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쩐반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반짜는 1918년(혹은 1919년)에 태어난 베트남의 군인으로, 본명은 응우옌쩐이다. 그는 1938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하여 프랑스 식민 당국에 저항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프랑스 감옥에서 복역했다. 베트남 인민군 장교로 활동하며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특히 구정 공세와 부활절 공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 작전을 지휘했다. 전쟁 후에는 자신의 회고록을 출판했지만 검열로 인해 배포가 금지되었으며, 1996년 호치민 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꽝응아이성 출신 - 응우옌반린
    응우옌 반 린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도이 모이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 저항 운동 참여, 베트콩 게릴라 활동 지휘, 사이공 당 서기 역임 등의 경력을 가진 인물로서, 시장경제 도입을 통해 베트남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부작용을 비판하며 말년에는 자본주의 정책 폐기를 주장하고 미국,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 꽝응아이성 출신 - 쯔엉딘
    쯔엉딘은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저항하며 민병대를 이끌었던 베트남의 영웅으로, 1864년 자결하기 전까지 독자적인 항전을 이어갔으며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북베트남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반띠엔중
    반 띠엔 중은 베트남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과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하며 사이공 함락을 이끌었으나, 정치적 실각을 겪었다.
  • 북베트남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바오닌
    바오닌은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의 비극과 상처를 다룬 소설 《전쟁의 슬픔》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베트남 소설가이다.
  • 베트남 공산당의 정치인 - 보반트엉
    보 반 트엉은 1970년 북베트남 출생으로 호치민 공산주의 청년 연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2023년 베트남 국가주석에 임명되었으나 2024년 부정부패 관련 문제로 사임했다.
  • 베트남 공산당의 정치인 - 팜훙
    팜훙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당 지도자 활동, 토지 개혁 등을 거쳐 1987년 총리에 취임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쩐반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4년의 쩐반짜
1974년의 쩐반짜
개요
이름쩐반짜
출생일1919년 9월 15일
사망일1996년 4월 20일
출생지선띤현, 꽝응아이 성, 안남 (프랑스 보호령)
사망지호치민 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별명뜨 찌
군사 경력
소속북베트남
군종베트남 인민군
복무 기간1938년–1982년
최종 계급상장
지휘(PLAF) 해방군 사령관
지휘2군사위원회 부비서
지휘3부지역 사령관 (1968년 6월 8일 ~ 1976년 7월 2일)
주요 참전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뗏 공세
이스터 공세
호치민 작전
수상승리 결의 훈장
기타
이후 활동베트남 퇴역군인회 부주석

2. 생애

쩐반짜는 꽝응아이 성 출신으로, 젊은 시절부터 베트남의 독립과 공산주의 운동에 투신했다. 1938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한 이후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투옥되기도 했으나, 1945년 8월 혁명으로 석방되어 베트남 인민군에 합류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북베트남 군대에서 여러 직책을 거쳤다.

1963년 다시 남베트남으로 파견되어 베트콩 게릴라 부대를 이끌고 미국군 및 남베트남군에 맞서 싸웠다.[21] 그는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며 남베트남에 수립된 지하 공산정부의 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전쟁 수행 전략을 두고 공산당 지도부와 의견 충돌을 겪기도 했다.[21] 1970년대 중반에는 잠시 하노이로 돌아가 최후의 사이공 공략 작전 수립에 참여했으며, 이 작전에서 최전선 지휘를 맡았다.[21]

베트남 전쟁 종전 후, 쩐반짜를 비롯한 베트콩 출신 인사들이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 환멸을 느꼈다.[21] 그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베트남 전쟁 회고록을 1982년 발표했으나, 이 책은 출간 직후 검열되어 배포가 금지되었다.[21] 정부의 지지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전직 장교들 사이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1987년 이들과 함께 참전용사단체를 조직했다. 그러나 이 단체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다가 1990년 강제로 해산되었다.[21]

2. 1. 초기 생애와 인도차이나 공산당 입당

쩐반짜는 1918년[3] 또는 1919년 꽝응아이 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벽돌공[3] 또는 농부였다. 출생지는 꽝응아이 성 선틴 현 틴롱 사이며, 본명은 '''Nguyễn Chấnvi'''(응우옌 쩐)이다. '''Tư Chi''', '''Tư Nguyễn''', '''Ba Trà''' 등의 별명으로도 불렸다. 어린 시절에는 꽝응아이의 초등학교를 다녔고, 이후 사이공으로 이주하여 기술 훈련 학교에서 공부했다.

