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영화는 17세기 대만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명나라 부흥 세력인 정씨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과거에 급제하여 생원 자격을 얻었으며, 정성공의 세자 정경의 스승으로 임명되었다. 정성공 사후 정경과 정습 간의 권력 다툼에서 정경을 지지하여 재상에 임명되었고, 동녕의 행정, 경제, 교육 등 다방면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중국 관료제를 도입하고 소금 생산 방식을 개선했으며, 농업 기술을 발전시키고 교육을 진흥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1680년 실각하여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대만 역사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녕국 사람 - 풍석범
풍석범은 명청 교체기에 동녕 왕국 건립에 참여하고 권력 투쟁을 통해 정극솽을 옹립했으며, 펑후 해전 후 청나라에 항복을 권유하여 작위를 받은 인물이다. - 동녕국 사람 - 유국헌
류궈쉬안은 동녕 왕국의 장군으로 정성공을 따라 여러 전투에 참여하고 권력 투쟁에서 승리했으나, 펑후 해전 패배 후 항복을 권유하여 동녕 왕국 멸망에 영향을 미치고 청나라에서 백작 작위를 받았다. - 남명의 군인 - 정지룡
정지룡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에 활동한 해상 세력이자 군벌로, 무역과 해상 활동을 통해 세력을 키웠으며, 명나라에 귀순했으나 청나라에 투항한 후 아들의 반청 운동으로 처형되었다. - 남명의 군인 - 이정국 (1620년)
이정국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장헌충의 양아들로, 장헌충 사후 남명에 투항하여 영력제를 옹립하고 청나라에 저항했으며, 손가망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 후 영력제의 처형 소식을 듣고 절망 속에 사망했으나, 그의 숭명반청 의지는 조선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 1634년 출생 -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어린 나이에 공작위를 계승하여 발도파 박해로 비난받았으나, 니스 항구 개발, 도로 건설, 군사 개혁 등을 통해 공국의 부를 증진시킨 인물이다. - 1634년 출생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634년)
마쓰다이라 다다토모는 에도 시대 이이야마 번을 다스린 다이묘로, 치수 사업, 관개 시설 정비, 신전 개발 등을 통해 번의 기반을 다지고 노다 기자에몬을 등용하여 번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사카 가반 등 요직을 역임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진영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자 표기 | 陳永華 |
로마자 표기 | Tân Éng-hôa (POJ) |
자(字) | 復甫 (Hok-hú) |
인물 정보 | |
출생지 | 푸젠성취안저우 부퉁안 현 |
출생일 | 숭정 7년 (1634년) |
사망일 | 영력 34년 (1680년 7월) |
사망지 | 정씨 대만 |
직업 | 정씨 정권 수석 문신 |
배우자 | 홍숙정 |
자녀 | 진몽위 진몽구 진씨 (정극솔의 아내) |
부 | 진정 |
기타 | 진근남 |
2. 생애
진영화는 1634년 현재의 자오메이 인근 지역에서 태어났다. 1648년, 청나라 군대의 침략으로 아버지가 사망하자[1] 정성공에게 의탁하여 그의 아들 정경의 스승이 되었다.[1] 그의 초기 생애와 정성공과의 만남, 그리고 이후 동녕 왕국에서의 활동과 죽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초기 생애와 정성공과의 만남
진영화는 1634년 현재의 자오메이 인근 지역에서 태어났다.[1] 젊은 시절 과거에 합격하여 용계 생원 자격을 얻었다.[5] 1648년, 청나라 군대가 정성공이 지배하던 동안현을 공격했을 때, 진영화의 아버지 진정은 청군에게 살해당했다.[1][6] 이후 진영화는 정성공에게 가서 의탁했으며,[1][6] 정성공은 그를 자신의 아들 정경의 스승으로 삼았다.[1][6] 그러나 정성공으로부터 정식 관직을 받지는 못했다.[5][7]2. 2. 정경 시대의 활약
