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탈임플란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탈 임플란트는 치아 결손을 대체하는 치료법으로, 고대부터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20세기 중반 브로네마크 교수의 연구를 통해 현대적인 기술이 발전했다. 덴탈 임플란트는 티타늄 또는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여 턱뼈에 고정하며, 단일 치아, 여러 치아, 또는 전체 치열의 결손을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치료 과정은 진단, 수술, 보철 단계로 진행되며, 뼈 이식, 연조직 이식 등의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덴탈 임플란트는 저작 기능 회복, 심미성 개선, 턱뼈 흡수 예방 등의 장점이 있지만, 높은 비용, 긴 치료 기간, 수술 위험, 철저한 관리의 필요성 등의 단점도 있다. 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며,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보철학 - 치과 보철학
    치과 보철학은 인공적인 보철물로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키는 치의학 분야로,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어 피에르 포샤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결손된 치아의 수와 상태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치과보철학 - 치과 보철물
    치과 보철물은 치아 결손이나 손상 부위를 인공적으로 대체하여 구강 기능 회복 및 심미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인공 대체물로, 국소의치, 총의치, 임플란트 의치, 악안면 보철 등을 포함하며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된다.
  • 치과재료학 - 알긴산
    알긴산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선형 공중합체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증점제, 겔화제 등으로 사용되며 방사성 스트론튬 배출에도 효과가 있다.
  • 치과재료학 - 수산화 칼슘
    수산화 칼슘은 생석회를 물과 반응시켜 제조하며, 석회 모르타르 제조, 수처리, 제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중화, pH 조절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고분자 구조의 무기 화합물이다.
덴탈임플란트
개요
"피크스처(임플란트체), 어버트먼트, 크라운"
정의
종류골내 임플란트(endosseous implant), 피크스처(fixture)
설명턱뼈에 삽입하는 외과적인 구성 요소
역사
연구5년 이상의 전향적 종단 연구에서 보고된 임플란트 치과학의 생물학적 및 기술적 합병증 발생률에 대한 체계적 검토
재료
재료티타늄, 지르코니아
시술
시술 과정ICD-9-23.5-23.6
장기 생존율
연구최소 5년 이상 무치악 하악에서 임플란트 고정 완전 치과 보철물의 임플란트 및 보철 생존율: 체계적 검토
합병증
종류임플란트 지원 고정식 치과 보철물(FDP)의 생존율과 합병증 발생률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평균 관찰 기간 5년 이상
장기적인 결과
연구티타늄 플라즈마 스프레이 표면을 가진 치과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결과: 부분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20년 전향적 사례 연구
연구비침수 치과 임플란트의 10~16년 추적 관찰을 통한 장기적인 임플란트 생존 및 성공
예측
연구치과 임플란트 생존 예측을 위한 환자의 통계적 요인 분석을 위한 신경망 시스템
연구지도 학습 기술을 사용한 치과 임플란트 실패 예측

2. 역사

임플란트 치료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고대 문명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현대적인 임플란트 치료는 20세기 중반 스웨덴의 정형외과 의사 페르 잉바르 브로네마크가 티타늄과 뼈의 골유착 현상을 발견하면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52년 브로네마크는 티타늄이 뼈와 결합하는 현상(osseointegration영어)을 발견하여, 뼈에 단단히 결합하는 임플란트 치료가 가능하게 했다.

1990년대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코팅한 임플란트가 등장했다. HA는 생체 성분과 유사하여 골 유도능(바이오 인테그레이션)이 기대된다. 일본에서도 재결정화 HA를 코팅한 임플란트가 개발되어 높은 결정도를 실현했다.

1991년에는 표면을 기계 연마하는 것보다 강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뼈와의 결합을 더욱 강화한다는 논문이 발표된 후, 각 회사에서 표면을 블라스트나 강산으로 처리하여 라프 서피스(미세 조잡 구조)를 만들게 되었다. 현재는 불소 코팅을 통해 골 전도와 석회화를 유도하여 치유를 빠르게 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94]

2005년에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가 일본에서 약사법상 인가를 받아[95] 임상 응용이 시작되면서 심미 치료의 폭이 넓어졌다.

2. 1. 고대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치아 결손을 임플란트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해왔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 고대 중국 유적(4000년 전)에서는 잃어버린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뼈에 박힌 대나무 못이 발견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의 2000년 전 유적에서는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유사한 모양의 못이 발견되었다. 일부 이집트 미라에서는 사람의 치아를 이식한 흔적이 발견되었고, 다른 경우에는 상아로 만든 치아가 발견되었다.[9][79][80]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630년 또는 그 이전에 단일 금 테두리를 사용하여 최초의 폰틱을 제작했다.[81][82] 1931년 윌슨 포페노와 그의 아내는 온두라스의 한 유적지(서기 600년)에서 세 개의 앞니가 조개 껍질 조각으로 대체된 어린 마야인 여성의 하악골을 발견했는데, 조개 껍질은 치아와 유사한 모양이었다.[83] 임플란트 두 개 주변의 뼈 성장과 치석 형성으로 보아 기능적일 뿐만 아니라 심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조각은 현재 하버드 대학교 피바디 고고학 민족학 박물관의 골학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9] [79]

2세기부터 3세기의 고대 로마 시대 인골에서는 상악골에 철제 임플란트가 묻힌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미 임플란트 치료가 시도되었음을 보여준다. 7세기마야 문명 유적에서 발굴된 20대 여성의 하악골에는 천연 발치 치아 2개와 조개로 만든 임플란트가 묻혀 있었는데,[92] 치석이 붙어 있고 주변에 골 형성이 엑스선 검사로 확인[92]된 점으로 미루어 꽤 오랫동안 기능했음을 알 수 있으며, 세계 최초로 실용에 견딜 수 있었던 임플란트로 여겨진다.

2. 2. 근대

20세기 초, 그린필드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을 가진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 1913년 그린필드의 임플란트는 이리듐 백금 임플란트로 금 크라운에 부착되었으며, 골유착의 증거를 보이며 수년간 지속되었다.[85] 이는 초기 성공적인 임플란트 사례 중 하나였다.

Greenfield의 바스켓: 성공적인 골내 임플란트의 가장 초창기 사례 중 하나는 Greenfield의 1913년 임플란트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초기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1940년 Bothe, Beaton 및 Davenport은 티타늄 나사에 뼈가 가깝게 자라고 추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관찰했다.[86] 이들은 페르 잉바르 브로네마크에 의해 골유착(osseointegration)이라고 명명된 현상을 처음으로 설명한 연구자들이었다. 1951년, Gottlieb Leventhal은 토끼에게 티타늄 막대를 이식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티타늄이 수술에 이상적인 금속이라고 믿게 되었다.[87]

2. 3. 현대

1950년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살아있는 유기체의 혈류를 연구하던 중, 연구자들은 티타늄 챔버를 제작하여 토끼 연조직에 삽입하였다. 1952년 스웨덴의 정형외과 의사 페르 잉바르 브로네마크는 뼈 치유와 재생에 관심을 갖고 룬드 대학교에서 연구하던 중, 이 챔버를 토끼의 대퇴골에 사용했다. 연구 후 챔버를 제거하려 했으나, 뼈가 티타늄에 매우 가깝게 자라나 사실상 금속에 부착된 것을 발견했다. 브로네마크는 이 현상을 "골유착"이라 명명하고, 동물과 인간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하여 티타늄의 독특한 특성을 확인했다.[88]

1965년, 브로네마크는 최초의 티타늄 덴탈 임플란트를 인간 지원자에게 식립했다.[46] 그는 지속적인 관찰이 더 쉽고, 일반 인구에 무치악증 환자가 많아 광범위한 연구를 위한 더 많은 대상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구강 내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1978년, 하버드 대학교와 미국 국립 보건원이 공동 주최한 첫 번째 덴탈 임플란트 합의 회의에서 덴탈 임플란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평가 기준과 표준이 확립되었다.[93] 1982년 토론토 회의에서 15년 예후의 증례가 보고되면서 북미를 중심으로 임플란트 치료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93]

이후 임플란트는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발전했다.

