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로 긴츠부르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이탈리아의 역사학자이자 작가로, 1939년 토리노에서 태어났다. 그는 르네상스부터 근대 초 유럽사, 미술사, 문학 연구, 역사학 이론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연구를 수행했다. 긴츠부르그는 197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종교 재판소 기록 보관소 개방을 요청하여, 해당 기록 보관소의 개방에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치즈와 구더기》, 《밤의 전투》, 《재판관과 역사가》 등이 있으며, 미시사 연구와 마녀사냥, 민중 신앙 연구에 기여했다. 2010년 발잔 상을 수상했으며, 2013년 미국 철학회 국제 회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계 이탈리아인 -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세리에 A 562경기 출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우크라이나계 이탈리아인 - 낸시 브릴리
    이탈리아 배우 낸시 브릴리는 1990년 영화 《작은 오해》에서 소피 역으로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과 실버 리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1984년 《클라레타》를 시작으로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활동했다.
  • 미시사학자 - 조너선 스펜스
    조너선 스펜스는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영국의 중국사 연구 권위자이며, 예일대학교에서 40년 이상 강의하며 《현대 중국을 찾아서》 등 중국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미시사학자 - 클리퍼드 기어츠
    클리퍼드 기어츠는 인도네시아 현지 조사와 다양한 저술을 통해 상징 인류학, 인볼루션, 극장 국가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사회 및 문화 이론에 기여한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이다.
카를로 긴츠부르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3년의 카를로 긴츠부르그
2013년
출생일1939년 4월 15일
출생지토리노, 이탈리아
직업역사학자, 미시사학자
모교피사 대학교
부모나탈리아 긴츠부르그, 레오네 긴츠부르그
경력
근무지볼로냐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웹사이트볼로냐 대학교 카를로 긴츠부르그 교수 소개 (보관된 링크)

2. 생애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193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이탈리아 출판인이자 언어학자, 역사학자, 문학 평론가인 레오네 긴츠부르그이고, 어머니는 이탈리아의 유명 소설가 나탈리아 긴츠부르그이다. 그의 외할아버지가 유대계였기 때문에 가계는 유대계에 속하지만, 유대교 교육을 받지는 않았으며 어머니를 통해 혈통이 이어지지 않아 할라카상 유대인은 아니다.

긴츠부르그는 역사학자 델리오 칸티모리와 마르크 블로크의 저작을 읽으며 역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961년 피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이후 볼로냐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1988년부터 2006년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피사 고등사범학교에서도 교편을 잡았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부터 근대 초 유럽사까지이며, 미술사, 문학 연구, 역사학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학문적 기여를 했다.[2]

1979년, 긴츠부르그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종교 재판소 기록 보관소의 개방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바티칸이 즉각적으로 반응하지는 않았지만, 1991년부터 일부 학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접근이 허용되었고, 1998년 1월에는 "자격을 갖춘 연구자"들에게 공식적으로 개방되었다. 훗날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라칭거 추기경은 바티칸이 기록 보관소를 개방하는 데 긴츠부르그와 그의 1979년 편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3] 긴츠부르그는 단순히 통계 자료에만 의존하여 과거 시대를 판단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며, "많은 경우 증거 자체가 없거나 사라졌다"고 지적했다.[4]

2002년 1월, 긴츠부르그는 폴 긴스보르그, 마르첼로 플로레스, 세르지오 루자토, 클라우디오 파보네, 엔초 트라베르소 등 다른 지식인들과 함께 당시 법무부 장관 클레멘테 마스텔라가 제안한 홀로코스트 부정을 법으로 금지하는 법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들은 이탈리아의 기존 법률만으로도 관련 문제를 충분히 다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법안은 결국 혐오 발언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5]