1662년 6월, 정성공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정경이 연평군왕(延平郡王) 자리를 계승하였다. 진영화는 정경의 자문 역할을 하는 참군으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타이완에서는 정성공의 동생인 정습( 鄭襲|정습중국어 )을 지지하는 세력, 특히 황소( 黃昭|황소중국어 )와 소공신( 蕭拱辰|소공신중국어 ) 등이 정경의 계승에 반발하며 정습을 대리 연평왕으로 내세우는 내란이 일어났다.[1] 이에 정경은 진영화를 포함한 측근들과 함께 타이완으로 건너가 반란 세력을 진압했다. 진영화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타이난에서 황소의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했으며, 이 과정에서 황소는 전사하고 정습은 가택에 연금되었다.[1] 이 내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후, 정경은 진영화를 동녕의 실질적인 행정을 총괄하는 재상으로 임명하였다.재상이 된 진영화는 중국의 관료 제도를 도입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해안 지역에 염전을 개발하여 소금 생산을 증대시켰다. 이는 물을 증발시켜 고품질의 소금을 얻는 방식으로, 동녕의 경제적 자립에 크게 기여했다.[2] 또한 농업 기술 발전을 위해 저수지를 만들어 물을 저장하고, 사탕수수와 같은 환금 작물 재배를 장려했다.[2] 그는 농업, 교육, 금융, 산업, 무역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며 동녕의 발전을 이끌었으나, 동시에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해 다소 가혹한 세금 제도를 시행하기도 했다.[3]
1663년, 샤먼으로 돌아온 정경은 정태(鄭泰)가 과거 황소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품고 그를 제거하려 했다. 진영화는 정경에게 계책을 내어, 정태에게 "금하총제(金廈總制)"라는 직인이 찍힌 관인을 보내 진먼과 샤먼의 수비를 맡기는 척하며 그를 유인하도록 조언했다.[8][9] 정태는 이 인장을 받고 감사 인사를 하러 왔다가 정경에게 체포되어 감금되었다.
1664년, 정경의 군대는 진먼과 샤먼에서 청나라와 네덜란드 연합군에게 크게 패배하여 둥산현(銅山島)으로 후퇴했다. 이 패배로 인해 민심이 크게 동요하고 청나라에 투항하는 자들이 속출했으며, 정경의 측근 중에서도 항복을 권유하는 목소리가 나왔다.[4][10] 정경 역시 항복을 고려했으나, 진영화는 홍욱(洪旭)과 함께 "지금 투항한 자들은 대부분 노비나 상인들로, 명나라 관리라고 거짓말하여 청나라로부터 후한 대우를 받으려는 것일 뿐이다. 설령 좋은 대우를 받는다 해도 그들의 기대와는 다를 것이니 웃음거리가 될 뿐이다"라고 설득하며 정경의 마음을 돌렸다.[4][10] 결국 정경은 항복할 뜻을 접고 타이완으로 완전히 철수했으며, 이후 국정 운영의 대부분을 진영화의 처리에 맡겼다.
1665년, 진영화는 타이완 최초의 공자묘인 타이난 공자묘와 서원을 건립하여 유교 교육 진흥에 힘썼다. 1674년, 정경이 삼번의 난에 호응하여 청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을 떠나자, 진영화는 승천부(昇天府, 동녕의 수도)의 총책임자(總制)로 임명되어 후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같은 해 진영화의 딸이 정경의 아들인 정극상 태자와 혼인하면서 그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다.
連橫|롄헝중국어의 『타이완 통사』에 따르면, 진영화는 유교적 원칙에 따라 정치를 펼치고 군량미 확보에 힘써 정경의 군대가 부족함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그러나 정경이 원정에서 돌아온 후 사치스러워지고, 풍석범(馮錫範)과 유국헌(劉國軒) 같은 인물들이 진영화의 권력을 시기하기 시작했다. 1680년 봄 3월, 진영화는 병권(兵權)을 내려놓겠다고 청했으나 정경은 처음에는 반대하다가 결국 허락하여 그의 군대를 유국헌에게 넘겨주었다.
