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무선은 고려 후기의 무기로, 1325년에 태어나 1395년에 사망했다. 그는 화약과 화포 개발에 힘썼으며, 왜구 격퇴에 크게 기여했다. 최무선은 화약 제조 기술을 배우기 위해 노력하여, 화약과 다양한 화포를 개발하고 화통도감을 설치했다. 또한, 진포 해전 등에서 화포를 사용하여 왜구를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최무선의 업적은 아들 최해산에게 이어져 조선 시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 최씨 - 최해산
최해산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아버지 최무선으로부터 화약 제조 비법을 전수받아 화약 무기 개발에 기여하고 화차 제작과 화포 발사 연습을 주관하며 화약 병기 발전에 공헌했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아 파저강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 - 한국의 발명가 - 김안국
김안국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중종 때 선위사로 활동하며 일본 전문가로 인정받았고, 《여씨향약언해》, 《동몽선습》 등의 언해 및 편찬 사업을 주도하여 국어학 발전에 기여했다. - 한국의 발명가 - 장영실
조선 초기의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장영실은 천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의 총애를 받으며 자격루, 앙부일구, 측우기 등 다양한 과학 기구를 발명 및 제작하여 조선의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왕의 가마 파손 사건 이후 행적이 묘연해졌다. - 1395년 사망 - 아카마피치틀리
아카마피치틀리는 14세기 후반 테노치티틀란의 첫 번째 통치자로서, 도시 발전에 기여하고 아즈텍 최초의 법률 제정에 관여했으며, 동맹과 조공 정책으로 테노치티틀란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 1395년 사망 - 탕화
탕화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군인으로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신국공에 봉해졌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주원장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명나라 초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최무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최무선 |
원어명 | 崔茂宣 |
로마자 표기 | Choe Mu-seon |
가문 | 영천 최씨 |
작위 | 고려의 지문하부사 |
서훈 | 증의정부좌찬성(贈議政府左贊成) 추존 |
군호 |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 |
아버지 | 최동순(崔東洵) |
형제자매 | 형 최광준(崔光俊) |
친척 | 손자 최공손(崔功孫) |
배우자 | 알려지지 않음 |
자녀 | 아들 최해산(崔海山) |
출생지 | 고려 경상도 영주 |
출생일 | 1325년 |
사망지 | 조선 서해도 해주 |
사망일 | 1395년 |
사당 | 알려지지 않음 |
정당 | 무소속 |
군사 경력 | |
참전 | 진포 해전, 관음포 전투 |
2. 생애
최무선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활약한 인물로, 한국사에서 화약과 화포 개발에 큰 업적을 남겼다. 그의 생애는 크게 출생과 성장, 화약 제조 기술 습득, 화통도감 설치와 화약 무기 개발, 왜구 격퇴, 그리고 고려 말, 조선 초의 관직 생활, 사망과 유산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여기서는 생애 전반에 걸친 주요 사건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최무선은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시기에 화약 무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으로부터 화약 제조 기술을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원나라 상인 이원으로부터 비법을 전수받아 화약 제조에 성공하였고, 끈질긴 노력 끝에 1377년 화통도감 설치를 이끌어냈다. 화통도감에서 다양한 화약 무기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포해전 등에서 왜구를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화통도감이 혁파되기도 하였지만, 조선 건국 후 이방원의 건의로 다시 관직에 복귀하여 화약 무기 개발에 힘썼다. 사후에는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아들 최해산에게 화약 제조 기술을 전수하여 조선의 화약 무기 발전에 기여하였다.
2. 1. 출생과 성장
최무선은 고려 충숙왕 12년(1325년) 영주(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에서 광흥창사 최동순의 아들로 태어났다.[5] 그는 어려서부터 기술에 밝고 병법(兵法) 논하기를 좋아했으며, 화약 무기에 관심을 가졌다.[6] 각 분야의 책을 널리 읽고 중국어에도 뛰어났다.[2]2. 2. 화약 제조 기술 습득
최무선은 왜구를 무찌르는 데 화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화약 제조법 연구에 몰두하였다. 당시 원, 명 왕조에서는 화약 제조 방법을 비밀로 하였기 때문에, 한반도에는 이 기술을 아는 인물이 없었다.[6][7]최무선은 원나라 강남 출신 이원(李元)에게서 화약 제조에 관한 몇 가지 비법을 전해 들을 수 있었다.[8][9][10] 그는 도당에 자신이 화약을 만들었다며 시험해볼 것을 건의하였지만, 도당에서는 최무선의 말을 믿지 않았고, 심지어 그를 사기꾼이라고 부르는 자도 있었다.
