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인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인구는 대한민국 용인시의 구로, 2005년 구제 실시로 신설되었다. 지명은 고려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용인현의 일부였다. 현재 4개의 읍(포곡읍, 모현읍, 이동읍, 남사읍), 3개의 면(원삼면, 백암면, 양지면)과 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명지대학교, 용인대학교 등이 있으며, 에버라인(용인 경전철)과 여러 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주요 관광지로는 와우정사와 에버랜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 처인구 -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은 1987년 8월 29일 경기도 용인군에서 사이비 종교 오대양의 교주 박순자를 포함한 신도 32명이 집단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경찰은 집단 자살로 결론지었으나 타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들은 사채 문제와 신경안정제 복용, 그리고 경부 압박에 의한 교살로 사망했다. - 처인구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처인구 | |
---|---|
기본 정보 | |
행정구역명 | 처인구 |
한글 | 처인구 |
한국에서의 한자 | 處仁區 |
가타카나 | 초인=구 |
로마자 표기 | Cheoin-gu |
![]() | |
면적 | 467.6 |
통계 년도 | 2023년 |
총 인구 | 261,488명 |
남자 인구 | 134,289명 |
여자 인구 | 127,199명 |
상위 자치 단체 | 용인시 |
하위 행정 구역 | 5동 4읍 3면 |
구청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령로50(김량장동) |
홈페이지 | 처인구청 홈페이지 |
행정 | |
구청장 | 송종율 |
국회의원 | 이상식(더불어민주당, 용인시 갑) |
상징 |
2. 지명 유래
고려 현종(1018년) 때 이미 처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처인은 본래 수원에 속한 부곡이었다. 조선 태조(1397년) 때 현령을 두었다가 조선 태종(1413년) 때 용구현과 합쳐져 용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동여도』와 『대동여지도』에는 처인, 『청구도』에는 처인성, 『1872년지방지도』에는 현내면에 처인창(處仁倉)이란 명칭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 처인이라는 지명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양지면은 본래 수주(水州)에 속한 양랑촌부곡(陽良村部曲)이었다. 공양왕 11년(1362)에는 안성으로 이속되기도 하였다. 조선 태조의 개국초에는 고서면 봉림산 아래 주곡리에 읍을 옮겨 양산이라 하고 훈도관을 두었으면 정종원년(1399)에는 안성에서 독립하여 양지현이라 일컫고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태종 13년(1413)에 현감을 임명하는 한편 광주목 관할인 추계향으로 옮겼다. 그 후 세종때까지 광주진의 관할 구역으로 계속되었는데 방면이 육방(六坊)에 불과하였으므로 현의 협소함을 당시현감이 상소하여 성종원년(1470)에 죽주의 4부곡을 양지현으로 이속시킴과 동시에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하였고 연산군 6년(1500)에는 읍을 폐하고 이주부(利州府)에 합속시켰다.
이후 양지면은 연산군 10년(1504)에 복설(復設)하여 정수산 아래에 개읍을 하고 양지라 하였으며 동시에 가까운 5개마을을 병치하여 읍내면이라 칭함으로써 방면은 11면에 이르렀다. 갑오경장 이후 건양원년(1896)에는 양지군으로 승격되어 경기도의 4등군이 되었으나 1914년4월 1일 조선총독부령에 의해 용인군과 병합하였고 읍내면,주동면,주북면,주서면 등 4개면을 합치고 읍내에서 끝자인 내자를 합쳤다하여 내사면으로 개정되었다. 1995년 광복50주년을 맞이하면서 일제 식민통치 시절 명명된 일제식 지명을 정비할 때 민족자존심 회복과 지역 전통성을 계승 발전 보존하고자, 1914년 생겨난 면 명칭인 내사면을 양지면으로 고침으로써 조선시대로부터 이어온 고유지명을 실로 81년 만에 회복시켰다.
남사읍은 원래 읍의 일부가 수원부(水原府)의 처인부곡이었다. 조선 태조 6년(1397)에 현으로 승격되어 방리(坊里)를 관장하다가 태종 13년(1413)에 용구현과 합쳐 용인현이 된후 관아(官衙)를 폐하였다.