강일승(江日昇)의 『타이완 외기』(臺灣外記)는 진영화가 권력을 잃게 되는 과정을 더 자세히 묘사한다. 풍석범은 진영화의 강력한 권력과 강직한 일 처리를 질투하여 유국헌과 모의했다. 풍석범은 진영화에게 거짓으로 "서정(西征)에서 공을 세우지 못하고 돌아와 자리를 지키는 것이 부끄럽다"며 사직하고 쉬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진영화는 이를 진심으로 믿고 정경에게 사직을 청원했다. 풍석범은 이 틈을 타 정경에게 "진영화가 오랫동안 고생하여 지쳤으니 쉬게 해주는 것이 마땅하며, 그의 군대는 유국헌에게 맡기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했다. 정경은 이를 받아들여 진영화의 사직을 허락하고 군대를 유국헌에게 넘겼다. 진영화는 뒤늦게 풍석범에게 속았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이미 때는 늦었고, 이 일로 크게 상심했다.
1680년 6월, 정경이 타이완으로 돌아온 후 진영화는 권력을 장악한 풍석범과 유국헌 세력에게 완전히 밀려났다. 결국 그는 총제(總制) 등의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룽후옌(龍湖巖, 현재 타이난시 류잉구 적산룽후옌)으로 은퇴했다. 그는 은퇴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680년 7월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처음에는 천흥현(天興州) 적산보 대담산(현재 타이난시 류잉구 궈이리)에 매장되었으나, 훗날 청나라가 타이완을 점령한 후 그의 유해 대부분을 고향인 취안저우로 이장했으며, 일부만 원래 묘지에 남겨졌다.
2. 3. 죽음
1680년, 실패한 원정에서 돌아온 후 펑시판과 류궈쉬안은 질투심으로 진영화가 권력을 잃도록 만들었다. 결국 진영화는 1680년 7월에 사망하였고, 타이난 근처의 산에 묻혔다.3. 주요 정책 및 업적
1662년, 정성공 사후 정경의 동녕 왕위 계승을 도와 재상으로 임명되었다.[1] 진영화는 재상으로서 중국식 관료제를 도입하고, 새로운 제염법과 농업 기술 보급, 타이난 공자묘 건립을 통한 교육 진흥 등 다방면에 걸쳐 동녕의 기틀을 다지는 정책을 추진했다.[2][3] 또한 1674년 정경의 부재 시 국정을 총괄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다만, 가혹한 세금 제도를 시행하기도 했다.[3]
3. 1. 행정 제도 정비
1662년, 정성공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정경과 다섯째 아들 정습鄭襲|중국어 사이에 권력 다툼이 일어났다. 이때 황소黃昭|중국어와 소공신蕭拱辰|중국어 등 일부 관리들은 정경의 동녕 왕위 계승을 반대했다. 이에 진영화는 타이난에서 군대를 이끌고 황소 세력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황소는 패배하여 사망했고, 정습은 가택에 연금되었다.[1] 이 권력 투쟁이 마무리된 후, 새로운 통치자가 된 정경은 진영화를 동녕의 재상으로 임명했다.재상이 된 진영화는 중국식 관료제를 도입하여 행정 체계를 정비했다. 또한 해안 지역에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새로운 제염법을 도입했는데, 이를 통해 생산된 고품질의 소금은 동녕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2] 농업 분야에서도 진영화의 역할은 두드러졌다. 그는 매년 건조한 시기에 대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기술을 보급하고, 사탕수수와 같은 환금 작물 재배를 장려했다. 이 외에도 농업, 교육, 금융, 산업, 무역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정책들을 추진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백성들에게 부담이 되는 가혹한 세금 제도를 시행하기도 했다.[3]
1664년, 정경이 청나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자 많은 사람들이 동녕을 떠나 청나라로 넘어갔다. 정경은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진영화는 항복한 이들이 노예 취급을 당하고 있으며 청나라에 거짓 정보를 전하는 상인들도 있다고 말하며 항복을 만류했다.[4] 1665년, 진영화는 대만 최초의 공자 사당인 타이난 공자묘와 서원을 건립하여 교육 진흥에도 힘썼다. 1674년, 정경이 다시 청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원정을 떠나자, 진영화는 정극상 태자와 자신의 딸을 혼인시키고 정경을 대신하여 동녕의 국정을 총괄했다.