1936년 후에에서 민주 청년단에 가입하며 활동을 시작했고, 1938년 8월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하여 공산주의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베트남 내에서 활동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포함하여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두 차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3]

2. 2. 베트남 인민군 복무와 남베트남 파견

1945년 8월 혁명을 통해 석방된 후, 1946년 베트남 인민군 장교로 입대하여 프랑스군에 맞서 싸웠다.[21][3]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민은 패전한 일본군 병사 600명 이상을 모집하여 함께 싸웠는데, 1946년 6월에는 이들 중 일부가 쩐반짜의 출생지인 꽝응아이 성에서 베트민이 설립한 군사 학교 교관으로 활동하며 400명 이상의 베트남 훈련병들에게 전투 기술을 가르쳤다. 쩐반짜가 이 학교 운영에 직접 관여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전쟁 기간 동안 남부에서 군사 활동을 이어가며 여러 직책을 맡았다. 제14지대(연대급) 지대장, 남부위원회 제8구역 구장(1946년-1948년), 사이공・쩌런 지구 사령 겸 정치위원, 제7군구 사령관(1949년-1950년), 남베트남 사령부 부사령 겸 남베트남 동부분구 사령(1951년-1954년)[7], 코친차이나 부사령관(1951년-1954년) 등을 역임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 체결 후 베트민 군대가 북부로 집결함에 따라, 1955년 쩐반짜도 북베트남으로 이동했다. 북베트남에서 그는 베트남 인민군 부참모총장(1955년-1958년)[8], 군사훈련총국 부주임(1958년)[9], 군사정치학원 교장, 중앙군사재판소장(1961년) 등 주요 직책을 거쳤다. 1959년에는 중장 계급을 수여받았으며[10], 1960년 베트남 노동당 제3차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11]. 1961년 1월에는 제3기 당 중앙위원회 제3차 총회에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12].

1963년 다시 남베트남으로 파견되어 베트콩 게릴라 부대인 남베트남 해방군 사령관 등을 맡아 미국군 및 남베트남군에 대항하는 전투를 이끌었다.[21]

3. 베트남 전쟁

베트남의 해방과 공산주의에 동조한 그는 1938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베트남 내에서 게릴라 군대 조직 활동에 관여하다 1939년 프랑스 식민 정부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1945년 8월 혁명으로 석방되어 1946년 베트남 인민군 장교로 입대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단된 뒤, 북베트남 군대에서 여러 직책을 거쳤다. 1963년 다시 남베트남으로 파견되어 베트콩 게릴라를 이끌고 미국군 및 남베트남군에 맞서 싸웠다. 그는 구정 공세, 부활절 공세, 호치민 작전 등 주요 작전에 참여하며 많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나, 전시 전략을 둘러싸고 공산당 지도부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1974년 상장으로 승진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에는 호치민 작전의 부사령관으로서 최전선 지휘를 맡았고, 함락 직후 사이공 군정을 담당했다.

전쟁이 끝난 뒤, 그는 자신을 비롯한 베트콩 출신 장군들이 공훈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 환멸을 느꼈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 국방부 차관을 역임했으나,[5] 1982년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비판적 시각을 담은 회고록 ''베트남: 30년 전쟁을 종결하는 B-2 극장 요새의 역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출판 직후 검열되어 배포가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그는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에서 숙청되었다.[6] 정부의 지지를 잃었음에도 전직 장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하여, 1987년 이들과 함께 참전용사단체를 조직했으나 이 단체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다 1990년 강제 해산되었다.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베트남 참전용사 협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96년 4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사실상의 가택 연금 상태에서 지냈다.[6][21]

