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만 관객 돌파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만 관객 돌파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1,0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영화를 의미한다. 2000년대 멀티플렉스 극장 보편화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구축 이후 관객 집계가 체계화되면서 천만 관객 돌파 영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3년 영화 《실미도》가 최초로 천만 관객을 넘어섰으며, 이후 《명량》이 역대 최고 관객 수를 기록했다. 이 목록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공식 통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다양한 장르와 소재의 영화들이 천만 관객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에 관한 목록 - 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
    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은 영화진흥위원회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판매 티켓 수를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로, 2004년부터 정보 수집이 시작되었으며 이전 개봉작은 신뢰성 있는 자료를 참고하여 보충되었고, 주요 영화들의 흥행 기록, 시대별 주요 흥행 기록, 흥행 매출 순위, 외국 영화 및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기록 등이 제공된다.
  • 영화에 관한 목록 - 영국의 영화 흥행 기록
    영국의 영화 흥행 기록은 영국 영화 시장에서 상영된 영화들의 흥행 성과를 다루는 문서로, 미국 영화와 영국-미국 합작 영화가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1975년 《죠스》를 시작으로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가 최고 흥행 영화로 기록되었고, 관객 수 기준으로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 변사
    변사는 무성영화 시대 한국과 일본에서 영화 상영 중 육성 해설을 통해 독자적인 영화미학과 문화를 구축한 직업이자 문화 현상으로, 한국 영화사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영화 - 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
    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은 영화진흥위원회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판매 티켓 수를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로, 2004년부터 정보 수집이 시작되었으며 이전 개봉작은 신뢰성 있는 자료를 참고하여 보충되었고, 주요 영화들의 흥행 기록, 시대별 주요 흥행 기록, 흥행 매출 순위, 외국 영화 및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기록 등이 제공된다.
  • 흥행수입 - 박스 오피스 모조
    브랜든 그레이가 설립한 박스 오피스 모조는 영화 흥행 수입 관련 웹사이트로, 아마존에 인수되어 IMDb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유료화 논란 후 일부 기능이 무료로 전환되었다.
  • 흥행수입 - 박스오피스
    박스오피스는 영화 입장권 판매 수익으로 영화 흥행을 측정하는 지표이며,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관입장권 발권 통합전산망 통계자료가 대한민국 공식 자료로 활용된다.
천만 관객 돌파 영화

2. 배경

영화 흥행의 기준은 주로 '매출액'이며, 특히 미국 등 해외에서는 수익에 따라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DVD나 블루레이 등 2차 수익 모델이 약해 극장 관객 수가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매출액보다는 관객 수에 따른 흥행 기록이 주로 관심을 받았다.[1] 2003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관람객 집계가 체계화된 환경도 영향을 주었다.[1]

천만 관객 영화는 멀티플렉스 극장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시각이 많다.[1] 1990년대까지는 영화를 보려면 해당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까지 찾아가야 했고, 원하는 시간대에 영화를 볼 수 없다는 불편함 때문에 비디오 시장이 발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한 영화관에서 여러 영화를 상영하는 멀티플렉스 극장이 보편화되면서 영화 관람 인구가 크게 늘었다.[1]

2001년 영화 《친구》가 8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천만 관객의 가능성이 처음으로 보였고,[1] 2년 후인 2003년 12월 영화 《실미도》가 처음으로 천만 관객을 달성했다.[1] 2004년 2월에는 《태극기 휘날리며》가 개봉하여 천만 관객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천만 관객 시대를 열었다.

3. 대한민국 역대 천만 관객 영화 목록

대한민국에서 영화 흥행의 주요 기준은 관객 수이다. 이는 DVD나 블루레이 등 2차 시장이 취약하여 극장 관객 수에 의존해야 하는 환경 때문이다.[1] 2003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관객 수 집계가 체계화되었다.[1]

멀티플렉스 극장의 등장은 천만 관객 영화 시대의 시작과 관련이 깊다.[1] 2000년대 들어 멀티플렉스 극장이 보편화되면서 영화 관람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

2001년 영화 《친구》가 8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천만 관객 영화의 가능성을 보였고,[1] 2003년 12월 영화 《실미도》가 최초로 천만 관객을 달성했다.[1] 이후 2004년 2월 《태극기 휘날리며》가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본격적인 천만 관객 시대를 열었다.