# 근관 형태 임플란트: 모든 용도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티타늄으로 만들어졌으며, 모양과 표면 질감이 다른 약 18가지 변형이 있다.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임플란트가 거친 표면을 가진 임플란트보다 치주염에 덜 취약하다는 제한적인 증거가 있지만, 특정 유형의 임플란트가 장기적으로 더 성공적이라는 증거는 없다.[90]

# 관골 임플란트: 뼈가 없을 때 완전한 상악 의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악동을 통과하여 관골에 고정할 수 있는 긴 임플란트이다. 상악의 심각한 골소실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지만, 골 이식보다 기능적으로 어떤 이점을 제공하는지는 입증되지 않았다.[91]

# 소구경 임플란트: 의치 유지 또는 치아 교정 앵커리지에 사용되는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로, 일체형 구조(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로 되어 있다.[18]

1952년 페르 잉바르 브로네마크 교수가 티타늄이 뼈와 결합하는 (골유착) 현상을 발견하여, 뼈에 단단히 결합하는 임플란트 치료가 가능해졌다.

1990년대에는 HA(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코팅한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 HA는 생체 성분과 유사하여 골 유도능(바이오 인테그레이션)이 기대된다. 일본에서도 재결정화 HA를 코팅한 임플란트가 개발되어 100%에 가까운 결정도를 실현했다.

1991년에는 표면을 기계 연마하는 것보다 강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뼈와의 결합을 더욱 강화한다는 논문이 발표된 후, 각 회사에서 표면을 블라스트나 강산으로 처리하여 라프 서피스(미세 조잡 구조)를 만들게 되었다. 현재는 불소 코팅을 통해 골 전도와 석회화를 유도하여 치유를 빠르게 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94]

2005년에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가 일본에서 약사법상 인가를 받아[95] 임상 응용이 시작되면서 심미 치료의 폭이 넓어졌다. 지르코니아는 금속과 동등한 강도와 높은 인성을 가지면서[101] 백색으로 심미성이 높아 증례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3. 임플란트의 종류 및 구성

임플란트는 치과 보철물(인공 치아)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চিকিৎসা পদ্ধতি이다. 뼈는 티타늄 및 일부 세라믹과 같은 특정 재료의 표면에 단단히 융합되는 생물학적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임플란트와 뼈가 통합되어 수십 년 동안 물리적 하중을 견딜 수 있다.[9]

임플란트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픽스처 (Fixture, 인공 치근): 턱뼈에 심어져 뼈와 결합(골유착)하는 부분이다.
  • 어버트먼트 (Abutment, 지대주): 픽스처와 보철물을 연결하는 중간 부분이다.
  • 보철물 (Prosthesis, 크라운 등): 인공 치아에 해당하며, 씹는 기능과 심미적 기능을 회복한다.


임플란트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 두 부분으로 구성되지만, 이 둘을 일체로 한 '1피스 타입'도 있다. 또한, 임플란트에는 인공 치관(상부 구조)을 장착하며, 이를 고정하는 방식에는 나사, 시멘트, 자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임플란트 종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종류"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종류

덴탈 임플란트는 형태, 연결 방식, 표면 처리,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형태임플란트 형태는 크게 판 모양의 블레이드 타입과 치아 뿌리 모양의 루트 폼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는 루트 폼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초기 고정에 유리하도록 나사산(스레드)이 있는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93]

  • 루트 폼 (Root Form) 타입: 치아 뿌리 형태를 모방한 형태로, 대부분 나사 모양이다.
  • 실린더 타입: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형 임플란트이다.
  • 스크류 타입: 나사산(thread)이 있어 초기 고정에 유리하다.

  • 블레이드 (Blade) 타입: 판 모양의 임플란트이다.

연결 방식임플란트와 지대주 연결 방식에 따라 1피스 타입과 2피스 타입으로 나뉜다.

  • 1피스 타입 (One-piece type): 임플란트와 지대주가 일체형으로, 한 번의 수술로 끝낼 수 있다. 부품 수가 적어 비용이 저렴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턱뼈에서 전부 제거해야 한다.[104]

  • 2피스 타입 (Two-piece type): 임플란트와 지대주가 분리되어 있어, 개인의 상태에 맞춰 조합이 가능하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픽스처(매립부)를 제거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부품 수가 많아 비용이 비싸다.[104]

표면 처리임플란트 표면은 뼈와의 결합(골유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 기계 연마 (Machined): 초기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했지만, 현재는 뼈와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거친 표면 처리가 일반적이다.[94]
  • 강산 처리 (Acid-etched): 강산으로 표면을 처리하여 미세한 요철을 만들어 뼈와의 결합력을 높인다.[94]
  • 블라스트 처리 (Blasted): 미세 입자를 분사하여 표면을 거칠게 만든다.[94]
  • HA (Hydroxyapatite) 코팅: 뼈의 주성분인 수산화인회석(HA)으로 코팅하여 뼈와의 결합을 촉진한다.[94]
  • 불소 코팅: 불소 코팅은 골 전도와 석회화를 유도하여 치유를 빠르게 한다.[94]
  • 양극 산화 처리: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뼈와의 결합을 강화한다.

재료임플란트는 주로 티타늄과 지르코니아를 재료로 사용한다.

  • 티타늄 (Titanium): 대부분의 임플란트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CP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Ti-6Al-4V)으로 만들어진다.[21][22] 티타늄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뼈와 잘 융합되는 특성이 있다.
  • CP 티타늄 (Commercially Pure Titanium): 탄소, 질소, 산소, 철의 함량에 따라 4가지 등급으로 나뉜다.[21]
  • Ti-6Al-4V: 6% 알루미늄과 4% 바나듐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 CP 티타늄보다 강도가 높다.[22]

  • 지르코니아 (Zirconia): 이산화 지르코늄 기반의 세라믹 임플란트는 일체형 또는 투피스 시스템으로 제공되며, 치아 주위 임플란트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25]

기타

  • 소구경 임플란트: 뼈가 부족한 경우에 사용되며, 임시 보철물을 즉시 제공할 수 있다.[20]
  • 교정용 임플란트: 교정 치료 시 치아 이동을 위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임시 고정 장치(TAD)이다.[16]