긴츠부르그는 그의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2010년 발잔 상을 수상했으며,[6] 2013년에는 미국 철학회의 국제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3. 주요 연구 및 업적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미시사 분야를 개척한 대표적인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구는 주로 중세 및 근대 초기 유럽 민중 문화, 특히 마녀사냥과 베난단티와 같은 비주류 신앙 체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밤의 전투』, 『엑스터시』 등의 저작을 통해 기록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신념을 복원하려 시도했으며, 이를 통해 유럽 문화의 기저에 흐르는 샤머니즘적 요소들을 탐구했다.[1]

또한 긴츠부르그는 역사 서술의 방법론 자체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재판관과 역사가』, 『역사, 수사학, 증거』와 같은 저작에서는 역사가가 증거를 해석하고 과거를 재구성하는 과정, 그리고 역사 서술과 수사학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며, 기존의 사건 중심적 역사관에 대한 성찰을 제시했다.[1] 그의 연구는 미세한 단서를 통해 거시적인 역사적 맥락을 읽어내는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후대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미시사 연구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그의 저서 『밤의 전투』와 『엑스터시』를 통해 유럽의 특정 마녀사냥 사례에서 베난단티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경로를 추적하였다. 이 연구들을 통해 그는 유럽 사회에 남아있던 샤머니즘적 숭배의 기원을 보여주는 다양한 관행들을 상세히 묘사했다.[1]

1999년에 출간된 『재판관과 역사가』에서 긴츠부르그는 아드리아노 소프리 재판 과정의 부당함을 지적하고자 했으나, 실제 재심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 책은 단순히 소프리 사건에 대한 분석을 넘어, 역사가가 사용하는 과학적 방법론과 재판관이 증언 및 물적 증거를 통해 사실을 추론하는 과정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담고 있다. 그는 초기 역사학이 사법적 모델에 영향을 받아 검증 가능한 사실에만 집중하게 된 경향을 설명하며, 이러한 접근이 뤼시앵 페브르마르크 블로크가 『경제 및 사회사 연보』에서 비판했던 "사건 중심적 역사" 서술로 이어졌다고 보았다.[1] 또한 같은 해 출간된 『역사, 수사학, 증거』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수사학과 니체의 현대 수사학을 비교하며 역사 서술과 수사학의 관계를 탐구했다.[1]

긴츠부르그의 주요 저작 및 논문은 다음과 같다.

  • ''밤의 대결: 16, 17세기 마술과 농경 의례'' (I benandanti-Stregoneria e culti agrari tra Cinquecento e Seicentoita), 에이나우디, 1972.
  • ''검과 전구.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대한 새로운 해석'' (Das Schwert und die Glühbirne. Eine neue Lektüre von Picassos Guernicadeu), 프랑크푸르트암마인, 1999, ISBN 3518121030.
  • ''어떤 섬도 섬이 아니다. 세계적 관점에서 본 영문학에 대한 네 개의 시선'' (No Island is an Island. Four Glances at English Literature in a World Perspectiveeng), 뉴욕, 2000, ISBN 0231116284.
  • ''대화'' (Un dialogoita), 밀라노, 2003.
  • ''과거와 현재'', ''아날'', ''역사 쿼터니'', ''이탈리아 역사 저널'', ''비평 탐구'', ''엘레멘타'' 등 다수의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1]
  • 위도, 노예, 그리고 성경: 미시사를 이용한 실험 (PDF) - 온라인 논문[1]

3. 2. 마녀사냥과 민중 신앙 연구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그의 저서 ''밤의 대결: 16, 17세기 마술과 농경 의례'' (1972년 출간, 원제: I benandanti-Stregoneria e culti agrari tra Cinquecento e Seicentoita)와 ''엑스터시''에서 유럽의 특정 마녀 박해 현상과 베난단티 신앙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을 추적했다. 이 연구들을 통해 그는 유럽 민중 문화 속에 남아 있는 샤머니즘적 숭배의 흔적과 다양한 신앙 형태를 밝혀냈다.

3. 3. 역사 방법론과 증거

카를로 긴츠부르그는 역사 연구에서 증거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독특한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접근 방식은 특히 미세한 단서들을 통해 과거 사회의 심층적인 문화나 신념 체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둔다.