3. 1. 목록

다음은 대한민국에서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목록이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역대 박스오피스 공식통계를 기준으로 한다.[2]

순위제목감독배급사개봉일관객수
1명량김한민CJ엔터테인먼트2014-07-3017,613,682
2극한직업이병헌CJ엔터테인먼트2019-01-2316,264,944
3《신과함께: 죄와 벌》김용화롯데엔터테인먼트2017-12-2014,410,754
4국제시장윤제균CJ엔터테인먼트2014-12-1714,257,115
5어벤져스: 엔드게임루소 형제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04-2413,934,592
6겨울왕국 2크리스 벅, 제니퍼 리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11-2113,747,792
7아바타제임스 캐머런20세기폭스코리아2009-12-1713,624,328
8베테랑류승완CJ엔터테인먼트2015-08-0513,414,009
9서울의 봄김성수플러스엠2023-11-2213,128,080
10괴물봉준호쇼박스2006-07-2713,019,740
11도둑들최동훈쇼박스2012-07-2512,983,330
127번방의 선물이환경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3-01-2312,811,206
13암살최동훈쇼박스2015-07-2212,705,700
14범죄도시2이상용플러스엠2022-05-1812,693,175
15알라딘가이 리치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05-2312,555,894
16광해, 왕이 된 남자추창민CJ엔터테인먼트2012-09-1312,319,542
17왕의 남자이준익시네마서비스2005-12-2912,302,831
18《신과함께: 인과 연》김용화롯데엔터테인먼트2018-08-0112,274,996
19택시운전사장훈쇼박스2017-08-0212,186,684
20파묘장재현쇼박스2024-02-2211,911,209
21태극기 휘날리며강제규쇼박스2004-02-0511,746,135
22부산행연상호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6-07-2011,565,479
23해운대윤제균CJ엔터테인먼트2009-07-2211,453,338
24변호인양우석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3-12-1811,374,610
25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안소니 루소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8-04-2511,211,880
26범죄도시4허명행플러스엠2024-04-2411,180,381
27아바타: 물의 길제임스 캐머런시네마서비스2022-12-1411,081,000
28실미도강우석이십세기폭스필름2003-12-2410,805,065
29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조스 휘던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5-04-2310,494,499
30기생충봉준호CJ엔터테인먼트2019-05-3010,313,086
31겨울왕국크리스 벅, 제니퍼 리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4-01-1610,296,101
32인터스텔라크리스토퍼 놀런워너브라더스코리아2014-11-0610,275,484


4. 천만 관객 영화 출연 배우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역대 박스오피스 공식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에 출연한 배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2]

출연 횟수에 따라 1회 출연과 2회 이상 출연으로 나누어 표로 정리하였다.

