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운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곡운암역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 있는 역으로,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명은 인근의 운암지에서 유래되었으며, 칠곡역으로 개통하려 했으나 칠곡군과의 혼동을 우려한 지역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인근에는 대구읍내동우체국, 동천119안전센터 등과 다수의 주거 시설 및 공원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칠성시장역
칠성시장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칠성시장 내에 위치하며 역명은 인근 칠성시장에서 유래되었고, 칠성시장 활성화를 위해 칠성역에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칠곡운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구암동, 대구 북구 |
구조 | 고가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 | 2015년 4월 23일 |
역 번호 | 316 |
운영 | 대구교통공사 |
인접역 | system: DTRO line: 3 left: 동천 right: 구암 to-left: 칠곡경대병원 |
역 정보 (일본어) | 駅名: 漆谷雲岩駅 母国語表記: 칠곡운암 よみがな: 칠곡운암 ローマ字: Chilgok·Unam 所属路線: 대구도시철도 3호선 駅番号: 316 所在地: 대구광역시북구 팔莒川東路79 開業年月日: 2015년4월 23일 駅構造: 고가역 ホーム: 2면 2선 前の駅: 동천 315 次の駅: 구암 317 |
한국어 역 정보 | |
한글 역명 | 칠곡운암역 |
한자 역명 | 漆谷雲岩驛 |
로마자 역명 | Chilgok Unam yeok |
기타 정보 | |
한국어 표기 | hangeul: 칠곡운암역 hanja: 漆谷雲岩驛 hiragana: しっこくうんがんえき katakana: チルゴグナムニョク alphabet: Chilgok·Unam Station |
2. 역명의 유래
원래 공사 당시에는 '''칠곡역'''으로 불렸으며 이 이름으로 개통하려고 했으나, 경상북도 칠곡군과의 혼동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구광역시 일부 주민들과 경상북도 칠곡군의회 등에서 역명 변경을 요구하였고, 다른 한편에서는 칠곡발전협의회 등이 기존 역명 보전을 주장하며 명칭을 둘러싼 대립이 있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이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심의위원회를 통해 양측의 주장을 절충하여, 2014년 12월 22일에 현재의 역명인 '''칠곡운암역'''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운암'이라는 명칭은 역 인근에 있는 운암지, 운암지 수변공원, 운암중학교, 운암삼거리 등 '운암'이라는 지명이 널리 사용되는 점에서 착안하여 기존의 '칠곡'이라는 명칭에 덧붙여진 것이다.
3. 역 구조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 승강장 번호 설정은 없음.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동천・팔거・칠곡경대병원 방면 |
---|---|---|
하행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구암・태전・용지 방면 |
4. 역사
- 2015년 1월 15일: '''칠곡운암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
-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1]
5. 역 주변
- 대구읍내동우체국
- 대구동천동우체국
- 한국농어촌공사 경상북도본부
- 동천119안전센터
- 대구북부경찰서 동천지구대
- KT 태전 빌딩
- 대구관천초등학교
- 대구구암초등학교
- 대구북부초등학교
- 대구함지초등학교
- 관천중학교
- 운암중학교
- 운암지수변공원
- 칠곡보성맨션
- 한양코스모스아파트
- 칠곡현대아파트
- 칠곡에덴타운
- 칠곡미래타운
- 칠곡청구타운
- 칠곡2지구건영아파트
- 칠곡동서타운2차아파트
- 칠곡금빛타운
- 칠곡3차서한타운
- 칠곡2차한라타운
- 칠곡동서영남타운
- 칠곡화성타운
- 칠곡보성서한타운2차아파트
- 구암공원
- 동천근린공원
- 동천교
- 태암교
- 태암네거리
- 태암교네거리
- 동천교네거리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서부지사
- 참물샘공원삼거리
- 동천공원네거리
- 동아아울렛 강북점
- 대구비둘기바위초등학교
6. 승차량 변동
주변에 역세권이 많이 발달되어 있어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3호선 | 3,729 | 4,123 | - | [1] |
7. 명칭 논란
원래 이 역은 공사 당시 '''칠곡역'''으로 불렸으며, 이 이름으로 개통하려고 했다. 하지만 경상북도 칠곡군과의 혼동을 우려한 일부 대구 주민들과 경상북도 칠곡군 의회 등에서 경북 칠곡과의 혼동 가능성을 이유로 역명 변경을 요구했다. 반면, 칠곡발전협의회 등 다른 일각에서는 '''칠곡역'''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명칭을 둘러싼 대립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구광역시는 역 인근에 운암지, 운암지 수변공원, 운암중학교, 운암삼거리 등 '운암'이라는 지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 결국 대구광역시는 심의위원회를 열어 양측의 주장을 절충하여, 2014년 12월 22일에 '''칠곡운암역'''으로 역명을 최종 결정했다. 현재의 역명은 근처에 있는 운암지라는 못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8. 인접한 역
(칠곡경대병원 방면)
(용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