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마계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마계촌은 1991년 출시된 캡콤의 횡스크롤 액션 플랫폼 게임으로, 기사 아서가 공주를 구출하고 마계를 탈출하는 내용을 다룬다. 전작 마계촌과 유사한 게임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2단 점프의 추가와 갑옷 종류의 다양화 등의 변화가 있다. 슈퍼 패미컴, 게임보이 어드밴스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으며, 매우 높은 난이도로 유명하다. 게임 잡지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로도 제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유유백서
불량 학생 우라메시 유스케가 교통사고 후 영계 탐정으로 부활하여 쿠와바라, 쿠라마, 히에이 등 동료들과 함께 인간계를 위협하는 초자연적 존재들과 싸우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토가시 요시히로의 만화 유유백서는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은 소년 만화 대표작이다. - 마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마계 대모험 7인의 마법사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마계 대모험 7인의 마법사는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의 27번째 작품으로, 만약에 박스를 통해 마법 세계로 간 진구가 도라에몽과 친구들과 함께 대마왕에 맞서는 모험을 그린 이야기이다. - 공포 게임 - 프로토타입 (비디오 게임)
프로토타입은 래디컬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하고 액티비전에서 배급한 2009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변신 능력을 가진 주인공 알렉스 머서가 되어 블랙라이트 바이러스가 창궐한 맨해튼에서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찾고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공포 게임 - 로블록스
로블록스는 2006년 출시된 온라인 게임 플랫폼이자 게임 제작 시스템으로, 사용자들이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통해 직접 게임을 만들고 공유하며, 로벅스라는 가상 화폐를 사용하고 소셜 기능과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지만, 부적절한 콘텐츠, 아동 착취, 과도한 소비 유도 등의 논란도 있다. - 1991년 비디오 게임 - 파이널 판타지 IV
《파이널 판타지 IV》는 스퀘어에서 개발하고 1991년 발매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시간 전투를 구현하고 깊이 있는 스토리와 음악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어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RPG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91년 비디오 게임 - 성검전설 -파이널 판타지 외전-
성검전설 -파이널 판타지 외전-은 1991년 스퀘어에서 발매한 게임보이용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외전이자 마나 시리즈의 첫 작품이며, 암흑대마왕에 맞서는 주인공의 여정을 젤다의 전설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 있다.
초마계촌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일본어) | 超魔界村 (초 마카이무라, 슈퍼 마계촌) |
원어 제목 | Chou Makaimura |
영어 제목 | Super Ghouls 'n Ghosts (슈퍼 구울즈 앤 고스츠) |
시리즈 | Ghosts 'n Goblins (고스트 앤 고블린) |
장르 | 플랫폼 게임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개발 | |
개발사 | 캡콤 |
디자이너 | 다쓰야 미나미 기미오 야마조에 |
프로듀서 | 후지와라 도쿠로 |
아티스트 | 기미오 야마조에 |
프로그래머 | 마사쓰구 시노하라 요시히로 마쓰이 |
작곡가 | 마리 야마구치 |
출시 | |
슈퍼 패미컴 | 일본: 1991년 10월 4일 북미: 1991년 11월 28일 유럽: 1992년 12월 10일 |
게임보이 어드밴스 | 일본: 2002년 7월 19일 북미: 2002년 9월 23일 유럽: 2002년 9월 27일 |
플랫폼 | |
판매량 | |
판매량 합계 | 109만 본 |
등급 | |
CERO | CERO-A |
ESRB | ESRB-E |
PEGI | PEGI-7 |
기타 | |
미디어 | 8 메가비트 롬 카트리지 |
형식 | 일본: SHVC-CM 북미: SNS-CM-USA 유럽: SNSP-CM-NOE |
2. 게임 시스템
''초마계촌''은 횡스크롤 플랫폼 게임으로, 런앤건 방식보다는 플랫폼 액션에 더 중점을 둔 게임이다.[1][1] 플레이어는 기사 아서가 되어 공주를 구출하고 마계를 탈출해야 한다.
전작인 마계촌과 비교해 큰 변화는 없지만, 상하 공격이 불가능해지고 2단 점프가 가능해졌다.[1] 한번 점프를 하면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지만 2단 점프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입수할 수 있는 갑옷의 종류가 철, 청동, 황금 3종류로 늘어났다. 청동 갑옷을 얻었을 때는 무기의 위력이 증가, 황금 갑옷을 얻었을 때는 거기에다 마법도 쓸 수 있다. 또한 마법 발동 직후는 무적이다.
아서는 갑옷과 창으로 시작한다.[6] 적이나 투사체에 맞으면 갑옷을 잃고 속옷 차림이 되며, 다시 맞으면 목숨을 잃는다.[1]
지금까지 컨티뉴는 무한이었으나 이번 작품에서는 제한 횟수가 정해져 있어, 크레딧이 모두 없어지면 게임 오버가 된다. 하지만 아이템으로 나오는 돈주머니(주머니에 $라고 써있다.)를 일정 개수 이상 모으면 크레딧을 최대 9까지 늘릴 수 있다.
2. 1. 무기
무기는 보물상자나 랜덤하게 출현하는 항아리를 들고 있는 적을 죽이면 나온다. 단 공주의 팔찌는 보물상자에서만 나온다.[61]- '''창'''
초기장비. 랜스의 형태로 별 다른 특징이 없는 가장 표준적인 무기. 스피드는 느리고 수평직선으로 날아간다. 동시에 2발 발사가능.
:**'''불꽃의 창''' : 보다 강한 위력을 지닌 창을 던지지만 1발 밖에 쓸 수 없기 때문에 쓰기 어렵다.
::'''번개마법''' : 낙뢰를 머리위로 받아 좌우로 확산시킨다. 위와 좌우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 '''단검'''
공격판정도 작고 공격력도 낮지만, 스피드가 빠르다. 수평직선으로 날아가며 동시에 3발 발사가능.
:**'''빛의 단검''' : 레이저형태의 단검을 날린다. 속도와 위력이 향상되며 적을 관통한다. 연사가 쉽고 벽이나 지형도 뚫고 가기 때문에 보통단검보다 쓰기가 매우 쉬워진다.
::'''화룡마법''' : 불타는 용을 불러낸다. 구불거리듯이 출현한 후 아더의 후방으로 날아간다. 정통으로 맞았을 때의 위력도 상당하고 쓰기 편한 마법이다.
- '''활'''
대각선으로 두발의 화살을 쏜다. 위력은 약하고 정면의 적에게 맞추기 어려우나 적이 머리위에 있을 때가 많아서 쓰기 편한 무기이다.
:**'''유도화살''' : 유도성능을 지닌 3발의 총알을 쏜다. 편리하지만 연사가 안되고 총알이 화면에 무의미하게 돌아다니기 쉬워서 잘 쓰기 위해선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위에 있는 적이나 레드아리마에게 매우 유효하다.
::'''탐색마법''' : 화면내의 보물상자를 나오게 한다. 또한 화면내에 돌아다니는 유도화살을 없앤다. 공격판정은 없지만 무적시간이 모든 마법 중에서 가장 길다.
- '''횃불'''
푸른색 파이어볼을 포물선으로 던진다. 땅에 닿으면 불기둥이 일어나 적을 공격한다. 동시에 2발 발사가능.
:**'''불기둥의 횃불''' : 불기둥이 더 커지고 위력도 강해진다.
::'''실드마법''' : 일정시간 베리어를 친다. 적에게 대미지를 줄 수 있으며 일부 적의 총알을 상쇄시킨다.
- '''낫'''
수그려서 쏘면 지면을 따라간다. 1발 밖에 쏠 수 없다.
:**'''진공의 낫''' : 위력과 관통력이 증가. 이펙트는 2히트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1히트뿐.
