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쯔엉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쯔엉딘은 베트남의 저항 영웅으로,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맞서 게릴라전을 이끌었다. 꽝남성에서 태어나 군 관리인의 아들로 성장한 그는 무술과 군사 지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1850년대에는 토지 개간 사업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 1858년 프랑스의 침략이 시작되자 민병대를 조직하여 저항 운동을 주도했으며, 1862년 사이공 조약 이후에도 조정의 명령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항전을 이어갔다. 그는 1864년 프랑스군과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자결했으며,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꽝응아이성 출신 - 응우옌반린
    응우옌 반 린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도이 모이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 저항 운동 참여, 베트콩 게릴라 활동 지휘, 사이공 당 서기 역임 등의 경력을 가진 인물로서, 시장경제 도입을 통해 베트남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부작용을 비판하며 말년에는 자본주의 정책 폐기를 주장하고 미국,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 꽝응아이성 출신 - 쩐득르엉
    쩐득르엉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꽝응아이성 출신이며 하노이 광업지질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지질총국에서 근무했으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주석을 역임했다.
  • 베트남의 유학자 - 판보이쩌우
    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로, 유신회 결성, 동유운동, 베트남 광복회 조직 등을 통해 독립 사상을 전파하고 무장 투쟁을 시도했으나, 프랑스에 체포되어 가택 연금 상태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생가와 묘는 기념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 베트남의 유학자 - 호쑤언흐엉
    호쑤언흐엉은 찐씨 정권 말기에 태어나 하노이로 이주하여 유교 사회에 도전하는 사회 정치적 논평과 성적 유머를 담은 시를 썼으며, 쯔놈 문학 발전에 기여한 베트남의 시인이다.
  • 코친차이나 원정 관련자 - 리고 드 주누이
    프랑스 해군 제독이자 정치인인 리고 드 주누이는 크림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에서 활약했고, 베트남 내전 당시 프랑스의 군사적 개입을 주도하여 사이공 점령을 이끌었으며, 해군 장관과 전쟁 장관을 역임한 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발발 후 은퇴했다.
  • 코친차이나 원정 관련자 - 레오나르 샤르네르
    레오나르 샤르네르는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알제 침공, 나폴레옹 1세 유해 귀환, 제2차 아편 전쟁 등에 참여했으며, 해군부 장관 참모총장, 태평양 함대 부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상원의원을 지냈다.
쯔엉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쯔엉딘
19세기 익명의 화가가 그린 쯔엉딘의 초상화
다른 이름쯔엉꽁딘
출생일1820년
출생지빈선현, 꽝응아이성, 베트남
사망일1864년 8월 19일
사망지비엔호아, 코친차이나
소속응우옌 왕조
종교유교
참고안장성의 만다린 직책 제안을 거절함

2. 초기 생애

쯔엉딘은 베트남 중부 꽝남성(Quảng Nam Province) 꽝응아이(Quảng Ngãi)현(prefecture) 빈썬군(Bình Sơn District)에서 군 관리인 쯔엉껌(Trương Cầm)의 아들로 태어났다.[2] 1830년대 부친을 따라 남부 자딘(Gia Định)으로 이주했다.[6] 쯔엉딘은 무술 실력과 군사 지식으로 현지에서 명성을 얻었다.[3][4] 아버지 사후, 딘즈엉성(Dinh Tuong Province) 탄안(Tân An)의 부유한 주민의 딸과 결혼했다.[3][4]

쯔엉딘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용하여 가난한 사람들을 모아 고꽁(Gò Công)에 '돈디엔'(đồn điền, 군사 식민지)을 설립하고 토지 개간에 힘썼다.[15] 1854년 뜨득 황제(Emperor Tự Đức)는 응우옌 찌 프엉(Nguyễn Tri Phương) 장군에게 남부 징집병을 조직할 권한을 부여했고, 쯔엉딘은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부연대장(副領隊長) 계급을 받았다.[15][5] 딘의 '돈디엔'은 조직 능력과 더불어 그가 보호하는 사람들의 복지에 대한 관심 덕분에 성공적이었다.[15] 농민들은 토지 개발 능력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그에게 '꽁'(Công, 위대한 공공 봉사)이라는 중간 이름을 주었다.[7]

