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국과 지옥 (1956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국과 지옥'은 1956년에 개봉한 영화로,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로버트 와그너가 연기한 샘 기포드 이병은 장교 폭행 혐의로 강등되어 처벌 부대로 전출된다. 과거의 갈등을 겪고 유능한 군인으로 인정받지만, 전투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정찰 임무를 수행하고, 전우들과의 유대감을 통해 변화를 겪는다. 영화는 개봉 당시 혹평을 받았지만, 전쟁의 참혹함 속 인간애를 다루며 중도 진보적 가치를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처드 플라이셔 감독 영화 - 도라 도라 도라
    1970년 개봉한 영화 《도라 도라 도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진주만 공습을 미국과 일본 양측의 시각에서 조명하고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재현한 미국-일본 합작 영화이다.
  • 리처드 플라이셔 감독 영화 - 만딩고
    1975년 개봉한 영화 만딩고는 카일 온스토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남부 노예 농장에서 백인 농장주와 흑인 노예 간의 갈등과 욕망을 그린 영화로, 개봉 당시 비평은 좋지 않았으나 인종 문제를 다룬 영화로서 재평가되고 학술적 관심과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애정을 받았다.
  •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귀공자
    2023년 개봉한 박훈정 감독의 액션 누아르 영화 《귀공자》는 코피노 복서 마르코가 한국에서 자신을 쫓는 미스터리한 인물 "귀공자"와 여러 세력에 얽히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인정받았으며 김선호는 신인상을 수상했다.
  •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화소도
    경찰이 상관의 복수를 위해 교도소에 잠입하여 음모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은 영화 화소도는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등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출연하였으며, 96분 분량의 홍콩 버전과 125분 분량의 대만 버전 두 가지가 있고, 제목은 교도소로 운영되었던 대만 류큐 향의 '녹도(綠島)'에서 유래했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콰이강의 다리
    데이비드 린 감독의 영화 《콰이강의 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콰이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다리 폭파를 시도하는 특공대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미드웨이 (2019년 영화)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19년 미국 전쟁 영화 《미드웨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을 배경으로 미국과 일본 해군의 치열한 전투와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이야기를 그리며, 에드 스크레인, 패트릭 윌슨, 우디 해럴슨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스캔라인 VFX와 픽소몬도가 시각 효과를 담당했다.
천국과 지옥 (195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공개 카드
연극 공개 카드
원작프랜시스 그왈트니(의) 세기가 끝난 날 (1955년 소설)
장르전쟁 영화, 드라마 영화
개봉일미국: 1956년 10월 11일 (뉴욕)
일본: 1956년 12월 29일
상영 시간94분
제작사20세기 폭스
배급사20세기 폭스
제작비1,520,000 달러
흥행 수입2백만 달러 (미국 임대료)
언어영어, 일본어
제작진
감독리처드 플레이셔
제작자데이비드 와이스바트
각본해리 브라운 (작가)
음악휴고 프리드호퍼
촬영레오 토버
편집제임스 B. 클라크 (감독)
출연
주연로버트 와그너
테리 무어 (배우)
브로데릭 크로포드

2. 줄거리

1945년 태평양 전선의 한 섬, 샘 기포드(로버트 와그너) 상사는 장교 폭행 혐의로 일병으로 강등되어 '와코'라는 별명을 가진 그라임스 대위가 이끄는 처벌 부대로 전출된다. 회상 장면을 통해 기포드는 부유한 면화 농장주였으며, 소작농들에게 냉정하고 무관심했다는 과거가 드러난다. 예비군 부대가 태평양 전선에 파견된 후, 기포드는 소작농 출신 병사들과 가까워지면서 자신의 행동을 반성한다. 그는 유능한 군인으로 인정받지만, 전투 스트레스와 신경증으로 고통받는다. 장인이 저격수에게 살해당하고, 동료들이 무능한 장교의 잘못된 판단으로 희생되는 사건은 기포드의 내면을 더욱 흔든다.

와코는 기포드에게 일본군 본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찰 임무를 맡긴다. 기포드는 임무를 완수하지만, 와코는 그를 불신하고 비난한다. 일본군의 공격이 시작되고, 기포드는 전우들과 함께 사투를 벌인다. 이 과정에서 기포드는 자신의 사회적 계층을 넘어선 인간적인 유대감을 경험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로 결심한다.

