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과용 시멘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과용 시멘트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로, 구성 성분에 따라 수성 산-염기 시멘트, 비수성/유성 산-염기 시멘트, 레진 기반 시멘트로 분류된다. 인산 아연 시멘트, 산화아연유지놀 시멘트,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레진 시멘트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임상 적용 분야가 다르다. 치과용 시멘트는 크라운, 브릿지, 인레이, 온레이 등 다양한 보철물의 접착과 임시 수복, 치수 보호 등에 사용되며, 생체 적합성, 변연 밀봉, 강도 등의 이상적인 성질을 가져야 한다. 일부 시멘트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보존학 - 충치
    충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락토바실러스 등의 원인균과 식이 습관, 구강 위생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치아 법랑질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올바른 칫솔질과 식습관 조절,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치과보존학 - 근관 치료
    근관 치료는 감염된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근관을 밀폐하여 치아 기능을 보존하는 치과 시술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무균 환경 유지가 중요하며, 마취부터 최종 수복까지의 단계로 진행된다.
  • 치과재료학 - 알긴산
    알긴산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선형 공중합체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증점제, 겔화제 등으로 사용되며 방사성 스트론튬 배출에도 효과가 있다.
  • 치과재료학 - 덴탈임플란트
    덴탈임플란트는 티타늄 재질의 인공 치아 뿌리를 턱뼈에 심어 치아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하는 치료 방법으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안정성과 저작력을 제공하며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지만, 외과 수술 위험, 시술 후 관리, 비용,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치과용 시멘트
개요
종류접착제
용도치아 또는 치과 재료를 치아 구조에 접착하는 데 사용
충전재, 크라운, 브릿지, 교정 장치 등의 유지
성분
주성분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레진
특징
장점생체 적합성 우수
적절한 강도
화학적 결합
단점낮은 인장 강도
수분 민감성
종류별 상세 정보
인산 아연 시멘트분말-액체 혼합형
높은 압축 강도
낮은 pH로 인한 초기 자극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불소 방출
화학적 접착
수분 민감성
레진 시멘트우수한 접착력
다양한 색조 제공
복잡한 사용 과정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치아 구조와의 화학적 결합
낮은 강도
짧은 작업 시간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진정 효과
낮은 강도
임시 충전재로 사용
칼슘-실리케이트 시멘트높은 생체 적합성
치수 보호
근관 치료에 사용

2. 치과용 시멘트의 종류

치과용 시멘트는 구성 성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수성 산-염기 시멘트: 인산 아연,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GIC) 시멘트가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금속 산화물 또는 규산염 충전재가 염 매트릭스에 포함된 형태이다.
  • 비수성/유성 산-염기 시멘트: 산화 아연 유제놀과 비유제놀 산화 아연 시멘트가 있으며, 금속 산화물 충전재가 금속 염 매트릭스에 포함되어 있다.
  • 레진 기반 시멘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레진 시멘트가 있으며, 유기 레진 매트릭스에 규산염 또는 기타 충전재가 포함된 최신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도 이 범주에 속한다.


시멘트는 매트릭스 유형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 인산염(인산 아연, 실리코인산염)
  • 폴리카르복실산염(폴리카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 페놀레이트(산화 아연 유제놀 및 에톡시벤조산)
  • 레진(고분자)


사용 시간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시멘트 (인산 아연,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산화 아연 유제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 현대적인 시멘트 (레진 시멘트,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2. 1. 인산아연 시멘트 (ZPC)

인산아연 시멘트(Zinc phosphate cement, ZPC)는 오랫동안 치과에서 사용된 가장 대중적인 재료이다. 주로 인레이, 금관, 계속가공의치, 교정용 밴드 및 다른 구강 장치의 접착에 사용된다. 긴 수명을 가져 영구 접착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아질과 비슷한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조성과 반응: 산화아연과 인산산·염기 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경화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 성질: 다른 시멘트에 비해 강도가 높고 용해도는 낮다. 혼합판을 차갑게 하여 혼합하면 작업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초기에는 PH가 낮기 때문에 치수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치수 보호를 위해 이장재(Liner)나 바니쉬(Varnish)를 도포한 후 시멘트를 사용한다.[10]

아말감은 치아 조직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언더컷, 슬롯 및 홈 형태의 기계적 유지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와동 형성 후 이러한 유지 기능을 제공하기에 치아 조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말감을 와동 내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산 아연 시멘트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이 기술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접착 특성으로 인해 복합 레진이 선호되는 재료가 되었다.[3]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크라운
금속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금속 도재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3/4 크라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브릿지
일반형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인레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온레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포스트 앤 코어
금속 포스트비접착성 시멘트 (레진 시멘트 제외)



