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석은 무색 또는 백색을 띠는 광물로, 질산칼륨(KNO₃)의 형태로 존재하며 사방정계 결정계를 이룬다. 물에 잘 녹고 쉽게 융해되며, 건조 지역의 토양이나 동굴에서 발견된다. 와인을 식히는 데 사용되기도 했으며, 질산칼륨은 질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영어 단어 'nitrogen'의 어원이 되었다. 흑색화약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육류 가공품의 보존에도 쓰인다. 유사 광물로는 칠레초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화약 원료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구토법과 배양법 등의 기술을 통해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륨 광물 - 흑운모
    흑운모는 벽개를 가져 쉽게 벗겨지는 판상 광물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며 연대 측정 및 변성암 연구에 활용되고, 대륙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
  • 칼륨 광물 - 정장석
    정장석은 칼륨 종단원(KAlSi₃O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장석질 화성암의 구성 광물이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유리, 세라믹 제조, 연마재 등에 사용된다.
  • 화약 -
    총은 화약 폭발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화약 무기의 총칭으로, 중국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전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현대에는 군사,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화약 - 흑색화약
    흑색화약은 질산칼륨, 황, 탄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폭발성 물질로, 중국에서 발명되어 의식 및 축제용으로 사용되다 군사 무기로 발전, 유럽으로 전파되어 대포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여전히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전쟁 및 환경 오염 등의 부정적 측면도 존재한다.
  • 질산염 - 질산 나트륨
    질산 나트륨은 화학식 NaNO3의 무기 화합물로, 비료, 산화제, 폭약 성분 등으로 사용되며, 조해성이 있고 물에 잘 녹으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경우 발암성 물질 생성과 관련될 수 있다.
  • 질산염 - 질산 암모늄
    질산 암모늄은 질산과 암모니아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염으로, 질소 비료와 폭약의 재료로 사용되며, 물에 용해될 때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지만 가열되거나 특정 조건에서는 폭발할 수 있어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초석
광물 정보
이름초석
분류질산염, 산화 광물
화학식KNO
결정계사방정계
대칭다이피라미달 (mmm) H-M 기호: (2/m 2/m 2/m)
공간군Cmc21
흰색
결정상드루즈 또는 침상 결정
벽개{001}에서 매우 좋음; {010}에서 좋음
파단잘 부서짐
모스 경도2
광택유리 광택
굴절률nα = 1.332
nβ = 1.504
nγ = 1.504
조흔색흰색
비중2.10 (계산)
용해도잘 녹음
투명도투명
기타 정보
스트룬츠 분류5.NA.10
데이나 분류18.1.2.1
분자량알 수 없음
진단 특징알 수 없음
용융점알 수 없음
가융성알 수 없음
참고 자료

2. 성질 및 특징

초석은 질산칼륨(KNO₃)이 자연에서 만들어진 광물 형태이다.[6] 질산칼륨은 질소 화합물의 일종이며, 영어의 "질소"(''nitrogen'')는 초석(''niter'')에서 유래한다. 물을 가하면 흡열 반응을 일으켜서 과거에는 와인을 식히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1]

염료, 비료 등 질소가 필요한 제품의 원료로 예부터 사용되어 왔다. 특히 산화제(폭발 시 산소 공급)로 흑색화약 제조에 필수적인 화약 재료였으며, 흑색화약이 유일한 총포용 화약이었던 시대에는 중요한 전략 물자였다.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되는데,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세균, 특히 절임 돼지고기의 식중독 원인이 되기 쉬운 보툴리누스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식육 보존에 필수적인 약품이다. , 소시지 등 육류 가공품 제조 시 소금과 함께 고기에 갈아 넣는 것(염장)이 예부터 행해져 왔다. 초석을 사용한 육가공품은 아질산 이온과 고기의 미오글로빈의 결합으로 독특한 분홍색을 띤다. 일반적인 이 가열해도 붉은색을 유지하는 것은 이 때문이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발색제라고도 불린다. 유럽에서 식품 첨가물에 붙는 E 번호는 E252이다.

칠레초석은 초석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주성분은 질산칼륨이 아니라 질산나트륨(NaNO₃)이다. 칠레초석은 남미 칠레에서 대규모 광상이 발견되어, 하버-보슈법에 의한 합성이 널리 행해지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중요한 질소 공업의 원료였다.