2. 1. 고려-조선 시대
고려 현종(1018년) 때 이미 처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처인은 본래 수원에 속한 부곡이었다. 조선 태조(1397년) 때 현령을 두었다가 조선 태종 (1413년) 때 용구현과 합쳐져 용인이라 불리게 되었다.『동여도』와 『대동여지도』에는 처인, 『청구도』에는 처인성, 『1872년지방지도』에는 현내면에 처인창(處仁倉)이란 명칭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 처인이라는 지명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양지면은 본래 수주(水州)에 속한 양랑촌부곡(陽良村部曲)이었다.[5] 공양왕 11년(1362)에는 안성으로 이속되기도 하였다. 조선 태조의 개국초에는 고서면 봉림산 아래 주곡리에 읍을 옮겨 양산이라 하고 훈도관을 두었으면 정종원년(1399)에는 안성에서 독립하여 양지현이라 일컫고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태종 13년(1413)에 현감을 임명하는 한편 광주목 관할인 추계향으로 옮겼다. 그 후 세종때까지 광주진의 관할 구역으로 계속되었는데 방면이 육방(六坊)에 불과하였으므로 현의 협소함을 당시현감이 상소하여 성종원년(1470)에 죽주의 4부곡을 양지현으로 이속시킴과 동시에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하였고 연산군 6년(1500)에는 읍을 폐하고 이주부(利州府)에 합속시켰다.[6][7]
이후 양지면은 연산군 10년(1504)에 복설(復設)하여 정수산 아래에 개읍을 하고 양지라 하였으며 동시에 가까운 5개마을을 병치하여 읍내면이라 칭함으로써 방면은 11면에 이르렀다. 갑오경장 이후 건양원년(1896)에는 양지군으로 승격되어 경기도의 4등군이 되었으나 1914년4월 1일 조선총독부령에 의해 용인군과 병합하였고 읍내면,주동면,주북면,주서면 등 4개면을 합치고 읍내에서 끝자인 내자를 합쳤다하여 내사면으로 개정되었다. 1995년 광복50주년을 맞이하면서 일제 식민통치 시절 명명된 일제식 지명을 정비할 때 민족자존심 회복과 지역 전통성을 계승 발전 보존하고자, 1914년 생겨난 면 명칭인 내사면을 양지면으로 고침으로써 조선시대로부터 이어온 고유지명을 실로 81년 만에 회복시켰다.[6][7]
남사읍은 원래 읍의 일부가 수원부(水原府)의 처인부곡이었다. 조선 태조 6년(1397)에 현으로 승격되어 방리(坊里)를 관장하다가 태종 13년(1413)에 용구현과 합쳐 용인현이 된후 관아(官衙)를 폐하였다.[6][7]
2. 2. 읍·면·동별 유래
3. 역사
2005년 10월 3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처인구를 신설하고, 포곡면은 포곡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6면 4동).[8][2]
용인시 조례 제648호 | |
개편 전 | 개편 후 |
---|---|
포곡면 | 처인구 포곡읍 |
모현면, 남사면, 이동면, 원삼면, 백암면, 양지면, 중앙동, 역삼동, 유림동, 동부동 | 처인구 모현면, 남사면, 이동면, 원삼면, 백암면, 양지면, 중앙동, 역삼동, 유림동, 동부동 |
2017년 12월 11일 모현면, 이동면이 각각 모현읍, 이동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4면 4동)
2021년 2월 19일 남사면이 남사읍으로 승격하였다.(4읍 3면 4동)
2021년 9월 6일 역삼동은 역북동, 삼가동으로 분동하였다.(4읍 3면 5동)
4. 인구
처인구의 인구는 2015년 2월 28일 기준 218,795명(내국인)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22.7%를 차지한다. 남자는 112,080명, 여자는 106,715명이다. 처인구에는 농촌 행정구역이 많이 분포하여 유소년(15세 미만 인구) 인구비율은 15.1%로 용인시 전체 비율인 18.3%보다 낮으며 노인(65세이상 인구) 인구 비율은 11.7%로 용인시 전체 10.30%보다 높다. 성비는 105로 남자가 많다.[9]
처인구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2005년 190,252명에서 2020년 253,896명으로 증가하였다.