3. 1. 베트콩 지휘와 주요 전투

1963년, 그는 남베트남으로 파견되어 베트콩의 군사 부문인 남베트남 해방군 (Quân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vi) 사령관(1963년-1967년, 1973년-1975년) 및 부사령관(1968년-1972년), 남베트남 해방군 군사위원회 부서기를 역임하며 베트콩 게릴라를 이끌고 미국군 및 남베트남군에 대항해 싸웠다. 그는 많은 전투에서 승리하며 남베트남에 수립된 지하 공산 정부의 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때때로 전시 전략을 둘러싸고 공산당 지도자들과 의견 충돌을 겪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쩐반짜는 여러 주요 군사 작전을 지휘했다. 1968년 구정 공세 당시에는 사이공 공격을 이끌었으며, 1972년 부활절 공세 때는 B2 전선을 지휘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잠시 하노이로 돌아가 최후의 사이공 공략 작전 수립에 참여했고, 이 작전에서 최전선 지휘를 맡았다.

1970년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 전선 및 군관구 지도


1973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 이후, 그는 사이공의 4자 합동 군사 위원회에서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군사 대표 단장을 맡았다. 1974년 하노이에서 열린 북베트남 군사 지도자 회의에서, 쩐반짜는 당시 논의되던 보수적인 전략에 반대하며, 남베트남과 미국의 군사적 반응을 시험하기 위해 푸억롱 성을 공격할 것을 적극적으로 제안했다.[4] 이 공격은 성공했고 미국은 군사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후 더 크고 공세적인 공산 진영의 작전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4월, 그는 상장으로 승진했다.

1975년 4월 8일, 베트남 전쟁의 마지막 단계인 호치민 작전이 개시되자 그는 작전 지휘부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선임 장군 반 띠엔 중 휘하에서 사이공 총공격을 전선에서 직접 지휘했다.[5]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함락 직후에는 사이공-자딘 지구 군사 관리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어 사이공의 군정을 책임졌다.

3. 2. 전략을 둘러싼 갈등

쩐반짜는 베트콩 게릴라를 이끌고 많은 전투에서 승리하며 남베트남 지하 공산정부의 군사령관까지 올랐지만, 전시 전략을 둘러싸고 베트남 공산당 지도자들과 자주 충돌했다.

1974년 하노이에서 열린 북베트남 군사 지도자 회의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 지도부는 다음 해에 대한 보수적인 군사 전략을 세우려 했으나, 쩐반짜는 이에 반대하며 남베트남과 미국의 군사적 반응을 시험하기 위해 푸억롱 성을 먼저 공격하자고 제안했다.[4] 그의 제안대로 실행된 푸억롱 성 공격은 성공했고, 예상대로 미국은 군사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다. 이는 결과적으로 북베트남이 더 크고 공격적인 공세를 펼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 후인 1982년, 쩐반짜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저서 ''베트남: 30년 전쟁을 종결하는 B-2 극장 요새의 역사''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구정 공세 당시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이 자신들의 군사적 능력은 과대평가하고 미국과 남베트남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이 내용은 새롭게 통일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부를 당혹스럽게 만들었고, 결국 그는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에서 숙청당했다.[6]

4. 전쟁 이후 활동

전쟁이 끝난 뒤, 쩐반짜를 비롯한 베트콩 출신 장군들이 공훈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데 대해 환멸을 느꼈다.[21] 그는 남북 베트남 통일 후에도 남부에 머물며, 1976년부터 호찌민 시 인근 제7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맡았고, 같은 해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 및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16]

그러나 이웃 캄보디아폴 포트 정권 문제와 관련하여 중앙 정부와의 갈등으로 인해 1978년 국방차관으로 좌천되었고[17], 1982년에는 당 중앙위원과 국방차관직에서도 모두 해임되었다. 은퇴 후 1982년, 베트남 전쟁 당시 지도부의 판단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회고록 『30년 전쟁의 종결』을 출판했으나, 이 책은 곧바로 검열되어 배포가 금지되었다.[21]

정부의 지지를 잃었음에도 전직 장교들 사이에서는 영향력을 유지하며 1980년대 후반 비공식 참전용사 조직인 "구 항전 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1987년에는 별도의 참전용사 단체를 조직하기도 했으나 이 단체는 1990년 강제 해산되었다.[21] 이후 정부가 관리하는 베트남 재향군인회의 남부 지도자(1990년)[18][19] 및 중앙 부주석(1992년)[20]으로 활동했다. 1996년 4월 20일 호찌민 시에서 사망했다.