::'''회오리마법''' : 두개의 회오리가 아더의 주위를 돌듯이 나타나 그 후 하늘로 날아간다. 매우 위력이 강하고 쓰기 쉽다.
- '''도끼'''
원을 그리며 날아간다. 원칙적으로 동시에 한발 밖에 쏠 수 없지만, 버튼을 마구 연타하면 2발을 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양단의 도끼''' : 한번 상승했다 원래 높이로 돌아온 다음, 전방으로 날아가는 궤도를 그린다. 대미지 판정이 커지지만 연사가 안되는 데다가 탄속도 느리고, 궤도도 특수해서 매우 쓰기 어렵다.
::'''라이트닝마법''' : 포물선형의 광선을 쏜다. 광선의 틈이 너무 커서 맞추기 어렵다.
- '''크로스소드'''
알파벳의 L자의 형태처럼 독특한 궤도를 그리며 날아간다. 그 때문에 정면에 있는 적에게 매우 맞추기 어렵지만, 본작에서는 위로 쏠 수 없기 때문에 바로 위에 있는 적에 대해서만 쓰기 쉽다. 실은 거의 모든 보스에게 강하며 잘만 쓰면 순식간에 죽일 수도 있다. 2연사 가능. 1회차의 5스테이지 이후에 등장.
:**'''광륜의 크로스소드''' : 위력이 강해지고 적을 관통하는 것 이외에는 큰 변화는 없다.
::'''대폭렬마법''' : 어더의 머리위에 소규모폭발을 일으킨다. 대미지 판정이 작아서 그다지 효과는 없다.
- '''공주의 팔찌'''
최종보스 전용무기. 모든 무기 중 사정거리가 가장 짧고 마법을 쓸 수 없다. 그대신 근거리 위력은 최강이고 황금갑옷 장착시 적의 총알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 청동,황금갑옷 장착시 사거리와 공격력이 상승한다. 2회차에서만 등장. GBA판 어레인지모드에서는 처음부터 입수가능.
2. 1. 1. 창
초기 장비로, 표준적인 성능을 가진다.2. 1. 2. 단검
빠른 속도와 연사력이 특징이다.2. 1. 3. 활
대각선으로 두 발의 화살을 발사한다.2. 1. 4. 횃불
횃불은 포물선으로 불 덩어리를 던지며, 땅에 닿으면 불기둥이 발생한다.2. 1. 5. 낫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낫.2. 1. 6. 도끼
원을 그리며 날아가는 도끼.2. 1. 7. 크로스 소드
크로스 소드는 십자가 형태를 가진 무기로, 독특한 궤도로 날아간다.2. 1. 8. 공주의 팔찌
공주의 팔찌는 초마계촌의 최종 보스인 사마귀와의 전투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무기이다. 사거리가 매우 짧지만, 근접해서 공격할 경우 매우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한다.2. 2. 아이템
초마계촌에는 다음과 같은 아이템이 등장한다.- 갑옷: 아서의 초기 장비인 철갑옷부터 청동갑옷, 황금갑옷 순으로 강화된다. 갑옷은 적과의 접촉(공격)에 의한 피탄으로부터 1번 보호해준다. 나체 상태에서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철갑옷을 다시 착용한다.
- * 철갑옷 : 아서의 초기 장비이다.
- * 청동갑옷 : 철갑옷 착용시에만 보물상자에서 등장한다. 입수하면 무기가 강화된다.
- * 황금갑옷 : 청동갑옷 착용시에만 보물상자에서 등장한다. 입수하면 각 무기의 마법을 쓸 수 있다. 황금 갑옷을 장비하면 달의 방패도 동시에 입수한다.
- 방패: 적탄을 막아주며, 마법 게이지 상승 속도를 높여준다. 보물상자에서 획득하는 방패는 청동 갑옷 이상에서 장비 가능하다.
- * 달의 방패 : 황금갑옷 초기 장착 시 자동 입수. 적탄을 한 번 막을 수 있으며, 마법 게이지 상승 속도가 약간 올라간다. 황금갑옷을 착용하고 있고 달의 방패가 부서졌을 때 보물상자에서 입수할 수 있다.
- * 태양의 방패 : 달의 방패를 장착하고 있을 때 보물상자에서 등장한다. 적탄을 3번 막을 수 있으며, 마법 게이지 상승 속도가 최고가 된다. 방패는 보스가 쏘는 위력이 강한 총알은 막아내지 못할 경우가 있으며 적에게 부딪쳐서 황금갑옷이 벗겨지면 방패도 없어진다.
- 보물상자: 정해진 장소에 출현하며 아이템(무기,갑옷,방패)·함정·마법사 중 하나가 나온다.
- * 함정: 용수철덫이 그 자리에 설치된다. 건드리면 대미지를 입는다.
- * 마법사: 보물상자에서 출현하며 아더를 변신시키는 마법을 쓰고 사라진다. 변신 중에는 공격이나 2단점프가 불가능해진다. 일정시간 지나면 풀리고, 무엇으로 변하는지는 아더의 갑옷에 따라 달라진다.
- 기타
- * 석상: 득점 아이템. 랜덤하게 출현한다. 항아리를 가진 적을 죽이면 나오고, 2종류가 있다.
- * 돈주머니: 득점 아이템. 스테이지에 놓여져있다. 일정개수 이상을 모으면 컨티뉴 크레딧이 늘어난다.(최대 9회까지).
- * 아서의 조각상: 1UP 아이템이다.
- * 열쇠: 최종 스테이지를 제외한 각 스테이지 보스를 쓰러뜨린 후에 나온다. 얻는 순간 스테이지 클리어가 된다.
3. 스테이지 구성
각 스테이지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뉜다.(일부 스테이지 제외)[62]
; 스테이지 1
: '''구원받지 못한 묘지''' / '''암흑의 밀림'''
: 전반은 묘지, 후반은 암흑의 밀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좀비와 해골이 대량으로 등장하며, 지면이 솟아오르거나 내려가는 지형이 특징이다. 에리어 1의 종반에는 큰 파도로 지형이 깎인다. 에리어 2는 부풀어 터지는 로즈버드의 밀집된 가시 덩굴 속을 통과한다.
: 보스는 코카트리스로, 거대한 괴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목을 늘리거나 입에서 알을 뱉어 공격하며, 머리가 약점이다. 알에서는 병아리인 미니 윙이 부화하며, 코카트리스를 쓰러뜨리면 알과 미니 윙도 동시에 쓰러진다. 아래를 지나가려고 하면 다리를 아래로 뻗어 통행을 방해하지만, 다리에 닿아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 스테이지 2
: '''유령선''' / '''광기의 바다'''
: 에리어 1에서는 낡아 빠진 유령선 위를, 잇따라 나타나는 고스트를 헤쳐나가면서 나아가, 배의 마지막 부분으로 향한다. 이동하면 바닷물이 상승하고, 이 바닷물에 들어가면 갑옷을 장착하고 있어도 일격으로 미스가 된다. 에리어 2에서는 뗏목을 타고 거친 파도를 이동하는 강제 스크롤 면이 된다. 뗏목에서 뗏목으로 뛰어넘는 장소가 몇 번 있다.
: BOSS - '''스톰체자리스'''
: 거대한 삿갓조개의 괴물. 토네이도로 부유하며, 파도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피하기 어려운 소라 미사일을 날려온다. 얼굴이 약점. 쓰러뜨리면 거친 파도가 가라앉는다.
; 스테이지 3
: '''용광로''' / '''용광의 탑'''
: 에리어 1에서는 동굴 내에 펼쳐지는 용광로를 아래로 향해 나아간다. 에리어 2에서는, 구름을 뚫을 정도로 높이 솟아 있는 탑을, 공중을 움직이는 발판을 경유하여 이동해 간다.
: BOSS - '''데스크롤러'''
: 거대한 애벌레 괴물. 아서의 주위를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화면 밖에서 탄을 날려온다. 머리가 약점.