3. 2. 경제 발전
정경이 동녕의 통치자가 된 후, 진영화는 재상으로 임명되어 동녕의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1] 그는 중국식 관료제를 도입하는 한편, 다양한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우선 해안 지역에 물의 증발을 이용한 새로운 소금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고품질의 소금을 생산하고 동녕의 자급자족을 가능하게 했다.[2] 또한 기존에 바닷물을 끓여 식염을 얻던 방식은 품질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임로쇄염법[11][12]을 시행했다. 이 방법은 염전 근처 도랑에 바닷물을 스며들게 해 소금 흙을 만들고, 거기서 얻은 소금물을 결정 연못에서 햇볕에 말려 소금 알갱이를 얻는 방식으로, 소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농업 분야에서는 군대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휘하 장군들에게 군둔을 장려하고, 쌀을 최우선 작물로 삼았다. 또한 고구마 재배를 장려했는데, 고구마에서 얻은 설탕은 일본과 영국 등지로 수출되어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 이 외에도 연례 건조기에 대비한 물 저장 기술과 사탕수수와 같은 현금 작물 재배 기술을 도입했다.[2]
청나라가 천계령을 실시함에 따라 동녕의 물가가 상승하자, 진영화는 정경에게 건의하여 청나라 해방 담당 장군에게 뇌물을 주고 밀무역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동녕에 화물이 유입되어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13]
진영화는 이 외에도 동녕의 교육, 금융, 산업 발전을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했으며,[3] 1665년에는 최초의 공자 사당인 타이난 공자묘와 서원을 건설하여 교육 진흥에도 힘썼다. 다만, 그의 통치하에 가혹한 세금 제도가 시행되기도 했다.[3]
3. 3. 교육 진흥
유교 사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진영화의 건의에 따라 1666년 대만 최초의 공자묘인 타이난 공자묘를 건립하고 서원도 함께 세웠다.[14] 또한 지방 곳곳에 학교를 설립하여 만 8세가 되면 아이들이 입학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14]정부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거 제도를 제정했다.[14] 이 제도에 따라 톈싱저우(天興州)와 만년현에서 3년에 두 번씩 주시(州試)를 실시했다. 주시에 합격한 후, 부시(府試)와 원시(院試)를 차례로 통과하면 태학에 입학하여 공부할 자격이 주어졌다.[14]
이 외에도 한화(漢化), 즉 한족 문화의 확산을 장려했으며, 학교에 입학한 원주민에게는 부역(徭役)을 특별히 면제해주는 정책을 시행하여 교육을 장려했다.[14]
3. 4. 보갑제 실시
진영화는 동녕 왕국의 지방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보갑제를 실시했다. 이 제도는 10개의 가구(호)를 묶어 1패로 삼고, 10개의 패를 모아 1갑으로, 다시 10개의 갑을 묶어 1보로 구성하는 방식이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자신의 직업, 혼인, 출생 등 신상에 관한 모든 변동 사항을 보갑 조직을 통해 지방 관청에 보고해야 했다[15]. 또한 치안 유지를 위해 도박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하기도 했다[15].4. 평가
롄헝의 『대만통사』에 따르면, 정성공은 진영화를 처음 만난 후 시사에 대해 논하며 크게 기뻐하며 "지금의 와룡(臥龍)"이라고 칭찬하고 참군(參軍)으로 삼아 빈객처럼 예우했다고 한다. 롄헝은 진영화를 "개물성무(開物成務), 체인장인(體仁長人)"이라 평하며 그 행적을 제갈무후에 비유하기도 했다. 또한 롄헝은 진영화가 정치를 융통성 있게 하여 군량 보급에 힘썼으나, 정경이 귀국한 후 사리를 탐하는 이들이 많아졌고 펑시판(馮錫範), 류궈쉬안(劉國軒)의 시기를 받아 결국 군대를 해산하게 되었다고 기록했다.
