5]
  • 진태구(진식)가 순랑릉(순숙)을 방문했을 때 가난하여 종자가 없었다. 그래서 원방(장남 진기)에게 수레를 몰게 하고, 계방(아우 진담)에게 지팡이를 들게 하여 따르게 했다. 장문(손자 진군)은 아직 어렸으므로 수레에 태웠다.

4. 평가

유비제갈량에게 "지금까지 진기(陳紀) 님이나 정현 님께 가서 항상 정치에 대해 훌륭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4] 유비는 예주 자사였던 시기에 진기의 아들 진군(陳羣)을 등용했다.

세설신어』에는 진기 일족의 일화가 다수 수록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화흠(華歆)은 자제들을 대하는 것이 매우 정돈되어, 편안한 방 안에서도 엄숙하게 조정의 의식에 임하는 것 같았다. 진원방(陳紀) 형제는 유연한 사랑의 길을 마음대로 했다. 게다가 양가 모두 평온한 길을 잃지 않았다.
  • 진원방의 아들 장문(陳羣)은 영재가 있었다. 계방(季方)의 아들 효선(陳忠)과 각각 아버지의 공덕을 논하며 다투었지만 결착을 내지 못했다. 그래서 조부 진식에게 묻자 "원방은 형이 되기 어렵고, 계방 또한 아우가 되기 어렵다(우열을 가리기 어렵다)"[5]
  • 진태구(진식)가 순랑릉(순숙)을 방문했지만 가난하여 종자도 없었다. 그래서 원방(장남 진기)에게 수레를 몰게 하고, 계방(아우 진담)에게 지팡이를 들게 하여 따르게 했다. 장문(손자 진군)은 아직 어렸으므로 수레에 태웠다. 도착하자 순숙은 숙자(순정)를 문에서 응대하게 하고, 자명(순상)에게 술을 권하게 하고, 나머지 육룡에게 시중을 들게 했다. 문약(순욱) 또한 어렸으므로 무릎 위에 앉혔다. 이때 태사(천문을 맡은 관리)가 상소했다. 진인(완전한 도덕을 몸에 익힌 사람)이 동쪽으로 갔다고.

5. 기타

유비제갈량에게 "지금까지 진기(陳紀) 님이나 정현 님께 가서 항상 정치에 대해 훌륭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4] 유비는 예주 자사였던 시기에 진기의 아들 진군을 등용했다.

세설신어』에는 진기 일족의 일화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 화흠(華歆)은 자제들을 대하는 것이 매우 정돈되어, 편안한 방 안에서도 엄숙하게 조정의 의식에 임하는 것 같았다. 진원방(진기) 형제는 유연한 사랑의 길을 마음대로 했다. 게다가 양가 모두 평온한 길을 잃지 않았다.
  • 진원방의 아들 장문(진군)은 영재가 있었다. 계방(季方)의 아들 효선(陳忠)과 각각 아버지의 공덕을 논하며 다투었지만 결착을 내지 못했다. 그래서 조부 진식에게 묻자 "원방은 형이 되기 어렵고, 계방 또한 아우가 되기 어렵다(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라고 하였다.[5]
  • 진태구(진식)가 순랑릉(순숙)을 방문했지만 가난하여 종자도 없었다. 그래서 원방(장남 진기)에게 수레를 몰게 하고, 계방(아우 진담)에게 지팡이를 들게 하여 따르게 했다. 장문(손자 진군)은 아직 어렸으므로 수레에 태웠다. 도착하자 순숙은 숙자(순정)를 문에서 응대하게 하고, 자명(순상)에게 술을 권하게 하고, 나머지 육룡에게 시중을 들게 했다. 문약(순욱) 또한 어렸으므로 무릎 위에 앉혔다. 이때 태사(천문을 맡은 관리)가 상소했다. 진인(완전한 도덕을 몸에 익힌 사람)이 동쪽으로 갔다고.

6. 전기 자료


  • 한단순, 「후한 홍려 진군 비」(장초, 『고문원』 권19)[1]
  • 후한서』 권62, 「열전」52, 진기[2]

참조

[1] 서적 Stele of Master Chen, Minister Herald of Later Han Gu Wen Yuan 199
[2] 서적 後漢書
[3] 서적 後漢鴻臚陳君碑 古文苑巻十九
[4] 서적 華陽国志
[5] 서적 世説新語
[6] 서적 후한 홍려 진군 비 고문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