2. 1. 물리화학적 성질

초석(硝石)은 무색 또는 백색을 띠는 광물로, 사방정계 결정계에 속하는 결정을 이룬다. 질산칼륨(KNO₃)의 광물 형태이며,[6] 모스 경도가 2로 매우 무르고,[8] 물에 잘 녹으며,[6] 쉽게 융해된다. 결정 구조는 아라고나이트와 유사하며, 칼슘이 칼륨으로, 탄산염이 질산염으로 치환된 것이다.[7] 건조 지역의 토양에서 산출되며, 알칼리 성분의 칼륨과 질산염을 포함한 용액이 동굴 속으로 스며들어 동굴 벽과 천장에 덩어리 형태의 피막이나 풍화된 덩어리로 나타난다.[6] 드물게 기둥 모양의 침상(針狀) 결정 군집으로 산출되며, 개별 결정은 [110]면에서 유사육각형의 쌍정을 보인다. 초석과 다른 질산염은 구아노 및 유사한 유기물 퇴적물과 함께 생성되기도 한다.[8]

2. 2. 생성 환경

초석은 건조 지역의 토양에서 산출되며, 알칼리 성분의 칼륨과 질산염을 포함한 용액이 동굴 속으로 스며들어 덩어리 형태의 피막이나 풍화된 덩어리로 나타난다.[6] 구아노(박쥐 배설물) 및 유사한 유기물 퇴적물과 함께 생성되기도 한다.[8]

3. 역사 및 어원

초석(niter)은 고대부터 알려진 용어이지만, 나트론(불순한 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세계에서 이 이름이나 유사한 이름으로 알려진 모든 염이 질산염을 포함했던 것은 아니다.[6]

"초석의 거품"으로 번역되는 ἀφρόνιτρον|aphronitrongrc (aphronitre)은 4세기 AD의 재정 기록에 따르면 "목욕을 위해" 정기적으로 구매된 품목이었으며, 아마도 비누로 사용되었을 것이다.[13]

1790년, 초석(및 그 유도체인 질산)이 질소 원소 명명에 처음 사용되었을 때, 초석은 특히 다양한 종류의 초석으로 알려진 질산염화된 염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질산염화된 염만이 화약 제조에 적합했다).[14]

3. 1. 어원

초석(niter)이라는 용어는 고대부터 알려져 왔지만, 나트론(불순한 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세계에서 이 이름이나 유사한 이름으로 알려진 모든 염류가 질산염을 포함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6] 이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νιτρων|nitron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어 에서 온 것으로, 히브리어 과 관련이 있다.[9]

히브리어 는 비누와 함께 또는 비누로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예레미야 2장 22절에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성경의 "네테르"가 어떤 물질을 가리키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일부 학자들은 탄산나트륨을 제시한다.[10]

나트륨을 의미하는 신라틴어 단어 natriumla는 프랑스어 natron프랑스어[11]을 거쳐 스페인어 natrónes로, 다시 그리스어 νίτρον|nitron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어 에서 유래한 것이다.[9][12]

3. 2. 혼동

초석(niter)이라는 용어는 고대부터 알려져 왔지만, 나트론(불순한 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세계에서 이 이름이나 유사한 이름으로 알려진 모든 고대 염류가 질산염을 포함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6] 이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νιτρων|nitron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어 에서 온 것으로, 히브리어 과 관련이 있다.[9]

히브리어 는 비누와 함께 또는 비누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성경의 "네테르"가 어떤 물질을 가리키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일부 학자들은 탄산나트륨을 제시한다.[10]

나트륨을 의미하는 신라틴어 단어 natriumla는 프랑스어 natron프랑스어[11]를 거쳐 스페인어 natrónes로, 그리스어 νίτρον|nitron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집트 사막에서 발견되는 탄산나트륨 염을 가리킨다.[9][12]

4. 생산 및 이용

초석은 물에 잘 녹는 성질 때문에 주로 건조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할로겐화물, 요오드산염, 붕산염, 석고 등 다른 수용성 광물과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15][16] 칼륨과 질산염은 비료로 사용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역사적으로 화약 제조에도 사용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합성 질산염으로 대체되었지만, 천연 초석 광물은 여전히 채굴되고 있으며 상업적 가치를 지닌다.[17][18]

초석은 신석기 시대부터 알려진 "살니트르 동굴"(콜바토)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바 델 랏 페낫"에서는 수천 년 동안 쌓인 과노(박쥐 배설물)가 빗물에 의해 용탈되어 초석이 형성되었다.

