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교 (초원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교(楚元王)는 전한의 제후왕으로, 유방의 이복동생이다. 어려서 학문을 좋아하여 순자의 제자인 부구백에게서 시경을 배우고, 진나라 멸망 후 유방을 따라 종군했다. 고조 6년, 한신이 모반 혐의로 강등된 후 초왕에 봉해졌다. 유교는 유학을 장려하고 학자들을 중용했으며, 그의 후손으로는 유향, 유흠 등이 있다. 재위 23년 만에 사망했으며, 아들 유영객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9년 사망 - 필리포스 5세
    필리포스 5세는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즉위 후 그리스 내 입지를 다지고 로마와 충돌했으며 말년에는 국가 재건에 힘썼다.
  • 기원전 179년 사망 - 임오 (전한)
    임오는 전한 초 고조를 도와 풍 땅을 지키고 상당태수를 지냈으며, 진희의 반란을 막은 공으로 광아후에 봉해졌으나 여후 시기에 어사대부에서 면직되었고 문제 원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사람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3세기 중국 사람 - 진 시황제
    진 시황제는 중국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 칭호를 사용한 인물로, 전국 통일 후 군현제 실시, 도량형과 문자 통일 등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구축했으나 분서갱유와 대규모 토목 공사, 불로불사 추구 등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논쟁적인 인물이다.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유교 (초원왕)
기본 정보
유교의 초원왕 부임도
유교의 초원왕 부임도
유(劉)
이름교(交)
시호원(元)
작위초원왕(楚元王)
봉국초나라
생몰년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1년 (향년 51세)
아버지유태공
어머니유온
고황제 유방
아들유의
손자유무
생애
가족 관계
유태공
유온
고황제 유방
자녀
아들유의
손자
손자유무
기타 정보
관련 인물유방

2. 생애

유교는 젊어서 글을 좋아하고 재주가 있어, 목생(穆生), 백생(白生), 신공과 함께 순자의 제자인 부구백에게서 《시경》을 배웠다. 진시황의 분서갱유 이후 이들은 각자 흩어졌다.[9] 유방을 따라 진나라에 대항하는 반란에 가담했으며, 노관과 함께 유방의 측근을 맡았다. 고조가 황제에 즉위하자 노관과 함께 항상 고조를 시위했다. 고조 6년(기원전 201년), 한신이 모반 혐의로 회음로 격하되자, 한신의 봉국 중 화이허 서쪽의 설군, 동해, 팽성의 36현을 받아 초왕이 되었다.[9][10] 회남왕 영포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유교는 영포와 싸워 패했다.[11][12]

유교는 유학을 배운 덕에 유학자들을 중용했다. 초나라에 와서 목생, 백생, 신공을 모두 자신의 중대부로 삼았고, 고황후 시절에는 아들 유영객을 부구백에게 보내 배우게 했다. 시경을 좋아해 아들들에게 모두 시를 읽게 했으며, 신공은 《시경》에 전(傳)을 짓기 시작해 노시(魯詩)를 만들었고, 유교도 전을 지어 원왕시(元王詩)를 만들었다.[9]

재위 23년 만에 죽었고, 맏아들 유벽비(劉辟非)가 일찍 죽었으므로 유영객이 뒤를 이었다.[9] 유교의 자손으로는 전한 말기의 석학으로 알려진 유향, 유흠 부자, 위의 낙랑군 태수인 유무[5], 유무의 자손으로 동진의 정치가 유회[6]와 유뢰지[7], 그리고 의 유지기 등이 있으며, 남조 송의 유유(고조·무제)도 유교의 후손이라고 자칭했다.[8]

2. 1. 초기 생애와 학문

유교는 젊어서 글을 좋아하고 재주가 있어, 목생(穆生)·백생(白生)·신공과 함께 순자의 제자인 부구백에게서 《시경》을 배웠다. 진시황의 분서갱유 이후 이들은 각자 흩어졌다.[9] 그는 어린 시절 진나라의 수도 함양에서 공부한 학자였다.[2]