출연 횟수가나다순배우성별출연작비고
주연조연단역우정출연특별출연
1회고아성괴물
감우성왕의 남자
강덕중범죄도시2
강성연왕의 남자
강윤범죄도시3
공명극한직업
공유부산행
곽도원변호인
김고은파묘
김명기범죄도시4
김무열범죄도시4
김성오서울의 봄
김시후베테랑
김신비범죄도시4
김윤배극한직업
김윤진국제시장
김유정해운대
김지훈 (에이팀) (1979년생)범죄도시4
김찬형범죄도시2
故 김지영 (본명:김효식) (1938년생)해운대
김지영 (1974년생)극한직업
남경읍명량
故 남문철 (본명: 남경엽)범죄도시2
노준호해운대
류지훈범죄도시4
박광재범죄도시2
박상면7번방의 선물
박지영범죄도시2
박해준서울의 봄
배누리범죄도시3
배두나괴물
배성우베테랑
배재원범죄도시4
故 변희봉괴물
서광재서울의 봄
손석구범죄도시2
송영규극한직업
송요셉범죄도시2
아오키 무네타카범죄도시3
안내상서울의 봄
故 염동헌서울의 봄
박명신부산행
오타니 료헤이명량
오대환베테랑
오정세극한직업
우강민 (본명: 김승현)범죄도시2
유성주서울의 봄
유아인베테랑
윤병희범죄도시2
윤선우7번방의 선물
음문석범죄도시2
이경영암살
이규원범죄도시2
이다일범죄도시2
이세호범죄도시3
이왕수극한직업
이재윤서울의 봄
이주빈범죄도시4
이준혁 (1972년생)신과함께-인과 연
장윤주베테랑
장진희극한직업
장항선왕의 남자
장혁진 (본명: 장석현)부산행
장혜진기생충
전수지서울의 봄
전진오범죄도시2
정동환서울의 봄
정웅인베테랑
정재광범죄도시2
정지소 (아역 시절: 현승민)기생충
정형석서울의 봄
정해인서울의 봄
故 조민기변호인
지대한해운대
진선규극한직업
최동구범죄도시3
최병모서울의 봄
하준범죄도시2
허동원범죄도시2
허준석극한직업
2회 이상고규필베테랑, 범죄도시3
김도건범죄도시3, 범죄도시4
김민재국제시장, 베테랑, 범죄도시3, 범죄도시4
김향기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김해숙도둑들, 암살, 신과함께-죄와 벌
나철신과함께-죄와 벌, 극한직업
도경수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라미란괴물, 국제시장
마동석베테랑, 부산행, 신과함께-인과 연, 범죄도시2, 범죄도시3, 범죄도시4
박소담베테랑, 기생충
박지환범죄도시2, 범죄도시3, 범죄도시4
서문호범죄도시2, 범죄도시3
송강호괴물, 기생충, 변호인, 택시운전사
신하균도둑들, 극한직업
안성봉극한직업, 서울의 봄, 범죄도시4
안세호범죄도시3, 서울의 봄
여호민해운대, 베테랑
예수정도둑들, 부산행, 신과함께-죄와 벌
오달수괴물, 도둑들, 7번방의 선물, 변호인, 국제시장, 암살, 베테랑, 신과함께-죄와 벌
유해진왕의 남자, 베테랑, 택시운전사, 파묘
이동휘베테랑, 극한직업, 범죄도시4
이범수범죄도시3, 범죄도시4
이정은변호인, 택시운전사, 기생충
이정재도둑들, 암살
이준혁 (1984년생)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범죄도시3, 서울의 봄
이지훈범죄도시3, 범죄도시4
이태규범죄도시2, 범죄도시3
장광광해, 왕이 된 남자,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전진기서울의 봄, 파묘
정만식7번방의 선물, 베테랑, 서울의 봄
정윤하서울의 봄, 파묘
정석용왕의 남자, 부산행, 택시운전사
정인기범죄도시2, 범죄도시4
조진웅명량, 암살
주지훈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진경베테랑, 암살
최귀화택시운전사, 범죄도시2
최민식태극기 휘날리며, 명량, 파묘
토마스 크레치만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택시운전사
하정우암살,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한규원범죄도시3, 서울의 봄
현봉식국제시장, 서울의 봄, 범죄도시4
황정민국제시장, 베테랑, 서울의 봄
홍서준서울의 봄, 파묘


4. 1. 1회 출연 배우

가나다순배우성별출연작비고
주연조연단역우정출연특별출연
고아성괴물
감우성왕의 남자
강덕중범죄도시2
강성연왕의 남자
강윤범죄도시3
공명극한직업
공유부산행
곽도원변호인
김고은파묘
김명기범죄도시4
김무열범죄도시4
김성오서울의 봄
김시후베테랑
김신비범죄도시4
김윤배극한직업
김윤진국제시장
김유정해운대
김지훈 (에이팀) (1979년생)범죄도시4
김찬형범죄도시2
故 김지영 (본명:김효식) (1938년생)해운대
김지영 (1974년생)극한직업
남경읍명량
故 남문철 (본명: 남경엽)범죄도시2
노준호해운대
류지훈범죄도시4
박광재범죄도시2
박상면7번방의 선물
박지영범죄도시2
박해준서울의 봄
배누리범죄도시3
배두나괴물
배성우베테랑
배재원범죄도시4
故 변희봉괴물
서광재서울의 봄
손석구범죄도시2
송영규극한직업
송요셉범죄도시2
아오키 무네타카범죄도시3
안내상서울의 봄
故 염동헌서울의 봄
박명신부산행
오타니 료헤이명량
오대환베테랑
오정세극한직업
우강민 (본명: 김승현)범죄도시2
유성주서울의 봄
유아인베테랑
윤병희범죄도시2
윤선우7번방의 선물
음문석범죄도시2
이경영암살
이규원범죄도시2
이다일범죄도시2
이세호범죄도시3
이왕수극한직업
이재윤서울의 봄
이주빈범죄도시4
이준혁 (1972년생)신과함께-인과 연
장윤주베테랑
장진희극한직업
장항선왕의 남자
장혁진 (본명: 장석현)부산행
장혜진기생충
전수지서울의 봄
전진오범죄도시2
정동환서울의 봄
정웅인베테랑
정재광범죄도시2
정지소 (아역 시절: 현승민)기생충
정형석서울의 봄
정해인서울의 봄
故 조민기변호인
지대한해운대
진선규극한직업
최동구범죄도시3
최병모서울의 봄
하준범죄도시2
허동원범죄도시2
허준석극한직업