; 스테이지 4
: '''마물의 배'''
: 활동을 멈춘 거대한 마물의 내부를 나아간다. 내부는 동굴과 같아 회전하여 변형하는 지형이나 자동으로 움직이는 발판 등의 지형 기믹, 체내에 들어간 많은 마물이 앞길을 막는다. 다른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2개 에리어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반은 일정 지점에 도달했을 때 회전하여 변형하는 지형을 나아가고, 후반은 자동으로 움직이는 리프트에 타서 나아가는 강제 스크롤 면. 후반에서는 보물 상자가 일절 출현하지 않는다.
: BOSS - '''히드라'''
: 심장부에 둥지를 튼 세 개의 머리를 가진 용. 화염탄을 뱉거나, 나가와 닮은 용인으로 분열하여 이동해 온다. 목이 약점. 용인으로 분열하고 있는 동안은 어떠한 무기도 통용되지 않는다.
; 스테이지 5
: '''영구 동토의 숲''' / '''설원 지대'''
: 얼음의 수빙을 올라가, 설원 지대로 통하는 길을 나아가 간다. 후반은 광대하게 펼쳐진 설원 지대가 되어, 일정 지점에 다다를 때마다 발생하는 큰 눈사태를 피하면서 나아간다.
: BOSS - '''베일알로켄'''
: 얼음의 갑옷을 입은 마인. 가까이 가면 하반신이 무너지고, 상반신만으로 부유하여 팔을 부메랑처럼 날리거나, 아서를 얼려 버리는 탄을 쏜다. 머리가 약점.
; 스테이지 6
: '''마제의 거성'''
: 마제의 성 입구. 레드아리마 2연전에 시작하여, 코카트리스도 모습을 바꿔 재등장한다. 에리어의 개념이 없고, 제한 시간 5분 이내에 보스를 격파하지 않으면 안 된다.
: BOSS - '''대마왕아스타로트'''
: 새로운 마계의 주에 의해 부활한 옛 마왕. 머리에서 아서를 향해 레이저를 쏘고, 복부의 입에서 불을 뿜는다. 스테이지 7에도 보스로서 다시 등장한다. 머리가 약점.
; 스테이지 7
: '''요마 회랑'''
: 마제의 방으로 통하는 회랑을 나아가 간다. 일부 보스 적이나 잡몹이 재등장한다. 스테이지 6과 마찬가지로, 에리어의 개념이 없는 데다가 2체의 보스와의 연전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시간과의 승부가 된다. 처음 클리어하면, 지금 상태로는 다음 스테이지에 있는 마제 사마엘을 쓰러뜨릴 수 없다는 것을 공주에게 알리고, 다시 마계로 돌아가 2주차가 된다. 그 후 2주차에서 여신의 팔찌를 소지하지 않은 채 다시 클리어하면, 공주에게 주의를 받고, 이번에는 성의 입구인 스테이지 6으로 돌아가게 된다. GBA의 어레인지 모드에서는, 처음부터 여신의 팔찌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1주차부터 최종 스테이지로 향할 수 있다. 동 모드에서 여신의 팔찌를 소지하지 않은 채 클리어하면, 아무런 설명도 듣지 못했는데 공주에게 주의를 받고, 성의 입구로 돌아가라는 말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테이지 7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 BOSS - '''초마왕네비로스'''
: 다시 등장한 아스타로트를 격파한 직후에 출현한다. 아스타로트보다 강하며, 복부의 입에서 굵고 길게 뻗은 불을 뿜고, 전신에서 거대한 레이저를 쏜다. 머리가 약점.
; 스테이지 8
: '''마제 사마엘의 방'''(최종 스테이지)
: 2주차에서 여신의 팔찌를 장비하고 있으면 나아갈 수 있는 마제의 방.
: BOSS - '''마제사마엘'''
: 루시퍼를 대신하여 등장한 새로운 마계의 주. 화면 밖까지 도달하는 거체를 지녔으며, 좌우로 이동하면서, 입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레이저를 흩뿌려 공격해 온다. 얼어붙은 마음을 가진 마물로, 숨겨진 힘을 가진 공주의 팔찌로, 게다가 머리가 아니면 데미지를 줄 수 없다, 점프로는 공격이 닿지 않고, 복부에서 발사되는 소서형 발판에 타지 않으면 데미지를 줄 수 없다.[63]
3. 1. 스테이지 1
전반은 묘지, 후반은 암흑의 밀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좀비와 해골이 대량으로 등장하며, 지면이 솟아오르거나 내려가는 지형이 특징이다. 에리어 1의 종반에는 큰 파도로 지형이 깎인다. 에리어 2는 부풀어 터지는 로즈버드의 밀집된 가시 덩굴 속을 통과한다.보스는 코카트리스로, 거대한 괴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목을 늘리거나 입에서 알을 뱉어 공격하며, 머리가 약점이다. 알에서는 병아리인 미니 윙이 부화하며, 코카트리스를 쓰러뜨리면 알과 미니 윙도 동시에 쓰러진다. 아래를 지나가려고 하면 다리를 아래로 뻗어 통행을 방해하지만, 다리에 닿아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3. 2. 스테이지 2
에리어 1에서는 낡아 빠진 유령선 위를, 잇따라 나타나는 고스트를 헤쳐나가면서 나아가, 배의 마지막 부분으로 향한다. 이동하면 바닷물이 상승하고, 이 바닷물에 들어가면 갑옷을 장착하고 있어도 일격으로 미스가 된다. 에리어 2에서는 뗏목을 타고 거친 파도를 이동하는 강제 스크롤 면이 된다. 뗏목에서 뗏목으로 뛰어넘는 장소가 몇 번 있다.BOSS - '''스톰체자리스'''
거대한 삿갓조개의 괴물. 토네이도로 부유하며, 파도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피하기 어려운 소라 미사일을 날려온다. 얼굴이 약점. 쓰러뜨리면 거친 파도가 가라앉는다.
3. 3. 스테이지 3
전반부는 동굴 내 용광로를 아래로 내려가고, 후반부는 구름을 뚫을 정도로 높이 솟아 있는 탑을, 공중을 움직이는 발판을 경유하여 이동해 간다.[62] 보스는 데스크롤러로, 거대한 애벌레 괴물이다. 아서의 주위를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화면 밖에서 탄을 날려 공격하며 머리가 약점이다.3. 4. 스테이지 4
스테이지 4는 활동을 멈춘 거대한 마물[62]의 내부를 탐험하는 "마물의 배"이다. 내부는 동굴과 같으며, 회전하며 변형하는 지형, 자동으로 움직이는 발판 등 다양한 지형 기믹과 체내에 들어온 마물들이 앞길을 막는다.이 스테이지는 다른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에리어로 나뉜다. 전반부는 일정 지점에 도달하면 회전하여 변형하는 지형을 나아가고, 후반부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리프트에 타서 진행하는 강제 스크롤 면이다. 후반부에서는 보물 상자가 전혀 출현하지 않는다.
BOSS - '''히드라'''
심장부에 둥지를 튼 세 개의 머리를 가진 용이다. 화염탄을 뱉거나, 나가와 닮은 용인으로 분열하여 이동해 온다. 목이 약점이며, 용인으로 분열하는 동안에는 어떠한 무기도 통하지 않는다.[62]
3. 5. 스테이지 5
얼음의 수빙을 올라가, 설원 지대로 통하는 길을 나아간다. 후반은 광대하게 펼쳐진 설원 지대가 되어, 일정 지점에 다다를 때마다 발생하는 큰 눈사태를 피하면서 나아간다.BOSS - '''베일알로켄'''
: 얼음의 갑옷을 입은 마인. 가까이 가면 하반신이 무너지고, 상반신만으로 부유하여 팔을 부메랑처럼 날리거나, 아서를 얼려 버리는 탄을 쏜다. 머리가 약점.