몇 년에 걸쳐 끈질기게 건의한 끝에 우왕 3년(1377년) 10월, 화통도감(화약국)이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2. 3. 화통도감 설치와 화약 무기 개발
최무선은 왜구를 무찌르기 위해 화약 제조법 연구에 몰두하였다. 당시 원나라와 명나라는 화약 제조 방법을 비밀로 하였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최무선은 원나라 강남 출신 상인 이원(李元)에게서 화약 제조에 대한 몇 가지 비법을 전해 들을 수 있었다.[8][9][10] 최무선은 집에서 부리던 종 몇 명에게 그 기술을 배우게 해서 실험하였고, 도당에 자신이 화약을 만들었다며 시험해볼 것을 건의하였지만, 도당에서는 최무선의 말을 믿지 않았다.몇 년에 걸쳐 끈질기게 건의한 끝에 1377년(우왕 3년) 10월, 화통도감(화약국)이 설치되었다. 화통도감의 제조로서 최무선은 다양한 화약 무기를 개발하였다.
종류 | 이름 |
---|---|
총포류 | 대장군포, 이장군포, 삼장군포, 육화(六花), 석포(石砲), 화포(火砲), 신포(信砲), 화전(火箭), 화통(火㷁) 등 |
발사용 화기 | 화전(火箭), 철령전(鐵翎箭), 피령전(皮翎箭) 등 |
기타 화기 | 질려포(疾藜砲), 철탄자(鐵彈子), 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 유화(流火), 주화(走火), 촉천화(觸天火) 등 |
또한 최무선은 이러한 함포를 실을 수 있도록 전함 개량에도 힘썼으며,[11] 화기 이용에 대한 교육에도 힘써 화기 발사 전문 부대로 보이는 화통방사군(火筒放射軍)이 편성되었다.
2. 4. 왜구 격퇴
1380년, 왜구 선단 5백 척이 진포(鎭浦, 지금의 금강 어귀 군산 지역)에 출몰하여 주변 지역을 방화하고 약탈하자, 최무선은 부원수(副元首)로 임명되어 도원수(都元首) 심덕부, 상원수(上元首) 나세(羅世)와 함께 전함을 이끌고 출항, 처음으로 화통 · 화포 등을 사용하여 왜선을 격파했다.[12] 이때 최무선은 부원수로 군사를 지휘하며 최칠석(崔七夕) 등을 이끌고 고려군을 지휘, 진포에 침입한 왜구의 배 500척을 모두 불태웠다.[12] 타고 온 배를 잃어 퇴각로가 막힌 왜구는 곧 한반도 내륙을 돌며 무자비한 약탈을 일삼았지만, 전라도와 경상도를 거쳐 운봉에서 이성계가 이끄는 고려군에게 황산대첩에서 궤멸되어 그 세력이 크게 꺾였다. 1383년 왜구가 다시 남해의 관음포(觀音浦)에 상륙하자 최무선은 부원수로 출정하였고, 이 전투에서도 화기를 써서 왜선을 격침시키는 공을 세웠다.[13] 이후 왜구의 침입이 대폭 줄어들었을 정도로 화약 병기의 사용은 왜구 격퇴에 크게 기여하였다.1389년에는 왜구의 본거지로 알려진 대마도를 정벌하였는데 최무선 또한 출정해 포로로 끌려간 백여 명의 고려인을 구출하기도 했다.