기포드는 리틀 조(브래드 덱스터) 중위와 전초 기지 근무 중 윌리 크로포드(버디 엡센)와 우정을 쌓는다. 공격 후 전초 기지는 본부와 연락이 끊기고, 기포드는 새 배터리를 가지러 본부로 돌아간다. 와코는 부상병들의 보고로 지휘관에서 해임되고, 기포드에게 순찰에 대해 칭찬하지만, 얼마 안가 일본 저격수에게 살해당한다.

기포드는 전초 기지로 돌아가지만 리틀 조는 이미 살해당한 뒤였다. 기포드와 크로포드는 유일한 생존자였고, 크로포드는 다리에 부상을 입는다. 크로포드는 기포드에게 일본군의 증강을 부대에 경고하라고 명령하고, 기포드는 일본군을 뚫고 부대에 복귀하여 지원을 요청한다. 의식을 되찾은 기포드는 크로포드와 함께 본국으로 이송된다는 소식을 듣고, 크로포드에게 자신의 저택에서 함께 살며 일자리를 제안한다.

3. 등장인물


  • 로버트 와그너 - 쌤 기포드 이병
  • 테리 무어 - 제니 기포드
  • 브로데릭 크로포드 - "와코" 그라임스 대위
  • 버디 엡슨 - 윌리 크로포드 상병
  • 로버트 키스 - 커즌스 대령
  • 브래드 덱스터 - 조 '리틀 조' 존슨 중위
  • 마크 데이먼 - 테리 이병
  • 켄 클락 - 모건
  • 하비 렘벡 - 버니 멜레스키 이병
  • 스킵 호메이어 - 스완슨 상병
  • L. Q. 존스 - 케니 이병
  • 토드 앤드류스 - 레이 모스비 중위
  • 비프 엘리엇 - 톰 썸 중위
  • 바트 번스 - 레이커 이병
  • 프랭크 고신 - 밀라드 이병 (크레딧 미기재)
  • 스캣먼 크로더스 - 조지 (크레딧 미기재)
  • 샘 에드워즈 - 소임스 (크레딧 미기재)
  • 칼 스위처 - 새비지 (크레딧 미기재)

3. 1. 주연


  • 로버트 와그너 - 쌤 기포드 이병
  • 테리 무어 - 제니 기포드
  • 브로데릭 크로포드 - "와코" 그라임스 대위
  • 버디 엡슨 - 윌리 크로포드 상병
  • 로버트 키스 - 커즌스 대령
  • 브래드 덱스터 - 조 '리틀 조' 존슨 중위
  • 마크 데이먼 - 테리 이병
  • 켄 클락 - 모건
  • 하비 렘벡 - 버니 멜레스키 이병
  • 스킵 호메이어 - 스완슨 상병
  • L. Q. 존스 - 케니 이병
  • 토드 앤드류스 - 레이 모스비 중위
  • 비프 엘리엇 - 톰 썸 중위
  • 바트 번스 - 레이커 이병
  • 프랭크 고신 - 밀라드 이병 (크레딧 미기재)
  • 스캣먼 크로더스 - 조지 (크레딧 미기재)
  • 샘 에드워즈 - 소임스 (크레딧 미기재)
  • 칼 스위처 - 새비지 (크레딧 미기재)

3. 2. 조연

버디 엡슨, 로버트 케이스, 브래드 덱스터, 마크 데이먼, 켄 클락, 하비 렘벡, 스킵 호미어, L.Q. 존스, 토브 앤드류즈, 비프 엘리어트, 바트 번즈, 로버트 와그너, 테리 무어, 브로데릭 크로포드, 버디 엡슨, 로버트 키스, 브래드 덱스터, 마크 데이먼, 켄 클락, 하비 렘벡, 스킵 호메이어, L. Q. 존스, 토드 앤드류스, 비프 엘리엇, 바트 번스, 프랭크 고신, 스캣먼 크로더스, 샘 에드워즈, 칼 스위처

4. 제작

아칸소 출신의 프랜시스 어비 궐트니는 태평양 전역에서 여러 차례 상륙 작전을 수행한 112 기병대에서 군 복무를 했다.[5] 그는 군 복무 중 노먼 메일러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6] 궐트니의 가장 유명한 소설은 ''세기가 끝나는 날''이었다.