인산아연 시멘트는 치과 시장에 처음 등장한 치과용 시멘트이며, 다른 치과용 시멘트의 "표준"으로 여겨진다.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적용할 때 매우 높은 압축 강도, 평균 인장 강도 및 적절한 필름 두께를 나타낸다. 그러나 임상적 사용과 관련된 문제는 구강 환경에서 적용 시 초기 pH가 낮다는 점(치수 자극과 관련됨)과 시멘트가 치아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점은 이 재료의 장기적인 성공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10]

과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접착제로 알려진 인산아연 시멘트는 영구 접착에 성공적으로 사용된다. 충치 예방 효과는 없으며, 치아 구조에 부착되지 않고, 구강 내에서 중간 정도의 용해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인산아연 시멘트는 신경 치수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치수 보호가 필요하다. 하지만 보다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시멘트인 폴리카복실산 시멘트(아연 폴리카복실산 또는 글래스 아이오노머)의 사용을 강력히 권장한다.[11]

2. 2. 산화아연유지놀 시멘트 (ZOE)

산화아연유지놀 시멘트(Zinc oxide eugenol cement, ZOE)는 생체친화성이 좋으며, 치수 진통과 치수 보호 또는 진정이 필요할 때 동통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인다. 수복물의 임시 시멘트(임시 접착제), 임시 충전 시 주로 이용되고 인상재나 치주 처치제로도 사용된다. 유지놀은 알러지 유발성이 있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 자극성이 있을 수 있다.(혼합 전 원액)[3]

복합 레진 및 아말감 수복물과 달리, 치과용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임시 수복 재료로 사용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교합력을 견디지 못하는 감소된 기계적 특성 때문이다.[3]

와동이 치수강에 근접했을 때, 최종 수복물로부터의 절연 수단으로 베이스 또는 라이너를 위치시켜 치수를 추가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산화 아연 유제놀이 사용될 수 있다.

치수 복조는 치아가 충치 또는 와동 형성으로 인해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될 경우 치수강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산화아연유지놀 시멘트의 임상 적용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임시 크라운, 임시 브릿지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


2. 3.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IC)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 GIC)는 실리케이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의 복합형태로서 불소를 유리하고 치질에 접착된다. 치경부 수복, 유치 수복, 치면열구전색제, 치관부 코어축조, 와동 이장, 수복물 접착 등 다양한 범위에서 사용된다. 불소 유리에 의한 항우식 작용이 있다.[3]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와 함께 접착 시멘트로도 사용된다.[3]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크라운글래스 아이오노머
브릿지글래스 아이오노머
인레이글래스 아이오노머
온레이글래스 아이오노머
교정용 구치 밴드글래스 아이오노머


2. 4.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 레진을 첨가한 형태이다. 이는 결합 강도, 인장 강도, 압축 강도를 높이고 용해도를 낮춰 기존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단점을 보완한다. 또한, 불소를 방출하는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3]

아말감을 와동 내에 유지하기 위해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역사적으로 인산 아연 시멘트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사용되었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는 접착 특성 때문에 복합 레진이 선호되었다. 접착 아말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레진 시멘트는 RMGIC와 이중 경화 레진 기반 복합 레진이다.[3]

와동이 치수강에 가까울 때, 치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이너와 베이스 재료로도 RMGIC가 사용된다.

RMGIC는 크라운, 브릿지 등의 고정성 보철물을 접착하는 데 사용되는 접착 시멘트로도 사용된다.

다음은 임상 적용에 따른 시멘트 유형을 나타낸 표이다.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크라운
금속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금속 도재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3/4 크라운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브릿지
일반형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인레이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온레이인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2. 5. 레진 시멘트

레진 시멘트는 인레이, 금관 및 가공의치 보철물, 교정용 브라켓, 심미수복재의 접착에 사용된다.[15] 메타크릴레이트계 시멘트는 용해도가 낮고 물에 잘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며 치수에 유해 자극을 줄 수 있어 GI 계열의 베이스가 필요하다.[15] 1980년대 중반부터 접착 특성으로 인해 복합 레진이 선호되는 재료가 되었다.[3] 접착 아말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레진 시멘트는 RMGIC와 이중 경화 레진 기반 복합 레진이다.[3]

레진 기반 복합재인 레진 시멘트는 간접 수복물, 특히 레진 접착 브릿지 및 세라믹 또는 간접 복합 수복물을 치아 조직에 영구적으로 접착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치아에 접착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지만, 치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자가 부식 제품도 있다.[8]

레진 기반 시멘트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8]

  • 광중합형 - 경화를 완료하려면 경화 램프가 필요하다.
  • 이중 중합형(듀얼 큐어) - 수복물 가장자리에서 광중합될 수 있지만, 경화 램프가 침투할 수 없는 부위에서는 화학적으로 경화된다.
  • 자가 부식형 - 치아 표면을 부식시키며 중간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다.