주요 임플란트 제조사 및 제품 (일본 시장 기준)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종류[106]
제조사제품명특징
노벨 바이오케어브로네마크역사가 길고 신뢰성이 높음, 외부 연결 방식
노벨 바이오케어리플레이스 셀렉트내부 연결 방식
노벨 바이오케어노벨 다이렉트1회법 임플란트, 원피스 임플란트
아스트라텍 (덴츠플라이 IH)아스트라텍 임플란트내부 연결, 커넥티브 카운터, 마이크로 스레드, 내부 슬립 조인트
스트라우만ITI 임플란트역사가 길고 증례가 많음
짐머 덴탈스크류 벤트2회법 임플란트, MTX 블라스트 처리 또는 HA 코팅
짐머 덴탈스위스 플러스1회법 임플란트
짐머 덴탈칼시텍 임플란트HA 코팅 임플란트
덴츠플라이 프리아덴트자이보테이퍼 형태, 넥 부위와 근첨부에서 초기 고정
덴츠플라이 프리아덴트안킬로스
덴츠플라이 프리아덴트프리알리트2
브레인베이스MYTIS Arrow일본제, 미국 FDA 획득, 흡수성 치과용 골재생 임플란트 재료 국산 최초 후생노동성 인가
교세라 메디컬POI일본제, 역사가 김, 양극 산화 처리 또는 HA 코팅
교세라 메디컬POI EXPOI의 풀 모델 체인지 버전
플라톤플라톤 바이오일본제, HA 코팅
어드밴스AQB일본제, HA 코팅
사이브론 덴탈엔도포어독특한 표면 형상
사이브론 덴탈PITT-EASYHA 코팅 타입
사이브론 덴탈사이브론 PRO


3. 2. 구성 요소

일반적인 기존 임플란트는 거칠거나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티타늄 나사(치아 뿌리와 유사)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탄소, 질소, 산소 및 철의 양에 따라 4가지 등급으로 제공되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으로 만들어진다.[21] 냉간 가공 경화 CP4(최대 불순물 한도 N .05%, C .10%, H .015%, Fe .50%, O .40%)는 임플란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타늄이다. 5등급 티타늄인 티타늄 6AL-4V(6% 알루미늄과 4% 바나듐 합금을 함유한 티타늄 합금을 나타냄)은 CP4보다 약간 더 단단하며 업계에서는 주로 지대주 나사와 지대주에 사용된다.[22] 대부분의 현대 치과 임플란트는 표면적과 임플란트의 골유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처 표면(에칭, 양극 산화 또는 샌드 블라스팅)을 가지고 있다.[23]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픽스처 (Fixture): 턱뼈에 심는 부분으로, 인공 치근 역할을 한다. 골유착을 통해 뼈와 결합한다.
  • 어버트먼트 (Abutment): 픽스처와 보철물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지대주라고도 한다. 잇몸 위로 노출되어 보철물을 지지한다.
  • 보철물 (Prosthesis): 인공 치아 부분으로, 씹는 기능과 심미적인 외관을 회복한다.


임플란트체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 두 부분으로 구성되지만, 이 둘을 일체로 한 '1피스 타입'도 있다. 또한, 임플란트체에는 인공 치관, 즉 상부 구조를 장착한다. 상부 구조를 고정하는 방식에는 나사, 시멘트, 자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세라믹(이산화 지르코늄 기반) 임플란트는 일체형(나사와 지대주 결합) 또는 투피스 시스템으로 존재하며, 지대주는 시멘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치아 주위 임플란트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성공률에 대한 장기적인 데이터는 부족하다.[25]

임플란트체는 1피스 타입(일체형)과 2피스 타입(분리형)으로 나뉜다. 두 타입 모두 장단점이 있다. 1피스 타입은 부품이 적고 수술을 한 번에 끝낼 수 있어 시술 비용이 저렴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턱뼈에서 전부 제거해야 한다. 2피스 타입은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조합할 수 있고, 문제가 생겼을 때 픽스처를 턱뼈에서 제거해야 하는 위험이 적지만, 부품 수가 많아 비용이 비싸지는 경향이 있다.

4. 임플란트 치료 과정

임플란트 치료는 진단, 수술, 보철의 세 단계로 진행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추가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15]

임플란트 술식은 1회법과 2회법 두 가지가 있다. 1회법은 수술 횟수가 적고 비용이 저렴하며, 즉시 임시 치아를 장착하여 즉시 하중을 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규모 진료소에서는 다양한 임플란트를 구비하지 못해 진료소 선택에 따라 술식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2회법은 임플란트와 뼈의 결합(골유착)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102]

임플란트는 1피스 타입과 2피스 타입으로 나뉜다.

구분1피스 타입 (1파츠 타입)2피스 타입 (2파츠 타입)
장점부품 수가 적고 수술을 한 번으로 끝낼 수 있어 시술 비용이 저렴하다.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조합이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매립한 픽스처(fixture) 부위를 턱뼈에서 제거해야 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단점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턱뼈에서 임플란트 전체를 제거해야 한다.부품 수가 많아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 방법에는 보철 주도형(톱다운 치료)과 외과 주도형 두 가지가 있다.[102]


  • 보철 주도형(톱다운 치료): 기능적, 심미적으로 가장 적합한 최종 보철물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픽스처 매립 위치를 결정하며, 치조골, 치은을 바람직한 조건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 외과 주도형: 치조골 상황 등을 고려하여 가장 유리한 위치에 픽스처를 매립하고 최종 보철물 위치는 픽스처 매립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임플란트 수술 목적은 기능, 심미 양면의 개선이므로 이상적으로는 톱다운 치료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톱다운 치료에서는 골량으로 인해 최적이 아닌 위치에 픽스처를 매립하게 되므로 골유도재생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인공골 등의 충전재 질에 의존하게 된다. 한때는 톱다운 치료가 유행했지만, 인공골 흡수로 인한 문제 사례도 있어 현재는 외과 주도형으로 픽스처를 확실히 매립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추세이다. 다만, 톱다운 치료가 이상적이라는 사실은 변함없으며, 흡수가 적고 정밀도가 높은 인공골 등이 개발되면 장기적으로 톱다운 치료가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102]

1회법과 2회법의 구체적인 술식은 다음과 같다.

  • 1피스 1회법

1.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치은골막판을 박리한다.

2. 치조골을 드릴링하여 임플란트체 픽스처 부위를 식립하고 봉합한다.

3. 경우에 따라 임시 치아(TEK)를 씌우고, 1~2개월 후 최종 보철물을 장착한다.

  • 2피스 1회법

1. 임플란트 매입 예정 부위의 치은판을 박리한다.

2. 뼈를 드릴링하여 픽스처를 매입한다.

3. 어버트먼트 혹은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연결한다. (경우에 따라 임시 치아를 넣는다.)

4. 골유착 완료 후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운다.

  • 2피스 2회법

1. 임플란트 매식 예정 부위의 치은판을 박리한다.

2. 뼈에 드릴링하여 픽스처를 매식한다.

3. 픽스처 나사 구멍 부분을 커버 스크류로 덮고, 박리한 치은을 닫는다.

4. 골유착 후 2차 수술을 진행한다.

5. 2차 수술에서는 치은을 다시 박리하고 커버 스크류를 제거 후, 힐링 어버트먼트와 교환하고 치은을 닫는다.

6. 2차 수술 후 1개월 정도 지나 치은 형태가 정돈되면 힐링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로 교환하고 최종 보철물을 씌운다.

