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흙장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흙장어과는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두 개의 속, Panturichthys와 Pythonichthys를 포함한다. 2013년 계통 분류에 따르면, 프로탕구일라과, 긴꼬리장어과, 스파게티장어과, 도요새장어과, 케마과, 톱니장어과, 모노그나투스과, 펠리칸장어과, 풍선장어과, 뱀장어과, 긴목장어과, 클롭시스과, 붕장어과, 먹붕장어과, 오리주둥이장어과, 갯장어과, 바다뱀과, 가는장어과, 곰치과 등과 함께 뱀장어목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장어목 - 댓잎장어
    댓잎장어는 뱀장어목 어류의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를 의미하며, 측면으로 압착된 투명한 몸체와 긴 유생 기간, 해양 스노우를 먹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 뱀장어목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진흙장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Pythonichthys microphthalmus
학명Heterenchelyidae
명명자Regan, 1912
하위 분류 계급속(屬)
하위 분류본문 참조
특징
크기32cm에서 149cm (12.6인치에서 58.7인치)
생물학적 분류
계(界)동물계
문(門)척삭동물문
아문(亞門)척추동물아문
강(綱)조기어강
아강(亞綱)신기어아강
하강(下綱)진골어하강
상목(上目)당멸치상목
목(目)뱀장어목
아목(亞目)곰치아목
과(科)진흙장어과 (Heterenchelyidae)
과 명명Regan, 1912
화석 기록
시기마스트리흐트절부터 현재

2. 하위 속

Panturichthysla 펠르랭, 1913[4]

Pythonichthysla 포이, 1868[4]

3. 계통 분류

2013년 현재, 뱀장어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진흙장어과에는 다음의 2개 속이 속한다.[4]


  • ''Panturichthys'' (펠르랭, 1913)
  • ''Pythonichthys'' (포이, 1868)

3. 1. 2013년 계통 분류

다음은 2013년의 계통 분류이다.[6]

{|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스파게티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도요새장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모노그나투스과

|-

|



|}

|-

| 뱀장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긴목장어과 + 클롭시스과 + 붕장어과 + 먹붕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오리주둥이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



|}

|}

|}

|-

|

{| class="wikitable"

|-

| 클롭시스과

|-

! 곰치아목

|-

|

{| class="wikitable"

|-

| 진흙장어과

|-

|



|}

|}

|}

|}

|}

진흙장어과에는 다음의 2개 속이 속한다:[4]


  • ''Panturichthys'' (펠르랭, 1913)
  • ''Pythonichthys'' (포이, 1868)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2] 저널 Fish Otoliths from the Late Maastrichtian Kemp Clay (Texas, Usa) and the Early Danian Clayton Formation (Arkansas, Usa) and an Assessment of Extinction and Survival of Teleost Lineages Across the K-Pg Boundary Based on Otoliths https://riviste.unim[...] 2020-05-06
[3] 저널 Silicified otoliths from the Maastrichtian type area (Netherlands, Belgium) document early gadiform and perciform fishes during the Late Cretaceous, prior to the K/Pg boundary extinction event 2021-11-01
[4] 웹사이트 2024-11-10
[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6] 저널 A multi-locus molecular timescale for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eel-like fishes (Order: Anguilliform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http://www.scienc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