레진 시멘트는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된다.[8]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크라운
금속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금속 도재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올 세라믹레진 시멘트
3/4 크라운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브릿지
일반형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레진 접착형레진 시멘트
비니어레진 시멘트
인레이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온레이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포스트 앤 코어
섬유 포스트레진 시멘트
교정용 브라켓레진 시멘트


2. 6.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시멘트

폴리카르복실산 아यन 시멘트는 1968년에 개발되었으며, 치아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최초의 시멘트였다.[10] 폴리 아크릴산 분자의 크기가 커서 치수 자극이 거의 없다.[10] 이 시멘트는 크라운, 브릿지, 인레이, 온레이 및 교정 장치 설치에 사용된다.[10]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는 킬레이션 반응을 통해 법랑질과 상아질에 부착된다.
구성 성분

분말액체


장점과 단점

장점단점


3. 치과용 시멘트의 이상적인 성질

인산 아연 시멘트는 드물게 초기 산 통증(부적절한 분말/액체 비율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알레르기 가능성이 낮은 가장 생체 적합적인 재료로 간주된다.[4]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멘트는 폴리아크릴산 (PAA)의 특성으로 인해 가장 민감한 유형으로 간주된다.[4]

이상적인 치과용 시멘트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져야 한다.


  • 2차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항균 특성을 지녀야 한다.[4]
  • 변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좋은 변연(세균 밀착) 밀봉을 제공해야 한다.[4]
  • 타액 또는 기타 구강액에서 용해에 강해야 한다. 재보철의 주요 원인은 수복물 변연에서 시멘트가 용해되는 것이기 때문이다.[4]
  • 수복물-치아 계면에서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인장, 전단 및 압축 강도를 지녀야 한다.[4]
  • 높은 압축 강도 (ISO 9917-1에 따라 최소 50 마이크론)를 지녀야 한다.[4]
  • 적절한 작업 및 경화 시간을 가져야 한다.[4]
  • 좋은 심미성을 지녀야 한다.[4]
  • 금속 수복물 아래의 라이너로서 좋은 단열 특성을 지녀야 한다.[4]
  • 방사선 사진 촬영 시 진단 목적으로 불투명도를 지녀야 한다.[4]
  • 낮은 필름 두께(ISO 9917-1에 따라 최대 25 마이크론)를 가져야 한다.[4]
  • 낮은 알레르기 가능성과 낮은 수축을 보여야 한다.[4]
  • 유지력은 시멘트와 수복 재료 사이에 접착 결합이 발생하면 크게 향상되며, 그렇지 않으면 유지는 치아 형성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4]

4. 시멘트 기반

치과용 시멘트는 구성 성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수성 산-염기 시멘트: 인산 아연(Zn3(PO4)2),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GIC) 시멘트가 있으며, 금속 산화물 또는 규산염 충전재가 염 매트릭스에 포함되어 있다.
  • 비수성/유성 산-염기 시멘트: 산화 아연 유제놀과 비유제놀 산화 아연 시멘트가 있으며, 금속 산화물 충전재가 금속 염 매트릭스에 포함되어 있다.
  • 레진 기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레진 시멘트가 있으며, 유기 레진 매트릭스에 규산염 또는 기타 유형의 충전재가 포함된 최신 세대의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가 포함된다.