4. 1. 진단 및 치료 계획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구강 위생 상태, 턱뼈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임플란트 치료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구강 위생이 불량하거나, 과도한 흡연, 당뇨병 등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위험을 높여 장기적인 실패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 골다공증 및 뼈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질환은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을 높일 수 있다.[15]

임플란트 치료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진단 모형 (Diagnostic model): 환자의 구강 상태를 재현한 모형으로,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된다. 필요한 임플란트 수와 위치 결정을 위해 치아의 최종 위치와 수복물을 석고 모형으로 시뮬레이션하기도 한다.
  • 방사선 사진 (Radiograph): 턱뼈 상태를 평가하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 결정을 위해 촬영한다.
  • 컴퓨터 단층 촬영 (CT scan): 3차원 영상으로 턱뼈 구조를 정밀하게 파악하여 임플란트 식립 계획의 정확도를 높인다. 하치조 신경 및 상악동과 같은 중요 구조물을 식별하고 피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31][32]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은 임플란트가 지탱해야 하는 힘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임플란트는 치주 인대가 없어 물 때 압력 감각이 없어 생성되는 힘이 더 크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임플란트 위치는 지지하는 보철물 전체에 힘을 고르게 분산시켜야 한다.[28] 힘이 집중되면 브리지워크, 임플란트 구성 요소 파절 또는 임플란트 인접 골 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29] 아래턱 앞부분처럼 더 두껍고 강한 뼈에 삽입된 임플란트는 윗턱 뒷부분과 같이 밀도가 낮은 뼈에 삽입된 임플란트보다 실패율이 낮다. 이갈이를 하는 사람들은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켜 실패 가능성을 높인다.[15]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 방법에는 보철 주도형(톱다운 치료)과 외과 주도형 두 가지가 있다.

  • 보철 주도형(톱다운 치료): 기능적, 심미적으로 가장 적합한 최종 보철물(상부 구조)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픽스처 매립 위치를 결정하며, 치조골, 치은을 바람직한 조건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 외과 주도형: 치조골 상황 등을 고려하여 가장 유리한 위치에 픽스처를 매립하고 최종 보철물 위치는 픽스처 매립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임플란트 수술 목적은 기능, 심미 양면의 개선이므로 이상적으로는 톱다운 치료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톱다운 치료에서는 골량으로 인해 최적이 아닌 위치에 픽스처를 매립하게 되므로 골유도재생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인공골 등의 충전재 질에 의존하게 된다.

4. 2. 수술 단계

임플란트 수술은 다음의 다섯 가지 기본 단계를 거친다.[15]

1. 연조직 반사: 뼈 융기 부위에 절개를 하여 두꺼운 부착 치은을 대략 반으로 나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식립될 임플란트 주위에 두꺼운 조직 띠가 형성되도록 한다. 절개된 각 조직의 가장자리는 피개(flap)라고 하며, 이를 뒤로 젖혀 뼈를 노출시킨다. 무피개 수술은 피개를 올리는 대신 임플란트 직경 크기만큼 작은 조직 펀치를 제거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대체 기술이다.

2. 고속 드릴링: 연조직을 반사시킨 후, 필요에 따라 수술 가이드 또는 스텐트를 사용하여, 뼈의 소작이나 압력성 괴사를 방지하기 위해 매우 조절된 속도로 정밀 드릴로 파일럿 홀을 뚫는다.

3. 저속 드릴링: 파일럿 홀은 점진적으로 더 넓은 드릴을 사용하여 확장한다(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폭과 길이에 따라 3~7번의 연속적인 드릴링 단계). 과열로 인해 골아세포 또는 뼈 세포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냉각 생리식염수 또는 물 스프레이는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

4. 임플란트 식립: 임플란트 나사를 삽입하며 자체 태핑이 가능하다.[32] 그렇지 않은 경우, 준비된 부위에 임플란트 아날로그를 사용하여 탭핑한다. 그런 다음 정밀한 토크 렌치[36]를 사용하여 정확한 토크로 조여 주변 뼈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과부하가 걸린 뼈는 괴사할 수 있으며, 이는 골괴사증이라고 하며, 임플란트가 턱뼈와 완전히 통합되거나 결합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5. 조직 적응: 치은을 전체 임플란트 주위에 적응시켜 치유 지대주 주위에 두꺼운 건강한 조직 띠를 제공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임플란트는 "매몰"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상단을 커버 나사로 밀봉하고 조직을 닫아 완전히 덮는다. 그런 다음 나중에 임플란트를 노출시키기 위해 두 번째 시술이 필요하다.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에는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37]

  • 즉시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 지연 즉시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발치 후 2주에서 3개월).
  • 후기 임플란트 식립(발치 후 3개월 이상).


최근에는 뼈를 보존하고 치료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발치 부위에 즉시 치과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이는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연조직 외피가 보존되기 때문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임플란트의 초기 실패율이 약간 더 높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그러나 즉시 식립과 지연 식립을 과학적으로 엄격하게 비교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주제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37]

임플란트 식립 후 내부 구성 요소는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커버 스크류로 덮는다. 힐링 어버트먼트는 점막을 통과하며, 주변 점막이 이를 중심으로 적응한다. 커버 스크류는 치과 임플란트 표면과 평평하며, 점막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설계되었다. 골유착 기간 후, 점막을 제거하고 힐링 어버트먼트를 장착하기 위해 두 번째 수술이 필요하다.[38]

1970~1990년대 임플란트 개발 초기에는 2단계 접근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초기 임플란트 생존율을 높인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1단계와 2단계 수술 간에 임플란트 생존율의 차이는 없으며, 수술 첫 단계에서 임플란트를 "매몰"할지 여부는 연조직(치은) 관리에 대한 관심사에 따라 결정된다.[39]

조직이 부적절하거나, 결손되거나, 치아 손실, 인접 골 또는 치은으로 인해 훼손된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골유착을 허용한 다음, 치은 플랩을 힐링 어버트먼트 주변에 외과적으로 배치한다. 2단계 기법의 단점은 추가 수술이 필요하고 반복적인 수술로 인해 조직의 혈액 순환이 저하된다는 점이다.[40] 따라서 현재는 1단계 또는 2단계 선택 시 상실된 치아 주변의 연조직을 어떻게 가장 잘 재건할지에 초점을 맞춘다.

임플란트체는 일체형인 1피스 타입(1파츠 타입)과 분리된 2피스 타입(2파츠 타입)으로 나뉜다.

| 구분 | 1피스 타입 (1파츠 타입) | 2피스 타입 (2파츠 타입) |

|---|---|---|

| 장점 | 부품 수가 적고 수술을 한 번으로 끝낼 수 있어 시술 비용이 저렴하다. |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조합이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매립한 픽스처부를 턱뼈에서 제거하는 위험이 적다. |

| 단점 |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턱뼈에서 전부 제거해야 한다. | 부품 수가 많아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임플란트 술식은 1회법과 2회법 두 가지가 있다. 초기에는 픽스처 고착을 고려하여 2회법이 주로 선택되었으나, 임플란트체 개량으로 초기 고정이 개선되면서 1회법도 사용되고 있다. 1회법은 수술 횟수가 적고 저렴하며, 즉시 임시 치아를 넣는 즉시 하중을 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규모 진료소에서는 도입하고 있는 임플란트 종류가 적어, 진료소 선택 시 술식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 1피스 1회법

1. 임플란트 식립(매입) 부위의 치은골막판을 박리한다.

2. 치조골을 드릴링하여 임플란트체 픽스처 부위를 식립하고 봉합한다.

3. 경우에 따라 임시 치아(TEK)를 씌우고, 1~2개월 후에 최종 보철물(씌우는 것)을 장착한다.

  • 2피스 1회법

1. 임플란트 매입 예정 부위의 치은판을 박리한다.

2. 뼈를 드릴링하여 픽스처를 매입한다.

3. 어버트먼트 혹은 높이가 없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연결한다. (경우에 따라 임시 치아를 넣는다.)