가와사키 시게키와 노가미 쿄스케가 함께 쓴 『대만사』에서는 진영화를 "경세의 재능이 있고, 시무에 능했다. 정경이 대만을 경영하는 정책의 대부분은 진영화의 식견에서 나왔다"라고 높이 평가했다.
이처럼 진영화가 정씨 부자를 보좌한 업적이 제갈량이 유비, 유선 부자를 보좌한 것에 비견되어, 사람들은 그를 "정씨 제갈(鄭氏諸葛)"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5. 대중문화 속 진영화
김용의 무협 소설 녹정기에 등장하는 무술 고수이자 천지회의 총타주(지도자)인 진근남은 진영화를 모델로 한 인물로 여겨진다.[22][23] 소설 속 진근남은 정성공의 아들 정극상과 그의 스승 풍석범의 계략에 빠져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역사적으로 진영화는 명말 청초 시기 정성공이 창시한 것으로 알려진 민간 비밀결사 조직 홍문(천지회)의 실질적인 계승자이자 지도자였으며[20][21], '진근남'이라는 다른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22][23] 천지회와 관련된 전설 중에는 소림사 승려들이 청나라에 맞서 싸우다 희생되고, 살아남은 다섯 승려(소림오조)가 진영화를 지도자로 삼아 천지회의 이념을 퍼뜨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24]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전설은 녹정기 속 진근남 캐릭터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청나라 말기 구구갑, 도성장, 장태염 등 혁명가들 사이에서 정성공이 천지회의 창시자라는 인식이 퍼지고, 신해혁명 이후 천지회의 반청 활동이 널리 알려지면서 진영화의 역사적 위상 또한 높아졌다.[25] 오늘날에도 홍문에서는 진영화의 기일에 제사를 지내며 그를 기리고 있다.[26]
녹정기에는 "평생 진근남을 알지 못하면, 영웅이라 칭하는 것도 헛된 일이다."(平生不識陳近南,便稱英雄也枉然중국어)라는 유명한 구절이 등장하는데, 이는 소설 속 진근남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실제 역사 인물 진영화의 상징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27]
6. 유적
진영화 부부의 묘는 처음에 적산보 대담산(현재의 타이난시 류잉구 궈이리)에 마련되었다. 정씨왕국이 멸망한 후, 청나라는 두 사람의 유해를 푸젠성 퉁안현(현재의 샤먼시 지메이구)으로 옮겼고, 이로 인해 원래의 묘는 황폐해졌다. 일제 시대에 한 일본인에 의해 묘비가 발견되었는데, 묘비에는 "황명 증자선대부, 정지상경, 도찰원 좌도어사, 총제, 자의참군, 감군어사, 시문정 진공기 배부인 숙정 홍씨 묘"라고 적혀 있었다.[16] 이 묘비는 현재 보존되어 있으며, 1954년 묘비가 발견된 장소에는 의관총이 설치되었다.
타이난현 정부가 1976년 6월에 제작한 '진영화 장군 고묘 연혁'에 따르면, 진영화의 묘는 청나라 강희 20년(1681년)에 처음 세워졌다. 진영화는 푸젠성 퉁안현 출신으로, 명나라의 생원(諸生)이었으며 손자병법과 오자병법에 통달하고 유교 경전을 깊이 탐독했다. 그의 아버지 진정(陳鼎)은 명나라 말 절개를 지킨 인물로, 정성공은 진영화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참군으로 삼아 세자 정경을 보좌하게 했다. 영력 16년(1662년) 정성공 사후 정경이 즉위하자 진영화는 자의참군에 제수되어 규정을 만들고 제도를 기획하는 등 모든 정사를 처리했다. 이후 총제로 승진하여 동녕국을 지켰다. 당시 정경이 장저우와 차오저우 등지에서 전투를 벌이는 동안, 진영화는 후방에서 군사를 훈련시키고 백성을 안정시키며 선비를 우대하는 등 유학에 기반한 정치를 펼쳐 지방을 안정시켰다. 그는 세자 휘하 문신 중 으뜸으로 칭송받았다. 영력 34년(1680년) 7월 진영화가 사망하자 부인 홍씨와 함께 텐싱저우 적산보(현재의 궈이리)에 합장되었다. 중화민국 18년(1929년) 황무지에서 묘비가 발견되어 원래 묘 자리에 옮겨져 재건 및 보존되었다. 중화민국 42년(1953년)에는 대만성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중화민국 60년(1971년) 진씨 종친회의 지원으로 중수되었으며, 중화민국 65년(1976년) 5월부터 타이난현 정부가 관리하게 되었다.
