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군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군은 중국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때 회양군으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회양군 또는 회양국으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진국으로 개칭되었다. 위진 시대에는 양국에 편입되기도 했지만, 동진 시대에 오호 십육국 등의 지배를 받다가 유유의 북벌 이후 동진으로 회복되었다. 남조 시대에는 예주에 속했으며, 북위, 동위, 북제, 북주를 거치면서 북양주, 신주, 진주 등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수나라 때 군제가 폐지되면서 진주는 진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또한, 육조 시대에는 본관지를 잃은 진군이 합비에 교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진군 (행정 구역)
지리
위치중국의 군
위치 (현재)허난 성 동부, 안후이 성 북서부
기본 정보
존속 기간진나라 - 북위
폐지 시기북위
중심지완구현 (화이양)
군의 치소완구현
역사
설치 시기진나라
연혁서진: 진군으로 분할
동진: 진군으로 분할
북위: 폐지
행정 구역
속현완구(宛丘)
척현(척현)
부락현(扶樂)
항현(項)
고양현(苦楊)
여양현(汝陽)
신평현(新平)
양가현(陽家)
장평현(長平)
융려현(隆慮)
양성현(襄城)
만구현(만구)
고성현(곡성)
장릉현(장릉)
진양현(진양)
상현(商)
기기현(기기)
신채현(신채)
신식현(신식)
평여현(평여)
신양현(신양)
여음현(여음)
남돈현(남돈)
안성현(안성)
무평현(무평)
진정현(진정)
여양현(여양)
고안현(고안)
인물
주요 인물진승: 진나라 말기의 반란 지도자
사안: 동진의 재상
사현: 동진의 장군, 사안의 조카
사령운: 남조 송나라의 시인
사조: 남조 양나라의 문학가

2. 역사

진나라 때 성립된 회양군을 전신으로 한다. 전한과 후한 초기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군수가 통치하는 회양군과 제후의 영지인 회양국이 반복적으로 설치되었다. 88년(후한의 장화 2년), 서평왕 유선이 진왕이 되어 회양군을 식봉으로 삼았으므로, 회양군은 '''진국'''으로 개칭되었다.[9]

조위 시대에 조식이 진왕이 되면서 진국이 설치되었다.

서진이 건국되고 사마융이 양왕이 되자, 진군은 양국에 편입되었다.[11] 302년(영녕 2년)에 양왕 사마융이 사망하자, 진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동진에 들어서면서 진군은 후조, 전연, 전진과 같은 오호 십육국의 지배를 받았으므로, 동진은 합비에 진군을 교치하게 된다. 유유의 북벌이 성공하면서, 진군은 동진의 지배로 돌아갔다.

남조 송 시대에 진군은 예주에 속했다.[12] 북위의 세력이 신장되면서, 진군의 지배는 남조의 손에서 벗어났다.

동위 시대에 진군은 북양주에 속했다.[13] 북제 시대에 북양주는 신주로 개칭되었고, 진군은 신주에 속했다. 북주 시대에 신주는 진주로 개칭되었고, 진군은 진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진군은 진주에 통합되어 진군의 호칭은 사라졌다.

2. 1. 진(秦)

진나라가 통일 후 설치한 36군 중 하나로 추정되며, 기원전 224년 진나라가 진(陳)현과 평여(平輿)현을 점령하고 그 이듬해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그 근방에 세웠다. 혹은 초군(楚郡)이라고도 한다. 《사기》에 진수(陳守)라는 표현이 있어 한동안 진군으로 여겨졌으나, 회양노승(淮陽弩丞)이라고 쓰인 진나라 시대의 도장을 보면, 본디 이름은 회양군이고 진수는 진한대에 군의 치소가 있는 현으로 군을 대신하여 부르는 관습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15]