3. 6. 스테이지 6
'''마제의 거성'''은 마왕 아스타로트가 등장하는 성 입구이다. 레드아리마 2연전에 이어서, 코카트리스도 모습을 바꿔 재등장한다. 에리어의 개념이 없고, 제한 시간 5분 이내에 보스를 격파해야 한다.보스는 대마왕 아스타로트이다. 새로운 마계의 주에 의해 부활한 옛 마왕으로, 머리에서 아서를 향해 레이저를 쏘고, 복부의 입에서 불을 뿜는다. 머리가 약점이며, 스테이지 7에도 보스로서 다시 등장한다.
3. 7. 스테이지 7
요마 회랑은 마제의 성 내부로, 초마왕 네비로스가 보스로 등장한다. 이전 스테이지에서 등장했던 아스타로트가 먼저 등장하고, 아스타로트를 쓰러뜨린 후에 네비로스가 나타난다. 네비로스는 아스타로트보다 더욱 강력하며, 복부에서 뿜는 길고 굵은 불과 전신에서 발사하는 거대한 레이저로 공격한다. 머리가 약점이다.이 스테이지는 에리어 구분이 없으며, 두 보스와의 연속 전투가 기다리고 있어 시간 제약이 있다. 처음 클리어하면 공주로부터 마제 사마엘을 쓰러뜨릴 수 없다는 경고를 받고 다시 마계로 돌아가 2주차를 시작하게 된다. 2주차에서 여신의 팔찌를 소지하지 않은 채 클리어하면 다시 공주에게 주의를 받고 스테이지 6으로 돌아가게 된다. GBA 어레인지 모드에서는 1주차부터 여신의 팔찌를 얻어 최종 스테이지로 갈 수 있지만, 팔찌 없이 클리어하면 스테이지 7부터 다시 시작한다.
3. 8. 스테이지 8
마제 사마엘의 방은 최종 스테이지로, 여기서 최종 보스인 사마엘과의 결전이 벌어진다.[63] 사마엘은 루시퍼를 대신하여 등장한 새로운 마계의 주인으로, 화면 밖까지 도달하는 거체를 지니고 있다.[63] 좌우로 이동하면서 입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레이저를 흩뿌려 공격한다.[63]사마엘은 얼어붙은 마음을 가진 마물로, 숨겨진 힘을 가진 공주의 팔찌로 공격해야 하며, 머리만이 약점이다.[63] 점프로는 공격이 닿지 않기 때문에 복부에서 발사되는 소서형 발판을 타고 올라가야만 데미지를 줄 수 있다.[63]
4. 등장 캐릭터
- '''좀비'''
: 마계의 기운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한 인간 해골이다. 스테이지 1과 GBA 어레인지 모드의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4에 등장한다. 인육을 찾아 흙 속에서 기어 나오거나, 흙 속에서 솟아오른 관에서 출현하여 아서 쪽으로 일직선으로 달려든다. 관 속에 있을 때는 피해를 줄 수 없다. 돌기둥을 통과하여 이동하지만, 벽에 닿으면 그대로 땅속으로 잠수해 사라진다. 이동 속도가 느린 것과 빠른 것 2종류가 있으며, 관은 지상에 나오자마자 나오는 것과 공중에 잠시 떠 있다가 좀비가 나오는 것이 있다.
- '''워독, 매드독'''
: 들개가 마계의 독기에 의해 흉폭해진 것이다. 워독은 스테이지 1과 GBA 어레인지 모드의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4에, 매드독은 스테이지 5에 등장한다. 워독은 점프만 한다. 매드독은 점프한 후, 아서를 향해 돌진해 온다.
- '''스컬 플라워, 스컬 플라워 멀티'''
: 해골 머리에 불꽃 같은 몸체를 가진 몬스터이다. 스컬 플라워는 스테이지 1에 등장하는 붉은색 불꽃, 스컬 플라워 멀티는 스테이지 4에 등장하는 녹색 불꽃이다. 땅에 굴러다니는 해골을 가장하고, 다가가면 몸체를 늘려 불꽃 덩어리를 쏜다. 머리가 약점이지만, 불꽃에 휩싸이지 않은 해골 상태에서는 피해를 줄 수 없다. 스컬 플라워 멀티는 내구력이 높아진 데다가, 벽이나 천장에서도 뻗어 나온다.
- '''셰르'''
: 높은 파도가 온 후에 출현하는 이매패의 괴물이다. 스테이지 1에서만 등장한다. 껍질을 닫고 있을 때는 피해를 줄 수 없다. 아서가 다가가면 점프하고, 눈알 같은 탄을 뱉어낸다.
- '''로즈 버드'''
: 사마귀 같은 싹의 상태로 군생하는 기분 나쁜 식물이다. 스테이지 1과 GBA 어레인지 모드 한정 스테이지 3에 등장한다. 부풀어 커지고, 잘게 팽창을 반복한 후에 파열한다. 크고 작은 2종류가 있으며, 큰 쪽은 파열 시 파편을 8방향으로 흩뿌린다. 쓰러뜨리거나 파열해도 같은 장소에 다시 출현한다.
- '''고스트'''
: 유령이다. 스테이지 2와 스테이지 7에 등장한다. 평소에는 영혼으로 방황하고 있지만, 아서가 다가가면 실체화하여 덮쳐온다. 실체화했을 때만 쓰러뜨릴 수 있다. 스테이지 7에서 골에 아서가 다가가면 소멸한다.
- '''미믹'''
: 보물상자로 변신해 있는 몬스터이다. 스테이지 2와 스테이지 7에 등장하지만, 내부에 있는 분신(영혼)의 색이 다르다. 다가가면 덜컹거리고 흔들리며, 크게 점프하여 상자를 열어 아서를 향해 영혼을 날려 보낸다. 뚜껑이 열리고 영혼이 얼굴을 내밀고 있을 때만 피해를 줄 수 있다.
- '''플라잉 킬러'''
: 날치의 괴물이다. 스테이지 2에서만 등장한다. 아서가 다가가면 수중에서 상공으로 솟아올라, 목표를 향해 직선으로 날아온다.
- '''한니발'''
: 말미잘의 괴물이다. 스테이지 2에서만 등장한다. 장애물인 흡혈 산호에 붙어 있으며, 탄을 쏜다. 아서가 스쳐 지나가면 방향을 바꿔 탄을 쏜다.
- '''세이렌'''
: 반어인과 같은 모습을 한 마계 해저군의 전사이다. 스테이지 2에서만 등장한다. 파도의 상하와 함께 화면 뒤의 파도 속에 모습을 드러낸 후, 수중에서 상승하여 모습을 드러내고, 해면에 솟아오른 후 3방향의 구체를 뱉어 공격한다.
- '''바위 거북'''
: GBA 어레인지 모드의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2에서만 등장한다. 얼굴 같은 무늬가 있는 등딱지를 두른 거북이 같은 적이다. 아서가 다가가면 등딱지에서 손발을 내밀어 덤벼들거나, 뛰어다니며 이동하거나, 2마리가 겹쳐서 이동하는 것이 있다. 등딱지에 들어가 손발이 나오지 않을 때는 피해를 줄 수 없고, 뛰어다니며 이동하는 것은 쓰러뜨릴 수 없다.
- '''귀뚜라미'''
: GBA 어레인지 모드의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2에서만 등장한다. 흐르는 모래 위에 있는 다리 위를 비행하는 잠자리 같은 적이다. 작게 사행하면서 옆으로 이동한다.
