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부채 상환 비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부채 상환 비율(DTI)은 연간 부채 상환액을 연간 총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대출 심사 시 차주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DTI는 주택 담보 대출 자격 여부와 허용 가능한 지출 수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DTI 종류에는 주거 비용에 사용되는 소득 비율을 나타내는 선순위 비율과 모든 반복적인 부채 상환을 포함하는 후순위 비율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DTI 규제를 도입했으며, 국가별로 DTI 규제는 다르게 적용된다. DTI 규제는 금융 위기를 예방하는 장점이 있지만, 소득을 적게 신고하는 자영업자나 은퇴자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 - 불로소득
    불로소득은 경제학에서 노동이나 투자가 없이 얻는 소득을 의미하며, 고전 경제학에서는 토지 소유권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잉여가치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뜻한다.
  • 금융 - 동전주
    동전주는 낮은 주가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관심을 끌지만, 높은 변동성, 주가 조작 위험, 낮은 시가총액, 유동성 부족 등으로 투자 손실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총부채 상환 비율

2. 정의 및 계산 방법

총부채 상환 비율(DTI)은 개인이 대출을 받을 때 연간 갚아야 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액이 연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대출 신청자의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2. 1. 계산 공식

DTI는 부채에 대한 연간 상환액(원금 상환액 + 이자 상환액)을 연간 총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연간 소득이 5000만이고 DTI를 40%로 설정할 경우, 은행에서는 총부채의 원금과 이자를 합한 상환액이 1년에 2000만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 규모를 제한하게 된다.

즉, DTI를 낮출수록 소득 대비 빚이 줄어들어 부채를 상환하는 능력이 높아지며, DTI를 높일수록 소득 대비 빚이 많아져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금융기관에서 DTI를 적용할 때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이나, 소득금액증명원, 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연금증서, 급여임금통장 등 공공성이 강한 기관이 발급하는 자료를 통해 연소득을 증빙해야 한다.

2. 2. 소득 증빙

총부채 상환 비율(DTI)을 적용할 때 금융기관에서는 대출 신청자의 연간 소득을 확인해야 한다. 이때 소득 증빙을 위해 공공성이 강한 기관에서 발급하는 자료를 요구하며, 인정되는 주요 서류는 다음과 같다.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소득금액증명원
  • 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연금 증서
  • 급여(임금) 통장 사본 등

3. DTI의 종류

DTI는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보통 '선순위 비율/후순위 비율'(예: 28/36)과 같이 표기한다. 첫 번째는 주거 관련 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선순위 비율(Front-end Ratioeng)이고, 두 번째는 주거 비용을 포함한 모든 부채 상환액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후순위 비율(Back-end Ratioeng)이다.[1]

3. 1. 선순위 DTI (Front-end Ratio)

DTI는 보통 선순위 비율과 후순위 비율을 함께 묶어 '선순위 비율/후순위 비율'(예: 28/36)과 같이 표기한다.

첫 번째 숫자인 선순위 비율(Front-end Ratio)은 주거 관련 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임차인의 경우 월 임대료가 해당하며, 주택 소유자의 경우 PITI(주택 담보 대출 원금 및 이자, 모기지 보험료, 재해 보험료, 재산세, 주택 소유주 협회 회비 등)가 주거 비용으로 계산된다.[1]

3. 2. 후순위 DTI (Back-end Ratio)

후순위 비율은 소득에서 주거 관련 비용(PITI 등 선순위 DTI 항목)을 포함한 모든 정기적인 부채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1] 여기에는 신용 카드 결제금액, 자동차 대출 상환금, 학자금 대출 상환금, 자녀 양육비, 위자료, 법적 판결에 따른 부채 등이 모두 포함된다.[1] 일반적으로 DTI는 '선순위 비율/후순위 비율'(예: 28/36)과 같이 두 가지 비율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4. 국가별 DTI 규제 현황

총부채 상환 비율(DTI)은 여러 국가에서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결정하고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규제 지표로 활용된다. 각 국가는 자국의 경제 상황과 부동산 시장 특성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DTI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기준과 적용 방식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상세한 국가별 규제 현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루어진다.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DTI 규제는 시장 상황과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계산법 : (해당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부채의 연간 이자 상환액) / 연소득 * 100

4. 1. 1. 도입 배경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2005년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도입 당시에는 투기지역에 한해서만 40%의 비율로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부동산 투기가 과열 양상을 보이자,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의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DTI 규제를 확대 적용하였다.

이후 2009년 9월 7일부터는 DTI 규제가 더욱 확대되었다. 은행권 담보대출 금액이 5000만을 넘는 경우,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는 50%, 인천경기 지역은 60%로 DTI 비율이 설정되었다.

2014년 박근혜 정부의 최경환 당시 경제부총리는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초이노믹스의 일환으로 DTI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8년 1월 31일부터는 새로운 총부채상환비율, 이른바 신(新)DTI 제도가 시행되었다. 신DTI는 기존의 DTI 비율 60%를 50%로 낮추면서도, 서민과 실수요자에 대해서는 60% 비율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실수요가 아닌 투기적 수요(가수요)와 관련된 대출을 줄여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

4. 1. 2. 규제 변화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2005년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도입했다. 도입 당시에는 투기지역에 한해 40% 비율이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부동산 투기 과열에 대응하여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의 주택담보대출에도 DTI 규제가 확대 적용되었다. 이후 2009년 9월 7일부터는 규제가 더욱 확대되어, 은행권 담보대출 금액이 5000만을 넘는 경우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는 50%, 인천경기도 지역은 60%의 DTI 비율이 설정되었다.