2. 2. 전한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3월, 고제가 이성제후왕인 양왕 팽월을 제거하면서 회양국을 새로 만들고 서자 유우에게 봉했다. 이때 회양군 외에도 영천군이 회양국의 봉토로 내려졌다고 하나 확실치 않다.[16][17] 고황후가 유우를 조국으로 옮기면서 왕국이 폐지돼 회양국의 군들은 모두 한나라의 직할 군이 됐다.[18][19]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 고황후가 회양회왕에게 회양국을 봉하면서 회양군은 다시 회양국이 됐고, 여후 8년(기원전 180년) 고황후가 죽고 여씨 정권이 몰락하면서 회양군이 됐다.[19] 문제 4년(기원전 176년), 문제가 회양국으로 되돌려 유무를 왕으로 봉했고, 유무를 양국으로 옮기면서 다시 군이 됐다.[20] 한편 이 무렵 여남군이 회양군에서 분립했다.[21] 경제 전2년(기원전 154년), 경제가 유여에게 봉토로 줘 왕국이 됐고, 전3년(기원전 153년) 유여를 노국으로 옮기면서 군이 됐다.[22] 선제 원강 3년(기원전 69년), 선제가 회양헌왕에게 봉토로 준 뒤로는 전한 멸망 때까지 왕국으로 존속했다.

연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만 5544호, 98만 1423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 · 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진현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옛 나라로 순임금의 후예 호공의 봉국이며 초나라에 망했다. 초 경양왕이 영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고현苦縣저우커우시 루이 현
양가현陽夏縣저우커우시 타이캉 현
영평현寧平縣저우커우시 단청 현 동쪽
부구현扶溝縣저우커우시 푸거우 현 북동쪽과수(渦水)가 낭탕거(狼湯渠)에서 갈려나와 동쪽으로 향(向)현에서 회수로 들어가는데, 하남·회양·패 세 군을 지나 천 리를 간다.
고시현固始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서쪽안사고에 따르면 원래 이름은 침구(寢丘)로 손숙오의 봉지다.
어현圉縣카이펑시 치 현 남쪽
신평현新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동쪽
자현柘縣상추시 저청 현 북쪽

[23]

2. 3. 신(新)

군의 이름을 신평으로 바꾸고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진(陳)진릉(陳陵)
고(苦)뇌릉(賴陵)
어(圉)익세(益歲)[24]


2. 4. 후한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진국(陳國)'''으로 바뀌었다. 9개 현, 112,653호, 1,547,572명을 거느렸다.[25]

후한 시대 진국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진현陳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
양하현陽夏縣저우커우 시 타이캉 현고릉취(固陵聚)가 현내에 있었다.
영평현寧平縣저우커우 시 단청 현 동
고현苦縣저우커우 시 루이 현뇌향(賴鄕)이 현내에 있었다.
자현柘縣상추 시 저청 현 북
신평현新平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 북동
부락현扶樂縣저우커우 시 타이캉 현 서
무평현武平縣저우커우 시 루이 현 서북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북동여남군에 속했다. 진정(辰亭)과 자구성(赭丘城)이 현내에 있었다.



진국의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


  • 유현(劉羨), 진(陳) 경왕(敬王) (88년 ~ 97년 1월 11일)[4]
  • 유균(劉鈞), 진(陳) 사왕(思王) (97년 1월 ~ 117년 9월 13일)[5]
  • 유송(劉竦), 진(陳) 회왕(懷王) (117년 9월 ~ 119년 10월 25일)[6]
  • 유총(劉崇), 진(陳) 경왕(頃王) (120년 5월 28일 ~ 124년 4월 2일)[7]
  • 유승(劉承), 진(陳) 효왕(孝王) (124년 4월 ~ ?)[8]
  • 유총(劉寵), 진(陳) 민왕(愍王) (? ~ 197년)
  • 조식(曹植), 진(陳) 사왕(思王) (232년)

2. 5. 위진, 유송

동진 안제 의희 연간에 화이안 시 일대에 회양군이 신설되었고, 유유가 일시적으로 옛 회양국의 땅을 수복했을 때 그 땅에 진군이 신설되었다. 회양군은 서주에, 진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각각 4현 2,855호 15,363명, 4현 693호 4,113명을 거느렸다.[26][27]

