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질베르 시몽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베르 시몽동은 1924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과학 철학자이다. 조르주 캉길렘,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에게 사사받았으며, 파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기술적 대상의 존재 방식을 다룬 "기술적 대상의 존재 방식", 개체화 이론을 다룬 "개인과 그의 물리-생물학적 생성", "심적 및 집단적 개체화" 등이 있다. 시몽동은 개체화 이론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형성을 설명하고, 사이버네틱스를 비판하며 기계의 현상학을 제시했다. 그의 개체화 이론은 질 들뢰즈, 베르나르 스티글러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브뤼노 라투르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최근에는 포스트 휴머니즘, 트랜스 휴머니즘 논의에서 재조명되며, 한국에서도 그의 저작 번역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의 철학은 기술 중심적 관점과 난해함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사학자 - 루이스 멈퍼드
    루이스 멈퍼드는 기술과 도시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생태학적으로 책임감 있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문명을 비평한 미국의 사상가이자 저술가이다.
  • 기술사학자 - 네이선 시빈
    네이선 시빈은 중국 과학, 기술, 의학 분야를 연구하며, 다양한 언어 구사 능력과 저술 활동을 통해 동아시아 과학 및 기술 분야에 기여한 학자이다.
  • 생테티엔 출신 - 쥘 마스네
    쥘 마스네는 《마농》, 《베르테르》, 《타이스》와 같은 서정적이고 감각적인 오페라로 유명한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중요한 작곡가이자 파리 음악원 교수로서 귀스타브 샤르팡티에, 레이날도 한 등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그의 작품은 프랑스 오페라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생테티엔 출신 - 윌리 사뇰
    프랑스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인 윌리 사뇰은 선수 시절 오른쪽 풀백으로 활약하며 AS 생테티엔, AS 모나코, FC 바이에른 뮌헨 등에서 뛰었고, 프랑스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서 프랑스 U-21 대표팀, FC 지롱댕 드 보르도 감독, FC 바이에른 뮌헨 수석 코치를 거쳐 현재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기술철학자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기술철학자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질베르 시몽동
기본 정보
질베르 시몽동
학문적 배경
분야서양 철학, 기술 철학
시대20세기 철학
주요 관심사정보, 소통, 자연 철학, 과학 철학, 인식론, 기술, 심리학, 물리학, 양자 역학, 열역학, 수력학, 화학, 생물학, 결정학, 역학, 전자 공학, 건축, 종교, 윤리학, 미학
주요 아이디어개별화, 변환, 알라그마틱스, 준안정성, 추상적 및 구체적 기술 객체, 개방 및 폐쇄 시스템, 마이너 및 메이저 기술, 테크노-미학
영향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 앙리 베르그송, 조르주 캉길렘, 앙드레 르루아-구랑, 모리스 메를로-퐁티, 노버트 위너
영향을 받은 인물질 들뢰즈, 자크 엘륄, 브뤼노 라투르, 이사벨 스탕제르, 베르나르 스티글러
인물 정보
이름질베르 시몽동
출생일1924년 10월 2일
출생지생테티엔, 프랑스
사망일1989년 2월 7일
사망지팔레조, 프랑스
국적프랑스
모국어프랑스어
교육
출신 학교리세 드 생테티엔
모교고등사범학교 (파리) (아그레가시옹, 1948), (철학 학사, 1948), (심리학 학사, 1950), (박사, 1958)
박사 지도교수장 이폴리트, 조르주 캉길렘
경력
소속 기관푸아티에 대학교, 투르 대학교, 리옹 대학교, 파리 대학교
주요 저서
박사 논문 1 제목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별화 (L'Individuation à la lumière des 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
박사 논문 1 년도1958년
박사 논문 2 제목기술적 대상의 존재 방식에 대하여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박사 논문 2 년도1958년

2. 생애와 경력

질베르 시몽동은 1924년 프랑스 생테티엔에서 태어났다. 그는 과학 철학자 조르주 캉길렘, 철학자 마르시알 게루,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고등사범학교와 소르본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58년 파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주요 논문인 "형태와 정보 개념의 관점에서 본 개체화"(L'individuation à la lumière des 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는 사후에 두 부분으로 나뉘어 출판되었다. 첫 번째 부분인 ''개체와 그 물리-생물학적 생성''(L'individu et sa génèse physico-biologique)은 1964년에, 두 번째 부분인 ''정신적, 집단적 개체화''(L'individuation psychique et collective)는 1989년에 출판되었다. 그의 부논문인 "기술적 대상의 존재 방식에 관하여"(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는 1958년에 출판되어 즉각적인 주목을 받았다.

3. 주요 저작


  • ''기술적 대상의 존재 방식'' (Méot, 1958; 제2판. 파리: Aubier, 1989).
  • ''개인과 그의 물리-생물학적 생성 (형태와 정보의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PUF, 1964; 제2판. J.Millon, coll. Krisis, 1995).
  • ''심적 및 집단적 개체화'' (파리, Aubier, 1989; 2007년 Bernard Stiegler의 서문과 함께 재판).


'''사후 출판'''

  • ''기술 속의 발명'', 강의 및 회의 (Éd. du Seuil, coll. "Traces écrites").
  • ''형태와 정보의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Jérôme Millon, coll. Krisis, 2005).
  • ''지각에 관한 강의 (1964–1965)'', 르노 바르바라스 서문 (Editions de La Transparence).
  • ''상상력과 발명 (1965–1966)'' (Editions de La Transparence, 2008).
  •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강의 및 회의'' (Éditions de La Transparence, 2010).
  • ''기술에 관하여'' (P.U.F., 2014).
  • ''심리학에 관하여'' (P.U.F., 2015).
  • ''철학에 관하여'' (P.U.F., 2016).
  • ''문제 해결'' (P.U.F., 2018).

