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계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책계왕은 백제의 제7대 왕으로, 고이왕의 장남이다. 286년 고이왕의 사망 이후 왕위에 올랐으며, 키가 크고 웅장하며 용맹했다는 기록이 있다. 대방군 태수의 딸인 보과부인을 아내로 맞이하여 고구려와 갈등을 겪었고, 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해 위례성, 아차산성, 사성을 강화했다. 298년에는 맥인과 낙랑군의 침략을 받아 직접 출전했으나 전투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98년 사망 - 유례 이사금
유례 이사금은 신라 14대 이사금으로, 재위 기간 동안 왜와의 교전과 이서국과의 전투를 치르며 국방 강화에 힘썼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3세기 출생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 3세기 출생 - 파리의 디오니시우스
파리의 디오니시우스는 3세기경 갈리아 지방에서 파리의 초대 주교로 활동하며 이교도 개종에 힘썼으나 박해를 받아 몽마르트르에서 참수당한 기독교 성인으로, 전설에 따르면 참수 후 자신의 머리를 들고 설교하며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책계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책계 |
칭호 | 어라하 |
즉위 | 286년 |
퇴위 | 298년 |
선대 국왕 | 고이왕 |
후대 국왕 | 분서왕 |
본명 | 부여책계 |
출생지 | 위례성 |
사망일 | 298년 |
사망지 | 위례성 |
자녀 | 분서왕 |
아버지 | 고이왕 |
어머니 | 왕비 보과 |
직업 | 왕 |
배우자 | 왕비 보과 |
왕가 | 부여 |
왕조 | 백제 |
시호 | 청계 어라하, 책찬 어라하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책계왕 |
한자 | 責稽王 |
로마자 표기 | Chaekgye-wa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aekkye-wang |
일본어 이름 | |
한자 | 責稽王 |
히라가나 | せきけいおう |
가타카나 | チェッキェワン |
로마자 | Sekikeiō |
백제 국왕 목록 | |
백제 국왕 목록 | 온조왕 18 BCE–28 CE 다루왕 28–77 기루왕 77–128 개루왕 128–166 초고왕 166–214 구수왕 214–234 사반왕 234 고이왕 234–286 책계왕 286–298 분서왕 298–304 비류왕 304–344 계왕 344–346 근초고왕 346–375 근구수왕 375–384 침류왕 384–385 진사왕 385–392 아신왕 392–405 전지왕 405–420 구이신왕 420–427 비유왕 427–455 개로왕 455–475 문주왕 475–477 삼근왕 477–479 동성왕 479–501 무령왕 501–523 성왕 523–554 위덕왕 554–598 혜왕 598–599 법왕 599–600 무왕 600–641 의자왕 641–660 |
2. 생애
고이왕의 맏아들로 왕비는 대방 태수의 딸 보과이다. 286년 위례성을 수리하고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아차산성과 사성을 수축했다.
298년 음력 9월, 한군(漢軍)이 낙랑과 맥인을 이끌고 침입했을 때 직접 출전하였으나 백제가 크게 패했고 책계왕도 전투에서 사망하였다.[1] 『삼국사기』에는 "키가 크고 훌륭했으며, 기상이 웅장하고 용맹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
2. 1. 위례성 수리와 국방 강화
286년에 수도인 위례성을 화려하게 수리하고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아차산성과 사성을 수축했다.[3]책계왕은 대방 태수의 딸이자 한족인 보과를 부인으로 두었던 관계로, 286년 대방군이 고구려에 공격받았을 때 구원 요청에 응하여 대방군을 구하였다. 이후 백제는 고구려와 긴장 관계에 들어섰고, 왕은 아차산성(서울특별시성동구)·사성을 수리하여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였다.[4]
2. 2. 대방군과의 관계
책계왕의 왕후는 보과로, 대방군(帶方郡) 태수(太守)의 딸이었다.[3] 286년 고구려가 대방을 공격하자 백제가 대방을 지원하는 군대를 파견하면서 고구려와 백제 사이에 마찰이 생겼다.[4]'''삼국사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이처럼 책계왕은 한족인 보과를 부인으로 두었기에, 대방군이 고구려에 공격받았을 때 구원 요청에 응하여 대방군을 구하였다.
3. 가계
父|아버지중국어: 고이왕[1]
母|어머니중국어: 미상[1]
참조
[1]
서적
백제의 중앙과 지방 (Central area and regions of Baekje)
Juryuseong
2005
[2]
간행물
Samguk Sagi
[3]
웹사이트
책계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20-09-01
[4]
웹사이트
King Chaekgye, King Bunseo
http://world.kbs.co.[...]
KBS World
2020-09-20
[5]
웹사이트
책계왕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0-09-20
[6]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책계왕기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