4. 1. 베트남 통일과 이후 행보

남북 베트남 통일 후에도 남부에 머물렀으며, 1976년부터 호찌민 시(구 사이공 시) 주변을 관할하는 제7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했다. 같은 해 베트남 공산당 제4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16], 제6기 국회의원으로도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웃 국가 캄보디아폴 포트 정권이 국경을 넘어 공격해오자, 중앙 정부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보복 공격을 준비한 것이 문제가 되어 실각했다. 결국 1978년 국방차관으로 좌천되었다[17]. 1981년에는 국회의원직을 내려놓았고, 1982년 제5차 당대회에서는 당 중앙위원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며 같은 해 국방차관에서도 해임되었다.

은퇴 후에는 회고록 저술과 사회 활동에 집중했다. 1982년에는 저서 『30년 전쟁의 종결』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테트 공세 당시 많은 공산당 지도자들이 아군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미군 및 구 남베트남군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주관적인 판단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 책은 베트남 공산당의 공식적인 역사관과 다르다는 이유로 '비정통적 관점'으로 간주되어 출판 직후 발매 금지 처분을 받고 회수되었다.[21]

정부의 지지를 얻지는 못했지만, 그는 전직 장교들 사이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남부에서 비공식 조직인 "구 항전 클럽"의 상급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산당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활동을 통제하려 했고, 1990년 3월에는 그를 관제 조직인 베트남 재향군인회의 남부 지도자로 임명했다[18][19]. 이후 1992년 11월에는 재향군인회 제1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20].

1996년 4월 20일, 호찌민 시에서 사망했다.

4. 2. 회고록 출판과 검열

전쟁이 끝난 뒤, 베트콩 출신 장군들이 공훈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것에 환멸을 느낀 쩐반짜는[21] 베트남 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평가를 담은 회고록을 집필했다. 1982년, 그는 ''베트남: 30년 전쟁을 종결하는 B-2 극장 요새의 역사'' (일부 자료에서는 『30년 전쟁의 종결』로도 언급됨)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5] 이 책에서 쩐반짜는 구정 공세 당시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 지도부가 자신들의 군사적 능력은 과대평가하고 미국남베트남의 능력은 과소평가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내용은 새롭게 통일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부를 당황하게 만들었고, 결국 책은 출판되자마자 '비정통적인 관점'으로 간주되어 검열을 통해 배포가 금지되고 회수되는 조치를 당했다.[21] 보고에 따르면 출판된 책 5권 중 단 1권만이 회수를 피했다고 전해진다.[6] 이 사건의 여파로 쩐반짜는 1982년 베트남 공산당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에서 제외되었고, 같은 해 국방차관에서도 해임되었다.[17] 결국 그는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에서도 숙청되었으며,[6] 1996년 사망할 때까지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에서 생활해야 했다.[6]

4. 3. 참전용사 단체 활동과 사망

1980년대 후반, 쩐반짜는 남부 베트남에서 비공식 조직인 "구 항전 클럽"의 상급 고문으로 활동하며 공산당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전 동료 장교들과 함께 1987년에 참전용사 단체를 조직하기도 했으나, 이 단체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다가 결국 1990년에 강제로 해산되었다.[21] 그러나 같은 해 3월, 그는 정부가 관리하는 베트남 재향군인회의 남부 지역 지도자로 임명되었다.[18][19] 이후 1992년 11월에는 베트남 재향군인회 제1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어 활동을 이어갔다.[20] 그는 1996년 4월 20일, 호찌민 시에서 사망했다.