4. 골유착(임플란트가 뼈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 완료되면 어버트먼트(힐링 어버트먼트를 넣은 경우에는 어버트먼트로 교환)에 최종 보철물을 씌운다.

  • 2피스 2회법

1. 임플란트 매식 예정 부위의 치은판을 박리한다.

2. 뼈에 드릴링하여 픽스처를 매식한다.

3. 픽스처의 나사 구멍 부분을 커버 스크류로 덮고, 박리한 치은을 닫는다.

4. 골유착(임플란트가 뼈와 확실하게 고정된 상태)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2차 수술을 진행한다.

5. 2차 수술에서는 치은을 다시 박리하고 커버 스크류를 제거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와 교환하고 치은을 닫는다.

6. 2차 수술 후 1개월 정도 지난 후 치은의 형태가 정돈되면 힐링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로 교환하고 최종 보철물을 씌운다.

4. 3. 보철 단계

임플란트가 잘 통합된 후, 또는 통합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는 경우 보철 단계가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는 잇몸을 통과하는 지대주(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연결한다.[15]
인상 채득: 픽스처와 주변 조직의 형태를 본떠 보철물 제작을 위한 모형을 만든다. 인접 치아와 잇몸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상단의 인상을 채득한다.[32]
어버트먼트 선택 및 연결: 환자의 구강 상태에 맞는 어버트먼트를 선택하여 픽스처에 연결한다. 맞춤형 지대주는 손으로 제작하거나, 주조 금속 조각으로 제작하거나, 금속 또는 지르코니아로 맞춤 밀링할 수 있으며, 모두 비슷한 성공률을 보인다.[32] 지대주와 임플란트 본체가 일체형이거나 기성품 지대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와 지대주 사이의 연결 방식은 평평하거나 원추형일 수 있다. 원추형 지대주는 더 강력한 결합과 세균 침입에 대한 더 나은 밀봉을 제공한다. 지대주 칼라 주변의 잇몸 밀봉을 개선하기 위해 플랫폼 스위칭이라는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58]
보철물 제작 및 장착: 인상 채득을 통해 제작된 최종 보철물(크라운)을 치과용 시멘트나 나사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에 고정한다. 크라운과 지대주가 일체형인 경우도 있다. 시멘트 고정식 보철물은 심미성이 뛰어나고, 나사 고정식 보철물은 유지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32]

지대주와 크라운의 장착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픽스처에 치관을 고정하는 단계

4. 4. 추가 시술

임플란트가 골유착을 이루기 위해서는 건강한 뼈로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또한 장기간 생존을 위해서는 두껍고 건강한 연조직(치은)이 임플란트 주변을 감싸야 한다. 하지만 뼈나 연조직이 부족한 경우가 흔하여, 외과의는 임플란트 시술 전이나 시술 중에 이를 재건해야 한다.[32]

뼈 이식술은 뼈가 부족할 때 필요하며, 임플란트를 안정시키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42] 일반적인 치료 목표는 뼈 높이가 10mm 이상, 너비가 6mm 이상인 것이다. 뼈 결손은 A(뼈 10+ mm), B(7–9 mm), C(4–6 mm), D(0–3 mm) 등급으로 나뉘며, 임플란트의 골유착 가능성은 뼈의 등급과 관련이 있다.[43]

충분한 뼈 너비와 높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뼈 이식 기술이 개발되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술은 가이드 뼈 및 조직 재생으로, 결손 부위를 자연 뼈(자가 이식 또는 자가골 이식) 또는 동종 이식편(공여 뼈 또는 합성 뼈 대체물)으로 채우고 반투과성 막으로 덮어 치유를 돕는다. 치유 단계에서 자연 뼈가 이식편을 대체하여 임플란트를 위한 새로운 뼈 기저부를 형성한다.[38]

일반적인 뼈 이식 절차는 다음과 같다.[43]

# 상악동 거상술

# 측방 가이드 뼈 및 조직 재생 (부위의 너비 증가)

# 수직 치조골 증강술 (부위의 높이 증가)

더 큰 뼈 결손에는 하치조 신경 이동, 온레이 뼈 이식술, 미세 혈관 뼈 이식술 등 더 침습적인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28] 어떤 뼈 이식 기술이 가장 좋은지는 뼈 손실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경도(2–3 mm 손실), 중등도(4–6 mm 손실), 심도(6 mm 이상 손실)로 분류된다.[44]

치아를 둘러싼 치은은 밝은 분홍색의 2~3mm 두께의 튼튼한 부착 점막 띠와 뺨으로 접히는 어둡고 넓은 비부착 점막으로 구성된다. 임플란트 대체 시, 장기간 건강 유지를 위해 튼튼한 부착 치은 띠가 필요하다. 임플란트 주변 치은의 혈액 공급이 불안정하고, 치아보다 임플란트에 더 긴 부착을 가지기 때문에(더 긴 생물학적 폭경) 부상 위험이 높다.[46]

부착 조직 띠가 없는 경우, 연조직 이식술을 통해 재건할 수 있다. 연조직 이식 방법에는 조직 롤 이동, 구개에서 치은 이식, 구개에서 결합 조직 이식, 혈관 기반 조직 핑거 이식 등이 있다.[40]

임플란트가 심미적으로 보이려면, 임플란트 양쪽에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완전하고 통통한 치은 띠가 필요하다. 블랙 트라이앵글은 치간 유두가 수축되어 임플란트와 인접 치아 사이에 삼각 공극이 생기는 현상이다. 치아 접촉 부위와 뼈 사이 거리가 2~4mm 이상이면 나타날 수 있다.[32]

5. 임플란트 치료의 장단점

브리지나 가철성 의치에 비해 자연치와 유사한 기능 및 형태를 회복할 수 있으며,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임플란트 지지 단일 크라운은 장기적으로 치아 지지 고정 부분 의치(FPD)보다 성능이 우수하다는 제한적인 증거가 있다. 그러나 유리한 비용 편익 비율과 높은 생존율을 고려할 때, 덴탈임플란트는 단일 치아 대체 치료의 우선적인 전략이다.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를 보존하며, 치아 지지 FPD보다 장기적으로 비용 효율적이다.[16]

하지만, 외과 수술이 필요하며(사망 사고 위험 존재), 칫솔질 등이 필요하고 수명이 없는 것도 아니다.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턱뼈에 직접 부하가 걸리므로 튼튼한 턱뼈가 필요하며, 치주 질환 등으로 치조골을 상실한 경우 뼈 이식 등 보조 수술이 필요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갈이, 맞물리는 치아 상태 등에 따라 결과가 다르며, 무리한 치료는 턱뼈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은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결정된다. 임플란트는 치주 인대가 없어 압력 감각이 둔하므로 더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위치는 보철물 전체에 힘을 고르게 분산시켜야 한다.[28] 힘이 집중되면 보철물, 임플란트 부품 파절, 주변 골 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29] 이갈이는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켜 실패 가능성을 높인다.[15]

구강 위생 불량, 과도한 흡연, 당뇨병은 임플란트 주위염 위험을 높여 장기적인 실패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장기간 스테로이드 사용, 골다공증 등은 초기 실패 위험을 높인다.[15]

방사선 치료는 임플란트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6] 그러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추후 관리를 유지하면 구강 내 방사선 조사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도 높은 생존율을 보일 수 있다.[27]

5. 1. 장점


  • 자연 치아와 유사하게 턱뼈에 고정되어 이물감이 적고, 단단한 음식도 씹을 수 있어 저작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9]
  • 주변 치아를 깎거나 손상시키지 않아 다른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16]
  • 크라운 브릿지 타입에서는 외관이 자연 치아와 유사하여 심미성이 우수하다. (단, 치주 조직 상실 상태에 따라서는 의치가 더 나은 경우도 있다.)
  • 턱뼈 흡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틀니와 비교하여 유지력과 안정성이 개선되어 틀니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11]

5. 2. 단점

덴탈 임플란트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한다.

