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화선은 2002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로, 조선 후기 화가 장승업의 일생을 다룬 작품이다. 장승업이 자신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는 일본 미술 애호가를 의심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그의 어린 시절, 방황, 고뇌,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성장을 그린다. 최민식이 장승업 역을 맡았으며, 2002년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화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지옥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지옥변》은 천재 화가 요시히데가 지옥도 병풍을 제작하며 딸을 희생하는 비극을 통해 예술과 삶, 권력과 예술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미디어로 각색되어 재해석되고 있다. - 화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사임당, 빛의 일기
사임당의 삶을 재해석한 SBS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는 이영애가 신사임당과 서지윤, 1인 2역을 맡아 금강산도에 얽힌 비밀을 풀어나가며, 송승헌이 이겸 역을 맡아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사임당의 예술혼과 사랑을 그린다.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취화선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임권택 |
제작 | 이태원 |
각본 | 임권택 도올 민병삼 |
출연 | 최민식 안성기 |
음악 | 김영동 |
촬영 | 정일성 |
편집 | 박선덕 |
배급 | 시네마 서비스 |
개봉일 | 2002년 5월 10일 |
상영 시간 | 117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흥행 수입 | $690만 |
추가 정보 | |
제작 회사 | 태흥영화 |
수입 | 60억 원 |
개봉일 (프랑스) | 2002년 5월 25일 (CIFF) |
개봉일 (일본) | 2004년 12월 18일 |
2. 줄거리
이 영화는 조선 후기 화가 장승업의 일생을 그린 작품이다.
2. 1. 시놉시스
한 한국인 화가가 자신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는 일본 미술 애호가를 의심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후 이야기는 그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림에 재능이 있는 부랑자로 시작한 그는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모방하는 재능은 있었지만,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하라는 격려를 받는다. 이 과정은 고통스러웠으며, 그는 종종 술에 취하고 자신을 걱정하고 도와주려는 사람들에게 적대적으로 행동하는 등 매우 나쁜 행실을 보였다.이러한 사건들은 한국의 개혁 투쟁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한국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 놓여 있었으며(1910년 일본에 병합되었지만, 영화의 시간적 배경에는 포함되지 않음), 그러한 격변의 시대 속에서 그의 고뇌는 더욱 깊어진다.
이 영화는 조선 후기 화가 장승업의 일생을 그린 작품이다.
2. 2. 상세 줄거리
이야기는 한 한국인 화가가 자신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는 일본 미술 애호가를 의심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후 이야기는 그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림에 재능이 있는 부랑자로 시작한 그는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모방하는 재능은 있지만,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하라는 격려를 받는다. 이 과정은 고통스러우며, 그는 종종 술에 취하고 자신을 걱정하고 도와주려는 사람들에게 적대적으로 행동하는 등 매우 나쁜 행실을 보인다.이러한 사건들은 한국의 개혁 투쟁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한국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 놓여 있으며(1910년 일본에 병합되었지만, 영화의 시간적 배경에는 포함되지 않음), 그러한 격변의 시대 속에서 그의 고뇌가 더욱 깊어진다. 장승업의 일생을 그린 작품이다.[1]
3.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
장승업 | 최민식 |
매향 | 유호정 |
김병문 | 안성기 |
진홍 | 김여진 |
소운 | 손예진 |
이응헌 | 한명구 |
10대 시절 장승업 | 정태우 |
어린 시절 장승업 | 최종성 |
그림소장자 집 집사 | 박철민 |
고관 | 김홍준 |
조병갑 | 김응수 |
소운 신랑 | 권오현 |
유숙 | 기정수 |
판쇠 | 황춘하 |
팽만관 | 안병경 |
김병문 부인 | 이금주 |
송헌 | 이정헌 |
장황사 주인 | 민경진 |
중개상 | 권태원 |
과천댁 | 홍경연 |
장황사 1 | 장남열 |
고씨 | 박길수 |
변원규 | 이윤건 |
중인 1 | 임진택 |
중인 2 | 박재형 |
중인 3 | 하덕성 |
김참판 | 이성호 |
가마터 주인 | 이석구 |
지전 주인 | 유일문 |
안중식 | 김민수 |
지방 기생 | 문경희 |
곽성민 | 박지일 |
기생 | 윤진서 |
코마코 상임감사 (특별출연) | 임금택 |
치과의사 (특별출연) | 김재찬 |
변호사 (특별출연) | 홍승기 |
경향신문 문화부 기자 (특별출연) | 배장수 |
특별출연 | 허문영 |
3. 1. 주연
- 최민식 : 장승업 역
- 유호정 : 매향 역
- 안성기 : 김병문 역
- 김여진 : 진홍 역
- 손예진 : 소운 역
- 한명구 : 이응헌 역
- 정태우 : 장승업 (10대 시절) 역
- 최종성 : 장승업 (어린 시절) 역
- 박철민 : 그림소장자 집 집사 역
- 김홍준 : 고관 역
- 김응수 : 조병갑 역
