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 (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楚)는 기원전 202년, 한 고조 유방이 서초를 멸망시킨 후 옛 서초 땅 일부를 한신에게 봉하면서 건국된 전한 시대의 제후국이다. 수도는 하비현에서 팽성현으로 변경되었으며, 회수 서쪽 지역을 관할했다. 이후 오초칠국의 난, 노나라 분할 등의 변동을 겪으며 영토가 축소되었고, 기원전 51년 유소에 의해 재건되기도 했다. 전한 말기에는 펑청, 류, 우 등 7개 현을 관할했으며, 유영이 마지막 초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한의 번국 - 조 (전한)
    조(趙)는 진한교체기에 부활하여 한신이 왕으로 임명된 제후국이며, 오초칠국의 난과 연관되어 멸망과 부활을 반복하다가 전한 시대에 여러 군으로 분할되었다.
  • 전한의 번국 - 회남 (전한)
    회남은 초한쟁패기 영포가 회남왕에 봉해진 것을 기원으로 하는 전한 시대의 제후국으로, 유안 시대에 《회남자》가 편찬되었으나 잦은 모반 시도로 기원전 121년 폐지되어 구강군에 편입되었다.
초 (전한)
지도
역사적 국가
국호초(楚)
유형왕국
존속 기간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4년
수도팽성
언어고대 중국어
종교중국 전통 종교
정치 체제
정부군주제
기원전 202년 ~ 기원전 201년: 한신
기원전 201년 ~ 기원전 192년: 유교
기원전 192년 ~ 기원전 179년: 유영객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74년: 유무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54년: 유오
역사
기원기원전 202년
오초칠국의 난기원전 154년

2. 역사

초한 쟁패기 동안, 펑청을 중심으로 한 초 지역은 서초 항우 세력의 근거지였다. 항우 사후, 한 고조는 먼저 초나라를 그의 장군 한신에게 하사했다.[1] 한신이 반역 혐의로 처형된 후, 그의 영토는 회수를 경계로 분할되었다. 황제의 동생인 유교는 "초왕" 칭호를 얻고 회수 서쪽 땅을 통치했으며,[2] 한신의 나머지 영토는 오나라가 되었다.

기원전 187년, 쉐는 분할되어 여태후의 손자인 장언을 위한 노국이 되었다. 여씨 일족이 권력에서 제거되자 쉐군은 다시 초나라로 반환되었다.[3]

기원전 154년, 유무 치하의 초나라는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다.

2. 1. 건국과 초기 변동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4년)

기원전 202년, 한 고조 유방은 서초를 멸망시킨 후 옛 서초 땅 일부를 한신에게 봉하며 초나라를 건국했다. 이때 초나라의 서울은 하비현이었다.[9][10][11][12] 그러나 이듬해 한신은 모반 혐의로 왕위를 빼앗기고 회음후로 격하되었고, 초나라는 회수를 경계로 분할되었다. 회수 서쪽 36현은 초원왕에게 하사되었으며, 이때부터 초나라의 서울은 팽성현이 되었다.[9][10][11][12]

고후 6년(기원전 182년), 초나라 땅에서 설군이 분할되어 장언을 왕으로 하는 노나라가 되었다. 문제 원년(기원전 179년), 여씨 일족이 몰락하면서 노나라는 폐지되고 설군은 다시 초나라로 반환되었다.

경제 2년(기원전 155년), 초왕 유무는 박태후 상중에 간음했다는 이유로 동해군과 설군을 빼앗겼다. 유무는 이에 반발하여 이듬해(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으나 패배하여 자결했다.

옥으로 덮인 나라 유무의 관. 1996년 즈스산(獅子山)에서 발굴


병마용, 1호 갱, 유무의 묘

2. 2. 오초칠국의 난과 영토 축소 (기원전 155년 ~ 기원전 154년)

기원전 155년, 경제 2년에 유무는 박태후 상중에 간음했다는 이유로 동해군과 쉐군을 빼앗겼다.[3] 유무는 이에 반발하여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으나 패배하고 자결했다.[4] 난 이후 초나라는 팽성 인근의 몇몇 현으로 축소되었고, 나머지는 한나라의 직할지가 되었다.

