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류스킨곶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첼류스킨 곶은 유라시아 대륙 최북단에 위치한 곶으로, 1742년 세묜 첼류스킨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초기에는 동북 곶으로 불렸다. 1878년 아돌프 에리크 노르덴셸드의 북동 항로 개척, 1919년 로알 아문센 탐험대의 실종 사건, 1932년 극지 기상대 설립 등 북극 탐험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툰드라 기후로 연중 낮은 기온을 보이며, 과거 우라늄 채굴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전파 기상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유라시아 대륙 최북단 비행장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해의 곶 - 플리겔리곶
플리겔리 곶은 프란츠요제프 제도 루돌프 섬에 위치하며, 187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북극 탐험대에 의해 발견되어 아우구스트 폰 플리겔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러시아의 곶 - 로팟카곶
로팟카곶은 알류샨 열도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알류샨 저기압과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춥고 습한 기후를 보이는 러시아와 일본 간 국경 분쟁 지역이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격전지였다. - 러시아의 곶 - 코리츠키곶
코리츠키 곶은 쿠릴 열도 이투루프 섬 최북단에 위치하며, 아이누어로 "카모이왓카"라고 불리는 일본 정부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영토의 최북단이자, 1800년 곤도 주조가 표주를 세운 곳으로,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는 영토 분쟁 지역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지형 - 중앙시베리아고원
중앙시베리아 고원은 예니세이 강과 레나 강 사이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대지에 속하고, 다양한 고원과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륙성 기후와 풍부한 광물 자원을 특징으로 한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지형 - 카라해
카라해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과 노바야 제믈랴 제도 사이에 있는 북극해의 일부로, 1년 중 대부분 해빙으로 덮여 있고, 오비 강, 예니세이 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해빙 감소는 기후 변화와 관련 있고, 과거 핵 폐기물 투기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다.
첼류스킨곶 | |
---|---|
위치 정보 | |
위치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러시아 |
수역 | 카라해 랍테프해 |
지리 | |
종류 | 곶 |
높이 | 17m |
지역 | 타이미르 반도 북쪽 끝 |
명칭 | |
러시아어 명칭 | мыс Челюскина (므이쓰 첼류스키나) |
영어 명칭 | Cape Chelyuskin (케이프 첼류스킨) |
기타 | |
중요도 | 러시아 본토의 최북단 지점 |
거리 | 북극점까지 약 1,370km |
2. 역사
1742년 5월, 세묜 첼류스킨이 이끄는 육상 탐험대가 첼류스킨 곶에 처음 도달했으며, 초기에는 '''동북 곶'''(러시아어: Мыс Восточно-Северный)이라고 명명했다. 그로부터 100년 후 러시아 지리학회가 첼류스킨을 기념하여 첼류스킨 곶으로 개칭했다.
1878년에 스웨덴인 탐험가 아돌프 에리크 노르덴셸드가 처음으로 배를 타고 곶을 돌았다. 1893년에는 북극점을 목표로 하는 노르웨이인 탐험가 프리드쇼프 난센이 방문했다.
1919년, 로알 아문센의 배 ''Maud''는 겨울을 나기 위해 첼류스킨 곶에 정박한 후, 두 명의 선원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남겨두고 떠났다. ''Maud''는 랍테프 해로 동쪽으로 계속 항해했고, 두 사람은 카라 해가 얼어붙기를 기다린 후, 아문센의 우편물을 싣고 딕슨 방향으로 남서쪽으로 썰매를 타고 가도록 지시받았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미스터리하게 실종되었다. 1922년, 니키포르 베기체프는 노르웨이 정부의 요청에 따라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찾기 위한 소련 탐험대를 이끌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들의 운명에 대한 단서는 1922년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1932년에 "극지 기지 첼류스킨 곶"이라는 이름의 기상대와 수문학 연구 기지가 건설되었고, 이반 파파닌이 책임자로 있었다. 1983년에는 "E. K. 표도로프 수문기상 관측소"로 개명되었다. 이 기지에는 자기 관측소가 있으며 곶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현재는 전파 기상대라고 불리며, 약 1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첼류스킨 곶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동 항로"(북극해 항로)의 중간이자 최북단이지만, 유빙이 연중 바다를 떠다니고, 레나강이나 예니세이강 등의 대하 하구가 주변에 있어 해류가 복잡하여 얼음 상태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1946~47년에는 이곳에서 우라늄에 대한 체계적인 지질 조사가 시작되었고, 1950년부터 1952년까지 곶에서 150km 떨어진 산에서 산업적 채굴이 이루어졌다.