1783년, 주세페 마리아 조베네와 알베르토 포르티스는 이탈리아 몰페타 근처의 돌리네인 풀로 디 몰페타에서 "자연 초석 광산"을 발견했다. 이들은 특정 습도와 온도 조건에서 돌리네 동굴 벽 내부에 초석이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9] 이 발견은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해 퇴비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게 했으며,[20] 화학자 주세페 바이로와 그의 제자 안토니오 피타로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초석은 화약 생산에 필수적인 성분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매장지는 상당한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으며,[21] 정부는 채굴을 시작했다. 조베네는 아풀리아의 다른 동굴에서도 초석을 발견했다.[21][22] 채굴 시설 잔해는 현재 산업 고고학 현장이지만 관광객에게 공개되지는 않는다.[23]

질산칼륨은 질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흑색화약 제조에 필수적인 재료였다. 흑색화약이 유일한 총포용 화약이었던 시대에는 중요한 전략 물자였다. 염료, 비료 등 제조에 질소가 필요한 제품의 원료로 예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산화제(폭발 시 산소원)로 작용한다. 물을 가하면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어 와인을 식히는 데 사용된 적도 있다.[31]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세균, 특히 절임 돼지고기의 식중독 원인이 되기 쉬운 보툴리누스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 소시지 등 육류 가공품 제조 시 소금과 함께 고기에 갈아 넣는 염장이 예부터 행해져 왔다. 초석을 사용한 육가공품은 아질산 이온과 고기의 미오글로빈의 결합으로 독특한 분홍색을 띤다. 일반적인 이 가열해도 붉은색을 유지하는 것은 이 때문이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발색제라고도 불린다. 유럽에서 식품 첨가물에 붙는 E 번호는 E252이다.

4. 1. 역사적 생산 방법



일본에서는 옛 토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그 외에 배양법과 초석구법이 사용되었다.[31]

  • 옛 토법: 주거지 바닥 밑 토양의 질산 이온과 나무 재에서 만들어지는 잿물의 칼륨을 끓여내어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초석을 만드는 방법이다.[31]
  • 배양법: 누에의 똥과 풀을 양잠 가옥 바닥 밑 구덩이에 4~5년 숙성시킨 토양과 잿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31] 가가번(加賀藩)의 고카야마(五箇山) 등에서 볼 수 있었으며, 적은 가구로도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31]
  • 초석구법: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야외에 쌓아 1~3년 지난 토양과 잿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31]
  • 해조법: 해조류를 태워 탄산칼륨을 포함한 해초회를 만들고, 황산염이나 황산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중국 한나라 시대에 발견되어 12세기 실크로드를 통해 서양으로 전파되었다.[32] 후에 프랑스 과학자 베르나르 쿠르투아가 황산을 잘못 사용하여 요오드(아이오딘)을 발견했다.[33]

4. 1. 1. 채취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초석은 건조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15][16] 질산화 작용·풍화 작용에 의해 동굴 바닥이나 건조 지대의 지표면에 생성된다. 일본과 같이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광맥이 생기기 어렵다. 건조 지대의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피루스(기원전 1500년),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쐐기 문자(기원전 2200-2100년) 형태로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31] 요르단에서는 채취 전문가(saltpeter men, petermen)와 시장이 존재했다.[31]

천연 질산칼륨은 토양 속 유기물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포함된 요소가 분해되면서 생긴 암모니아 등의 질소 화합물을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인 아질산균과 초산균(硝酸菌)이 분해하는 과정에서 아미노산 형태나 암모늄 형태의 질소 화합물이 질산 이온으로 산화되고, 칼륨 이온과 결합하여 염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용성인 질산칼륨은 토양에 생성되면 비가 오면 심층으로 확산된다. 또한 질산칼륨은 식물의 뿌리에서 양분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표층 토양에 질산칼륨이 축적되려면 토양의 유기물이 풍부하고, 비가 오지 않으며, 식물이 자라지 않는 등의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옛날에는 비가 오지 않는 건조 지대나, 건물의 지하실이나 굴 등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환경의 지표면 토양에서 채취되었다.

중국 내륙부나 스페인, 이탈리아 등 남유럽,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 이란 등 서아시아, 인도 등 건조 지대에서는 천연으로 채취되었다.