3. 프랑스의 침략과 저항

1858년 9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이 베트남 중부 다낭에 상륙하면서 베트남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8] 이들은 후에로 진격하려 했으나, 여의치 않자 남부로 이동하여 1859년 2월 사이공 성채를 점령하고 파괴했다.[4][9] 성채 사령관은 자결했고, 프랑스군은 상당량의 군수물자를 압수했다.[4][9] 지휘관을 잃고 패배한 황실군은 혼란 속에 도망쳤다.[4]

프랑스 침략의 주요 동기는 제국주의적, 전략적, 상업적 목적이었으며, "종교의 자유"를 명분으로 내세웠다.[13][10][11][12] 그러나 이는 응우옌 왕조의 유교적 전통과 배치되는 것이었다. 기독교 신앙 체계는 군주가 "하늘의 아들"이라는 유교적 신념과 양립할 수 없었다.[13]

사이공 성채 파괴에 대한 응답으로,[14] 쯔엉딘은 그의 지역 민병대를 처음에는 500명에서 1000명 사이의 게릴라 부대로 조직하여 투언키우에서 작전을 수행했다.[4] 그들은 창, 활과 화살, 화염병, 칼, 마체테, 사브르, 검, 그리고 소량의 화기를 사용했다.[4][15][19] 그들은 언제든지 투입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지도력과 군사적 능력으로 존경받는 유명한 지역 지도자였던 딘은 프랑스의 침략에 대한 대중적 저항을 호소하는 뜨득 황제의 요청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 프랑스 저항 운동의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4][15]

1861년, 딘은 그의 부하들을 고꽁 지역의 탄호아 부현으로 이동시켰다.[4] 탄호아는 저항 기지로 이상적인 위치였다. 응우옌중득, 쩐쑤언호아 등이 이끄는 새롭게 결성된 고꽁과 미토 지역의 저항 세력과 가까우면서도 사이공과도 가까웠다.[15]

1861년 2월, 프랑스는 끼호아 성채를 포위 공격하여, 그들의 우수한 무기 덕분에 성채를 신속하게 점령하고 성채의 무기, 포병 및 식량을 대량으로 획득했다.[16] 딘은 더 많은 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고향을 지키려는 모든 병사들을 자신의 부대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4] 1861년 5월, 레오나르 샤르네 제독은 고꽁의 ''돈디엔'' 해산을 명령했다. 그는 왕실에 충성을 지킨 베트남인들의 토지를 몰수하여 그의 협력자들에게 나눠주었다. 인근 수로를 통한 쌀 거래에 대한 프랑스의 탄압은 고꽁 주민들의 반발을 더욱 심화시켰다.[18]

중령으로 임명된[5] 딘은 황실군 장교들의 도움을 받아 식량을 비축하고 무기를 제조하며 주민들로부터 병력을 모집하기 시작했다.[4] 1861년 6월까지 그의 병력은 약 6,000명으로 증가했다.[19] 딘의 부대는 지형에 대한 친숙함, 타격 후 도주 전술의 숙련도,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지지 덕분에 유럽군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기 시작했다.[21] 딘의 부대는 주로 시골에 주둔한 프랑스 병사들을 표적으로 하고, 게릴라 추격의 결과로 집중되지 않은 군사 시설을 매복 공격했다.[20] 뜨득 황제는 그를 지아딩 지역의 중령으로 승진시켰다. 1861년 후반, 황실 정규군은 비엔호아에서 패배했고,[21] 베트남 지휘관들은 왕실 당국으로부터 비엔호아 탈환 계획을 세우기 위해 탄호아에서 딘을 만나라는 명령을 받았다. 1862년 초, 응우옌 왕실은 딘에게 남부 ''응이아 꾸언''(''의로운 병사들'', 후에에서 게릴라를 부르는 용어)의 모든 지휘권을 부여했다. 딘은 고꽁에 있는 자신의 기지에서 계속 적군을 공격했다.[21]