2. 3. 왕위 계승과 폐지 (기원전 154년 ~ 기원후 70년)



기원전 154년, 유무 치하의 초나라는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다. 반란이 진압되고 유무가 살해된 후, 초나라는 그의 아들인 유례에게 넘어갔으나,[4] 영토는 수도 펑청 인근의 몇몇 현으로 축소되었다. 기원전 69년, 왕 유연수가 음모를 꾸미다 자살하면서 왕국이 폐지되었다.[5] 기원전 51년, 한 선제의 아들인 유소에 의해 초나라는 재건되었다. 유소의 혈통은 왕망의 찬탈로 폐위될 때까지 왕국을 유지했다.[6] 전한 말기, 초나라는 유영에게 주어졌으나, 한 명제 치세에 유영은 칭호를 박탈당했고, 그 지역은 초군으로 통치되었다.[7]

전한 말기, 초나라는 7개의 현(펑청, 류(留), 우(梧), 푸양(傅陽), 뤼(呂), 우위안(武原), 지추(甾丘))을 관할했다. 총 인구는 497,084명, 가구 수는 114,738가구였다.[8]

3. 영역

고제 6년(기원전 202년), 고제가 서초를 멸하고 옛 서초 땅 중 일부(설군, 진군, 사수군, 동해군, 회계군)를 한신에게 봉하면서 초나라가 성립되었다.[9][10][11][12] 이후 한신은 모반 혐의로 왕위를 빼앗기고, 초나라는 회수를 경계로 둘로 나뉘었다. 회수 서쪽 36현은 초원왕에게 하사되었는데, 이는 설군, 사천군, 동해군에 해당하며, 이때부터 팽성현이 서울이 되었다.[9][10][11][12]

고후 6년(기원전 182년), 초나라 땅에서 설군이 분리되어 장언을 왕으로 하는 노나라가 되었다가, 문제 원년(기원전 179년)에 노나라가 폐지되면서 설군은 초나라로 회복되었다.

경제 2년(기원전 155년), 초왕 유무가 동해군과 설군을 빼앗기고, 이에 반발하여 이듬해(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다가 패배하여 자결했다. 한나라는 설군과 동해군을 직할지로 두고, 초나라 내사지도 분할하여 일부만을 유례에게 주어 초나라 왕으로 삼았다. 이후 초왕 유연수가 자살하면서 봉국이 폐지되고 구 초국령은 팽성군이 되었다.

초한 쟁패기 동안, 펑청을 중심으로 한 초 지역은 서초의 항우 세력의 근거지였다. 항우 사후, 한 고조는 초나라를 한신에게 하사했다.[1] 한신이 처형된 후, 그의 영토는 둘로 나뉘었다. 유교는 "초왕" 칭호를 얻고 회수 서쪽 땅을 통치했으며,[2] 한신의 나머지 영토는 오나라가 되었다. 유교의 왕국은 군인 쉐, 펑청 및 동해로 구성되었다. 기원전 187년, 쉐는 분할되어 여태후의 손자인 장언을 위한 노나라(魯國)가 되었다가 여씨 일족이 제거되자 초나라로 반환되었다.[3]

기원전 154년, 유무 왕조 치하의 초나라는 오초칠국의 난에 참여했다. 반란 진압 후, 초나라는 유례에게 넘어갔지만,[4] 그 영토는 수도 펑청 인근의 몇몇 현으로 축소되었다. 기원전 69년, 왕 유연수가 음모를 꾸미다 자살하면서 왕국은 폐지되었다.[5] 기원전 51년, 한 선제의 아들인 유소에 의해 재건되었다가 왕망의 찬탈 동안 폐위되었다.[6] 전한 말기, 초나라는 유영에게 하사되었으나 한 명제 치세에 칭호를 박탈당했고, 그 지역은 초군으로 통치되었다.[7]