- '''파이어 킬러'''
: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다가오는 붉은 소형 악마이다. 스테이지 3・GBA 어레인지 모드의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2・동 모드 동 난이도의 스테이지 5에 출현한다. 공격 수단은 부딪히는 것뿐이다. 다른 적과 달리 방패로 막아 쓰러뜨릴 수도 있다. GBA 어레인지 모드 한정 스테이지 2에서는, 골에 아서가 다가가면 부상해 간다.
- '''그리리안'''
: 불꽃 같은 몸체를 가진 곰과 비슷한 대형 마물이다. 스테이지 3에서만 등장한다. 아서가 있는 곳을 향해 길게 뻗는 불꽃을 뿜는다. 특정 마법에 내성이 있어, 창, 칼, 도끼의 마법으로는 피해가 적어진다.
- '''레드 아리마 에이스'''
: 레드 아리마족의 엘리트 전사이다. 용모는 1편과 똑같지만, 전작의 레드 아리마 킹보다 계급이 높다. 스테이지 3・스테이지 5・스테이지 6・스테이지 7, GBA 어레인지 모드 "조금 어려움" 난이도의 스테이지 3・스테이지 4와 폭넓게 출현한다. 지금까지의 작품처럼, 다양한 움직임과 공격으로 아서를 괴롭히고, 내버려둬도 쫓아온다. 스테이지 6에서는 골에 다가가면 부상하여 떠나간다. GBA 어레인지 모드 "조금 어려움" 난이도 스테이지 2의 보스인 레드 아리마 조커가 소환하기도 한다.
- '''블루 킬러'''
: 파이어 킬러의 아종으로, 1편부터 재등장한 푸른 소형 악마이다. GBA 어레인지 모드의 스테이지 3 "조금 어려움" 난이도・스테이지 4・스테이지 7에 출현한다. 레드 아리마 에이스가 소환하여 보낼 때도 있다.
- '''박쥐'''
: 공중의 모든 방향에서 나타나, 일직선으로 날아오는 육식 박쥐이다. 스테이지 3・GBA 어레인지 모드 한정 스테이지 4・GBA 어레인지 모드의 스테이지 5 "조금 어려움" 난이도에 출현한다.
- '''가고일의 상'''
: 스테이지 3 후반의 탑에 장식된 악마의 석상이다. 단순한 장애물이며, 닿으면 피해는 받지만 공격은 해오지 않는다. 공격으로 부술 수 있다.
- '''쁘띠 고블린'''
: 아서의 머리 위에서 뛰어내려 출현하여, 돌격해 오는 작은 고블린이다. 스테이지 3의 후반에서만 등장한다.
- '''이글러'''
: 스테이지 4의 본체인 마물에게 먹혀 중도에 소화된, 죽다 만 악마이다. 도끼를 들고, 상하 또는 좌우 사행하면서 부유한다. 쓰러뜨려도 출현 지점에서 다시 출현한다.
- '''소멸 세포'''
: 스테이지 4의 본체 마물의 세포 조각이다. 후반 에리어 이동 중에 갑작스럽게 부풀어 오르면서 출현한다. 로즈 버드의 색깔 다른 버전으로 특징도 같다.
- '''플라 와라와스'''
: 스테이지 5인 영구 동토의 숲에 서식하는 꽃 몬스터이다. 특징은 스컬 플라워와 거의 같다.
- '''우'''
: 그리리안의 아종으로, 스테이지 5인 영구 동토의 숲에 사는 얼음 괴물이다. 냉기를 뿜는다. 그리리안과 마찬가지로 창, 칼, 도끼의 마법에 내성이 있다.
- '''아이싱'''
: 아서가 다가가면 급격히 뻗어 나오는 고드름 모양의 촉수이다. 스테이지 5에서만 등장한다. 한 화면에 등장하는 것은 3개까지이다.
- '''플라잉 나이트'''
: 기묘한 소리를 내면서 방패로 방어하면서 크게 사행하며 날아오는 기사의 망령이다. GBA 어레인지 모드의 스테이지 4 "조금 어려움" 난이도・GBA 어레인지 모드 한정 스테이지 5・스테이지 5에 출현한다. 뒤에서부터의 공격으로만 쓰러뜨릴 수 있다.
- '''우디'''
: GBA 어레인지 모드의 스테이지 5 "조금 어려움" 난이도에서만 등장한다. 지팡이를 소지하고 마도사 같은 로브를 두른 듯한 적이다. 석화되어 있지만, 아서가 위에 타면 움직이기 시작하여, 지면에 평행으로 이동하면서 왕복하고, 되돌아갈 때 높이가 바뀐다. 타도 움직이지 않는 것도 있다. 골에 아서가 다가가면 갑자기 되돌아간다.
- '''매지션'''
: 보물상자에서 출현하는 광대의 모습을 한 마물이다. 출현과 동시에 아서의 모습을 바꾸는 마법을 발사하고, 사라진다. 망토를 열었을 때만 쓰러뜨릴 수 있다. 1편이나 전작과 마찬가지로, 마계의 주민이 아닌 수수께끼의 존재이다.
: 아서가 헐벗었을 때는 아기, 강철의 갑옷일 때는 바다코끼리, 청동의 갑옷일 때는 벌, 황금의 갑옷일 때는 여자아이로 변화한다. 변신 중에는 공격이나 2단 점프를 할 수 없게 되고(강철의 갑옷일 때만 수직 점프가 가능),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해제된다.
- '''베리얼'''
: 스테이지 1 후반에 등장하는 마계에 떠도는 영혼을 운반하는 수레이다. 뼈로 만들어져 있다. 자율 주행은 할 수 없으며, 다가가면 지형이 변화하여 경사면을 따라 그대로 바다를 향해 미끄러져 내려온다.
- '''기요틴'''
: 스테이지 2 유령선의 돛대에 매달린 낫 모양의 칼날이다. 항상 진자처럼 자율적으로 왕복하고 있다. GBA 어레인지 모드의 "어려움" 난이도에서는 왕복 속도와 출현 수가 증가한다.
- '''개미지옥'''
: GBA 어레인지 모드의 스테이지 2 "조금 어려움" 난이도에서만 등장한다. 좌우로 경사진 유사의 바닥에서 기다리고 있으며, 아서가 유사에 들어가면 다가온다. 공격해도 피해를 줄 수 없으며, 쓰러뜨릴 수 없다.
- '''트랩'''
: 보물 상자에서 출현하는 덫이다. 닿으면 피해를 입는다.
5. 이식 및 평가
《초마계촌》은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으며, 게임 잡지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슈퍼 패미컴 버전의 ''초마계촌''의 포팅은 아케이드 게임 버전의 ''마계촌''과 ''대마계촌''과 함께 플레이스테이션용 비디오 게임 컴필레이션 ''캡콤 제너레이션: 아서 연대기''에 수록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캡콤 제너레이션 2''라는 이름으로 세가 새턴으로도 발매되었다. 이 버전은 또한 플레이스테이션 2와 Xbox용 ''캡콤 클래식 컬렉션''과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용 ''캡콤 클래식 컬렉션: 리로디드''에도 포함되었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버전은 북미와 유럽에서는 ''슈퍼 귀인 앤 고스트''로, 일본에서는 ''초마계촌 R''로 출시되었으며, 플레이어가 구리 갑옷을 유지하는 데 성공하면 ''마계촌''과 ''대마계촌''을 기반으로 재설계된 레벨과 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어레인지 모드" 또는 금색 갑옷을 유지하면 표준 레벨의 더 높은 난이도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 모드와 달리 어레인지 모드에서는 첫 번째 플레이부터 여신의 팔찌를 사용할 수 있다.
슈퍼 패미컴 버전은 2007년 3월 5일 Wii의 버추얼 콘솔로, 2013년 5월 16일 Wii U로, 2016년 6월 23일 New 닌텐도 3DS로 출시되었다. GBA 버전은 2015년 10월 22일 Wii U로도 출시되었다.