딘의 ''응이아 꾸언''은 프랑스 해군 장교들의 존경을 받았다. 딘의 공격으로부터 고꽁의 주둔지를 방어한 레오폴드 팔루 드 라 바리에르는 그들의 맹렬함에 놀랐다.[21] 그는 게릴라의 노력이 대중적임을 인정하면서, "저항의 중심은 모든 곳에 있었고, 무한히 세분화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21] 그는 모든 농민을 저항의 중심으로 간주했다.[21]

3. 1. 프랑스의 침략 (1859)

1858년 9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이 베트남 중부 다낭에 상륙하면서 베트남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8] 이들은 후에로 진격하려 했으나, 여의치 않자 남부로 이동하여 1859년 2월 사이공 성채를 점령하고 파괴했다.[4][9] 성채 사령관은 자결했고, 프랑스군은 상당량의 군수물자를 압수했다.[4][9]

프랑스 침략의 주요 동기는 제국주의적, 전략적, 상업적 목적이었으며, "종교의 자유"를 명분으로 내세웠다.[13][10][11][12] 그러나 이는 응우옌 왕조의 유교적 전통과 배치되는 것이었다.[13] 기독교 신앙 체계는 군주가 "하늘의 아들"이라는 유교적 신념과 양립할 수 없었다.[13]

사이공 성채 파괴에 대한 응답으로,[14] 쯔엉딘은 민병대를 조직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했다.[4]

3. 2. 초기 저항 활동

쯔엉딘은 지역 민병대를 조직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했다.[22] 이들은 창, 활, 칼 등 전통 무기와 소량의 화기를 사용하여 프랑스군에 맞섰다. 1861년 6월 22일, 도 딘 토아이(Do Dinh Thoai)가 지휘하는 600명의 반군이 고꽁 지구청을 급습, 프랑스군과 백병전을 벌였다. 프랑스군은 증원군과 해군 지원이 도착하기 전에 이미 딘의 부하들이 도망친 뒤였다.[23]

1861년 9월, 게릴라들은 프랑스가 임명한 고꽁 지방장의 목을 베는 사건이 발생했다.[23] 11월에는 미토(Mỹ Tho) 마을에서 병력을 모집하고 식량을 모으는 과정에서 프랑스 친화적인 마을과 지도자들을 공격하기도 했다.[20]

쯔엉딘의 부대는 프랑스의 로르차를 공격, 쌀이 서른으로 운송되는 것을 막으려 했다.[22] 1861년 12월 10일, 응우옌 중 득(Nguyễn Trung Trực)이 지휘하는 게릴라 부대는 녓타오 운하(Nhat Tao Canal)에서 프랑스 해군 로르차 ''L'Espérance''를 불태웠다.[24][25] 이 사건은 뜨득 황제에게 "가장 뛰어난" 사건으로 칭찬받았다.[26]

3. 3. 게릴라전 전개

1861년 6월, 쯔엉딘의 병력은 약 6,000명으로 증가하여, 프랑스 관료 조직 와해, 군사 기지 교란, 서른(Cholon)으로의 쌀 수송 방해라는 세 가지 목표에 집중했다.[22] 이들은 지형의 이점, 타격 후 도주 전술,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프랑스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1861년 6월 22일, 도 딘 토아이(Do Dinh Thoai)가 지휘하는 600명의 반군이 고꽁 지구청을 급습하여 프랑스군과 백병전을 벌여 프랑스군에 피해를 입혔다.[22] 9월 27일에는 게릴라들이 프랑스가 임명한 고꽁 지방장의 목을 베어 마을 시장에 내걸었고,[23] 11월에는 미토(Mỹ Tho) 마을을 공격하여 병력을 모집하고 식량을 모으는 동시에 프랑스 친화적인 마을과 지도자들을 공격했다.[20]