2. 5. 고려 말, 조선 초의 관직 생활
최무선은 일찍부터 기술에 밝고 병법을 좋아했으며, 화약 무기에 관심을 가졌다. 당시 고려는 왜구의 노략질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최무선은 화약과 총포가 왜구 격퇴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화약 제조법 연구에 몰두하였다.[6] 당시 원나라와 명나라는 화약 제조법을 비밀로 하였기에, 최무선은 원나라 강남 출신 상인 이원(李元)에게서 화약 제조 비법을 전해 들었다.[8][9][10]몇 년간의 끈질긴 건의 끝에 우왕 3년(1377년) 10월, 화통도감(화약국)이 설치되었고, 최무선은 화통도감의 제조(提調)가 되었다. 그는 대장군포, 이장군포, 삼장군포, 육화석포, 화포, 신포, 화전, 화통 등 다양한 총포류와 화기, 그리고 질려포, 철탄자, 천산오룡전, 유화, 주화, 촉천화 등 각종 화기를 제조하였다.[11] 또한 함포를 실을 수 있는 전함 개량에도 힘썼으며, 화기 발사 전문 부대인 화통방사군(火筒放射軍)을 편성하여 화기 이용 교육에도 힘썼다.[11]
우왕 6년(1380년) 왜구 선단 5백 척이 진포(鎭浦, 지금의 군산시)에 출몰하자, 최무선은 부원수(副元首)로서 도원수(都元首) 심덕부, 상원수(上元首) 나세와 함께 출정하여 화통, 화포 등을 사용해 왜선을 격파하였다.[12] 최무선은 진포에서 고려군을 지휘하며 왜구의 배 500척을 모두 불태웠다.[12] 이후 왜구는 한반도 내륙을 돌며 약탈을 일삼았지만, 황산대첩에서 이성계 등이 이끄는 고려군에게 궤멸되었다.
우왕 9년(1383년) 왜구가 남해 관음포(觀音浦)에 상륙하자 최무선은 다시 부원수로 출정하여 화기를 사용해 왜선을 격침시켰다.[13] 이후 왜구의 침입은 대폭 줄어들었다. 창왕(昌王) 1년(1389년)에는 왜구의 본거지인 대마도 정벌에 참여하여 포로로 끌려간 고려인 백여 명을 구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왕 14년(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창왕 1년(1389년) 조준 등의 주장으로 화통도감은 혁파되어 군기시(軍器寺)에 통합되었다.[6]
고려 멸망 후 조선 공양왕 4년(1392년) 7월, 이방원의 건의로 최무선은 정헌대부 검교참찬 문하부사 겸 판군기시사가 되었다.
태조 4년(1395년) 4월 19일에 사망하였다. 태종 1년(1401년) 조정은 그의 공을 참작하여 의정부우의정 영성부원군을 추증하였다.
최무선은 임종 당시 아들 최해산에게 화약 제조법과 염초 채취 방법 등을 담은 《화약수련법》, 《화포법》 등의 저술을 물려주었다. 최해산은 이 비법을 배워 조선 조정의 직무에 활용하였다고 하나, 이 책은 전하지 않는다.