그의 초기 주요 저작인 ''밤의 전투''(1972)와 ''엑스터시''에서는 유럽의 특정 마녀 박해 기록에서 출발하여 베난단티와 같은 독특한 민중 신앙 집단에 주목했다. 긴츠부르그는 이들의 증언과 기록을 면밀히 분석하여, 표면적으로는 악마 숭배로 치부되었던 행위들 속에서 고대 유럽의 샤머니즘적 숭배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농경 의례 및 신념의 흔적을 찾아냈다. 이는 기록된 증거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역사적 통념에 도전하는 그의 연구 방법론을 잘 보여준다.

1999년에 출간된 ''재판관과 역사가''는 아드리아노 소프리의 재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며, 역사가의 작업과 재판관의 업무 사이의 유사성에 대해 깊이 탐구한다. 긴츠부르그는 역사가가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증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과, 재판관이 증언과 물적 증거를 토대로 사건의 진실을 추론하는 과정이 본질적으로 유사하다고 보았다. 동시에 그는 초기 역사학이 사법적 모델의 영향을 받아 쉽게 검증 가능한 사실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비판했다. 이러한 경향이 뤼시앵 페브르마르크 블로크가 『경제 및 사회사 연보』에서 비판했던 "사건 중심적 역사" 연구로 이어졌다고 지적하며, 단순한 사실 기록을 넘어선 역사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해에 나온 저서 ''역사, 수사학, 증거''(1999)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수사학과 니체의 현대 수사학을 비교하며, 역사 서술에서 증거와 수사학(설득의 기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 방식과 그 설득력의 문제에 대한 그의 방법론적 고민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긴츠부르그의 역사 방법론은 미세하고 파편적인 증거들을 통해 거대한 역사적 구조나 문화적 맥락을 읽어내려는 시도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는 미시사 연구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3. 4. 아드리아노 소프리 사건

1999년에 출간된 저서 『재판관과 역사가』에서 긴츠부르그는 아드리아노 소프리의 재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며 그의 무고함을 주장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심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 책은 단순히 소프리 개인의 사건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 역사가가 사용하는 과학적 방법론과 재판관이 증언 및 물적 증거를 통해 사건의 진실을 추론하는 과정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담고 있다. 긴츠부르그는 이 책에서 초기 역사학 연구가 마치 재판처럼 쉽게 검증 가능한 사실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음을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경향이 뤼시앵 페브르마르크 블로크가 『경제 및 사회사 연보』에서 비판했던 "사건 중심적 역사" 연구로 이어졌다고 보았다.

4. 비판 및 논쟁

(내용 없음)

5. 저서


  • '''주요 저서'''
  • * 카를로 긴츠부르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연도는 이탈리아어 초판 발행 기준이다.

  • I benandanti: Stregoneria e culti agrari tra Cinquecento e Seicentoit (1966). 한국어판 제목은 《밤의 전투: 16세기와 17세기의 마녀와 농업 숭배》, 《마녀와 베난단티의 밤의 전투》, 《밤의 대결: 16, 17세기 마술과 농경 의례》 등으로 번역되었다.
  • Il formaggio e i vermi: Il cosmo di un mugnaio del '500it (1976). 한국어판 제목은 《치즈와 구더기: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이다.
  • 피에로의 수수께끼》 (1985). (2000년 개정판 발행)
  • 《단서, 신화, 역사적 방법》 (1989). 이 책에는 "모렐리, 프로이트, 셜록 홈스: 단서와 과학적 방법" 장이 포함되어 있다.
  • Storia notturna: Una decifrazione del Sabbait (1989). 한국어판 제목은 《황홀경: 마녀의 안식일 해독》 또는 《어둠의 역사: 사바토의 해독》으로 번역되었다.
  • Il giudice e la storicoit (1991). 한국어판 제목은 《판사와 역사가: 여백의 메모와 20세기 후반의 정의의 실패》이다.
  • 《나무 눈》 (1998).
  • 《역사, 수사학, 증거: 메나헴 스턴 예루살렘 강의》 (1999).
  • 《칼과 전구: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대한 새로운 읽기》 (1999).
  • 《어떤 섬도 섬이 아니다: 세계적인 관점에서 본 영문학에 대한 네 가지 시선》 (2000).
  • Un dialogoit (2003). 한국어판 제목은 《대화》이다.
  • Il filo e le tracce: vero falso fintoit (2006). 한국어판 제목은 《실과 흔적: 진실, 거짓, 허구》이다.