쯔엉딘의 부대는 프랑스 로르차(lorchas)를 공격하고 지역 수로의 무역선을 나포하여 쌀 수송을 방해했다.[22] 1861년 12월 10일, 응우옌 중 득(Nguyễn Trung Trực)이 지휘하는 약 150명의 게릴라가 녓타오 운하(Nhat Tao Canal)에서 프랑스 해군(French Navy) 로르차(lorcha) ''L'Espérance''를 매복 공격하여 침몰시켰다.[24][25] 이 사건은 베트남 저항군의 사기를 크게 높였으며, 뜨득 황제(Emperor Tự Đức)는 이를 "가장 뛰어난" 사건으로 칭찬했다.[26]

4. 사이공 조약과 쯔엉딘의 선택

4. 1. 사이공 조약 (1862)

4. 2. 조정과의 결별과 독자 항전

쯔엉딘은 1862년 판탄지앤(Phan Thanh Giản), 람즈이힙(Lam Duy Hiep) 등이 체결한 사이공 조약에 반대하여 응우옌 왕조 군대와 결별했다.[27] 이 조약으로 자딘, 딘터엉, 비엔호아 3개 성이 프랑스에 할양되어 코친차이나 식민지가 되었고, 프랑스에 대한 재정적 지불, 선교사들에 대한 종교적 양보, 유럽 상인들을 위한 무역 기회 등이 포함되었다.[28][29] 쯔엉딘은 보즈이즈엉(Võ Duy Dương)과 연합하여 인민자위운동을 결성하고 동탑에 작전 기지를 설치했다.[5]

훼 궁정은 쯔엉딘에게 부대 해산과 안장성(An Giang Province) 고위직 수락을 명령했지만,[5][54][27] 쯔엉딘은 추종자들의 압력으로 이를 거부하고 '빈타이삿타다이즈엉'(Bình Tây Sát Tả Đại Tướng Quân, 서방 평정 이단 토벌 대장군)이라는 칭호를 채택하여 게릴라 공격을 계속했다.[27] 그는 "판-람 매국; 조정 기민"(Phan [Thanh Giản]과 Lâm [Duy Hiệp]은 나라를 팔아넘겼다; 조정은 백성을 돌보지 않는다)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고콩(Gò Công)을 거점으로 남부 베트남인들에게 항쟁을 촉구했다.[27][31]

쯔엉딘은 말라리아와 같은 열대 질병을 이용하여 프랑스를 지치게 하려 했으며,[32] 프랑스 행정에 대응하는 행정 체계를 유지하려 했다.[32] 쯔엉딘의 농민들 사이에서의 인기는 그들이 ''돈디엔(đồn điền)''을 관리한 것에 대한 감사 때문이었다.[33] 저항군 참여는 신뢰와 감사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여겨졌다.[33]

{{Quote box

| quote =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모든 이들에게!


짐승들을 보라,


물소와 말은 귀가 먹고 벙어리지만,


주인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닭과 개는 울고 짖는 것만 알지만,


주인에게 친절하다.


땅을 딛고 하늘 아래 머리를 두고 있는 우리가 어찌 우리 백성과 나라를 해칠 수 있겠는가![33]

| source = 즈엉딘, ''히치즈엉딘(Hịch Trương Định)''(''즈엉딘의 선언'')

| width = 50%

| align = center

}}

사이공 조약 이후 쯔엉딘의 행동에 대해 프랑스 군부는 뜨득(Tự Đức) 황제가 그를 은밀히 지원했다고 비난했지만,[5][37] 베트남 측 기록은 조정이 쯔엉딘의 활동을 막으려 했다고 주장한다.[40] 판탄지앤(Phan Thanh Giản)은 쯔엉딘에게 서신을 보내 무기를 내려놓고 행정직을 수락하라고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43] 쯔엉딘은 지지자들을 버릴 수 없다는 이유로 왕실 명령에 불복종할 것을 맹세했다.[35][43] 베트남 기록은 쯔엉딘이 조정의 명령에 불복종했을 때 직위와 칭호가 박탈되었음을 보여준다.[44]

