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군은 1895년 갑오개혁으로 창원대도호부 영역이 분할되면서 설치되어, 진해군, 웅천군과 함께 분리되었다. 이후 마산항 개항과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며 여러 차례 관할 구역 변경 및 명칭 변경을 겪었다. 1980년 창원시 신설로 의창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991년 창원군으로 환원되었으며,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강서구의 역사 - 이재명 피습 사건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산 가덕도 신공항에서 흉기에 피습당해 긴급 수술을 받았으며, 범인 김진성은 살인미수 혐의로 구속 기소되어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고 정치 폭력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 1903년 설치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1903년 설치 - 동래군
동래군은 삼국시대 거칠산군과 대증현의 통합으로 시작하여 신라 경덕왕 때 개칭되었으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14년 기장군을 합병하고 1973년 폐지 후 양산군에 편입, 1995년 기장군이 부산광역시로 독립하는 등 변화를 겪은 부산 중심의 역사적인 행정구역이다. - 1899년 폐지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1899년 폐지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창원군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昌原郡 |
로마자 표기 | Changwon-gun |
한국어 표기 | 창원군 |
평가나 표기 | 쇼우겐군 |
가나 표기 | チャンウォングン |
행정 구역 분류 | 군 |
국가 | 대한민국 |
역사 | |
시대 | 통일신라 시대 |
현재 | 경상북도포항시 일부 |
기타 | |
ISO 3166-2 | 해당 없음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해당 없음 |
나무 | 해당 없음 |
꽃 | 해당 없음 |
새 | 해당 없음 |
URL | 해당 없음 |
2. 역사
통일신라 시대에는 양주(良州)에 속했고, 굴자군(屈自郡, 후에 의안군(義安郡))이 설치되었다. 현재의 마산은 골포현(骨浦縣, 후에 합포현(合浦縣))이라 불리며 의안군의 속현이었으나, 고려 시대에 의안군과 합포현은 동격의 군현으로서 김주(金州)에 속했다.
1661년부터 1670년 사이에는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른 지방 제도 개혁으로 창원대도호부의 영역은 분할·재편되어 중앙부에 '''창원군''', 서부에 '''진해군''', 동부에 '''웅천군'''이 설치되었다.[5] 1896년 경상남도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6] 1899년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하였다.[7] 1903년 창원부가 창원군으로 격하되었다.[8] 1906년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하였고,[9] 칠원군 구산면과 김해군 대산면이 창원부에 편입되었다.[10] 1909년 10월 25일 구 웅천군 내동면, 외동면을 웅동면으로, 상서면, 하서면을 웅서면으로, 천성면, 가덕면을 천가면으로 합면하였다.[12]
1942년 10월 1일 창원군 창원면 봉암리, 내서면 교방리, 회원리, 산호리, 석전리, 양덕리, 구산면 가포리가 마산부로 편입되었다.[16]
1987년 1월 1일 북면 북계리가 월계리로 개칭되었다.
2. 1. 조선시대
1408년(태종) 의창군(義昌郡, 의안군에서 개칭)과 회원현(會原縣, 합포현에서 개칭)이 통합되어 '''창원부(昌原府)'''가 설치되면서 창원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1412년에는 창원도호부로 승격되었고,[1] 1601년(선조)에는 창원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2] 조선 시대 동안 창원은 남해에 면한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2. 2. 일제강점기