2. 2. 유방과의 동행과 초왕 책봉

진나라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킨 형 유방을 따라 종군했으며, 노관과 함께 유방의 측근을 맡았다.[9] 고조황제에 즉위하자 노관과 함께 항상 고조를 시위했다.[9] 고조 6년(기원전 201년), 한신이 모반 혐의로 회음후로 강등된 후, 고조는 한신의 옛 영토를 남북으로 분할하여 북부에 유교를 초왕으로 봉했다.[9][10] 이때, 한신의 봉국 중 화이허 서쪽의 설군·동해·팽성의 36현을 받아 초왕이 되었으며, 화이허 동쪽은 종형 유고가 받아 형나라를 이루었다.[9][10]

2. 3. 영포의 난과 패배

고조 11년(기원전 196년), 회남왕 영포가 반란을 일으켜 형왕 유가를 죽이고 형나라 군사까지 아울러 초나라로 쳐들어왔다.[11] 초나라에서는 서현과 동현 사이에서 영포를 막으려 했고, 군사를 셋으로 나누어 서로 돕게 했다. 그러나 군사를 나누면 한 군데가 패할 경우 나머지도 흩어져 서로 돕지 못한다는 말이 있었는데, 초나라 장수는 이를 듣지 않았다. 결국 영포의 공격에 한 군데가 무너지자 나머지도 흩어져 달아났고,[11] 유교는 설(薛)로 도망쳤다.[12]

2. 4. 유학 진흥과 사망

초원왕 유교는 초나라에 와서 목생, 백생, 신공을 모두 자신의 중대부로 삼았다. 고황후 시절에는 아들 유영객을 부구백에게 보내 배우게 했다. 유교는 시경을 좋아하여 아들들에게 모두 시를 읽게 했으며, 신공은 《시경》에 전(傳)을 짓기 시작해 노시(魯詩)를 만들었고, 유교도 전을 지어 원왕시(元王詩)를 만들었다.[9]

재위 23년 만에 죽었고, 맏아들 유벽비(劉辟非)가 일찍 죽었으므로 유영객이 뒤를 이었다.[9]

3. 가계 및 후손

劉交|유교중국어유방과는 달리 유학(시경)을 배웠다. 진나라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킨 유방을 따라 종군했으며, 노관과 함께 유방의 측근을 맡았고, 유가와 함께 별동대가 되었다. 고조 6년(기원전 201년), 모반죄로 실각하여 초왕에서 회음후로 강등된 한신의 후임으로, 그 구 영토를 남북으로 분할한 북부에 초왕으로 봉해졌다. 고조 11년(기원전 196년), 회남왕 영포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형왕 유가를 꺾은 영포와 싸워 패했다.

젊은 시절 유학을 배운 탓에 유자를 중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유태공
무애왕 유백
대경왕 유희
고제 유방
아들유벽비
아들초이왕 유영객
아들초문왕 유례
아들홍의후 유부
아들심유이후 유세
아들완구후 유예
아들극락경후 유조


3. 2. 주요 후손

劉交|유교중국어의 후손으로는 전한 말기 석학 유향·유흠 부자, 위의 낙랑군 태수 유무[5], 유무의 자손으로 동진의 정치가 유회[6]와 유뢰지[7], 의 유지기 등이 있으며, 남조 송의 유유(고조·무제)도 유교의 후손이라고 자칭했다.[8]

이름비고
유벽비세자였으나 요절
유영객이왕
유례문왕, 조카인 초왕 유무의 뒤를 이음
유부홍의후
유세심유이후
유예완구후
유조극락경후


참조

[1] 간행물
[2]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6-22
[3]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2011-06-22
[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zh.wikisource[...] 2011-07-02
[5] 문서
[6] 문서 晋書
[7] 문서 宋書
[8] Wikisource 宋書/卷1#武帝上
[9] 서적 한서
[10] 서적 한서
[11] 서적 한서
[12] 서적 한서
[13] 문서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