첼류스킨 곶에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비행장이 있으며, 1950년부터 여러 위치에서 운영되어 왔다.
2. 1. 초기 탐험
1742년 5월, 세묜 첼류스킨이 이끄는 육상 탐험대가 첼류스킨 곶에 처음 도달했으며, 초기에는 '''동북 곶'''으로 불렸다. 1842년, 발견 1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지리 학회에서 첼류스킨의 이름을 따서 개명했다.1878년 8월 18일,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는 북동 항로를 통한 최초의 해상 항해 중에 이곳을 통과했다. 1893년에는 북극점을 목표로 하는 노르웨이인 탐험가 프리드쇼프 난센이 첼류스킨 곶을 방문했다.
1919년, 로알 아문센의 배 ''Maud''는 겨울을 나기 위해 첼류스킨 곶에 정박한 후, 두 명의 선원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남겨두고 떠났다. ''Maud''는 랍테프 해로 동쪽으로 계속 항해했고, 두 사람은 카라 해가 얼어붙기를 기다린 후, 아문센의 우편물을 싣고 딕슨 방향으로 남서쪽으로 썰매를 타고 가도록 지시받았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미스터리하게 실종되었다. 1922년, 니키포르 베기체프는 노르웨이 정부의 요청에 따라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찾기 위한 소련 탐험대를 이끌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들의 운명에 대한 단서는 1922년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2. 2. 북극 항로 개척
1742년 세묜 첼류스킨이 이끄는 육상 탐험대가 첼류스킨 곶에 처음 도달했으며, 초기에는 '''동북 곶'''으로 불렸다. 100년 후 러시아 지리학회가 첼류스킨을 기념하여 첼류스킨 곶으로 개칭했다.1878년 스웨덴인 탐험가 아돌프 에리크 노르덴셸드가 처음으로 배를 타고 곶을 돌았다. 1893년에는 북극점을 목표로 하는 노르웨이인 탐험가 프리드쇼프 난센이 방문했다.
1919년, 로알 아문센의 배 ''Maud''는 겨울을 나기 위해 첼류스킨 곶에 정박한 후,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남겨두고 떠났다. 이들은 딕슨으로 썰매를 타고 가도록 지시받았으나, 미스터리하게 실종되었다. 1922년 니키포르 베기체프는 이들을 찾기 위한 소련 탐험대를 이끌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932년에는 "극지 기지 첼류스킨 곶"이라는 이름의 기상대와 수문학 연구 기지가 건설되었고, 이반 파파닌이 책임자로 있었다. 1983년에는 "E. K. 표도로프 수문기상 관측소"로 개명되었다. 첼류스킨 곶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동 항로"(북극해 항로)의 중간이자 최북단이지만, 유빙과 해류의 영향으로 얼음 상태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현재는 전파 기상대라고 불리며, 약 100명이 근무하고 있다.
1946년부터 1952년까지 우라늄에 대한 지질 조사 및 채굴이 이루어졌다. 첼류스킨 곶에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비행장이 있다.
2. 3. 아문센 탐험대 실종 사건
1919년, 로알 아문센의 배 ''Maud''는 겨울을 나기 위해 첼류스킨 곶에 정박한 후, 두 명의 선원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남겨두고 떠났다. ''Maud''는 랍테프 해로 동쪽으로 계속 항해했고, 두 사람은 카라 해가 얼어붙기를 기다린 후, 아문센의 우편물을 싣고 딕슨 방향으로 남서쪽으로 썰매를 타고 가도록 지시받았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미스터리하게 실종되었다. 1922년, 니키포르 베기체프는 노르웨이 정부의 요청에 따라 페테르 테셈과 폴 크누센을 찾기 위한 소련 탐험대를 이끌었지만, 베기체프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들의 운명에 대한 단서는 1922년까지 발견되지 않았다.2. 4. 극지 관측소 설립
1932년에 "극지 기지 첼류스킨 곶"이라는 이름의 기상대와 수문학 연구 기지가 첼류스킨 곶에 건설되었고, 이반 파파닌이 책임자로 있었다. 1983년에는 "E. K. 표도로프 수문기상 관측소"로 개명되었다. 이 기지에는 자기 관측소가 있으며 곶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극지 관측소는 현재 전파 기상대라고 불리며, 약 100명이 근무하고 있다.