1955년 이 소설이 영화화되면서 폭스사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로 유명한 필리핀 참전 용사인 로드 서링에게 각본을 맡겼다. 그러나 서링의 첫 번째 각본은 9시간 분량이었고, 이 프로젝트는 해리 브라운 등 다른 작가들에게 넘어갔다.[7]

''천국과 지옥''은 1950년대 미국 육군을 묘사한 영화 중 하나로, 징병 포스터와 같은 이미지를 그리지 않고 많은 군인들의 기억에 더 가깝게 접근했는데, 이는 ''지상에서 영원으로'', 로버트 알드리치의 ''어택'' 또는 새뮤얼 풀러의 영화와 유사하다.

리처드 플라이셔 감독은 전투에서 불빛으로 밝혀진 언덕의 풍경에서 특히 시네마스코프 와이드 스크린 형식을 잘 활용했다.

5. 평가

개봉 당시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에 대해 "이상하게 횡설수설하고, 설득력 없고, 종종 당혹스러운 영화"라고 혹평했다.[8] 뉴욕 타임스는 "20세기 폭스처럼 솔직하게 말하자면, 제2차 세계 대전 드라마인 ''천국과 지옥''은 꽤 지루하게 쿵 하고 떨어진다."라고 평했다.[8] 또한 "일본군과의 부수적인 충돌과 리처드 플라이셔 감독이 연출한 훌륭하고 거대한 해안 전투 장면을 제외하면, 이 영화의 액션은 가혹하고 약간 정신 나간 중대장 제프리 크로포드가 지배하는 전초 기지에 집중된다."라고 덧붙였다.[8]

그러나 이 영화는 1950년대 미국 육군을 묘사한 영화 중 하나로, 징병 포스터와 같은 이미지를 그리지 않고, 많은 군인들의 기억에 더 가깝게 접근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특히,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애와 변화를 다루며, 중도진보적 가치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6. 한국어 더빙

일요 로드쇼/『日曜ロードショー』일본어를 통해 1963년 10월 20일 니혼 TV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니혼 TV판)
샘 기포드로버트 와그너다케우치 토루
제니테리 무어/Terry Moore (actress)영어모토야마 카쿠코
웨이코브로데릭 크로포드카사마 유키오
윌리버디 입센타카시로 쥰이치
커즌스 대령로버트 키스사이토 미유
존슨 중위브래드 덱스터와카야마 겐조
테리마크 다몬네모토 요시아키
모건켄 클라크/Ken Clark (actor)영어토치 히로지
마레스키하비 렘벡/Harvey Lembeck영어후지오카 타쿠야
스완슨스킵 호메이아아오노 타케시
케니L.Q. 존스이카이다 히로시
레이토드 앤드루스/Tod Andrews영어와다 케이
중위시마 슌스케
번병미즈키 케이
마일즈 소령시마 우시오
밀라드아이카와 킨야
소년하타케야마 요코
소녀와타나베 노리코
레이커카자마츠리 슈이치
레이커의 아내하나가타 케이코
텀텀코바야시 오사무
서비지후지이 코지
소옴즈센바 카즈유키
병장카네모토 신고
일본 병사오다 켄야
위생병무라마츠 타메히사
연출요시카와 쥰
번역사토 카즈히로
효과코마츠 프로덕션
조정
제작도쿄 프로모션
해설
초회 방송1963년10월 20일
일요 로드쇼/『日曜ロードショー』일본어
20:00-21:25


6. 1. 성우진 (니혼 TV판)

『일요 로드쇼』
20:00-21:25


참조

[1] 서적 Twentieth Century 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Scarecrow Press 1989
[2] 서적 Twentieth Century 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Scarecrow Press 1989
[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rkansas History & Culture http://www.encyclope[...] 2011-02-14
[4] IMDb Between Heaven and Hell
[5] 웹사이트 Texas Military Forces Museum http://www.texasmili[...] 2011-02-14
[6] 간행물 Life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1-02-14
[7] 간행물 Gamma Magazine http://www.mondomark[...] 1963
[8] 뉴스 The New York Times film review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56-10-12
[9] 서적 Twentieth Century 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Scarecrow Press 1989
[10] 서적 Twentieth Century 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Scarecrow Press 1989
[1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rkansas History & Culture http://www.encyclope[...] 2011-02-14
[1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rkansas History & Culture http://www.encyclope[...] 2011-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