- 권오현 : 소운 신랑 역
- 기정수 : 유숙 역
- 황춘하 : 판쇠 역
- 안병경 : 팽만관 역
- 이금주 : 김병문 부인 역
- 이정헌 : 송헌 역
- 민경진 : 장황사 주인 역
- 권태원 : 중개상 역
- 홍경연 : 과천댁 역
- 장남열 : 장황사 1 역
- 박길수 : 고씨 역
- 이윤건 : 변원규 역
- 임진택 : 중인 1 역
- 박재형 : 중인 2 역
- 하덕성 : 중인 3 역
- 이성호 : 김참판 역
- 이석구 : 가마터 주인 역
- 유일문 : 지전 주인 역
- 김민수 : 안중식 역
- 문경희 : 지방 기생 역
- 박지일 : 곽성민 역
- 윤진서 : 기생 역
- 임금택 : 코마코 상임감사 역 (특별출연)
- 김재찬 : 치과의사 역 (특별출연)
- 홍승기 : 변호사 역 (특별출연)
- 배장수 : 경향신문 문화부 기자 역 (특별출연)
- 허문영 (특별출연)
3. 2. 조연
- 안성기 : 김병문 역
- 유호정 : 매향 역
- 김여진 : 진홍 역
- 손예진 : 소운 역
- 한명구 : 이응헌 역
- 정태우 : 장승업 (10대 시절) 역
- 최종성 : 장승업 (어린 시절) 역
- 박철민 : 그림소장자 집 집사 역
- 김홍준 : 고관 역
- 김응수 : 조병갑 역
- 권오현 : 소운 신랑 역
- 기정수 : 유숙 역
- 황춘하 : 판쇠 역
- 안병경 : 팽만관 역
- 이금주 : 김병문 부인 역
- 이정헌 : 송헌 역
- 민경진 : 장황사 주인 역
- 권태원 : 중개상 역
- 홍경연 : 과천댁 역
- 장남열 : 장황사 1 역
- 박길수 : 고씨 역
- 이윤건 : 변원규 역
- 임진택 : 중인 1 역
- 박재형 : 중인 2 역
- 하덕성 : 중인 3 역
- 이성호 : 김참판 역
- 이석구 : 가마터 주인 역
- 유일문 : 지전 주인 역
- 김민수 : 안중식 역
- 문경희 : 지방 기생 역
- 박지일 : 곽성민 역
- 윤진서 : 기생 역
- 임금택 : 코마코 상임감사 역 (특별출연)
- 김재찬 : 치과의사 역 (특별출연)
- 홍승기 : 변호사 역 (특별출연)
- 배장수 : 경향신문 문화부 기자 역 (특별출연)
- 허문영 (특별출연)
3. 3. 특별출연
4. 제작진
분야 | 이름 |
---|---|
감독 | 임권택 |
기획, 제작 | 이태온 |
각본 | 임권택, 김영옥 |
원작 | 민병상 |
촬영 | 정일성 |
편집 | 박순덕 |
음악 | 김영동 |
의상(디자인) | 리혜란 |
5. 수상 내역
영화제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칸 영화제 | 감독상 | 임권택 | 수상[3] |
청룡영화상 | 최우수 작품상 | 취화선 | 수상[2] |
최우수 감독상 | 임권택 | 수상 |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
벨기에 영화평론가 협회 | 그랑프리 | 임권택 | 수상[4]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여우조연상 | 김여진 | 수상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제49회 칸 국제광고제 | 필름·이벤트·프로모션 부문 | 은상 |
- 2020년, ''가디언'' 선정 현대 한국 영화 고전 중 13위[5]
5. 1. 후보
Chihwaseon영어은 여러 영화제에서 다양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청룡영화상에서는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촬영상을 수상했다.[2] 칸 영화제에서는 임권택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했다.[3] 벨기에 영화평론가 협회에서는 그랑프리를 수상했다.[4]영화제 | 부문 | 후보 | 결과 |
---|---|---|---|
제23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 최민식 | 후보 |
여우조연상 | 김여진 | 후보 | |
제55회 칸 영화제 | 황금종려상 | 임권택 | 후보 |
카메라이미지 | 황금 개구리상 | 정일성 | 후보 |
제28회 세자르 영화상 | 외국어 영화상 | Chihwaseon영어 | 후보 |
시카고 국제 영화제 | 골든 휴고상 | 임권택 | 후보 |
6. 평가
Chihwaseon영어은 여러 영화 시상식에서 상을 받거나 후보로 지명되었다.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23회 청룡영화상 | 최우수 작품상 | 취화선 | 수상 [2] |
최우수 감독상 | 임권택 | 수상 | |
남우주연상 | 최민식 | 후보 | |
여우조연상 | 김여진 | 후보 |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
제55회 칸 영화제 | 황금종려상 | 임권택 | 후보 |
감독상 | 임권택 | 수상 [3] | |
벨기에 영화평론가 협회 | 그랑프리 | 임권택 | 수상 [4] |
카메라이미지 | 황금 개구리상 | 정일성 | 후보 |
제28회 세자르 영화상 | 외국어 영화상 | 취화선 | 후보 |
제3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여우조연상 | 김여진 | 수상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
시카고 국제 영화제 | 골든 휴고상 | 임권택 | 후보 |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촬영상 | 정일성 | 수상 |
2020년, 영국의 가디언지는 이 영화를 현대 한국 영화 고전 중 13위로 선정했다.[5]
7. 기타
장편 영화가 칸 영화제에서 수상한 것은 한국 영화 사상 최초이다.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김영옥 교수가 각색을 맡았다.[6]
참조
[1]
웹사이트
Chihwaseon (2003) - Box Office Mojo
https://boxofficemoj[...]
2020-02-19
[2]
웹사이트
Awards for Chihwaseon (2002)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7-11-01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Chi-hwa-seon
http://www.festival-[...]
2009-10-24
[4]
뉴스
Kim Ki-duk, Grand Prix de l'UCC
http://www.lalibre.b[...]
2012-10-21
[5]
웹사이트
Classics of modern South Korean cinema – ranked!
https://www.theguard[...]
2020-02-13
[6]
웹사이트
CINEMA COREA
http://cinemakorea.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