2014년, 박근혜 정부의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초이노믹스 정책의 일환으로 DTI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을 추진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2018년 1월 31일부터 새로운 총부채상환비율(신DTI) 제도를 시행했다. 이 제도는 기존 DTI 비율을 60%에서 50%로 10%p 낮추어 적용하되, 서민과 실수요자에 대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60% 비율을 유지하도록 했다. 이는 실수요가 아닌 투기적 수요(가수요)와 관련된 대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계산법 : (해당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부채의 연간 이자 상환액) / 연소득 * 100

4. 2. 미국

미국에서는 총부채 상환 비율(Debt-to-Income ratio, DTI)이 주택 담보 대출 승인 과정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DTI는 대출 신청자의 월 소득 대비 월별 부채 상환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미국의 주택 담보 대출은 크게 적격 대출(Conforming Loans)과 비적격 대출(Nonconforming Loans)로 나뉘며, 각 유형에 따라 적용되는 DTI 기준과 규제가 다르다. 적격 대출은 주로 정부 기관이나 정부 후원 기업이 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대출이며, 비적격 대출은 이러한 기준을 벗어나는 대출을 의미한다.

4. 2. 1. 적격 대출 (Conforming Loans)

(주거비용 / 총부채 또는 단일 총부채)비고일반 적격 대출28 / 36신용 점수 및 예비 자금 요건 충족 시 총부채 비율 한도가 최대 45%까지 상향될 수 있다.[2]연방 주택청(FHA) 대출31 / 43FHA의 에너지 효율적인 주택 담보 대출 프로그램 이용 시, 33 / 45의 확장된 비율이 적용된다.[3][4]재향 군인 주택 대출(VA) 대출41 (단일 총부채)VA는 단일 총부채 비율만을 고려한다.[5]미국 농무부(USDA) 대출29 / 41[6]


4. 2. 2. 비적격 대출 (Nonconforming Loans)

2000년대에는 비적격 대출에 대해 최대 55%의 후순위 비율 제한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는 금융 산업이 부동산 거품에 의해 촉진된 혁신적인 조건과 메커니즘을 통해 더 완화된 신용을 실험한 결과였다. 주택 담보 대출 사업은 전통적인 주택 담보 대출 은행 산업과 경쟁할 정도로 성장한 섀도우 뱅킹 시스템의 대출 유입으로 인해 변화를 겪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시장 조정을 초래하여 많은 차용인에 대한 이러한 제한을 다시 하향 조정했는데, 이는 신용 거품의 완화 이후 예측 가능한 신용 긴축을 반영한 것이다. 위험한 비율을 포함하는 창의적인 금융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오늘날에는 더 엄격하고 합리적인 고객 자격으로 부여된다.

4. 3. 영국

잉글랜드 은행은 2014년 6월 26일부터 급등하는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소득 대비 부채 비율 상한선을 4.5배로 설정했다. 이는 소비자의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연간 소득의 4.5배를 넘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이전에는 은행들이 자체적인 내부 기준에 따라 채무 불이행 위험을 평가했지만, 2007-2008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주택 시장의 불안정성이 다른 금융 시장으로 확산될 위험이 크다고 판단하여 이러한 규제를 도입하게 되었다.[8]

4. 4. 캐나다

바니에 가족 연구소는 부채 대비 소득을 총 가구 부채 대비 순소득으로 측정한다. 이는 일반적인 총부채 상환 비율(DTI)처럼 부채 상환액이 아닌, 현금 흐름(연간 세후 소득)을 정적인 수치(누적 부채)와 비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연구소는 2010년 2월 17일 보고서를 통해, 평균적인 캐나다 가구가 10만캐나다 달러의 부채를 지고 있으며, 이는 세후 순소득 대비 150%에 달하는 비율이라고 밝혔다.

5. DTI 규제의 장단점

DTI 규제는 무분별한 대출 증가를 막아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방지하고 금융위기 가능성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득 증빙이 어려운 자영업자나 정기 소득이 없는 은퇴자 등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여 실제 상환 능력이 있는 사람들의 자금 융통을 막고 경기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단점도 지닌다.

5. 1. 장점

만약 DTI 규제가 없다면, 금융기관대출을 제한 없이 늘릴 수 있다. 이는 개인의 부채 상환 능력을 넘어서는 대출로 이어져 결국 원금과 이자 상환 불능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실 대출 증가는 금융기관파산 위험을 높이고, 나아가 사회 전체의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으므로 DTI와 같은 대출 규제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

5. 2. 단점

총부채 상환 비율(DTI) 규제는 소득을 적게 신고한 자영업자나, 다른 재산이 있어 상환 능력은 갖추었지만 정기적인 소득이 없는 은퇴자 등에게는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DTI만을 기준으로 대출을 제한하면 실제로는 상환 능력이 있는 사람들마저 돈을 빌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자금의 유통을 줄여 경기 위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alyzing Your Debt to Income Ratio https://web.archive.[...] About.com 2006-04-11
[2] 웹사이트 Fannie Mae Selling Guide https://selling-guid[...]
[3] 서적 Real Estate Finance Dearborn Press
[4] 간행물 MORTGAGEE LETTER 2005-16 http://portal.hud.go[...]
[5] 웹사이트 Debt-To-Income Ratio: Does it Make Any Difference to VA Loans? https://blogs.va.gov[...] 2012-04-03
[6] 웹사이트 DTI Requirements for USDA Loans https://www.usdaloan[...]
[7] 웹사이트 A Six Figure Family Day https://web.archive.[...] Vanier Institute of the Family 2011-02-18
[8] 뉴스 Reuters https://web.archive.[...]
[9] 뉴스 (DTI·LTV 완화 2년의 궤적②)봇물터진 주택공급..집단대출 폭탄 불렀다 https://news.v.daum.[...] 헤럴드경제 2016-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