닌텐도는 2017년 9월 슈퍼 패미컴 클래식 에디션을 위해 미국과 유럽에서 ''초마계촌''을 재출시했다.
''초마계촌''은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의 일부로 포함된 클래식 게임 중 하나로도 제공되었다.
''Electronic Gaming Monthly''와 독일의 ''Video Games'' 잡지의 평론가들은 이 게임을 ''Ghosts 'n Goblin'' 시리즈 최고의 작품이라고 칭찬했다.[1][1]
이전의 ''Ghosts 'n Goblins'' 게임과 마찬가지로, ''초마계촌''은 매우 높은 난이도로 논의되었으며, ''Nintendo Life''의 데미안 맥퍼런은 이를 "가장 가혹한 16비트 게이밍"이라고 선언했다.[1]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이 도전이 결코 불공정하지 않다고 평했다.[1][1][1] 사소한 비판은 쏘는 유연성의 부족, 특히 플레이어가 위나 아래로 쏠 수 없다는 점에 집중되었다.[1]
''Eurogamer''의 댄 화이트헤드는 이 도전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소수였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즐거웠을 플랫포머를 잔인한 좌절감의 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지나치게 값싼 속임수와 명백히 불공정한 게임 메커니즘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평했는데, 그 이유는 점프 중에 방향을 바꿀 수 없다는 점, 아서가 피할 수 없는 특정 물체를 적들이 쏘고 지나갈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적에게 유리함이 있기 때문이다.[1] ''Nintendo World Report''의 닐 로나간과 ''USgamer''의 나디아 옥스포드는 플레이어가 1레벨부터 완벽해야 한다고 적었다.[1][1] 옥스포드에 따르면, 적 패턴, 파워업 위치, 플랫폼 움직임, 각 적을 죽이기 위한 최고의 파워업 무기와 같이 "각 레벨의 모든 픽셀"을 암기해야 했다.[1] 옥스포드와 ''Nintendo World Report'', ''Super Play''의 평론가들은 난이도가 너무 높아 평균 실력의 플레이어조차도 즐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1][1][1] ''Super Play''는 파워업 갑옷 없이는 단일 섹션조차도 깨기가 어려웠으며, 이를 잃기가 얼마나 쉬운지에 의해 악화되었다고 주장했다.[1] 이 잡지와 나디아는 또한 비밀번호나 콘솔의 저장 배터리와 같은 저장 기능의 부재를 비난하며, 이는 게임을 한 번에 깨야 함을 의미했다.[1][1]
''초마계촌''은 재플레이 가치로 칭찬을 받았다. ''ACE'' 잡지의 데이비드 업처치는 이 게임이 "어렵지만 거의 좌절스럽지 않으며, 깨질 때까지 계속해서 다시 돌아오게 할 것"이라고 적었다.[1] 업처치는 컨트롤을 "훌륭하다"고 칭찬하며, SNES 조이패드가 점프와 쏘기를 가능하게 할 정도로 잘 설계되었다고 적었다.[1] ''Super Pro''는 "흥미진진한" 그래픽과 사운드, 레벨 디자인의 "다양성과 상상력" 때문에 다른 아케이드 포트보다 더 깊이 있고 재플레이할 수 있다고 느꼈다.[1] 맥퍼런은 이렇게 적었다. "환상적인 레벨 디자인, 창의적인 적, 그리고 매력적인 게임플레이는 그 시간의 상당 부분 동안 벽에 머리를 부딪히는 듯한 느낌을 받을지라도 몇 시간 동안 당신을 붙잡아둔다."[1]
그래픽, 사운드 및 레벨 디자인은 칭찬을 받았으며, 특히 이 게임을 16비트 콘솔의 능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라고 부르는 회고적인 리뷰에서 더욱 그랬다.[1][1][45] ''Video Games''에서 줄리안 에게브레흐트는 그래픽을 가정용 콘솔에서 본 것 중 최고라고 생각했다.[1] ''GameSpot''의 제임스 미엘케는 이 게임의 색상 팔레트가 시대를 앞섰다고 생각했다.[46] ''Super Gamer''는 "수많은 파워업, 끔찍하게 상상력이 풍부한 몬스터, 아름답게 그려진 난파선을 포함한 환상적인 배경이 있다"고 주장했다.[47] ''Mean Machines''의 작가 리치는 그래픽을 "탁월하다"고 부르며, 이 게임이 SNES로의 캡콤의 다른 아케이드 포트인 ''U.N. Squadron''을 배경 측면에서 능가한다고 말했다.[1] 그와 업처치는 얼음 레벨, 특히 시차 스크롤, 눈의 층, 그리고 타워 섹션을 강조했다.[1][1] ''Nintendo Life''의 스태프는 "탁월한 스프라이트 작업"과 "배경의 많은 깔끔한 작은 터치"를 언급하는 것 외에도 Mode 7 효과, 예를 들어 적 스프라이트의 확대 및 회전하는 플랫폼에 집중했다.[1]
''Video Games''의 마틴 각슈는 이 게임을 "현대적인 액션 엔터테인먼트와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혼합"이라고 묘사했다.[1] 업처치는 게임 플레이의 다양성을 언급했다. "아서가 거대한 석조 모놀리스에서 쏟아지는 해골을 피하는 순간, 그는 거대한 파도를 피하기 위해 석조 기둥 위에 기어오르고, 다음에는 불의 맹렬한 트롤리를 피하는데, 이것이 모두 첫 번째 레벨에서 일어나는 일이다!"[1] 반면에, 팀 분은 모습과 사운드에 감탄했지만, 오리지널 ''Ghost 'n Goblins'' 이후 비슷한 타이틀이 많이 출시되어 이미 지겨워진 또 다른 횡스크롤 플랫포머라고 생각했다.[1]
자주 언급되는 비판은 화면에 여러 스프라이트가 나타날 때 발생하는 속도 저하였다. 업처치와 맥퍼런은 더 어려운 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1][1] 반면에 ''Super Play''는 전반적으로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했고,[1] ''IGN''의 크레이그 해리스는 게임 속도가 느려지면 아서를 제어하기 더 어렵다고 생각했다.[1]
2017년 6월 30일 기준으로, 1991년 10월 출시 이후 SNES 버전은 109만 개가 판매되어 캡콤 역대 75번째 베스트셀러 게임이 되었다.[48] 이후, ''Official Nintendo Magazine''은 이 게임을 역대 76번째 최고의 닌텐도 게임으로 선정했으며,[49] ''Nintendo Power''는 231번째, ''Electronic Gaming Monthly''는 역대 22번째 최고의 콘솔 비디오 게임으로 선정했다.[50][51] 게임보이 어드밴스 버전은 ''GameSpot''의 2002년 "최고의 16비트 클래식 포트" 상 후보에 올랐다.[52] ''GamesRadar''는 이 게임을 "역대 최고의 SNES 게임"에서 25위로 선정했다.[53] 2018년, ''Complex''는 이 게임을 "역대 최고의 슈퍼 닌텐도 게임"에서 22위로 선정했으며, ''초마계촌''이 "아마도 SNES 라이브러리에서 가장 어려운 게임"이라고 평했다.[54] 1995년, ''Total!''은 이 게임을 Top 100 SNES 게임 중 26위로 선정했다. 그들은 게임의 그래픽을 "최고 수준"으로 칭찬했으며, 게임의 고전적인 아케이드 게임 플레이에 찬사를 보내며 결론을 내렸다. "끊임없이 도전적이지만 훌륭하게 친근한 학습 곡선을 가지고 있다."[55] IGN은 이 게임을 Top 100 SNES 게임에서 51위로 선정했다.[56]
No. | 제목 | 발매일 | 대응 기종 | 개발원 | 발매원 | 미디어 | 형식 | 판매량 | 비고 |
---|---|---|---|---|---|---|---|---|---|
1 | 초마계촌 | 슈퍼 패미컴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플래시롬 카세트 (닌텐도 파워) | - | - | ||
2 | 플레이스테이션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CD-ROM | - | ||||
3 | 캡콤 제너레이션 제2집 〜마계와 기사〜 | 세가 새턴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CD-ROM | T-1233G | - | ||
4 | 게임보이 어드밴스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롬 카세트 | - | ||||
5 | 캡콤 레트로 게임 컬렉션 vol.2 | 플레이스테이션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CD-ROM | SLPM-87360 | - | ||
6 | 캡콤 클래식스 컬렉션 | 플레이스테이션 2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DVD-ROM | - | |||
7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UMD | - | ||||
8 | Wii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 - | ||||
9 | 초마계촌 | [64] | i앱리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 - | - | |
10 | 초마계촌 | [65] | EZ앱리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 - | - | |
11 | Wii U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 - | ||||
12 | 초마계촌R | Wii U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 - | - | 게임보이 어드밴스판의 이식 | |
13 | New 닌텐도 3DS | 캡콤(Capcom) | 캡콤(Capcom) | 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 - | - | |||
14 | 닌텐도 클래식 미니 슈퍼 패미컴 | - | 닌텐도 | 닌텐도 | 내장 소프트 | - | - | ||
15 | 슈퍼 패미컴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 닌텐도 스위치 | 닌텐도 | 닌텐도 | 다운로드 | - | - |
;플레이스테이션판
- ''마계촌''、''대마계촌''과 함께 수록.