  • '''논문 및 기고문'''
  • * 긴츠부르그는 다수의 논문과 글을 발표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렐리, 프로이트, 셜록 홈스: 단서와 과학적 방법"(1984), 위도, 노예, 그리고 성경: 미시사 연구의 실험 등이 있다. 또한 ''아날'', ''역사 쿼터니'', ''이탈리아 역사 저널'', ''비평 탐구'', ''엘레멘타'' 등 여러 학술지에 글을 기고했다.

  • '''일본어 번역서'''
  • * 긴츠부르그의 저서는 일본에서도 다수 번역 출간되었다. 주요 번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역서 제목원저번역자출판사출간 연도
치즈와 구더기 - 16세기 방앗간 주인의 세계상치즈와 구더기스기야마 미츠노부미스즈 서방1984 (신장판: 1995, 2003, 2012, 2021)
베난다티 16-17세기의 악마 숭배와 농경 의례밤의 전투타케야마 히로히데세리카 서방1986
밤의 전투: 16-17세기의 마술과 농경 신앙밤의 전투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1986
신화·우의·징후단서, 신화, 역사적 방법 (일부)타케야마 히로히데세리카 서방1988
재판관과 역사가판사와 역사가우에무라 타다오・츠츠미 야스노리헤이본샤 / 치쿠마 학예 문고1992 / 2012
어둠의 역사: 사바토의 해독황홀경타케야마 히로히데세리카 서방1992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수수께끼피에로의 수수께끼모리오 소후미스즈 서방1998 (신장판 2006)
피노키오의 눈: 거리에 대한 아홉 가지 성찰나무 눈 (일부)타케야마 히로히데세리카 서방2001
역사·수사학·입증역사, 수사학, 증거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01
역사를 거꾸로 읽다(선집)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03
실과 흔적실과 흔적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08
미크로스토리아와 세계사: 역사가의 작업에 대하여(편역 선집)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16
정치적 도상학에 대하여(강연 등)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19
그래도. 마키아벨리, 파스칼Nondimanco. Machiavelli, Pascalit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20
수치의 굴레: 새로운 문헌학을 위해(편역 선집)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22
어떤 섬도 고독한 섬은 아니다: 영국 문학 엿보기어떤 섬도 섬이 아니다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23
자유는 연약하다(편역 선집)우에무라 타다오미스즈 서방2024


6. 수상

2010년 발잔상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à degli Studi di Bologna. Professori ordinari http://www2.unibo.it[...] 2013-03-18
[2]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Carlo Ginzburg http://www.thehindu.[...] 2007-11-21
[3] 뉴스 Putting the Inquisition on Trial http://listserv.muoh[...] Los Angeles Times 1998-04-17
[4] 웹사이트 Vatican downgrades Inquisition toll https://www.nbcnews.[...] 2004-06-15
[5] 간행물 Sous la pression des historiens, l’Italie renonce à pénaliser le négationnisme http://www.ldh-toulo[...] Human Rights League 2007-02-01
[6] 웹사이트 Balzan Prize winners in 2010 http://www.balzan.or[...] Fondazione internazionale Premio Balzan 2011-07-19
[7] 웹사이트 Newly Elected - April 2013 |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https://www.amphilso[...] 2014-03-18
[8] 문서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id.loc.gov/a[...]
[9] 웹인용 Professori ordinari http://www2.unibo.it[...] 2014-09-27
[10] 뉴스 http://news20.bus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