4. 2. 2회 이상 출연 배우

가나다순배우성별출연작비고
주연조연단역우정출연특별출연
고규필베테랑, 범죄도시3
김도건범죄도시3, 범죄도시4
김민재국제시장, 베테랑, 범죄도시3, 범죄도시4
김향기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김해숙도둑들, 암살, 신과함께-죄와 벌
나철신과함께-죄와 벌, 극한직업
도경수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라미란괴물, 국제시장
마동석베테랑, 부산행, 신과함께-인과 연, 범죄도시2, 범죄도시3, 범죄도시4
박소담베테랑, 기생충
박지환범죄도시2, 범죄도시3, 범죄도시4
서문호범죄도시2, 범죄도시3
송강호괴물, 기생충, 변호인, 택시운전사
신하균도둑들, 극한직업
안성봉극한직업, 서울의 봄, 범죄도시4
안세호범죄도시3, 서울의 봄
여호민해운대, 베테랑
예수정도둑들, 부산행, 신과함께-죄와 벌
오달수괴물, 도둑들, 7번방의 선물, 변호인, 국제시장, 암살, 베테랑, 신과함께-죄와 벌
유해진왕의 남자, 베테랑, 택시운전사, 파묘
이동휘베테랑, 극한직업, 범죄도시4
이범수범죄도시3, 범죄도시4
이정은변호인, 택시운전사, 기생충
이정재도둑들, 암살
이준혁 (1984년생)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범죄도시3, 서울의 봄
이지훈범죄도시3, 범죄도시4
이태규범죄도시2, 범죄도시3
장광광해, 왕이 된 남자,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전진기서울의 봄, 파묘
정만식7번방의 선물, 베테랑, 서울의 봄
정윤하서울의 봄, 파묘
정석용왕의 남자, 부산행, 택시운전사
정인기범죄도시2, 범죄도시4
조진웅명량, 암살
주지훈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진경베테랑, 암살
최귀화택시운전사, 범죄도시2
최민식태극기 휘날리며, 명량, 파묘
토마스 크레치만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택시운전사
하정우암살,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한규원범죄도시3, 서울의 봄
현봉식국제시장, 서울의 봄, 범죄도시4
황정민국제시장, 베테랑, 서울의 봄
홍서준서울의 봄, 파묘


5. 천만 관객 영화의 특징 및 경향

영화진흥위원회의 통합전산망 공식통계에 따르면, 2024년 6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총 32편의 영화가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2] 역대 흥행 1위는 김한민 감독의 《명량》(1761만 명)이며,[2] 2위는 이병헌 감독의 《극한직업》(1626만 명)이다.[2] 3위는 김용화 감독의 《신과함께: 죄와 벌》(1441만 명), 4위는 윤제균 감독의 《국제시장》(1425만 명)이다.[2]

천만 관객 돌파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제목감독배급사개봉일관객수
1명량김한민CJ엔터테인먼트2014-07-3017,613,682명
2극한직업이병헌CJ엔터테인먼트2019-01-2316,264,944명
3신과함께: 죄와 벌김용화롯데엔터테인먼트2017-12-2014,410,754명
4국제시장윤제균CJ엔터테인먼트2014-12-1714,257,115명
5어벤져스: 엔드게임루소 형제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04-2413,934,592명
6겨울왕국 2크리스 벅, 제니퍼 리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11-2113,747,792명
7아바타제임스 캐머런20세기폭스코리아2009-12-1713,624,328명
8베테랑류승완CJ엔터테인먼트2015-08-0513,414,009명
9서울의 봄김성수플러스엠2023-11-2213,128,080명
10괴물봉준호쇼박스2006-07-2713,019,740명
11도둑들최동훈쇼박스2012-07-2512,983,330명
127번방의 선물이환경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3-01-2312,811,206명
13암살최동훈쇼박스2015-07-2212,705,700명
14범죄도시2이상용플러스엠2022-05-1812,693,175명
15알라딘가이 리치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9-05-2312,555,894명
16광해, 왕이 된 남자추창민CJ엔터테인먼트2012-09-1312,319,542명
17왕의 남자이준익시네마서비스2005-12-2912,302,831명
18신과함께: 인과 연김용화롯데엔터테인먼트2018-08-0112,274,996명
19택시운전사장훈쇼박스2017-08-0212,186,684명
20파묘장재현쇼박스2024-02-2211,911,209명
21태극기 휘날리며강제규쇼박스2004-02-0511,746,135명
22부산행연상호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6-07-2011,565,479명
23해운대윤제균CJ엔터테인먼트2009-07-2211,453,338명
24변호인양우석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13-12-1811,374,610명
25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안소니 루소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8-04-2511,211,880명
26범죄도시4허명행플러스엠2024-04-2411,180,381명
27아바타: 물의 길제임스 캐머런시네마서비스2022-12-1411,081,000명
28실미도강우석이십세기폭스필름2003-12-2410,805,065명
29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조스 휘던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5-04-2310,494,499명
30기생충봉준호CJ엔터테인먼트2019-05-3010,313,086명
31겨울왕국크리스 벅, 제니퍼 리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2014-01-1610,296,101명
32인터스텔라크리스토퍼 놀런워너브라더스코리아2014-11-0610,275,484명