- 2005년 3월 30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판 CD-ROM과 공략 책자가 세트로 된 『캡콤 레트로 게임 컬렉션 vol.2』가 발매되었다.
- 화면상의 캐릭터가 많을 경우 발생하는 처리 지연이나, 키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 발생하는 엔딩 중의 버그도 수정되었다.
;게임보이 어드밴스판
- 슈퍼 패미컴판의 이식 외에, 스테이지 추가 등을 실시한 「어레인지 모드」를 수록. 추가 스테이지의 보스 캐릭터로 레드 아리마・조커(뒷면 2면), 드래곤(뒷면 3면), 유니콘(뒷면 4면), 바르바로(뒷면 5면)가 등장한다. 또한 추가 스테이지의 잡몹 캐릭터로 바위거북(뒷면 2면), 개미지옥(뒷면 2면), 귀멸(뒷면 2면), 우디(뒷면 4면)가 등장한다. 2015년 1월 14일부터 Wii U의 버추얼 콘솔로 배포 시작.
;플레이스테이션 2、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판
- 『캡콤 제너레이션』수록 작품+α를 묶은 것. 2006년 3월 2일에 플레이스테이션 2판이, 같은 해 9월 7일에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판이 발매되었다. 둘 다 후에 염가판이 발매되었다.
{{컴퓨터 게임 리뷰
|title =
|1UP = 92/100점 (SFC)[66]
|EuroG = 6/10점 (Wii)[67]
|Fam = 27/40점 (SFC)[70]
29/40점 (GBA)[72]
|GamePro = 3.5/5점 (GBA)[68]
|GSpot = 7.4/10점 (GBA)[68]
|IGN = 8.5/10점 (GBA)[68]
|NLife = (Wii)[67]
|rev1 =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
|rev1Score = 23.69/30점 (SFC)[57]
(종합 24위)
|rev2 = Mean Machines
|rev2Score = 94/100점 (SFC)[66]
|rev3 = Total!
|rev3Score = 87/100점 (SFC)[66]
|rev4 = Aktueller Software Markt
|rev4Score = 10/12점 (SFC)[66]
|award1Pub = 슈퍼 패미콤 매거진
|award1 = 게임 통신부문별 베스트 30
종합 24위[71]
음악・효과음 11위[71]
열중도 21위[71]
}}
; 슈퍼 패미컴판
- 게임 잡지 『패미컴 통신』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7・7・7・6의 합계 27점(만점 40점)으로[69][70], 리뷰어로부터는 "『마계촌』시리즈는 어렵기로 유명한데, 이번에는 거기에 더 어려워졌다" 등과 같이 평가받고 있다[69]。
- 게임 잡지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의 독자 투표에 의한 "게임 통신부"에서의 평가는 다음과 같으며, 23.69점(만점 30점)이다[57]。 이 점수는 슈퍼 패미컴 전체 소프트 중에서 24위(323개 중, 1993년 시점)이다[57]。 또한, 같은 잡지 1993년 8월 정보호 특별 부록의 "슈퍼 패미컴 올 카탈로그'93"에서는, "주인공이 팬티 한 장이 되거나 아기가 되는 몬스터의 공격도 여러 가지라서, 꽤 즐겁다"라고 소개하고 있다[57]。 그 외, 『SUPER FAMICOM Magazine』 1993년 8월 정보호 특별 부록의 "슈퍼 패미컴 올 카탈로그'93" 권말에 수록되어 있는 "부문별 베스트 30"에서는, 종합 24위, 음악・효과음 11위, 열중도 21위를 획득하고 있다[71]。
항목 | 캐릭터 | 음악 | 조작성 | 열중도 | 가성비 | 독창성 | 종합 |
---|---|---|---|---|---|---|---|
득점 | 4.08 | 4.21 | 3.77 | 4.22 | 3.66 | 3.76 | 23.69 |
; 게임보이 어드밴스판
5. 1. 이식 기종
《초마계촌》은 슈퍼 패미컴 원작을 기반으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1998년 9월 23일, 플레이스테이션과 세가 새턴으로 《캡콤 제너레이션 제2집 ~마계와 기사~》에 《마계촌》, 《대마계촌》과 함께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플레이스테이션판은 2005년 3월 30일에 공략 책자와 함께 세트로 묶인 《캡콤 레트로 게임 컬렉션 vol.2》로도 발매되었다. 화면상의 캐릭터가 많을 경우 발생하는 처리 지연이나 키 설정 변경 시 발생하는 엔딩 버그가 수정되었다.
2002년 7월 19일에는 게임보이 어드밴스용으로 《초마계촌 R》이 발매되었다. 스테이지 추가 등의 변경 사항이 있는 "어레인지 모드"가 수록되었으며, 추가 스테이지에는 레드 아리마・조커, 드래곤, 유니콘, 바르바로 등의 보스 캐릭터와 바위거북, 개미지옥, 귀멸, 우디 등의 잡몹 캐릭터가 등장한다. 2015년 1월 14일부터 Wii U 버추얼 콘솔로도 배포되었다.
2006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2용 《캡콤 클래식 컬렉션》과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용 《캡콤 클래식 컬렉션: 리로디드》에 수록되었다.
Wii 버추얼 콘솔로는 2007년 2월 20일에 슈퍼 패미컴 버전이 출시되었다. Wii U로는 2013년 5월 16일에 슈퍼 패미컴 버전, 2015년 10월 22일에는 GBA 버전이 출시되었다. New 닌텐도 3DS로는 2016년 6월 23일에 슈퍼 패미컴 버전이 출시되었다.
2017년 9월에는 슈퍼 패미컴 클래식 에디션에 포함되어 재출시되었고, 2019년 9월 6일에는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의 클래식 게임 중 하나로 제공되었다.