5. 최후

1864년 2월, 보나르 제독은 탄화(Tan Hoa)와 고꽁(Gò Công) 지역에 있는 쯔엉딘의 주요 거점을 공격하여 점령했다.[32] 쯔엉딘은 비엔호아(Bien Hoa)의 습지로 후퇴하여 부대를 재편성하고 게릴라전을 재개하려 했으나, 사이공(Saigon)과 미토(Mỹ Tho) 지역까지 전단을 배포하여 다른 지역 의병들의 참여를 호소했다.[32] 그러나 1863년 발생한 기근으로 인해 저항 세력은 식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 조정의 지원도 없어 프랑스군에 의해 점차 지쳐갔다.[32]

1864년 8월 19일, 쯔엉딘은 심각한 보급 문제와 기아에 시달리던 중, 전 추종자 후인떤(Huỳnh Tấn)의 배신으로 프랑스군의 매복 공격을 받았다.[35][34] 부상을 입고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쯔엉딘은 자신의 검으로 자결했다.[35][34] 그의 아들 쯔엉꾸옌(Trương Quyền)이 타이닌(Tây Ninh)에 새로운 기지를 설립하고 아버지의 투쟁을 이어가려 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34]

6. 뜨득 황제와의 관계 논란

1862년 사이공 조약 이후 쯔엉딘(Trương Định)의 행동은 뜨득 황제(Tự Đức)의 명령에 불복종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45] 프랑스는 쯔엉딘이 후에(Huế) 조정의 비밀 지원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41] 후에 조정은 이를 부인하며 딘의 저항이 베트남 주권 유지를 위한 노력에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했다.[5][37]

프랑스 장교들은 후에 조정이 남부의 저항군을 지원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지만, 후에 조정이 조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베트남 남부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하는 구실로 삼았다.[35][40][39] 보나르(Bonard) 부제독은 후에 조정이 코친차이나(Cochinchina)에서 영구적인 봉기를 조직했다고 주장하며, 쯔엉딘이 판탄지안(Phan Thanh Gian)의 철수 요청에도 불구하고 저항을 계속한 것을 불복종의 증거로 제시했다.[41]

반면 베트남 측 기록인 『대남실록(Đại Nam thực lục)』(『대남정사실록』)은 프랑스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조정이 쯔엉딘과 같은 게릴라 활동을 막으려 했다고 주장한다.[40] 쯔엉딘은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뜨득제가 자신의 투쟁을 지지했다고 주장하는 칙령을 내세웠는데, 이는 프랑스 측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었다.[40] 베트남 문서는 쯔엉딘이 조정의 명령에 불복종했을 때 그의 직위와 칭호가 박탈되었음을 보여주며,[44] 쯔엉딘과 함께 싸웠던 응우옌 통(Nguyen Thong) 역시 조정 기록에 동의하며 딘의 저항이 지역 주민들의 주도로 인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44]

쯔엉딘의 불복종은 유교적 '천명(Mandate of Heaven)' 사상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45] 람(Lam)은 쯔엉딘의 불복종을 설명하며, 반란군이 재위 중인 군주와 이상적인 제도로서의 군주제를 구분했다고 주장한다.[45][47] 데이비드 G. 마르(David G. Marr) 역사가는 이에 동의하며, 이러한 구분이 오랜 전통의 산물이 아니라 불리한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한다.[27][48] 공산 정권 시대 베트남 역사가들은 딘이 계속 저항한 정당성이 군주제 자체에 대한 암묵적인 거부에 근거했다고 주장한다.[49] 마르크스주의 작가들은 딘이 뜨득에 대한 충성보다 베트남과 그 백성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함으로써 자신의 투쟁을 정당화했다고 주장한다.[49]