2. 6. 사망과 유산
태조 4년(1395년) 4월 19일에 사망하였다. 태종 1년(1401년) 조정은 그가 세운 공을 참작하여 의정부우정승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을 추증하였다.[5]《태조실록》에 실린 최무선의 졸기에는 최무선이 임종할 당시 책 한 권을 부인에게 주며 아들이 다 자라면 줄 것을 당부하였고, 아들 최해산의 나이 열다섯 살이 되자 유언대로 최무선의 책을 물려주었는데, 그것은 화약의 제조법과 염초의 채취 방법 등을 기술한 《화약수련법》(火藥修鍊法), 《화포법》(火砲法) 등의 저술이었다. 태조 때부터 군기시소감(軍器侍少監)으로 등용되었던 최해산은 그 비법을 배워 조정의 직무에 활용하였다고 하나, 이 책은 전하지 않는다.[5]
저서로는 화약 제조, 화포, 탄환 제조법을 기록한 『화약수련지법(火藥修練之法)』이 있다.[1] 무선의 의지는 아들 최해산[2]에게 계승되어, 조선에서 중용되었다.[1]
3. 최무선 당시의 화포
최무선이 만들었다는 화포의 이름은 《태조실록》에도 실려 있지만, 최무선 당시의 화포는 현재 남아있지 않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화포로 알려진 것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 늦어도 세종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경희고소총통(慶熙古小銃筒)으로, 길이 24cm의 이 총통은 현재 경희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경희고소총통의 경우 포신의 약통이 둥글고 약실과 부리의 접점은 지름 12.5cm인데 비해 부리 끝은 16.2cm로 부리에서 약실로 갈수록 좁아진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세종조 병기 개혁 이전의 총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14]
2004년 한국의 한 골동품 수집가가 최무선 당대의 총통을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고, 그는 자신이 소장한 이 총통을 KBS 1TV 《HD 역사스페셜》 제작팀에 제보하였다. KBS 1TV 《HD 역사스페셜》 제작진과 함께 해당 총통 유물을 감정했던 정명호 박사(전 문화재전문위원)는 청동으로 된 총통의 부리 겉면에 새겨진 홍무 18년(우왕 11년, 1385년)이라는 연대로 미루어 지금까지 한국에 전해지는 총통 가운데 소규모로써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총통 또한 경희고소총통과 마찬가지로 약실이 살짝 부풀어 있고 총구에서 약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총통은 2006년 4월 14일자 KBS 1TV 《HD 역사스페셜》 '최무선의 진포 대첩은 세계 최초의 함포 해전이었다' 방송분으로 보도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진포 해전은 세계 최초의 함포 해전이 아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부친 | 최동순(崔東洵) |
아들 | 최해산 |
손자 | 최공손(崔功孫) |
5. 평가
최무선은 고려 말 화약과 화포 개발을 통해 국방력 강화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왜구 격퇴에 큰 공을 세워, 고려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었던 정이오는 자신의 저서 《화약고기》에서 "나라를 위해 마음을 썼으므로 능히 이원의 기술을 얻었으니 그 사려가 깊고 멀다 하겠다. 지금 왜구가 우리 수군과는 감히 배를 타고 승부를 겨루려 들지 못하는 데는 앞서 진포에서의 싸움과 뒷날의 남해에서의 승전 때문이었다."라고 평가하였다.[13]
5. 1. 대한민국에서의 재조명
최무선이 처음으로 화약 개발에 성공한 뒤, 향상된 고려의 화력은 해안을 약탈하던 왜구의 진압과 방지에 큰 역할을 하였다.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이오(鄭以吾)가 쓴 《화약고기》(火藥庫記)는 최무선의 업적을 두고, "나라를 위해 마음을 썼으므로 능히 이원의 기술을 얻었으니 그 사려가 깊고 멀다 하겠다. 지금 왜구가 우리 수군과는 감히 배를 타고 승부를 겨루려 들지 못하는 데는 앞서 진포에서의 싸움과 뒷날의 남해에서의 승전 때문이었다."라고 평가하였다.[13]최무선의 고향인 경상북도 영천시는 한국 최초로 화약을 국산화하고 화포와 전함 등을 독자 개발해 실전에 사용한 최무선의 삶과 업적을 재조명하기 위해 최무선기념사업회와 영천문화원이 공동으로 최무선과학축제를 매년 주최하고 있다.[13]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원제삼거리에서 시작하여, 문외동을 거쳐 시청오거리까지 연결하는 도로인 최무선로는 최무선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13] 1995년 4월에 취역한 대한민국 해군의 1200T급 장보고급 잠수함(209급 잠수함) 최무선함의 이름은 최무선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13] [14]
6. 최무선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논문
1989
[2]
논문
2002
[3]
논문
2005
[4]
논문
1993
[5]
서적
한국사 이야기 8
한길사
2008
[6]
서적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7]
문서
고려시대 화약 무기 사용 기록
[8]
서적
한국사 이야기 8
한길사
2008
[9]
문서
최무선의 화약 제조 과정 기록
[10]
웹사이트
화약 - 전쟁의 판도를 바꾼 흑색 가루
https://terms.naver.[...]
생각의힘
[11]
서적
화약고기
[12]
서적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13]
서적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14]
문서
총통 설계 및 발사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