5. 1. 흥행 요인

영화 흥행의 주요 기준은 '매출액'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DVD나 블루레이 등 2차 수익 모델이 취약하여 극장 관객 수가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1] 2003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관람객 집계가 체계화되었다.[1]

멀티플렉스 극장의 등장은 천만 관객 영화 시대의 시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1990년대까지는 단관 개봉이 일반적이어서 영화 관람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2000년대 들어 멀티플렉스 극장이 보편화되면서 영화 관람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

2001년 영화 《친구》가 8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천만 관객 영화의 가능성을 보였고,[1] 2003년 영화 《실미도》가 최초로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1] 이후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도 천만 관객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천만 관객 시대를 열었다.

5. 2. 장르 및 소재

천만 관객 영화 장르 및 소재
장르주요 소재 및 특징대표 영화
시대극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배경으로 함.명량, 국제시장, 광해, 왕이 된 남자, 왕의 남자, 암살, 택시운전사, 변호인, 실미도, 서울의 봄
액션격투, 추격, 총격 등 액션 장면이 주를 이룸.베테랑, 도둑들, 암살, 부산행, 범죄도시2, 범죄도시4
드라마인물 간의 갈등, 감정 변화, 성장 등을 다룸.국제시장, 7번방의 선물, 변호인, 택시운전사, 신과함께: 죄와 벌, 신과함께: 인과 연
코미디웃음을 유발하는 상황이나 대사가 많음.극한직업, 7번방의 선물
SF/판타지과학적 상상력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을 바탕으로 함.아바타, 신과함께: 죄와 벌, 신과함께: 인과 연, 인터스텔라, 아바타: 물의 길
애니메이션그림이나 인형 등을 이용하여 제작한 영화.겨울왕국 2, 겨울왕국
뮤지컬음악과 춤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알라딘
슈퍼히어로초능력을 가진 영웅이 등장하여 악당과 싸움.어벤져스: 엔드게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괴수거대한 괴물이 등장하여 인류를 위협함.괴물
재난자연재해나 사고로 인한 위기 상황을 다룸.해운대
오컬트초자연적이고 불가사의한 현상을 다룸파묘



천만 관객 영화는 시대극, 액션, 드라마 장르가 주를 이루며,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하거나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진보 성향 감독들의 작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민주화 운동이나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 사례가 많다. (택시운전사, 변호인 등). 보수 정권 시기에 발생한 사건을 다룬 영화들은 비판적인 시각으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 (실미도, 서울의 봄 등). 가족애, 우정, 정의, 희생 등의 보편적인 가치를 다룬 영화들이 관객들에게 감동을 주며 흥행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5. 3. 사회적 영향

대한민국에서 영화 흥행은 주로 관객 수로 판단하는데, 이는 DVD 등 2차 시장이 취약하여 극장 관객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1] 2003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을 구축하면서 관객 수 집계가 체계화되었다.[1]

천만 관객 영화는 멀티플렉스 극장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시각이 많다.[1] 2000년대 들어 멀티플렉스 극장이 보편화되면서 영화 관람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1] 2001년 영화 《친구》가 8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천만 관객의 가능성을 보였고,[1] 2003년 《실미도》가 최초로 천만 관객을 달성했다.[1] 이후,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도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천만 관객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

6. 같이 보기

참조

[1] 인용 2012년 이후 천만관객을 돌파한 한국 영화의 흥행요인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10-09
[2] 웹인용 역대 박스오피스 (공식통계 기준) https://www.kobis.or[...] 영화진흥위원회 202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