전한 말기, 왕국은 7개의 현(펑청, 류(留), 우(梧), 푸양(傅陽), 뤼(呂), 우위안(武原), 지추(甾丘))을 관할했다. 총 인구는 497,084명, 가구 수는 114,738가구였다.[8]

4. 역대 초왕

이름중국어시호중국어재위 시작재위 종료
유교劉交초원왕楚元王기원전 201년기원전 178년
유영객劉郢客초의왕楚夷王기원전 178년기원전 174년
유무劉戊--기원전 174년기원전 154년
유례劉禮초문왕楚文王기원전 154년기원전 151년
유도劉道초안왕楚安王기원전 151년기원전 129년
유주劉注초상왕楚襄王기원전 129년기원전 117년
유순劉純초절왕楚节王기원전 117년기원전 101년
유연수劉延壽--기원전 101년기원전 69년
유효劉囂초효왕楚孝王기원전 51년기원전 25년
유문劉文초회왕楚怀王기원전 25년기원전 24년
유연劉衍초사왕楚思王기원전 24년기원전 2년
유유劉紆--기원전 2년8년
유영劉英--41년70년


5. 행정

전한 말기 초는 펑청(彭城), 류(留), 우(梧), 푸양(傅陽), 뤼(呂), 우위안(武原), 지추(甾丘)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인구는 497,084명, 가구는 114,738가구였다.[8]

5. 1. 전한 말기 현황 (7개 현)

전한 말기 초나라는 펑청(彭城), 류(留), 우(梧), 푸양(傅陽), 뤼(呂), 우위안(武原), 지추(甾丘)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인구는 497,084명, 가구는 114,738가구였다.[8]

5. 2. 인구

전한 말기 초는 7개 현(펑청, 류(留), 우(梧), 푸양(傅陽), 뤼(呂), 우위안(武原), 지추(甾丘))을 관할했다. 총인구는 497,084명, 가구 수는 114,738가구였다.[8]

6. 장관

초나라의 장관직은 시대에 따라 상국, 승상, 상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고제 시기에는 냉이와 진영이 상국을 역임했다.

진영은 기원전 195년에서 기원전 194년 사이에 상국을 지낸 후, 기원전 194년부터 기원전 184년까지 초승상을 역임했다. 이후 여갱시가 초승상을 맡았다. 문제 시기에는 소의가, 경제 초기에는 풍당이 초승상을 역임했다. 장상(張尙)은 기원전 154년까지, 원앙은 기원전 153년부터 초승상을 지냈다.

송등은 기원전 27년까지 초상을 역임했다.

6. 1. 초상국

냉이 (고제 시기)

진영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94년?)

6. 2. 초승상


  • 진영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84년?)
  • 여갱시 (기원전 184년 ~ ?)
  • 소의 (문제 시기)
  • 풍당 (경제 초기)
  • 장상(張尙, ? ~ 기원전 154년)
  • 원앙 (기원전 153년 ~ ?)

6. 3. 초상

송등(? ~ 기원전 27년)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s://wikisource.o[...]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wikisource.o[...]
[3] 서적 Book of Han https://wikisource.o[...]
[4] 서적 Book of Han https://wikisource.o[...]
[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wikisource.o[...]
[6] 서적 Book of Han https://wikisource.o[...]
[7]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wikisource.o[...]
[8] 서적 Book of Han https://wikisource.o[...]
[9] 위키문헌 사기 권51 형연세가제21 https://wikisource.o[...]
[10] 위키문헌 사기 권50 초원왕세가제20 https://wikisource.o[...]
[11] 위키문헌 사기 권92 회음후열전제32 https://wikisource.o[...]
[12]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