  • 높은 치료 비용: 한국에서는 덴탈 임플란트가 비급여 진료에 해당되어 치료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든다.[109]
  • 긴 치료 기간: 임플란트 수술부터 최종 보철물을 씌우기까지 6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수 있어, 환자는 그동안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107]
  • 외과 수술에 따른 위험성:
  • 수술 과정에서 턱뼈를 깎아야 하며, 혈관이나 신경을 손상시킬 경우 후유증이나 심하면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107]
  • 드릴링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뼈가 화상을 입어 임플란트 고정이 안 될 수 있다. 특히 단단한 뼈의 경우 섬세하고 신중한 드릴링이 필요하다.[98][99]
  • 수술 전후 처치, 수술 중 부주의, 환자의 비위생적인 관리 등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98][99]
  • 임플란트 실패(로스트) 가능성:
  • 일반적으로 200개의 임플란트를 심으면 5개 정도는 고정되지 않고 탈락한다.[98][99]
  • 임플란트 주위염: 임플란트도 자연 치아처럼 치주 질환과 유사한 감염이 발생하여 주변 뼈를 손실시킬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 탈락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이다.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98][99]
  • 과도한 하중(오버로드): 환자의 뼈 상태나 교합력을 잘못 판단하여 부적절한 임플란트를 선택하거나, 너무 딱딱한 음식을 씹는 등의 사고로 인해 임플란트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실패할 수 있다.[98][99]
  • 골유착 관련 유전자: 유전적으로 임플란트가 잘 고정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98][99]
  • 전신 질환: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임플란트 치료가 불가능할 수 있다.[107]
  • 감염 위험: 임플란트는 뼈에서 체외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자연 치아보다 감염 위험이 높고 감염 후 진행 속도도 빠르다.[108] 따라서 인공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다.
  • 고령 환자의 경우: 노화로 인해 잇몸이 얇아지는 등의 이유로 재치료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09]

6.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 및 금기증

임플란트 치료는 브리지나 가철성 의치에 비해 자연치에 더 가까운 기능과 형태를 회복하고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턱뼈에 직접 부하가 걸리므로 튼튼한 턱뼈가 필요하며, 치주 질환 등으로 치조골을 상실한 경우 뼈 이식 등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92]

임플란트 치료는 일반적으로 높은 성공률을 보이지만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다. 10년 생존율은 시스템 및 환자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90% 이상이다.[92] 주 치료 대상은 40~50대이며,[96] 고령자의 경우 증례는 적지만,[97] 치료 결과는 젊은 환자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다.[99]

임플란트 실패(로스트) 원인으로는 임플란트 주위염, 감염, 과도한 하중, 드릴링 시 화상, 골유착 관련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특히 임플란트 주위염은 장기적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므로 정기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다.

임플란트 치료는 긴 치료 기간, 치조골 절삭에 따른 후유증 가능성, 전신 질환자의 치료 제한, 감염 위험, 고비용 등의 단점도 있다. 또한, 치과의사 기술 수준 차이와 임플란트 종류 다양성으로 인해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계획 수립이 중요하며, 고령 환자는 노화로 인한 잇몸 변화 등을 고려해야 한다.

6. 1. 적응증

현대 치과 임플란트는 뼈가 티타늄 및 일부 세라믹과 같은 특정 재료의 표면에 단단히 융합되는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작동한다. 임플란트는 개별 치아(단일 치아 수복), 여러 치아를 대체하거나 무치악 (치아가 없는) 치열을 복원하는 데 사용된다.[11]

  • 단일 치아 수복: 다른 치아 또는 임플란트에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유닛으로, 개별 치아의 결손을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11]
  • 임플란트 지지 브릿지: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된 치아 그룹으로, 보철물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없다.
  • 이식 지지 틀니: 이식을 사용하여 지지력, 유지력 및 안정성을 개선하는 가철성 보철물로, 치아를 대체한다. 부분 틀니와 달리, 무치악 치열궁을 회복하는 데 사용되는 완전 틀니가 가장 일반적이다.[11]


임플란트 지지 단일 크라운이 장기간에 걸쳐 치아 지지 고정 부분 의치(FPD)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증거는 제한적이다. 그러나 유리한 비용 편익 비율과 높은 임플란트 생존율을 고려할 때, 치과 임플란트 치료는 단일 치아 대체의 첫 번째 전략이다. 임플란트는 무치악 부위에 인접한 치아의 무결성을 보존하며, 치과 임플란트 치료가 하나의 치아 결손을 대체하기 위해 치아 지지 FPD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용이 적게 들고 더 효율적임이 입증되었다.[16]

치과 임플란트는 또한 교정학에서 고정 (교정 미니 임플란트)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6][18]

6. 2. 금기증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조절되지 않는 전신 질환, HIV 감염, 장기 이식 후 면역 억제제 복용 등 면역 억제 상태, 임신, 심한 골다공증은 덴탈 임플란트 시술 금기증에 해당한다.[15] 두경부 방사선 치료 병력,[26]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약물(골다공증 치료제) 복용,[33] 심한 흡연,[15] 약물 또는 알코올 중독, 정신 질환도 마찬가지다.[15]

구강 위생이 불량하거나, 과도하게 흡연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임플란트 주위염 위험이 높아 장기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커진다.[15]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거나, 골다공증처럼 뼈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있다면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15]

방사선 치료는 임플란트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26] 구강 위생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정기적으로 추후 관리를 받는다면 구강 내 방사선 조사 부위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는 높은 생존율을 보일 수 있다.[27]

비스포스포네이트항-RANKL 약물 같은 골 형성 약물은 약물 관련 턱뼈 괴사(MRONJ) 위험을 높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골다공증 치료 용량에서는 위험이 매우 낮지만,[33] 정맥 내 치료, 하악 시술, 다른 의학적 문제, 스테로이드 복용, 더 강력한 비스포스포네이트 복용, 3년 이상 약물 복용 시 위험이 더 커진다.[33]

7. 임플란트 치료 후 관리 및 합병증

치과 임플란트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검진과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구강 위생이 불량하거나, 과도한 흡연, 당뇨병 등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위험을 높여 장기적인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15]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 골다공증 및 뼈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질환도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15]

방사선 치료가 임플란트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26] 2016년 연구에서는 환자가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추후 관리를 잘 유지하면 방사선 조사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도 높은 생존율을 보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7]

덴탈 임플란트의 10년 생존율은 시스템,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90% 이상이다.[92] 치주 질환 등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40대~50대가 볼륨 존을 형성하고 있다.[96] 고령자의 경우 전신 질환 등의 영향으로 증례 수가 적지만,[97] 고령화 사회 추세에 따라 환자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고령자의 임플란트 치료 성적은 젊은 환자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지만,[99] 전신 합병증 및 수술 시 합병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7. 1. 유지 관리