연도 | 총인구 |
---|---|
2005년 | 190,252명 |
2010년 | 195,580명 |
2015년 | 231,892명 |
2020년 | 253,896명 |
5. 행정 구역
처인구는 4개 읍, 3개 면, 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읍·면·동 | 한자 | 면적 | 인구[10] | 세대 수 |
---|---|---|---|---|
포곡읍 | 蒲谷邑 | 41.75 | 32,956 | 13,966 |
모현읍 | 慕賢邑 | 50.36 | 25,699 | 11,273 |
이동읍 | 二東邑 | 75.66 | 20,150 | 8,552 |
남사읍 | 南四邑 | 58.65 | 23,002 | 9,523 |
원삼면 | 遠三面 | 60.23 | 8,460 | 3,928 |
백암면 | 白岩面 | 65.69 | 8,460 | 4,355 |
양지면 | 陽智面 | 57.60 | 18,289 | 8,211 |
중앙동 | 中央洞 | 7.98 | 24,251 | 11,359 |
역북동 | 驛北洞 | - | - | - |
삼가동 | 三街洞 | - | - | - |
유림동 | 柳林洞 | 13.62 | 35,736 | 13,552 |
동부동 | 東部洞 | 23.50 | 13,264 | 5,774 |
처인구 | 處仁區 | 467.52 | 253,896 | 107,785 |
각 읍·면·동의 관할 법정동·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중앙동 | 김량장동, 남동 |
역북동 | 역북동 |
삼가동 | 삼가동 |
유림동 | 유방동, 고림동 |
동부동 | 마평동, 운학동, 호동, 해곡동 |
포곡읍 | 삼계리, 금어리, 둔전리, 영문리, 마성리, 가실리, 전대리, 유운리, 신원리 |
모현읍 | 왕산리, 갈담리, 초부리, 일산리, 매산리, 동림리, 능원리, 오산리 |
이동읍 | 송전리, 어비리, 묘봉리, 화산리, 시미리, 덕성리, 묵리, 천리, 서리 |
남사읍 | 봉무리, 북리, 통삼리, 봉명리, 진목리, 원암리, 전궁리, 방아리, 창리, 아곡리, 완장리 |
원삼면 | 고당리, 사암리, 좌항리, 맹리, 미평리, 두창리, 독성리, 죽능리, 목신리, 학일리, 문촌리, 가재월리 |
백암면 | 백암리, 박곡리, 백봉리, 고안리, 옥산리, 장평리, 석천리, 용천리, 근삼리, 근창리, 근곡리, 가창리, 가사리 |
양지면 | 양지리, 남곡리, 평창리, 제일리, 추계리, 식금리, 정수리, 대대리, 주북리, 송문리 |
5. 1. 읍·면·동 목록
처인구는 4개 읍, 4개 면, 4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0]읍·면·동 | 한자 | 면적 | 인구[10] | 세대 수 |
---|---|---|---|---|
포곡읍 | 蒲谷邑 | 41.75 | 32,956 | 13,966 |
모현읍 | 慕賢邑 | 50.36 | 25,699 | 11,273 |
이동읍 | 二東邑 | 75.66 | 20,150 | 8,552 |
남사읍 | 南四邑 | 58.65 | 23,002 | 9,523 |
원삼면 | 遠三面 | 60.23 | 8,460 | 3,928 |
백암면 | 白岩面 | 65.69 | 8,460 | 4,355 |
양지면 | 陽智面 | 57.60 | 18,289 | 8,211 |
중앙동 | 中央洞 | 7.98 | 24,251 | 11,359 |
역북동 | 驛北洞 | - | - | - |
삼가동 | 三街洞 | - | - | - |
유림동 | 柳林洞 | 13.62 | 35,736 | 13,552 |
동부동 | 東部洞 | 23.50 | 13,264 | 5,774 |
처인구 | 處仁區 | 467.52 | 253,896 | 107,785 |
각 읍·면·동의 관할 법정동·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중앙동 | 김량장동, 남동 |
역북동 | 역북동 |
삼가동 | 삼가동 |
유림동 | 유방동, 고림동 |
동부동 | 마평동, 운학동, 호동, 해곡동 |
포곡읍 | 삼계리, 금어리, 둔전리, 영문리, 마성리, 가실리, 전대리, 유운리, 신원리 |
모현읍 | 왕산리, 갈담리, 초부리, 일산리, 매산리, 동림리, 능원리, 오산리 |
이동읍 | 송전리, 어비리, 묘봉리, 화산리, 시미리, 덕성리, 묵리, 천리, 서리 |
남사읍 | 봉무리, 북리, 통삼리, 봉명리, 진목리, 원암리, 전궁리, 방아리, 창리, 아곡리, 완장리 |
원삼면 | 고당리, 사암리, 좌항리, 맹리, 미평리, 두창리, 독성리, 죽능리, 목신리, 학일리, 문촌리, 가재월리 |
백암면 | 백암리, 박곡리, 백봉리, 고안리, 옥산리, 장평리, 석천리, 용천리, 근삼리, 근창리, 근곡리, 가창리, 가사리 |
양지면 | 양지리, 남곡리, 평창리, 제일리, 추계리, 식금리, 정수리, 대대리, 주북리, 송문리 |
6. 교육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총신대학교 양지캠퍼스, 용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처인구에 있다. 용인예술과학대학교는 전문대학교이다.
처인구에는 백암고등학교, 용인고등학교, 포곡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산업고등학교,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가 있다.
모현중학교, 백암중학교, 송전중학교, 영문중학교, 용동중학교, 용신중학교, 용인중학교, 용천중학교, 원삼중학교, 포곡중학교, 태성중학교, 헌산중학교, 고림중학교가 처인구에 있다.
