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지면은 백제 시대에 백제의 영토였으며, 이후 고구려,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변화했다. 1896년 양지군으로 승격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95년 광복절을 맞아 양지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며,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 기관, 레저 시설, 문화 유적,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처인구 -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은 1987년 8월 29일 경기도 용인군에서 사이비 종교 오대양의 교주 박순자를 포함한 신도 32명이 집단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경찰은 집단 자살로 결론지었으나 타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들은 사채 문제와 신경안정제 복용, 그리고 경부 압박에 의한 교살로 사망했다. - 처인구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종합 버스 터미널로, 1970년대 시외버스터미널로 시작하여 1992년 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하였고, 2017년부터 경남여객이 운영하며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제공한다. - 경기도의 읍·면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의 읍·면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양지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양지면 |
한자 표기 | 陽智面 |
로마자 표기 | Yangji-myeon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처인구 |
면적 | 57.6 |
세대 | 9,247 |
세대 조사 | 2021.11.30 |
인구 | 19,363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리 | 양지리, 남곡리, 평창리, 제일리, 추계리, 식금리, 정수리, 대대리, 주북리, 송문리 |
행정리 | 42 |
반 | 83 |
면사무소 주소 | [1715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향교로11번길 3 |
홈페이지 | 양지면행정복지센터 |
2. 역사
백제부터 조선,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지면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시대 | 주요 내용 |
---|---|
백제 | 위례성을 중심으로 백제의 영토였다.[1] |
고구려 | 475년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고구려에 편입되었다.[1] |
고려 | 양랑촌부곡(陽良村部曲)으로 수주에 속했다가[1] 1362년 안성으로 옮겨졌다.[1] |
조선 | 주곡리로 읍을 옮기고 양산이라 칭했다.[1] 1399년 양지현(陽智縣)으로 독립했으나,[1] 1413년 추계향으로 옮겨졌다.[1] 1470년 죽주의 4부곡을 양지현으로 편입하고 경기도로 이관했다.[1] 1500년 이주부(利州府)에 합쳐졌다가[1] 1504년 복설되어 읍내면이라 칭했다.[1] |
일제강점기 | 1896년 양지군(陽智郡)으로 승격되었으나,[1] 1914년 용인군과 병합하여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1] |
광복 이후 | 1995년 양지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1996년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하면서 용인시 양지면이 되었고,[1] 2005년 처인구 양지면으로 개편되었다.[1] |
2. 1. 백제와 고구려 시대
백제 시대에는 위례성을 중심으로 백제의 영토였다.[1]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고구려에 편입되었다.[1]2.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양랑촌부곡(陽良村部曲)으로 수주에 속하였다.[1] 1362년 (공민왕 11년) 안성으로 이속되었다.[1]2. 3. 조선 시대
조선 태조 때 주곡리로 읍을 옮겨 양산이라 하고 훈도관을 두었다.[1] 1399년(정종 1년) 안성에서 독립하여 양지현(陽智縣)이 되었다.[1] 1413년(태종 13년) 현감을 임명하는 한편 광주목 관할인 추계향으로 옮겼다.[1] 1470년(성종 1년) 죽주의 4부곡을 양지현으로 이속시킴과 동시에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하였다.[1] 1500년(연산군 6년) 읍을 폐하고 이주부(利州府)에 합속하였다.[1] 1504년(연산군 10년) 복설(復設)하여 정수산 아래에 개읍을 하고 양지라 하였다. 동시에 가까운 5개 마을을 병치하여 읍내면이라 칭하였다.[1]2. 4.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1896년 건양 원년에 양지군(陽智郡)으로 승격되었다.[1] 1914년 4월 1일 용인군과 병합하면서 읍내면, 주동면, 주북면, 주서면 등 4개 면을 합쳐 내사면으로 개칭하였다.[1]1995년 광복절 50주년을 맞아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지역 정통성을 계승하기 위해 내사면에서 양지면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1996년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하면서 용인시 양지면이 되었다.[1] 2005년 10월 31일 용인시에 3개 구청이 설치되면서 처인구 양지면으로 개편되었다.[1]
3. 행정 구역
양지면은 남곡리, 대대리, 송문리, 식금리, 양지리, 정수리, 제일리, 주북리, 추계리, 평창리의 10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1. 법정리 목록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
남곡리 | 南谷里 | 남곡1리, 남곡2리, 남곡3리, 남곡4리 |
대대리 | 大垈里 | 대대1리, 대대2리, 대대3리, 대대4리 |
송문리 | 松門里 | 송문1리, 송문2리, 송문3리, 송문4리 |
식금리 | 植金里 | 식금리 |
양지리 | 陽智里 | 양지1리, 양지2리, 양지3리, 양지4리, 양지5리, 양지6리, 양지7리, 양지8리, 양지9리, 양지10리, 양지11리, 양지12리, 양지13리, 양지14리 |
정수리 | 定水里 | 정수리 |
제일리 | 霽日里 | 제일1리, 제일2리, 제일3리 |
주북리 | 朱北里 | 주북1리, 주북2리, 주북3리, 주북4리, 주북5리, 주북6리 |
추계리 | 秋溪里 | 추계1리, 추계2리 |
평창리 | 坪倉里 | 평창1리, 평창2리, 평창3리, 평창4리 |
4. 교육 기관
처인구 및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관광
양지면은 다양한 관광 시설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레저 시설로는 양지파인리조트, 양지파인골프클럽, 아시아나컨트리클럽 등이 있다.
문화 유적으로는 세중옛돌박물관, 양지향교, 주북리 지석묘, 묵계 류복립 사당 등이 있다.
5. 1. 레저 시설
- 양지파인리조트
- 양지파인골프클럽
- 아시아나컨트리클럽
5. 2. 문화 유적
- 세중옛돌박물관
- 양지향교
- 주북리 지석묘
- 묵계 류복립 사당
6. 교통
7. 인구
참조
[1]
웹사이트
처인구청
http://www.cheoingu.[...]
2018-04-14
[2]
웹사이트
용인시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2018-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