5. 저서

그는 군인일 뿐만 아니라 저술가로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 ''강철의 B2 전구의 발자취・제5권・30년 전쟁의 종결''(Những chặng đường lịch sử của "B2-thành đồng", tập 5, Kết thúc cuộc chiến tranh 30 nămvie, 1982)
  • ''강철의 B2 전구의 발자취・제1권・평화인가 전쟁인가''(Những chặng đường lịch sử của "B2-thành đồng", tập 1, hòa bình hay chiến tranhvie, 1992)
  • ''살아있는 사람에게''(Gởi người đang sốngvie, 1996)
  • ''역사의 가을''(Mùa thu lịch sửvie, 1996)
  • ''1968년 무술년의 봄에 대한 감상''(Cảm nhận về xuân Mậu Thân 1968vie, 1998)

6. 가족

아버지는 남베트남 군법위원회 의장을 역임한 변호사 Lê Đình Chi|레 딘 치vie(1912년-1949년)이다. 배우자는 호치민시 파스퇴르 연구소(Viện Pasteur TP.HCM|호치민시 파스퇴르 연구소vie)의 전 부소장을 지낸 생화학 박사 레 티 트아이다.

7. 평가 및 영향

쩐반짜는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콩 게릴라를 이끌고 많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군사 지도자였지만, 전시 전략을 두고 공산당 지도부와 자주 충돌했다.

전쟁이 끝난 후, 쩐반짜를 포함한 베트콩 출신 장군들은 자신들의 공훈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이에 환멸을 느낀 그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공산당 지도부의 오류를 비판적으로 담은 회고록을 썼다. 이 책은 1982년에 발표되었으나, 출판 직후 검열로 인해 배포가 금지되었다. 그럼에도 이 회고록은 베트남 전쟁의 실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정부의 지지를 얻지 못했음에도 쩐반짜는 전직 장교들 사이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했다. 그는 1987년 이들과 함께 참전용사단체를 조직하여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으나, 이 단체는 1990년에 강제로 해산되었다.[21]

베트남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여러 훈장을 수여했다. 또한, 호치민 시 7군의 푸미흥 신도시 구역에 있는 거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수훈 내역'''

훈장 종류
호찌민 훈장
군공 훈장 (1등, 3등)
전승 훈장 (1등)


참조

[1] 웹사이트 NVA and/or VC Awards http://www.diggerhis[...] 2007-10-21
[2] 웹사이트 Colonel General Trần Văn Trà https://mod.gov.vn/v[...] 2024-06-01
[3] 서적 Trần Văn Trà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1-11-01
[4] 웹사이트 Vietnam: A History of the Bulwark B-2 Theater Translation of ''Kết thúc cuộc chiến tranh 30 năm.'' http://usacac.army.m[...] United State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83-02
[5] 웹사이트 Senior Lieutenant General Tran Van Tra http://www.mod.gov.v[...] 2012-09-25
[6] 웹사이트 The Tet Offensive and the Media: Tran Van Tra https://web.archive.[...] ABC-CLIO 2011
[7] 웹사이트 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19号 http://moj.gov.vn/vb[...]
[8] 웹사이트 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232号 http://moj.gov.vn/vb[...]
[9] 웹사이트 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061号 http://moj.gov.vn/vb[...]
[10] 웹사이트 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036号 http://moj.gov.vn/vb[...]
[11] 웹사이트 第3期党中央執行委員会(1960–1976年) http://123.30.190.43[...] 2013-01-30
[12] 문서 職務配置問題に関する1961年1月23日の第3回中央執行委員会会議決議第6号
[13] 웹사이트 http://vmhm.org.vn/s[...]
[14] 문서 ズン(1976年)、197-198ページ
[15] 웹사이트 木村(1997年)、48-49ページ http://d-arch.ide.go[...]
[16] 웹사이트 第4期党中央執行委員会(1976–1982年) http://123.30.190.43[...]
[17] 문서 チャンダ(1999年)、328-330
[18] 문서 今井(2007年)、150-151ページ
[19] 문서 村野(1990年)、235ページ
[20] 웹사이트 ベトナム退役軍人会第1回全国代表大会(2009年12月9日) http://www.cuuchienb[...]
[21] 웹인용 The Tet Offensive and the Media: Tran Van Tra http://www.historyan[...] ABC-CLIO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