현재 타이난시 타이난 공자묘 근처에 있는 타이난 융화궁(開基永華宮)[17]은 본래 광택존왕(廣澤尊王)을 모시는 사당이었다. 영력 18년(1664년), 진영화는 취안저우시 난안시에서 민간 신앙의 대상인 나타 삼태자와 관세음보살 목상을 가져왔다. 이 중 나타 목상은 현재 타이난 츠성궁에 모셔져 있다[18]. 청나라 시대 1750년에 광택존왕 신자들이 사당을 새로 지으면서 진영화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융화궁(永華宮)"으로 바꾸고 그의 신상을 모셨다.
몽접원(夢蝶園)은 진영화의 친구인 이무춘(李茂春)이 은거하며 살던 정원으로, '몽접원'이라는 이름은 진영화가 직접 지었다. 또한 진영화는 이 정원을 위해 『몽접원기(夢蝶園記)』라는 글을 짓고 이를 비석에 새겨 이무춘에게 보냈다[19]. 이 비석은 현재 타이난 법화사에 남아 있다.
타이난시에 있는 큰 도로인 융화로(永華路)는 진영화를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다.
참조
[1]
서적
The Sea Chronocles
https://ctext.org/wi[...]
2021-12-18
[2]
서적
Taiwan: A New History
M.E. Sharpe
[3]
서적
Island in the Stream: A Quick Case Study of Taiwan's Complex History
http://homepage.usas[...]
SMC Pub.
2008
[4]
서적
Documents on the Relations of the Zheng Family
[5]
서적
裨海紀遊
中央研究院計算中心漢籍電子文獻
[6]
서적
海紀緝要
中央研究院計算中心漢籍電子文獻
[7]
문서
[8]
서적
海上見聞錄
中央研究院計算中心漢籍電子文獻
[9]
서적
台湾外記
中央研究院計算中心漢籍電子文獻
[10]
서적
鄭氏關係文書
中央研究院計算中心漢籍電子文獻
[11]
웹사이트
鹽田進化_陳永華淋滷曬鹽法
http://nanyingsalt.t[...]
台南縣政府
null
[12]
웹사이트
鹽田工作-淋滷曬鹽法
http://nanyingsalt.t[...]
[13]
문서
台湾外記
[14]
서적
台湾政治史
五南圖書
[15]
문서
台湾政治史
[16]
웹사이트
陳永華墓碑被發現
http://www.rti.org.t[...]
[17]
웹사이트
台南市中西區公所-宗教之旅
http://www.tnwcdo.go[...]
[18]
웹사이트
『教授牽線』觀音、太子爺 失散百年再相會
http://www.libertyti[...]
[19]
서적
在廟口說書
心靈工坊文化
[20]
웹사이트
洪門正名 新時代三大考驗
http://epochtimes.co[...]
[21]
웹사이트
幇派轉型成功 洪門子弟祭始祖陳近南
http://smalla.dyndns[...]
[22]
웹사이트
洪門慶祝160週年成立曁五祖寶誕
http://epochtimes.co[...]
[23]
웹사이트
江西發現明末清初天地會的船屋
http://epochtimes.co[...]
[24]
간행물
鄭成功與天地會創立傳説
文史哲出版社
[25]
웹사이트
全球洪門聯盟 永華宮謁祖
http://www.libertyti[...]
[26]
뉴스
洪門祭拜始祖陳近南
http://tw.nextmedia.[...]
蘋果日報
2005-04-04
[27]
간행물
鄭成功與天地會創立傳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