임플란트 시술 후에는 자연 치아와 마찬가지로 치주 스케일러로 세척하여 치태를 제거해야 한다. 잇몸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더 불안정하기 때문에 치실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구강 내 자연 치아와 유사한 속도로 뼈를 잃을 수 있다. (예: 치주 질환이 있는 경우 임플란트도 유사한 질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하지만 그 외에는 오래 지속된다. 크라운의 치과용 도재는 약 10년마다 변색, 파절 또는 수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구강 내 위치, 반대편 치아에서 가해지는 힘, 수복 재료에 따라 치과용 크라운의 수명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임플란트를 완전 틀니 유지에 사용하는 경우, 부착 방식에 따라 1~2년마다 연결부를 교체하거나 갱신해야 한다.[28] 구강 세정기 또한 임플란트 주변을 세척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62]

임플란트 주변 위생 관리는 치아를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과 동일한 종류의 기술이 권장되며, 수동 또는 전문적인 관리가 가능하다.[63] 수동 관리의 예로는 부드러운 칫솔 또는 나일론 코팅 치간 칫솔 사용이 있다.[63] 전문적인 치료 시 한 가지 문제점은 금속 기구가 임플란트 또는 지대주의 금속 표면에 손상을 일으켜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63]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단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만들어진 특수 기구가 있다. 또한 항균 구강 청결제로 (하루에 두 번) 헹구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63] 어떤 종류의 항균제가 다른 것보다 더 좋은지에 대한 증거는 없다.[63]

임플란트 주위염은 세균, 치태 또는 디자인으로 인해 임플란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이며 증가 추세에 있다.[63][64][65] 이 질환은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이라고 하는 가역적인 상태로 시작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임플란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64][63] 따라서 치과 의사와 구강 위생 및 임플란트 유지 관리에 대해 상의하는 것이 권장된다.[63][64][65]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면 기계적 제거술, 항균 관개, 항생제와 같은 다양한 중재가 있다. 또한 세균을 제거하고, 임플란트 표면을 평가/매끄럽게 하거나, 임플란트 표면을 제거하기 위해 열린 플랩 제거술과 같은 수술이 있을 수 있다.[64] 임플란트 주위염의 경우 어떤 중재가 가장 좋은지 알 수 있는 충분한 증거는 없다.[64]

7. 2. 합병증

임플란트 치료에는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임플란트 주위염 (Peri-implantitis):'''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치주 질환의 일종으로, 구강 위생 불량, 흡연, 당뇨병 등이 위험 요인이다.[15] 심하면 뼈 흡수가 일어나 임플란트가 실패할 수 있다.[64][63][65] 임플란트 주위염은 가역적인 상태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으로 시작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임플란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64][63]

  • '''임플란트 실패 (Implant failure):''' 여러 원인으로 임플란트가 뼈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거나(골유착 실패), 임플란트 또는 보철물이 파절될 수 있다.[73] 임플란트의 1차 안정성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다.[71]

  • '''수술 관련 합병증:''' 임플란트 수술은 일반적인 수술 위험(감염, 과다 출혈, 임플란트 주변 조직 괴사)을 동반한다.[66] 아래턱 임플란트 시 하치조 신경이 손상될 수 있고,[31][32] 위턱 임플란트 시 상악동이 천공될 수 있지만, 장기간의 부비동염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67]

  • '''기타 합병증:'''
  • '''감염''': 수술 전 항생제 투여로 임플란트 실패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감염 위험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다.[69]
  • '''과도한 출혈'''[28]
  • '''피판 괴사''' (5% 미만)[28]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은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힘에 영향을 받는다. 임플란트는 치주 인대가 없어 물 때 압력 감각이 둔하므로, 힘이 집중되면 임플란트 주변 뼈가 소실되거나 보철물이 파손될 수 있다.[29] 이갈이를 하는 사람들은 임플란트 실패 가능성이 더 높다.[15]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시 기계적 제거술, 항균 관개, 항생제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며, 임플란트 표면을 깨끗하게 하거나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64]

임플란트가 통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8주에서 24주 사이에 검사를 받는다. 임플란트 성공 여부는 통증, 움직임, 감염, 잇몸 출혈, 방사선 투과성, 임플란트 주위 뼈 손실 정도 등으로 판단한다.[70]

임플란트 실패율은 개인별 위험 요소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6% 정도이다.[28][72]

장기적인 실패는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한 뼈 손실 또는 임플란트의 기계적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임플란트는 충치에는 강하지만, 임플란트 주위염에는 취약하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장기 생존율은 93~98% 정도이다.[2][3][4]

임플란트 치료 후에도 자연 치아와 마찬가지로 치태를 제거하기 위해 치주 스케일러 등으로 관리해야 한다.[63] 구강 세정기도 도움이 될 수 있다.[62]