현명한자현급소속대략적 위치비고
각성현角城縣현령(縣令)회양군화이안 시 화이인 구 서남 일대의희 연간에 끊어져서 설치되었다.
진녕현晉寧縣미상제민(濟岷) 속했지만 이 지역에 이주하면서 신설되었다.(?)
숙예현宿預縣쑤첸 시 쑤청 구 관루진(郑楼镇) 고성산남록(古城山南麓) 일대안제 연간에 신설되었다.
상당현上黨縣안후이성 우후 시 청익강구(青弋江口) 일대?
항성현項城縣진군저우커우 시 선추 현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남서강좌 측으로 옮겨 설치되었다.
곡양현谷陽縣337년(진 성제 함강 3년) 고현(苦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북동



유유의 북벌이 성공하면서, 진군은 동진의 지배로 돌아갔다. 남조 송 시대에 진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 서화, 곡양, 창평의 4개 현을 관할했다.[12]

2. 6. 북위

북위회수 이북 지역을 점령하면서 진군은 예주에 속했다. 535년(동위 효정제 천평 2년) 동위가 성립된 이후 신설된 북양주(北揚州)에 속하게 되었다. 당시 진군은 4개 현, 3,024호, 7,669명을 거느렸다.[2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항현項縣저우커우 시 선추 현방성(方城)이 현내에 있었다.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북동장평성(長平城), 습양성(習陽城)이 있었다.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남서서화성(西華城)에 치소를 두었다.
양읍현襄邑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북사도성(思都城)에 치소를 두었다.


2. 7. 수

진나라 때 성립된 회양군을 전신으로 한다. 전한과 후한 초기에 중앙에서 파견된 군수가 통치하는 회양군과 제후의 영지인 회양국이 반복적으로 설치되었다. 88년(후한의 장화 2년), 서평왕 유선이 진왕이 되어 회양군을 식봉으로 삼았으므로, 회양군은 '''진국'''으로 개칭되었다.[9]

조위 시대에 조식이 진왕이 되면서 진국이 설치되었다.

서진이 건국되고 사마융이 양왕이 되자, 진군은 양국에 편입되었다.[11] 302년(영녕 2년)에 양왕 사마융이 사망하자, 진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동진에 들어서면서 진군은 후조, 전연, 전진과 같은 오호 십육국의 지배를 받았으므로, 동진은 합비에 진군을 교치하게 된다. 유유의 북벌이 성공하면서, 진군은 동진의 지배로 돌아갔다.

남조 송 시대에 진군은 예주에 속했다.[12] 북위의 세력이 신장되면서, 진군의 지배는 남조의 손에서 벗어났다.

동위 시대에 진군은 북양주에 속했다.[13] 북제 시대에 북양주는 신주로 개칭되었고, 진군은 신주에 속했다. 북주 시대에 신주는 진주로 개칭되었고, 진군은 진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진군은 진주에 통합되어 진군의 호칭은 사라졌다.

3. 교치 진군

330년(동진(東晋)의 함화 5년), 합비에 진군이 교치되었다.

남조 송(南朝宋) 시대에 진군은 남예주에 속하였으며, 항(項), 서화(西華), 양하(陽夏), 곡양(穀陽), 장평(萇平)의 5현을 관할했다.[12]

남조 제(南朝齊) 시대에 진군은 예주(豫州)에 속하였으며, 항, 서화, 양하, 장평의 4현을 관할했다.[14]

동위 시대에 진군은 곽주에 속하였으며, 항, 양하, 동양(鮦陽)의 3현을 관할했다.[13]

4. 역대 군수·태수 및 왕

진군(陳郡)은 전한부터 후한까지 존속했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군(郡)과 왕국(王國) 사이를 오갔다.

'''전한'''

전한 시대 진군은 여러 차례 왕국과 군 사이를 오갔다. 선제원강 3년회양헌왕에게 봉토로 주었고, 이후 전한 멸망 때까지 왕국으로 존속했다.


  • 회양수, 회양태수, 회양상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후한'''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진국(陳國)으로 바뀌면서 9개 현, 112,653호, 1,547,572명을 거느렸다.[25]

역대 진왕(陳王)은 다음과 같다.