4. 1. 2. 전통적 제조법

질산화 작용과 풍화 작용으로 생성되는 초석은, 일본과 같이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물에 용해되어 광맥이 생기기 어렵다.[31] 따라서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초석을 제조했다.[31]

  • 옛 토법 (구토법): 주거지 바닥 밑 토양의 질산 이온과 나무 재에서 만들어지는 잿물의 칼륨을 끓여내어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초석을 만드는 방법이다.[31] 일본에서 대표적인 제조 방법이었다. 낡은 집 지하의 흙을 모아 따뜻한 물과 섞은 후 상층액에 탄산칼륨을 포함한 재를 넣어 질산칼륨 용액을 만들고, 이것을 졸여서 식히면 결정이 생긴다. 이 결정을 다시 용해하여 재결정화하면 정제된 질산칼륨이 된다.[28]
  • 배양법: 누에의 똥과 풀을 양잠 가옥의 바닥 밑에 구덩이를 파고 4~5년 정도 숙성시킨 토양과 잿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31] 가가번(加賀藩)의 고카야마(五箇山), 히다 텐료(飛騨天領)의 시라카와고(白川郷) 등 제한된 지역에서 볼 수 있었으며, 적은 가구에서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31] 오가야마에서는 염초를 "배양법"으로 만들었는데, 염초 토양 만들기부터 시작하여 5년 만에 질산화 박테리아가 번식하여 배양토, 즉 염초 토양이 만들어진다. 봄 배양에는 기장겨, 메밀겨, 담뱃잎 등, 여름 배양에는 누에똥, 가을 배양에는 산야초의 증기 배양(샤쿠 "여우독활", 쑥, 무라다치(아브라찬) 등)을 사용한다.
  • 초석구법: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야외에 쌓아두고 1~3년이 지난 토양과 잿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31]
  • 해조법: 해조류를 태워 탄산칼륨을 포함한 해초회를 만들고, 황산염이나 황산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중국 한나라 시대에 발견되어 12세기에는 실크로드를 통해 서양으로 전파되었다.[32]


프랑스에서는 "질산칼륨 구릉법(硝石丘法)"이 발명되었는데, 통풍이 잘 되는 오두막에 질소를 포함한 나뭇잎과 석회석, 분뇨, 쓰레기를 흙과 섞어 쌓아놓고 정기적으로 소변을 주어 질산칼륨을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흙의 2~3%에 달하는 질산칼륨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나폴레옹 전쟁의 화약 공급에 큰 역할을 했다. 질산칼륨 구릉법은 막말 일본에도 전래되었다.

일본에서는 막말까지 주로 구토법으로 질산칼륨을 얻었다. 구토법에 의한 생산량은 적었지만, 에도 시대에는 화약 수요가 줄어 국내 수요를 충당할 수 있었다. 그러나 1820년경부터 칠레 질산염이 대량으로 공급되고, 화약 자체도 진화하여 질산칼륨을 원료로 하지 않는 화약으로 수요가 이동하면서 흙에서 질산칼륨을 얻는 방법은 사라졌다.

4. 2. 현대적 생산

현재 세계의 초석 수요 대부분은 합성 질산염으로 충족되지만, 천연 광물은 여전히 채굴되고 있으며 상당한 상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17][18] 1820년경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서 광대한 칠레 질산염 광상이 발견되어 저렴한 칠레 질산염이 대량으로 공급되기 시작했다.[28]

4. 3. 이용

질산칼륨은 질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흑색화약 제조에 필수적인 화약 재료였다. 흑색화약이 유일한 총포용 화약이었던 시대에는 중요한 전략 물자였다.

염료, 비료 등 제조에 질소가 필요한 제품의 원료로 예부터 사용되어 왔다. 특히 산화제(폭발 시 산소원)로 작용한다.

물을 가하면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어, 와인을 식히는 데 사용된 적이 있다[31].

;식품 첨가물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세균, 특히 절임 돼지고기의 식중독 원인이 되기 쉬운 보툴리누스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식육 보존에 필수적인 약품이며, , 소시지 등 육류 가공품 제조 시 소금과 함께 고기에 갈아 넣는 것(염장)이 예부터 행해져 왔다. 따라서 초석을 사용한 육가공품은 아질산 이온과 고기의 미오글로빈의 결합으로 독특한 분홍색을 띤다. 일반적인 이 가열해도 붉은색을 유지하는 것은 이 때문이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발색제라고도 불린다.

유럽에서 식품 첨가물에 붙는 E 번호는 E252이다.

5. 한국에서의 초석

고려 말, 최무선이 화약 제조 기술을 도입하면서 초석의 중요성이 커졌다. 조선시대에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특히 화포를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자원으로 인식되었다.[34]

5. 1. 조선시대 초석 생산

초기에는 초석(질산칼륨) 공급을 주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했지만, 점차 수요가 커지면서 국내 생산을 위한 시도가 시작되었다. 낡은 집 지하의 흙에서 질산칼륨을 추출하는 구토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누에 똥을 이용하는 배양법도 일부 지역에서 행해졌다.[34]

조선시대에는 군기시 산하에 염초청이라는 관청을 두어 초석 생산을 담당하게 했다.