또한, 매트릭스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인산염(인산 아연, 실리코인산염)
  • 폴리카르복실산염(폴리카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 페놀레이트(산화 아연 유제놀 및 에톡시벤조산)
  • 레진(고분자)


사용 시간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시멘트 (인산 아연,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산화 아연 유제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 현대적인 시멘트 (레진 시멘트,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인산 아연 시멘트는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가지며, 드물게 초기 산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알레르기 가능성이 낮은 재료로 간주된다.[4]

4. 1. 인산 기반 시멘트

인산 아연 시멘트(Zinc phosphate cement, ZPC)는 오랫동안 치과에서 사용된 가장 대중적인 재료 중 하나이다. 주로 인레이, 금관, 계속가공의치, 교정용 밴드 및 다른 구강 장치의 접착에 사용된다. 긴 수명을 가져 영구 접착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아질과 비슷한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4]

  • 조성 및 반응: 산화아연과 인산의 산·염기 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경화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 성질: 다른 시멘트에 비해 강도가 높고 용해도는 낮다. 혼합판을 차갑게 하여 혼합하면 작업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초기에는 pH가 낮기 때문에 치수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치수 보호를 위해 이장재(Liner)나 바니쉬(Varnish)를 도포한 후 시멘트를 사용한다.


인산 아연 시멘트는 드물게 초기 산 통증(부적절한 분말/액체 비율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알레르기 가능성이 낮은, 가장 생체 적합적인 재료로 간주된다.[4]

인산 기반 시멘트
종류조성경화 반응
인산아연 시멘트3ZnO + 2H3PO4 + H2O → Zn3(PO4)2·4H2O
규산인산염 시멘트(구식)분말(산화아연 및 알루미노규산염 유리 혼합물)과 액체(완충제가 포함된 인산 수용액)로 제공인산아연 및 인산알루미늄 매트릭스에 둘러싸인 미반응 산화아연 및 유리 입자 코어를 형성
구리 시멘트분말(산화아연 및 구리 이온)과 액체(인산 수용액)로 제공인산아연과 동일



시멘트 비교
시멘트 유형브랜드
(제조사)
적응증금기증장점단점
인산 아연
구리 시멘트


4. 2. 유기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기반 시멘트

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ZOE)는 생체 친화성이 좋고, 치수 진통 및 치수 보호 효과가 있어 통증 완화에 사용된다. 임시 시멘트, 임시 충전, 인상재, 치주 처치제 등으로 활용된다. 유제놀은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있어 조직과 직접 접촉 시 자극적일 수 있다.[4]

종류구성경화 반응장점단점적용
산화 아연/유제놀 시멘트두 개의 페이스트 또는 분말(산화 아연)과 액체(아세트산 아연, 유제놀, 올리브 오일) 형태수분 없이 두 개의 유제놀 분자와 하나의 아연 이온이 천천히 킬레이션 반응하여 유제놀 아연 형성. 수분 존재 시 경화 가속.자유 유제놀로 인한 살균 효과주로 아말감 수복물 아래에 라이닝 재료로 사용
오르토-에톡시벤조산(EBA) 시멘트분말(주로 산화 아연 및 강화제: 석영과 수소화 로진)과 액체(o-에톡시벤조산 및 유제놀) 형태산화 아연/유제놀 재료와 유사인산 아연 시멘트보다 유지력 낮음주로 접착 시멘트
수산화 칼슘 시멘트킬레이트 화합물이 형성되며, 킬레이션은 주로 아연 이온에 의해 발생규산염 및 레진 기반 충전 재료 아래에 라이닝 재료로 사용


5. 치과용 시멘트의 임상 적용

치과용 시멘트는 다양한 종류만큼 그 사용 범위도 넓다. 주요 임상 적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임시 수복: 산화아연유지놀 시멘트(ZOE)는 치수 진정 효과가 있어 임시 충전에 사용된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는 불소 유리로 항우식 작용을 하여 임시 수복에 사용될 수 있다.
  • 접착 아말감 수복: 아말감 수복 시 유지력이 부족할 때 시멘트를 사용하여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 라이너 및 치수 보호: 와동이 깊어 치수에 가까울 때 치수를 보호하기 위해 시멘트를 사용한다.
  • 접착: 크라운, 브릿지 등 보철물을 치아에 접착할 때 사용된다.

5. 1. 임상 적용별 시멘트 유형

치과용 시멘트는 재료의 조성과 혼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은 치과 시술에서 시멘트의 주요 용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치과용 시멘트는 복합 레진 및 아말감 수복물과 달리 일반적으로 임시 수복 재료로 사용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교합력을 견디지 못하는 감소된 기계적 특성 때문이다.[3]

  •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IC)
  • 폴리카르복실산 아연 시멘트
  • 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
  •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아말감은 치아 조직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언더컷, 슬롯 및 홈 형태의 기계적 유지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와동 형성 후 이러한 유지 기능을 제공하기에 치아 조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말감을 와동 내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산 아연 시멘트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이 기술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접착 특성으로 인해 복합 레진이 선호되는 재료가 되었다. 접착 아말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레진 시멘트는 RMGIC와 이중 경화 레진 기반 복합 레진이다.[3]

와동이 치수강에 근접했을 때, 최종 수복물로부터의 절연 수단으로 베이스 또는 라이너를 위치시켜 치수를 추가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좋다. 라이너와 베이스에 사용되는 시멘트에는 다음이 있다.