역대 진왕(陳王)
이름재위 기간
유현88년 ~ 97년 1월 11일 [4]
유균(劉鈞)97년 1월 ~ 117년 9월 13일 [5]
유송(劉竦)117년 9월 ~ 119년 10월 25일 [6]
유총(劉崇)120년 5월 28일 ~ 124년 4월 2일 [7]
유승(劉承)124년 4월 ~ ? [8]
유총? ~ 197년
조식232년


  • 진상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4. 1. 전한

고제 11년 3월, 고제가 이성제후왕인 양왕 팽월을 제거하면서 회양국을 설치하고 서자 유우에게 봉했다. 이후 회양국은 여러 차례 왕국과 군 사이를 오갔다. 선제원강 3년회양헌왕에게 봉토로 주었고, 이후 전한 멸망 때까지 왕국으로 존속했다.

연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만 5544호, 98만 1423명이 있었다. 원연 · 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2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진현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옛 나라로 순임금의 후예 호공의 봉국이며 초나라에 망했다. 초 경양왕이 영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고현苦縣저우커우시 루이 현
양가현陽夏縣저우커우시 타이캉 현
영평현寧平縣저우커우시 단청 현 동쪽
부구현扶溝縣저우커우시 푸거우 현 북동쪽과수(渦水)가 낭탕거(狼湯渠)에서 갈려나와 동쪽으로 향(向)현에서 회수로 들어가는데, 하남·회양·패 세 군을 지나 천리를 간다.
고시현固始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서쪽원래 이름은 침구(寢丘)로 손숙오의 봉지다.
어현圉縣카이펑시 치 현 남쪽
신평현新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동쪽
자현柘縣상추시 저청 현 북쪽


4. 1. 1. 회양수

고제 11년 3월, 고제가 이성제후왕인 양왕 팽월을 제거하면서 회양국을 새로 만들고 서자 유우에게 봉했다. 이때 회양군 외에도 영천군이 회양국의 봉토로 내려졌다고 하나 확실치 않다.[16][17] 혜제 원년, 고황후가 유우를 조국으로 옮기면서 왕국이 폐지돼 회양국의 군들은 모두 한나라의 직할 군이 됐다.[18][19] 여후 원년, 고황후가 회양회왕에게 회양국을 봉하면서 회양군은 다시 회양국이 됐고, 여후 8년 고황후가 죽고 여씨 정권이 몰락하면서 회양군이 됐다.[19] 문제 4년, 문제가 회양국으로 되돌려 유무를 왕으로 봉했고, 유무를 양국으로 옮기면서 도로 군이 됐다.[20] 한편 이 무렵 여남군이 회양군에서 분립했다.[21] 경제 전2년, 경제유여에게 봉토로 줘 왕국이 됐고, 전3년 유여를 노국으로 옮기면서 군이 됐다.[22] 원강 3년, 선제회양헌왕에게 봉토로 준 뒤로는 전한 멸망 때까지 왕국으로 존속했다.

4. 1. 2. 회양태수

4. 1. 3. 회양상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3월, 고제가 양왕 팽월을 제거하면서 회양국을 새로 만들고 서자 유우에게 봉했다. 이때 회양군 외에도 영천군이 회양국의 봉토로 내려졌는지 확실치 않다.[16][17]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고황후가 유우를 조국으로 옮기면서 왕국이 폐지돼 회양국의 군들은 모두 한나라의 직할 군이 됐다.[18][19]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 고황후가 회양회왕에게 회양국을 봉하면서 회양군은 다시 회양국이 됐고, 여후 8년(기원전 180년) 고황후가 죽고 여씨 정권이 몰락하면서 회양군이 됐다.[19] 문제 4년(기원전 176년), 문제가 회양국으로 되돌려 유무를 왕으로 봉했고, 유무를 양국으로 옮기면서 도로 군이 됐다.[20] 이 무렵 여남군이 회양군에서 분립했다.[21] 경제 전2년(기원전 154년), 경제가 유여에게 봉토로 줘 왕국이 됐고, 전3년(기원전 153년) 유여를 노국으로 옮기면서 군이 됐다.[22] 선제 원강 3년(기원전 69년), 선제가 회양헌왕에게 봉토로 준 뒤로는 전한 멸망 때까지 왕국으로 존속했다.