6. 유사 광물

칠레초석, 귀하바이트(질산암모늄), 질산스트론튬석, 질산칼슘석, 질산마그네슘석, 질산바륨석 및 두 가지 구리 질산염인 게르하르트석과 부트겐바흐석이 있다. 주기율표의 앞 세 열에 있는 모든 천연 원소와 수많은 다른 양이온은 질산염을 형성하지만, 드물게 발견된다.

참조

[1] 논문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2] 웹사이트 Niter Mineral Data http://www.webminera[...]
[3] 웹사이트 Niter: Mineral information, data and localities. https://www.mindat.o[...]
[4] 논문 Superstructure of α-phase potassium nitrate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nitr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6-03-11
[6]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97
[7] 서적 Manual of mineralogy : (after James D. Dana) Wiley 1993
[8] 웹사이트 Niter http://www.handbooko[...] Mineral Data Publishing 2021-12-28
[9] 사전 nitre
[10] 논문 What's in a name: NaNO3 1985-01
[11] 사전 natrium
[12] 웹사이트 neter and nitrogen http://www.balashon.[...]
[13] 서적 The Journey of Theophanes Yale UP 2006
[14] 사전 nitrogen
[15] 서적 Modern and Ancient Lake Sediments 1978-11-24
[16] 논문 The Chilean Nitrate Deposits: The origin of the Chilean nitrate deposits, which contain a unique group of saline minerals, has provoked lively discussion for more than 100 years
[17] 논문 Some History of Nitrates 2003-12
[18] 논문 Life Cycle Assessment of a Parabolic Trough Concentrating Solar Power Plant and the Impacts of Key Design Alternatives 2011-03-15
[19] 논문 Necrologia – Giuseppe Maria Giovene – Arciprete della Cattedrale Chiesa di Molfetta https://books.google[...] Tipografia del Real Ministero degli Affari Interni nel Reale Albergo de' Poveri
[20] 서적 Opuscoli scelti sulle scienze e sulle arti tratti dagli Atti delle Accademie, e dalle altre Collezioni filosofiche, e letterarie, e dalle opere più recenti inglesi, tedesche, francesi, latine, e italiane, e da manoscritti originali, e inediti: 12
[21] 논문 Elogio storico del canonico arciprete Giuseppe Maria Giovene https://books.google[...] Tipi della R. D. Camera
[22] 서적 Lettera del Sig. canonico D. Giuseppe Maria Giovene, Vicario generale di Molfetta, al Sig. Abate Alberto Fortis, contenente varie osservazioni sulla nitrosità naturale della Puglia https://books.google[...] 1784-08-07
[23] 웹사이트 PER VEDERE IL PULO DI MOLFETTA ACCONTENTATEVI DI ARRAMPICARVI! https://www.molfetta[...] 2023-08
[24] 서적 理科年表 平成20年 丸善
[25] 웹사이트 2012-07-18
[26] 웹사이트 https://webmineral.c[...] 2012-07-18
[27] 서적 学術用語集 地学編 日本学術振興会
[28] 논문 煙硝づくり『古土法』の史学調査と実験的検証について https://doi.org/10.3[...] 日本薬史学会
[29] 논문 硝石の舎密学と技術史 https://hdl.handle.n[...] 金沢大学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
[30] 웹사이트 nitre https://www.etymonli[...] 2022-06-27
[31] 웹사이트 硝石製造法の史学的調査と実験的検証に関する研究–わが国における 3 種の硝石製造法の比較– https://www.jstage.j[...] 2022-06-27
[32] 웹사이트 逗子にあった「味の素」編 ちょっと昔の逗子〈第4回〉 硝石の製造を開始 https://www.townnews[...] 2022-06-27
[33] 웹사이트 ヨウ素(I)-「X」と名付けられた元素 https://www.kojundo.[...] (株)高純度化学研究所 2022-06-27
[34] 논문 銃筒から仏郎機銃へ:十四〜十六世紀の東アジア海域と火器 https://doi.org/10.1[...] 2011-03
[35] 간행물 風景紀行 51 塩硝の道 https://www.rinya.ma[...] 中部森林管理局 2020-12-14
[36] 웹사이트 Niter http://www.webminera[...]
[37] 웹사이트 Niter https://www.mindat.o[...]
[38] 논문 Superstructure of α-phase potassium nitr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