2. 5. 우라늄 채굴
1946~47년에는 첼류스킨 곶에서 우라늄에 대한 체계적인 지질 조사가 시작되었고, 1950년부터 1952년까지 곶에서 150km 떨어진 산에서 산업적 채굴이 이루어졌다.2. 6. 첼류스킨 곶 비행장
첼류스킨 곶에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비행장이 있으며, 1950년부터 여러 위치에서 운영되어 왔다. 1932년에는 "극지 기지 첼류스킨 곶"이라는 이름의 기상대와 수문학 연구 기지가 건설되었고, 이반 파파닌이 책임자로 있었다. 1983년에는 "E. K. 표도로프 수문기상 관측소"로 개명되었다. 현재는 전파 기상대라고 불리며, 약 100명이 근무하고 있다.3. 기후
첼류스킨 곶은 쾨펜 기후 구분 ''ET''에 해당하는 툰드라 기후로, 어떤 달도 최저 기온이 영하를 넘지 않는다. 겨울은 일년 내내 지속되지만, 기상학적 여름 동안에는 평균 기온을 넘는 짧은 기간 동안 끊어질 수 있다. 눈은 일년 내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름을 포함한 모든 달에 눈이 내린다.[4] 일조 시간은 4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7월 말 또는 8월 초에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다.[5]
3. 1. 기온
첼류스킨 곶은 쾨펜 기후 구분 ''ET''에 해당하는 툰드라 기후를 보인다. 겨울은 일 년 내내 지속되며, 짧은 기상학적 여름 동안 평균 기온을 넘는 기간이 나타나기도 한다. 눈은 여름을 포함하여 일 년 내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4][6] 일조 시간은 4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7월 말 또는 8월 초에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다.[5][7]
3. 2. 강수
첼류스킨 곶은 쾨펜 기후 구분 ''ET''에 해당하는 툰드라 기후로, 연중 영하의 기온을 유지한다.[4][6] 겨울이 일년 내내 지속되지만, 짧은 여름 동안에는 평균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눈은 일년 내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름에도 눈이 내린다.[4][6]일조 시간은 4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7월 말 또는 8월 초에 급격히 감소한다.[4][5][6][7] 월별 강수량(mm)은 다음과 같다.[4][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강수량 | 11-14 | 12-13 | 12-13 | 12-14 | 14-15 | 14 | 26-27 | 30-32 | 23 | 22 | 12-15 | 12-13 |
3. 3. 일조 시간
첼류스킨 곶은 쾨펜 기후 구분 ''ET''에 해당하는 툰드라 기후로, 연중 영하의 기온을 유지한다.[4][5] 겨울이 일 년 내내 지속되지만, 짧은 여름 동안에는 평균 기온을 넘는 기간도 있다. 눈은 일 년 내내 내리며, 여름에도 눈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4][5]일조 시간은 4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7월 말 또는 8월 초에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다.[4][5]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관측 기록에 따르면, 월별 일조 시간은 다음과 같다.[5][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일조 시간 (시간) | 0.0 | 4.0 | 113.0 | 252.0 | 216.0 | 145.0 | 161.0 | 95.0 | 43.0 | 15.0 | 0.0 | 0.0 |
4.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문서
Russian Coastal explorer
https://coastalexplo[...]
[2]
문서
GoogleEarth
[3]
웹사이트
С.Ларьков, Ф.Романенко. Самый северный остров Архипелага ГУЛАГ
http://www.memorial.[...]
[4]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http://pogoda.ru.net[...]
2012-11-17
[5]
웹사이트
Cape Celjuskin/Fed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01-18
[6]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http://pogoda.ru.net[...]
2012-11-17
[7]
웹사이트
Cape Celjuskin/Fed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