3. 1. 사후 출판

질베르 시몽동의 사후 출판된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기술 속의 발명'', 강의 및 회의 (Éd. du Seuil, coll. "Traces écrites").
  • ''형태와 정보의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Jérôme Millon, coll. Krisis, 2005).
  • ''지각에 관한 강의 (1964–1965)'', 르노 바르바라스 서문 (Editions de La Transparence).
  • ''상상력과 발명 (1965–1966)'' (Editions de La Transparence, 2008).
  •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강의 및 회의'' (Éditions de La Transparence, 2010).
  • ''기술에 관하여'' (P.U.F., 2014).
  • ''심리학에 관하여'' (P.U.F., 2015).
  • ''철학에 관하여'' (P.U.F., 2016).
  • ''문제 해결'' (P.U.F., 2018).

4. 철학 사상

4. 1. 개체화 이론

시몽동은 《심리적이고 집단적인 개체화》에서 개인 및 집단 개체화 이론을 발전시켰다. 여기서 개인적 주체는 개체화의 원인이 아닌 결과로 간주된다. 따라서 개별 원자는 끝없는 개체화 과정으로 대체된다. 시몽동은 개체화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자원으로서 "전개체 장"을 생각했다. 개체화는 항상 불완전한 과정이며, 항상 "개인 이전"의 잔여물을 남기고 그 자체가 미래의 개체화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정신적 개체화는 항상 개인과 집단 주체를 모두 만들어내며, 이 주체는 함께 개체화된다.

시몽동은 노버트 위너사이버네틱스 이론을 비판하며, "처음부터 사이버네틱스는 모든 기술 이론이 거부해야 할 것, 즉 확립된 기준과 다음 속 및 종에 따라 수행되는 기술적 대상의 분류를 받아들였다."라고 주장했다. 시몽동은 기계의 "일반 현상학"을 개발하여 사이버네틱스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4. 2. 기술 철학

시몽동은 《심리적이고 집단적인 개체화》에서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개체화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여기서 개인적인 주체는 원인이 아닌 개체화의 결과로 간주된다. 따라서 개인적인 원자는 영원히 끝나지 않는 개체화 과정으로 대체된다. 시몽동은 또한 개체화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자원으로서 "개체화 이전의 장"을 구상했다. 개체화는 항상 불완전한 과정이며, 항상 "개체화 이전"의 잔재를 남기며, 이는 미래의 개체화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심리적 개체화는 항상 개인적 주체와 집단적 주체를 모두 생성하며, 이들은 함께 개체화된다.

시몽동은 노버트 위너사이버네틱스 이론을 비판하며, "사이버네틱스는 처음부터 모든 기술 이론이 거부해야 할 것을 받아들였다. 즉, 확립된 기준과 종과 속을 따르는 기술적 대상의 분류이다."라고 주장했다. 시몽동은 기계의 "일반적인 현상학"을 개발하여 사이버네틱스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5. 영향과 유산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은 전도를 통해 준안정 상태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질 들뢰즈의 사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들뢰즈는 자신의 저서 ''차이와 반복''(1968), ''감각의 논리''(1969) 등에서 시몽동의 작업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베르나르 스티글러는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을 자신의 철학 프로젝트의 핵심에 두었다.

브뤼노 라투르를 비롯, 여러 학자들이 시몽동의 연구에 영향을 받았다. 시몽동은 파올로 비르노, 장-위그 바르텔레미, 티에리 바르디니, 루치아나 파리시, 브라이언 마수미, 에이드리언 매켄지, 뮤리엘 콤베스, 칼 미첨, 앤드류 페엔버그, 허이옥, 이자벨 스탱거스, 토마 라마르, 안느 소바냐르그와 같은 학자들의 연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포스트 휴머니즘, 트랜스 휴머니즘 논의에서 시몽동의 기술 철학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시몽동의 저작 번역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그의 철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성찰하는 데 있어 시몽동의 사상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6. 비판과 한계

질베르 시몽동의 철학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과 한계를 지적받는다.

일부에서는 시몽동의 철학이 기술 중심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어, 이로 인해 인간 소외 문제를 간과한다는 비판을 제기한다. 그의 개체화 이론은 추상적이고 난해하여 현실 문제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시몽동의 사상이 기술 만능주의적인 성향과 진보주의적인 편향성을 띤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판은 시몽동의 철학이 기술적 진보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7. 한국에서의 수용과 연구

한국에서 질베르 시몽동의 철학은 2000년대 이후 그의 주요 저작들이 번역되면서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함께 그의 기술 철학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시몽동의 사상은 기술,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이 그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시몽동의 철학은 난해하고 복잡하여 대중적인 이해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지만, 그의 기술 철학은 기술과 인간,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간행물 Machinic Milieus: Simondon, John Hart and Mechanology From Disability History Newsletter 2013-09
[2] 학위논문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https://www.worldcat[...] Aubier et Montaigne 1958
[3] 서적 L'individu et sa genèse physico-biologique; l'individuation à la lumière des 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 https://www.worldcat[...]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64
[4] 웹사이트 L'Individuation psychique et collective de Gilbert Simondon – Editions Flammarion https://editions.fla[...] 2021-02-18
[5] 서적 L'invention dans les techniques: cours et conférences https://www.worldcat[...] Seuil 2005
[6] 서적 L'individuation à la lumière des 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 https://books.google[...] Editions Jérôme Millon 2005
[7] 서적 Cours sur la perception: 1964–1965 https://www.worldcat[...] Transparence 2006
[8] 서적 Imagination et invention (1965–1966) https://www.worldcat[...] Éditions de la transparence 2008
[9] 서적 Communication et information cours et conférences https://www.worldcat[...] Les Éd. de la transparence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