  • 산화 아연 유게놀
  • 폴리카복실산 아연
  •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치수 복조는 임상의가 치아가 충치 또는 와동 형성으로 인해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될 경우 치수강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간접 치수 복조는 미세 노출이 의심될 때 사용되며, 직접 치수 복조는 육안으로 노출된 치수에 적용된다. 치수 회복을 장려하기 위해, 수산화칼슘 시멘트와 같이 진정 효과가 있고 세포 독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착 재료는 크라운이나 브릿지와 같은 고정성 보철물을 접착하는 데 사용된다. 접착 시멘트는 수복용 시멘트와 유사한 조성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충전재가 적어 시멘트의 점도가 낮다.

  •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
  • 폴리카복실산 아연 시멘트
  • 산화 아연 유제놀 접착 시멘트


임상 적용사용되는 시멘트 유형
크라운
금속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금속 도재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올 세라믹레진 시멘트
임시 크라운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
3/4 크라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브릿지
일반형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레진 접착형레진 시멘트
임시 브릿지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
비니어레진 시멘트
인레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온레이인산 아연, 글라스 아이오노머, RMGI, 자가 중합 또는 이중 중합 레진 *
포스트 앤 코어
금속 포스트비접착성 시멘트 (레진 시멘트 제외)
섬유 포스트레진 시멘트
교정용 브라켓레진 시멘트
교정용 구치 밴드글라스 아이오노머, 폴리카복실산 아연, 복합 레진


6. 레진 기반 시멘트

레진 시멘트는 인레이, 금관 및 가공의치 보철물, 교정용 브라켓, 심미수복재의 접착에 사용된다. 분말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무기필러, 액체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메타크릴레이트계 시멘트는 용해도가 낮고 물에 잘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치수에 유해 자극을 줄 수 있어 GI 계열의 베이스가 필요하다.[15]

이 시멘트는 레진 기반 복합재이다. 간접 수복물, 특히 레진 접착 브릿지 및 세라믹 또는 간접 복합 수복물을 치아 조직에 영구적으로 접착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치아에 접착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지만, 치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제품(자가 부식 제품)도 있다.

레진 기반 시멘트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 광중합형 - 경화를 완료하려면 경화 램프가 필요하다.
  • 이중 중합형(듀얼 큐어) - 수복물 가장자리에서 광중합될 수 있지만, 경화 램프가 침투할 수 없는 부위에서는 화학적으로 경화된다.
  • 자가 부식형 - 치아 표면을 부식시키며 중간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다.


레진 시멘트는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된다.[8]

레진 시멘트의 기계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 파괴 인성: 열 순환은 RelyX Unicem 2와 G-CEM LinkAce를 제외한 모든 레진 기반 시멘트의 파괴 인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
  • 압축 강도: Variolink II를 제외한 모든 자동 혼합 레진 기반 시멘트는 수동 혼합 시멘트보다 압축 강도가 더 높다.[9]

7.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는 1968년에 발명되었으며 치아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처음으로 보인 시멘트라는 점에서 혁신적이었다. 폴리 아크릴산 분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사용 시 치수 자극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 시멘트는 크라운, 브릿지, 인레이, 온레이 및 교정 장치의 설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0]
구성


  • 분말 + 액체 반응
  • 산화 아연(분말) + 폴리(아크릴)산(액체) =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
  •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때때로 아연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아연 폴리알케노에이트라고도 한다.
  • 분말 성분에는 산화 아연, 플루오르화 주석, 산화 마그네슘, 실리카 및 알루미나도 포함된다.
  • 액체 성분에는 폴리(아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이 포함된다.

접착

  •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는 킬레이션 반응을 통해 법랑질과 상아질에 부착된다.