연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만 5544호, 98만 1423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 · 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진현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옛 나라로 순임금의 후예 호공의 봉국이며 초나라에 망했다. 초 경양왕이 영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고현苦縣저우커우시 루이 현
양가현陽夏縣저우커우시 타이캉 현
영평현寧平縣저우커우시 단청 현 동쪽
부구현扶溝縣저우커우시 푸거우 현 북동쪽과수(渦水)가 낭탕거(狼湯渠)에서 갈려나와 동쪽으로 향(向)현에서 회수로 들어가는데, 하남·회양·패 세 군을 지나 천리를 간다.
고시현固始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서쪽안사고에 따르면 원래 이름은 침구(寢丘)로 손숙오의 봉지다.
어현圉縣카이펑시 치 현 남쪽
신평현新平縣저우커우시 화이양 현 북동쪽
자현柘縣상추시 저청 현 북쪽

[23]

4. 2. 후한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진국(陳國)으로 바뀌면서 9개 현, 112,653호, 1,547,572명을 거느렸다.[25]

진나라의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

  • 유현(劉羨), 경왕(敬王) (88년 ~ 97년 1월 11일)[4]
  • 유균(劉鈞), 사왕(思王) (97년 1월 ~ 117년 9월 13일)[5]
  • 유송(劉竦), 회왕(懷王) (117년 9월 ~ 119년 10월 25일)[6]
  • 유총(劉崇), 경왕(頃王) (120년 5월 28일 ~ 124년 4월 2일)[7]
  • 유승(劉承), 효왕(孝王) (124년 4월 ~ ?)[8]
  • 유총(劉寵), 민왕(愍王) (? ~ 197년)
  • 조식(曹植), 사왕(思王) (232년)

4. 2. 1. 진상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진국(陳國)'''으로 바뀌었다. 진국은 9개 현, 112,653호, 1,547,572명을 거느렸다.[2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진현陳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
양하현陽夏縣저우커우 시 타이캉 현고릉취(固陵聚)가 현내에 있었다.
영평현寧平縣저우커우 시 단청 현 동쪽
고현苦縣저우커우 시 루이 현뇌향(賴鄕)이 현내에 있었다.
자현柘縣상추 시 저청 현 북쪽
신평현新平縣저우커우 시 화이양 현 북동쪽
부락현扶樂縣저우커우 시 타이캉 현 서쪽
무평현武平縣저우커우 시 루이 현 서북쪽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 시 시화 현 북동쪽여남군에 속했다. 진정(辰亭)과 자구성(赭丘城)이 현내에 있었다.


4. 3. 역대 진왕(陳王)

역대 진왕(陳王)
이름재위 기간
유현88년 ~ 97년 1월 11일 [4]
유균(劉鈞)97년 1월 ~ 117년 9월 13일 [5]
유송(劉竦)117년 9월 ~ 119년 10월 25일 [6]
유총(劉崇)120년 5월 28일 ~ 124년 4월 2일 [7]
유승(劉承)124년 4월 ~ ? [8]
유총? ~ 197년
조식232년


참조

[1] 서적 Book of Later Han
[2] 서적 Book of Wei
[3] 서적 Book of Sui
[4] 서적 Houhanshu null
[5] 서적 Houhanshu null
[6] 서적 Houhanshu null
[7]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null
[8] 문서 Liu Cheng likely died before 173, as his son Liu Chong was already Prince of Chen in 173.
[9] 서적 後漢書』孝和孝殤帝紀
[10] 서적 後漢書』郡国志二
[11] 서적 晋書』地理志上
[12] 서적 宋書』州郡志二
[13] 서적 魏書』地形志二中
[14] 서적 南斉書』州郡志上
[15] 저널 秦始皇三十六郡新考 https://web.archive.[...] 2016-02-05
[16] 서적 한서 권1 하 고제기제1 하
[17] 저널 漢初 郡國制와 지방통치책 2004
[18] 서적 한서 권38 고오왕전제8
[19] 서적 사기 권17 한흥이래제후연표제5
[20] 서적 한서 권47 문삼왕전제17
[21]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2] 서적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23] 서적 한서 권28 하 지리지제8 하
[24] 서적 한서 권99중 왕망전 中 소림주(蘇林注)
[25] 서적 속한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8]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