참조

[1] 웹사이트 Dental Materials AMERICAN ELEMENTS ® https://www.american[...] 2024-02-14
[2] 논문 Implant and prosthodontic survival rates with implant fixed complete dental prostheses in the edentulous mandible after at least 5 years: a systematic review 2014-10
[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cidence of biological and technical complications in implant dentistry reported in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of at least 5 years
[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FDPs) after a mean observation period of at least 5 years 2012-10
[5] 논문 Long-term implant survival and success: a 10-16-year follow-up of non-submerged dental implants 2010-07
[6] 논문 Long-term outcomes of dental implants with a titanium plasma-sprayed surface: a 20-year prospective case series study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2013-12
[7] 논문 Neural network system for analyzing statistical factors of patients for predicting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2022
[8] 논문 Predicting the Failure of Dental Implants Using 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2018-05
[9] 서적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Mosby Elsevier
[10] 논문 Trends in Dental Implant Use in the U.S., 1999-2016, and Projections to 2026 2018-12
[11] 서적 A clinical guide to implants in dentistry British Dental Association 2008
[12] 웹사이트 Orthodontic treatment & Dental implant in Sammamish https://porth.io/edu[...] 2023-02-11
[13] 논문 Craniofacial implant surgery 2011-05
[14] 논문 Titanium implants in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1995-04
[15] 서적 Tissue-integrated prostheses (in English) https://archive.org/[...] Quintessence Books
[16] 서적 Implant dentistry at a glance John Wiley & Sons
[17] 서적 Osseointegration and Dental Implants (in English) John Wiley & Sons
[18] 논문 Critical factors for the succes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a systematic review 2009-03
[19] 서적 Applications of orthodontic mini implants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20] 논문 Short-term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small-diameter implants used to support and retain mandibular prosthesis https://pubmed.ncbi.[...] 2012
[21] 서적 Dental Biomechanics Taylor & Francis
[22] 서적 Materials in Dentistr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n Englis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3] 서적 Nanomaterials and Nanosystem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Mozafari] (in English) SpringerLink: Springer e-Books
[24] 논문 Effects of surface charges on dental implants: past, present, and future
[25] 논문 Zirconia dental implants: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heading? 2017-02
[26] 논문 The effect of radiotherapy on survival of dental implant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2016-04
[27] 논문 Irradiated patients and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2
[28] 서적 Advanced osseointegration surgery: applications in the maxillofacial region (in english) Quintessence Books
[29] 서적 Optimal implant positioning and soft tissue management for the Branemark system (in english) Quintessence Books
[30]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Staff - Class II Special Controls Guidance Document: Root-form Endosseous Dental Implants and Endosseous Dental Abutments https://www.fda.gov/[...] FDA 2004-05-12
[31] 논문 Computer-aided dental implant planning 2008-10
[32] 서적 Clinical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5th edition (in English) Blackwell Munksgaard
[33] 논문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position paper on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2009 update 2009-05
[34] 논문 Survival of dental implants in bisphosphonate users versus non-users: a systematic review 2012-12
[35] 논문 Radiotherapy and Dental Implant Application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https://www.ncbi.nlm[...] Exon Publications 2023-04-11
[36] 논문 Variability of mechanical torque-limiting devices in clinical service at a US dental school 2010-01
[37] 논문 Timing of implant placement after tooth extraction: immediate, immediate-delayed or delayed implants?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http://www.quintpub.[...]
[38] 서적 Peterson's Principles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nd Edition PMPH-USA
[39] 논문 One-stage versus two-stage implant placement.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40] 서적 Soft tissue and esthetic considerations in implant dentistry (in english) Quintessence Books
[41] 논문 Complications in Bone Grafting 2011
[42] 논문 Dental Implant Outcomes in Grafted Socke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7
[43] 서적 Guided bone regeneration in implant dentistry (in english) Quintessence Books
[44] 서적 Decision mak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Quintessence Pub. Co.
[45] 서적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Implant Dentistry: A Surgical Manual John Wiley & Sons 2016
[46] 서적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in English) Elsevier Saunders
[47] 논문 Comparison of two types of xenogeneic matrices to treat single gingival recession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https://onlinelibrar[...] 2022-05
[48] 논문 Mesenchymal Stromal Cells Enhance Vascularization and Epithelialization within 7 Days after Gingival Augmentation with Collagen Matrices in Rabbits 2021
[49] 논문 Orthodontic considerations in restorative management of hypodontia patients with endosseous implants 2012-12
[50] 서적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Implant dentistry:A Surgical Manual John Wiley & Sons, Inc. 2016
[51] 논문 The orthodontic implant site-switching technique: a preliminary study in dogs 2023
[52] 논문 Implant Site Changes in Three Different Clinical Approaches: Orthodontic Extrusion, Regenerative Surgery and Spontaneous Healing after Extraction: A Systematic Review. 2022
[53] 논문 The role of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 in the enhancement of soft and hard tissue profiles prior to implant placement: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extraction site defects. 1993
[54] 논문 Orthodontic considerations in restorative management of hypodontia patients with endosseous implants 2012
[55] 서적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Implant Dentistry:A Surgical Manual John Wiley & Sons, Inc. 2016
[56] 논문 The orthodontic implant site-switching technique: a preliminary study in dogs 2023
[57] 논문 Immediate loading with single implant crow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8] 논문 Platform switching for marginal bone preservation around dental impla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10
[59] 논문 The all-on-four treatment concept: a systematic review 2014-12
[60] 논문 A comparison of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reatment with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and overdentures in the elderly: a literature review 2010-06
[61] 논문 Number of implant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a systematic review 2012-11
[62] 논문 Focus on implant home care Before, during, and after restoration
[63]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maintaining and recovering soft tissue health around dental implants 2010-08
[64]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2012-01
[65]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management of soft tissues for dental implants 2012-02
[66] 논문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avoiding and managing surgic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mplant dentistry: a review 2008-08
[67] 논문 Rhinosinusitis in oral medicine and dentistry 2014-09
[68] 논문 Clinical efficacy of early loading versus conventional loading of dental implants 2015-11
[69]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antibiotics at dental implant placement to prevent complications 2013-07-31
[70] 논문 Success criteria in implant dentistry: a systematic review 2012-03
[71] 논문 The role of primary stability for successful immediate loading of dental implants. A literature review 2010-08
[72]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different times for loading dental implants 2013-03
[73] 서적 Risk Factors in Implant Dentistry: Simplified Clinical Analysis for Predictable Treatment Quintessence International
[74] 논문 Peri-implant bone loss in cement- and screw-retained prosthes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3
[7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5-year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http://www.zora.uzh.[...] 2018-12-03
[76] 논문 Peri-implant diseases: Consensus Report of the Sixth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https://biblio.ugent[...] 2008-09
[77] 논문 A meta-analysis of prosthodontic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in edentulous patients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at least 5 years
[78] 논문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2003-08
[79] 서적 Textbook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Elsevier India
[80] 서적 Phillip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Saunders Elsevier
[81] 서적 Ancient "dental implants": a recently proposed example from France evaluated with other spurious examples http://medlib.yu.ac.[...]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s 14.1 1999
[82] 논문 The use of gold in dentistry https://link.springe[...]
[83] 서적 Dental Implant Prosthetics Mosby 2015
[84] 논문 The porous vitreous carbon/polymethcarylate tooth implant: preliminary studies 1974-09
[85] 논문 Implantation of artificial crown and bridge abutments 1913
[86] 논문 Reaction of bone to multiple metallic implants 1940
[87] 논문 Titanium, a metal for surgery 1951
[88] 서적 Technological Systems in the Bio Industries: An International Stud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9] 서적 Dental materials at a glan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
[90]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different types of dental implants 2014-07-22
[91] 논문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dental implants in zygomatic bone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severely deficient edentulous maxilla 2013-09
[92] 논문 今と昔のインプラント null 明倫短期大学
[93] 문서 Dental Implants: A Historical Perspective W.B. Saunders
[94] 뉴스 Bone healing at implants with a fluoride-modified surface: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http://www.ncbi.nlm.[...]
[95] 웹사이트 セルコンアバットメント(フリアデントセルコンアバットメント) http://www.info.pmda[...] 医薬品医療機器総合機構 2008-03-13
[96] 논문 当科における過去5年間のインプラント治療の臨床統計的検討 http://www.dent.niig[...] 新潟歯学会
[97] 논문 高齢者に対するインプラント治療の現状について 日本口腔インプラント学会
[98] 논문 Fix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elderly patient :A-5 year prospective study
[99] 논문 70歳以上の高齢者における歯科インプラント治療についての実態調査 日本口腔インプラント学会
[100] 웹사이트 セルコンアバットメント(フリアデントセルコンアバットメント) http://www.info.pmda[...] 医薬品医療機器総合機構 2008-03-13
[101] 논문 Zirconia as a ceramic ciomaterial
[102] 서적 インプラントの咬合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103] 서적 インプラントの咬合
[104] 간행물 歯科機器・用品年鑑:2008年度版 アールアンドディ偏
[105] 논문 Hydroxyapatite-coated implants:a case for their use
[106] 논문 歯石様石灰化物の付着を認めたHAコーティングインプラントの撤去症例について 日本口腔インプラント学会
[107] 뉴스 虫歯の人が妄信してしまう危険な歯科医5例 インプラントが「骨を突き抜ける」ケースも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08-19
[108] 뉴스 インプラントにも歯周病 速い進行、気付かぬことも http://www.47news.jp[...] 47news 2012-06-05
[109] 뉴스 「ワンピース型」インプラントのリスク、顎骨壊死や神経症も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8-08-18
[110] 웹사이트 硬組織のみ切削 http://www.corefront[...]
[111] 간행물 インプラントを支台としたカンチレバーの10年後の調査 2004-06
[112] 저널 Custom-made root-analogue zirconia implants: A scoping review on mechanical and biological benefits 2018-11
[113] 저널 Zirconia: The Material of Choice in Implant Dentistry? An Update.
[114] 웹사이트 Custom made root analogue zirconia implants https://bdigital.ufp[...] Fernando_Pessoa_University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