처인구에 있는 초등학교로는 고림초등학교, 남곡초등학교, 남사초등학교, 남촌초등학교, 능원초등학교, 용인둔전초등학교, 둔전제일초등학교, 제일초등학교, 모현초등학교, 백봉초등학교, 백암초등학교, 삼가초등학교, 서룡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송전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 역북초등학교, 왕산초등학교, 용마초등학교, 용인초등학교, 용천초등학교, 운학초등학교, 원삼초등학교, 이동초등학교, 장평초등학교, 제일초등학교, 좌항초등학교, 포곡초등학교, 한터초등학교, 함박초등학교가 있다.
6. 1. 주요 교육기관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총신대학교 양지캠퍼스, 용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처인구에 있다. 용인예술과학대학교는 전문대학교이다.처인구에는 백암고등학교, 용인고등학교, 포곡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산업고등학교,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가 있다.
모현중학교, 백암중학교, 송전중학교, 영문중학교, 용동중학교, 용신중학교, 용인중학교, 용천중학교, 원삼중학교, 포곡중학교, 태성중학교, 헌산중학교, 고림중학교가 처인구에 있다.
처인구에 있는 초등학교로는 고림초등학교, 남곡초등학교, 남사초등학교, 남촌초등학교, 능원초등학교, 용인둔전초등학교, 둔전제일초등학교, 제일초등학교, 모현초등학교, 백봉초등학교, 백암초등학교, 삼가초등학교, 서룡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송전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 역북초등학교, 왕산초등학교, 용마초등학교, 용인초등학교, 용천초등학교, 운학초등학교, 원삼초등학교, 이동초등학교, 장평초등학교, 제일초등학교, 좌항초등학교, 포곡초등학교, 한터초등학교, 함박초등학교가 있다.
7. 교통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있다. 용인경전철(주)에서 운영하는 에버라인이 처인구를 지난다. 에버라인은 삼가역에서 전대·에버랜드역까지 운행한다.
용인 경전철(에버라인)이 처인구를 지난다. 삼가역을 시작으로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이 에버라인에 속해있다.
처인구를 지나는 고속도로로는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있다. 경부고속도로는 남사진위 나들목을 지나고, 영동고속도로는 마성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용인 나들목, 양지 나들목을 지난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서용인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포곡 나들목을 지난다.
7. 1. 철도
용인 경전철(에버라인)이 처인구를 지난다. 삼가역을 시작으로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이 에버라인에 속해있다.7. 2. 버스
처인구에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있다. 용인경전철(주)에서 운영하는 에버라인이 처인구를 지난다. 에버라인은 삼가역에서 전대·에버랜드역까지 운행한다. 처인구를 지나는 고속도로로는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있다. 경부고속도로는 남사진위 나들목을 지나고, 영동고속도로는 마성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용인 나들목, 양지 나들목을 지난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서용인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포곡 나들목을 지난다.8. 문화·관광
와우정사(臥牛精舍)는 해곡동 183번지에 있는 사찰이다.[11]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도로변에 있으며, 연화산의 48개 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쳐진 곳이다.[11] 1975년 실향민 출신의 승려인 해월법사(속명 김해근)가 세운 호국사찰로 세계 최대의 와불(높이 3m, 길이 12m)이 있다.[11] 이 와불은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 통향나무를 깎아 만든 것이다.[11]
에버랜드는 포곡읍 전역에 걸친 한반도 최대 규모 놀이동산이다.
8. 1. 주요 관광지
와우정사(臥牛精舍)는 해곡동 183번지에 있는 사찰이다.[11]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도로변에 있으며, 연화산의 48개 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쳐진 곳이다.[11] 1975년 실향민 출신의 승려인 해월법사(속명 김해근)가 세운 호국사찰로 세계 최대의 와불(높이 3m, 길이 12m)이 있다.[11] 이 와불은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 통향나무를 깎아 만든 것이다.[11]
에버랜드는 포곡읍 전역에 걸친 한반도 최대 규모 놀이동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법률
龍仁市条例第648号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문서
처인구 일원 해당
[5]
문서
현재의 수원시
[6]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7]
서적
『한국지명총람』 경기편
한글학회
1986
[8]
법률
용인시조례 제648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9]
웹사이트
용인시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2018-09-29
[10]
웹인용
처인구 인구 통계
https://web.archive.[...]
2012-12-29
[11]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24일 일부 잔여 가구 선착순 분양 개시
반도체 산단 수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용인 반도체벨트·인천 산곡역 이번주 전국 4150가구 분양
용인 반도체벨트 품은 푸르지오 대단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