사용 적응증

  • 임시 수복물
  • 염증성 치수
  • 와동 바닥재
  • 크라운 접착[8]


아연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의 장단점
장점단점
치아 조직 또는 수복 재료에 결합혼합이 어려움
장기적인 내구성불투명
허용 가능한 기계적 특성특히 플루오르화 주석이 분말에 포함된 경우 구강 내에서 용해됨
비교적 저렴함조작이 어려움
길고 성공적인 사용 기록불분명한 셋팅


8. 인산아연 시멘트

인산아연 시멘트(Zinc phosphate cement, ZPC)는 오랫동안 치과에서 사용된 가장 대중적인 재료이다. 주로 인레이, 금관, 계속가공의치, 교정용 밴드 및 다른 구강 장치의 접착에 사용된다. 긴 수명을 가져 영구 접착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아질과 비슷한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산아연 시멘트는 치과 시장에 처음 등장한 치과용 시멘트이며, 다른 치과용 시멘트의 "표준"으로 여겨진다.[10]

; 구성


  • 인산 액체
  • 산화아연 분말


; 장점

  •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적용할 때 매우 높은 압축 강도, 평균 인장 강도 및 적절한 필름 두께를 나타낸다.[10]
  • 다른 시멘트에 비해 강도가 높고 용해도는 낮다.
  • 혼합판을 차갑게 하여 혼합하면 작업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 과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접착제로 알려져 영구 접착에 성공적으로 사용된다.[11]


; 단점

  • 초기에는 PH가 낮기 때문에 치수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치수 보호를 위해 이장재(Liner)나 바니쉬(Varnish)를 도포한 후 시멘트를 사용한다.[10]
  • 구강 환경에서 적용 시 초기 pH가 낮다는 점(치수 자극과 관련됨)과 시멘트가 치아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하지만 이 점은 이 재료의 장기적인 성공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10]
  • 충치 예방 효과는 없으며, 치아 구조에 부착되지 않고, 구강 내에서 중간 정도의 용해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인산아연 시멘트는 신경 치수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치수 보호가 필요하다.[11]


; 조성과 반응

: 산화아연과 인산의 산·염기 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경화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9. 치과용 시멘트의 금기 사항

치과용 충전재 및 교정 기구와 같은 치과 재료는 오랫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므로 생체 적합성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일부 치과용 시멘트는 구강 내의 다양한 조직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알레르기 반응에는 구내염/피부염, 두드러기, 부종, 발진비루가 포함된다. 이는 아나필락시스, 부종 및 심장 부정맥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 대한 소인을 높일 수 있다.[12]

유제놀은 인상 페이스트, 치주 드레싱, 시멘트, 충전재, 근관 충전재 및 드라이 소켓 드레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치과에서 널리 사용된다. 산화 아연 유제놀은 임시 수복 및 근관 충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이다.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비우식성으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제놀은 특정 환자에서 세포 독성이 있으며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12]

산화 아연 유제놀은 산화 아연과 유제놀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중합된 유제놀 시멘트를 형성한다. 경화 반응은 아연 유제놀레이트라는 최종 생성물을 생성하며, 이는 쉽게 가수분해되어 자유 유제놀을 생성하여 섬유아세포 및 파골 세포 유사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고농도에서는 국소적인 괴사와 치유 감소가 발생하며, 저농도에서는 접촉 피부염이 일반적인 임상 증상이다.[12]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은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협점막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연조직에 국한된다. 일반적으로 피부과 전문의가 실시하는 패치 테스트를 통해 이 질환을 진단한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산화 아연 유제놀 시멘트를 대체하여 (알레르겐을 제거) 환자들로부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12]

참조

[1] 뉴스 dental cement https://medical-dict[...] 2017-11-21
[2] 논문 Removable cranial windows for long-term imaging in awake mice 2014-11
[3] 서적 A clinical guide to applied dental material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2013
[4] 문서 Materials in Dentistry Second Edition Colombia 2001
[5] 논문 Antibacterial potential of contemporary dental luting cements https://pubmed.ncbi.[...] 2008
[6] 서적 Applied dental materials. Blackwell Pub 2008
[7] 웹사이트 ISO 4049: 2019 (en) Dentistry — Polymer-based restorative materials https://www.iso.org/[...] 2023-02-12
[8] 서적 A Clinical Guide to Applied Dental Materials Elsevier
[9]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resin-based cements with different dispensing and mixing methods 2018-06
[10] 웹사이트 An Overview of Permanent Cements {{!}} ID {{!}} aegisdentalnetwork.com https://www.aegisden[...] 2019-01-23
[11] 서적 McDonald and Avery's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2015-08-10
[12] 문서 Allergic Reac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Eugenol Containing Dental Cement in a Young Child Research Gate 2014-01
[13] 서적 임상치과재료학 2011
[14] 서적 치과재료학 2016
[15] 서적 치과보존학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