마크 맥클로드(Mark McLeod) 역사가는 딘의 행동에 대한 이러한 설명들이 타당하지만, 딘과 그의 지지자들은 조약 체결 전후로 군주에 대한 충성을 주장하고 그의 이름으로 투쟁을 정당화했다고 지적한다.[51] 맥클로드는 딘의 불복종이 유교 전통의 “트란 탄(tránh thần)” 개념, 즉 통치자가 실수를 저지르는 것을 막기 위해 통치자의 명령에 이의를 제기할 의무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한다.[51]

쯔엉딘은 뜨득 황제가 결국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반란군을 보상할 것이라고 믿었다.[52] 역사가들은 판탄지안(Phan Thanh Gian)과 뜨득 황제가 쯔엉딘의 계속된 저항을 군주제를 돕고자 하는 잘못된 시도로 보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52] 남부 투쟁의 주요 시인인 응우옌딘치에우(Nguyễn Đình Chiểu)는 딘을 후에 조정에 반대하는 반역자로 묘사하지 않았으며, 그의 만가(elegy)에서 저항이 계속된 것은 "그들의 마음이 하늘의 아들(Son of Heaven)의 칙령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53]

7. 유산

쯔엉딘은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이자 저항 영웅으로 기억된다.[57][56] 그의 저항 정신은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를 비롯한 20세기 베트남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55] 특히, 쯔엉딘은 공산주의와 반공주의 진영 모두에게 높이 평가받는 인물이다.[57] 1964년 북베트남의 ''응옌꾸우리치스어(Nghiên cứu lịch sửu)''에 실린 기사에서는 쯔엉딘을 "남베트남 사람들의 외세 식민지배자에 대한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영웅"으로 묘사하며, 그의 뛰어난 외모와 군사적 능력을 칭찬했다.[57][56] 베트남 전쟁 시대에 북베트남 역사가들은 베트콩을 쯔엉딘의 현대적 후계자로 묘사하기도 했다.[57]

베트남 티엔장성 고콩에 있는 쯔엉딘의 묘


반공주의적 남베트남 학자들 또한 쯔엉딘을 높이 평가했으며, 호찌민시 중심부의 주요 도로 중 하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7][58] 프랑스 학계에서는 쯔엉딘을 "범죄자" 또는 "반란자"로 묘사하는 등 주목하지 않았지만,[57] 오즈번(Osborne)은 쯔엉딘이 죽기 전 발표한 선언문을 통해 그를 "의무에 대한 높은 개념을 가진 사람"으로 평가했다.[57]

참조

[1] 서적 Saigon: A History
[2] 문서 Quảng Ngãi was a part of Quảng Nam
[3] 서적 Marr
[4] 서적 McLeod
[5] 서적 Chapuis
[6] 서적 Nguyen
[7] 서적 Nguyen
[8] 서적 Chapuis
[9] 서적 Marr
[10] 서적 Karnow
[11] 서적 A History of South-east Asia Macmillan
[12] 서적 South East Asia: Its historical development McGraw Hill
[13] 서적 McLeod
[14] 서적 Nguyen
[15] 서적 Marr
[16] 서적 Chapuis
[17] 서적 Chapuis
[18] 서적 Nguyen
[19] 서적 Nguyen
[20] 서적 Nguyen
[21] 서적 McLeod
[22] 서적 Nguyen
[23] 서적 Nguyen
[24] 서적 Nguyen
[25] 서적 Nguyen
[26] 서적 Nguyen
[27] 서적 Marr
[28] 서적 Karnow
[29] 서적 Chapuis
[30] 서적 McLeod
[31] 서적 Lam
[32] 서적 Marr
[33] 서적 Nguyen
[34] 서적 Marr
[35] 서적 Chapuis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학술지 Trương Định 1964-08-00
[57] 학술지 Truong Vinh Ky and Phan Thanh Gian: The Problem of a Nationalist Interpretation of 19th Century Vietnamese History 1970-11-00
[58]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2002-00-00
[59] 서적 Saigon: A History 201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