5. 2.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추가)
1990년대 초, 대한민국에서 초마계촌은 오락실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마계촌'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69][70][57] 당시 열악했던 국내 콘솔 게임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슈퍼 패미컴을 보유한 일부 게이머들 사이에서 초마계촌은 뛰어난 게임성과 높은 난이도로 입소문을 타며 명작으로 인정받았다.[69][70][57] 특히, 당시 PC 통신 하이텔의 게임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초마계촌의 공략 정보가 활발하게 공유되기도 했다.[71]게임 잡지 『패미컴 통신』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7・7・7・6의 합계 27점(만점 40점)을 받았다.[69][70] 리뷰어들은 "『마계촌』시리즈는 어렵기로 유명한데, 이번에는 거기에 더 어려워졌다"고 평가했다.[69]
게임 잡지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의 독자 투표에 의한 "게임 통신부"에서는 23.69점(만점 30점)을 받았다.[57] 이 점수는 슈퍼 패미컴 전체 소프트 중에서 24위(323개 중, 1993년 시점)에 해당한다.[57] 또한, 같은 잡지 1993년 8월 정보호 특별 부록의 "슈퍼 패미컴 올 카탈로그'93"에서는, "주인공이 팬티 한 장이 되거나 아기가 되는 몬스터의 공격도 여러 가지라서, 꽤 즐겁다"라고 소개되었다.[57] 그 외, 『SUPER FAMICOM Magazine』 1993년 8월 정보호 특별 부록의 "슈퍼 패미컴 올 카탈로그'93" 권말에 수록되어 있는 "부문별 베스트 30"에서는, 종합 24위, 음악・효과음 11위, 열중도 21위를 획득했다.[71]
항목 | 캐릭터 | 음악 | 조작성 | 열중도 | 가성비 | 독창성 | 종합 |
---|---|---|---|---|---|---|---|
득점 | 4.08 | 4.21 | 3.77 | 4.22 | 3.66 | 3.76 | 23.69 |
참조
[1]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2]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3]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4]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5]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2012-03
[6]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7]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1
[8]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0
[9]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1
[10]
서적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nintendo[...]
Capcom USA
2021-08-31
[11]
게임
Super Ghouls 'n Ghosts
Capcom
1991-11
[12]
웹사이트
Feature: The Haunting History Of Capcom's Ghosts 'n Goblins Series
https://www.nintendo[...]
2020-12-20
[13]
웹사이트
The president and future of Platinum Games
https://www.polygon.[...]
2013-04-16
[14]
웹사이트
Iwata Asks : WiiU : PlatinumGames : Into the Trash
https://iwataasks.ni[...]
[15]
웹사이트
Super NES Classic Edition
Nintendo of America, Inc.
2017-09-29
[16]
웹사이트
Super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 Nintendo Switch Online for Nintendo Switch - Nintendo Official Site
https://www.nintendo[...]
2022-08-18
[17]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score
https://www.gamerank[...]
[18]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1991-12
[19]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 Review
http://www.allgame.c[...]
[20]
간행물
Hartes Ritterleben
https://www.kultboy.[...]
1992-01
[21]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1991-12
[22]
간행물
Super Ghouls & Ghosts
https://archive.org/[...]
1991-11
[23]
웹사이트
Virtual Console Roundup • Page 4
https://www.eurogame[...]
2007-05-25
[24]
간행물
超魔界村
https://archive.org/[...]
1991-10
[25]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http://www.gamepro.c[...]
2002-09-23
[26]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1991-10
[27]
웹사이트
Game Boy Advance Reviews: Super Ghouls 'N Ghosts
https://www.gamespot[...]
2002-09-18
[28]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https://www.gamespot[...]
2007-04-04
[29]
웹사이트
Super Ghouls'n Ghosts (GBA)
http://www.gamespy.c[...]
2002-11-09
[30]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http://gameboy.gamez[...]
2002-09-23
[31]
간행물
Super Ghosts 'n' Goblins
https://archive.org/[...]
1991-12
[32]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http://ign.com/artic[...]
2002-09-26
[33]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VC Review
https://www.ign.com/[...]
2007-03-06
[34]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1991-11
[35]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SNES)
http://www.nintendol[...]
2007-03-06
[36]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Wii U eShop / GBA)
http://www.nintendol[...]
2021-08-29
[37]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Wii U eShop / SNES)
https://www.nintendo[...]
2021-08-29
[38]
간행물
Now Playing
https://archive.org/[...]
2021-08-29
[39]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http://www.nintendow[...]
2021-08-29
[40]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2021-08-29
[41]
간행물
Super NES Retro Review: Super Ghouls 'n Ghosts
https://web.archive.[...]
2021-08-29
[42]
간행물
Super Ghouls'n'Ghosts
https://www.kultboy.[...]
2021-08-29
[43]
간행물
The Guide Directory
https://archive.org/[...]
2021-08-29
[44]
간행물
Super Ghouls 'n Ghosts
https://archive.org/[...]
2021-08-29
[45]
간행물
The Definitive... Ghosts 'n Goblins
https://archive.org/[...]
2021-09-01
[46]
웹사이트
Capcom Generation 2 (Import) Review
https://www.gamespot[...]
2021-09-02
[47]
학술지
Super Ghouls 'n Ghosts Review
https://archive.org/[...]
Paragon Publishing
2021-03-20
[48]
웹사이트
CAPCOM Investor Relations, Platinum Titles
http://www.capcom.co[...]
Capcom
2017-09-29
[49]
웹사이트
100 Best Nintendo Games
https://web.archive.[...]
2021-05-20
[50]
웹사이트
Nintendo Power ranks the top 285 Nintendo games of all time
http://nintendoevery[...]
2016-11-02
[51]
간행물
100 Best Games of All Time
Ziff Davis
1997-11-01
[52]
웹사이트
"GameSpot#REDIRECT \n\n{{Redirect category shell|\n{{R from move}}\n}}s Best and Worst of 2002"
https://web.archive.[...]
2002-12-30
[53]
웹사이트
The best SNES games of all time
https://www.gamesrad[...]
2021-09-29
[54]
웹사이트
The Best Super Nintendo Games of All Time
https://www.complex.[...]
2022-02-11
[55]
학술지
Top 100 SNES Games
https://archive.org/[...]
2022-03-11
[56]
Citation
Top 100 SNES Games of All Time - IGN.com
https://www.ign.com/[...]
2022-08-25
[57]
서적
8月情報号特別付録 スーパーファミコン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8-01
[58]
웹사이트
ミリオンセールスタイトル一覧
http://www.capcom.co[...]
株式会社カプコン
2015-02-01
[59]
문서
'[http://qbq.jp/ 株式会社QBQ]編『[https://diapress.jp/archives/7402.html 懐かしスーパーファミコン パーフェクトガイド]』 [http://www.magazinebox.co.jp/ マガジンボックス](M.B.ムック)、2016年。ISBN 9784866400082 p29'
[60]
웹사이트
Nintendo Switch Onlineからスーパーファミコンタイトルを配信開始、第1弾は20タイトル
https://game.watch.i[...]
2019-09-06
[61]
문서
これは貫通武器が一度当たった敵には再度当たらないようにするためだが、別の敵に当たるとリセットが起きるため、重なっていると多段ヒットが発生する。
[62]
문서
イメージイラストだとドラゴンのような魔物であることがわかる。
[63]
문서
しかし、ゲーム内の裏技を利用することで初期装備であるヤリでダメージを与えることが可能。またエンディングではヤリで戦っている。
[64]
웹사이트
あの激ムズアクションの純血種『超魔界村』がケータイアプリとして忠実移植され登場!
https://www.inside-g[...]
イード
2019-07-22
[65]
웹사이트
“超”ムズアクションのDNAをしっかり継承した『超魔界村』がEZアプリに
https://www.famitsu.[...]
エンターブレイン
2019-07-22
[66]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for SNES (1991) - Moby Games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7-09-09
[67]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for Wii (2007) - Moby Games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7-09-09
[68]
웹사이트
Super Ghouls 'N Ghosts for Game Boy Advance) (2002) - Moby Games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7-09-09
[69]
학술지
아스키
1991-10-11
[70]
웹사이트
超魔界村 まとめ [スーパーファミコン]/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71]
간행물
8月情報号特別付録 スーパーファミコン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8-01
[72]
웹사이트
超魔界村R まとめ [GBA]/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17-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