1899년 마산항 개항으로 마산이 새로운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08년 진해군, 웅천군, 김해군 대산면, 진주군 양전면, 칠원군 구산면이 창원부에 편입되었다. 1910년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13] 1914년 도시 지역인 각국거류지와 외서면 일원을 제외한 마산부의 나머지 지역이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14] 1914년 당시 창원군에 소속된 면은 다음과 같다.면 | 구성 |
---|---|
진전면 | 율티리, 근곡리, 임곡리, 이명리, 창포리, 시락리, 오서리, 봉곡리, 곡안리, 동산리, 양촌리, 봉암리, 일암리 |
진북면 | 덕곡리, 신촌리, 망곡리, 부평리, 추곡리, 대티리, 정현리, 금산리, 영학리, 이목리, 부산리, 대평리, 지산리, 예곡리, 인곡리 |
진동면 | 동전리, 인곡리, 태봉리, 교동리, 다구리, 사동리, 요장리, 진동리, 신기리, 고현리 |
구산면 | 마전리, 석곡리, 유산리, 내포리, 옥계리, 남포리, 반동리, 수정리, 구복리, 심리, 예곡리, 우산리, 현동리, 덕동리, 가포리 |
내서면 | 산호리, 교방리, 두척리, 회성리, 석전리, 합성리, 구암리, 양덕리, 회원리, 신감리, 감천리, 상곡리, 삼계리, 원계리, 용담리, 호계리, 중리, 평성리, 안성리 |
대산면 | 갈전리, 일동리, 모산리, 제동리, 북부리, 유등리, 우암리, 가술리, 죽동리 |
동면 | 본포리, 노연리, 봉강리, 봉곡리, 죽동리, 산남리, 금산리, 석산리, 화양리, 월잠리, 다호리, 신방리, 무점리, 무성리, 송정리, 용정리, 봉산리, 단계리, 용잠리, 덕천리, 남산리, 덕산리, 용전리, 용강리 |
북면 | 지개리, 고암리, 월백리, 대산리, 월촌리, 화천리, 외감리, 동전리, 감계리, 무동리, 무곡리, 내곡리, 상천리, 외산리, 하천리, 신촌리, 마산리, 북계리 |
부내면 | 봉암리, 소계리, 동정리, 북동리, 소답리, 서상리, 내동리, 차룡리, 사화리, 도계리, 중동리, 반계리, 명곡리 |
상남면 | 봉림리, 용동리, 지귀리, 서곡리, 퇴촌리, 토월리, 대방리, 삼정자리, 불모산리, 천선리, 반송리, 사파정리, 가음정리, 남산리 |
웅남면 | 창곡리, 내동리, 정리, 상복리, 남지리, 완암리, 안민리, 양곡리, 적현리, 귀현리, 귀곡리, 귀산리, 연덕리, 목리, 월림리, 외동리, 두대리, 삼동리, 덕정리 |
진해면 | 행암리, 장천리, 풍호리, 덕산리, 자은리, 석동, 이동리, 경화동, 안곡리, 현동, 비봉리, 주길정, 구도정, 진학정, 고사정, 사정, 낭화정, 천첨정, 파정, 홍매정, 매지정, 길야정, 번정, 산취정, 송엽정, 국천정, 연작정, 암호정, 우의정, 구부정, 이엽정, 일모정, 욱정, 노송통, 일출통, 상반통, 말광통, 죽천통, 약송통, 앵전통, 대수통, 앵곡정, 북가정, 복산정, 도산정, 도불산정 |
웅읍면 | 성내리, 남문리, 북부리, 서중리, 제덕리, 명동, 죽곡리, 원포리, 연도리, 수도리 |
웅동면 | 소사리, 대장리, 마천리, 남양리, 가주리, 두동리, 청안리, 안골리, 용원리 |
천가면 | 눌차리, 동선리, 성북리, 천성리, 대항리 |
1918년 부내면을 창원면으로, 웅읍면을 웅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진해면이 진해읍으로 승격하였다.[15] (1읍 14면)
2. 3. 대한민국
대한민국한국어 수립 후, 1955년 9월 1일 진해읍이 '''진해시'''로 승격, 분리되었다.[17] 1973년 7월 1일 창원면, 상남면, 웅남면 일원과 내서면, 구산면 일부가 마산시로, 웅천면 일원이 진해시로 각각 편입되었다.[18] 1980년 4월 1일 마산시 창원출장소 관리 지역(구 창원면·상남면·웅남면 지역)을 관할로 창원시가 신설되고, 창원군은 '''의창군'''으로 개칭하였다.[19] 1983년 2월 15일 웅동면이 진해시로 편입되었다.[20] 1989년 1월 1일 천가면이 부산광역시 강서구로 편입되었다.[21] 1991년 1월 1일 의창군의 명칭이 '''창원군'''으로 환원되었다.[22] 1995년 1월 1일 창원군 지역이 전부 창원시와 마산시에 분할 편입되고, 창원군은 폐지되었다.[1]2. 4.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鎭田面) [3]마산합포구
진전면
(鎭北面)
마산합포구
진북면
(鎭東面)
마산합포구
진동면
(龜山面)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산합포구
(內西面)
마산회원구
마산회원구
내서읍
(大山面)
의창구
대산면
(東面)
의창구
동읍
(北面)
의창구
북면
(府內面)
마산회원구
의창구
(上南面)
의창구
성산구
(熊南面) [4]
(鎭海面)
진해구
(熊邑面)
(熊東面)
(天加面)
강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