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톱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톱스속(C. frenatus, C. aurantius)은 바위새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이다. 검정, 흰색, 빨간색 깃털을 가진 작은 새이며, 곤충을 주로 먹고 산다. DNA 연구에 따르면 참새소목 내 기저 그룹의 진정새류에 속하며 바위새과와 자매 관계이다.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새하목 - 스티치버드
스티치버드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숲, 습지, 초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한 작은 새로, 과거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현재는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카이톱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과 | 카이톱스과 (Chaetopidae) |
속 | 카이톱스속 (Chaetops) |
속 명명자 | Swainson, 1832 |
상위 분류군 권위자 | Fjeldsa, Ericson, Johannson, & Zuccon, 2015 |
하위 분류군 계급 | 종 |
하위 분류 | Chaetops frenatus Chaetops aurantius |
2. 분류 및 계통
카이톱스속의 라틴어 속명과 종명은 새의 외형 묘사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케이프바위뛰기새의 종명 ''frenatus''는 "굴레 모양의"라는 뜻으로 흑백의 머리 패턴을 가리키며, 드라켄즈버그바위뛰기새의 종명 ''aurantius''는 오렌지색 깃털 색상을 의미한다.
2. 1. 하위 종
- 케이프바위뛰기새 (''C. frenatus'')
- 드라켄즈버그바위뛰기새 (''C. aurantius'')
2. 2. 계통 분류
카이톱스속은 과거 개똥지빠귀과, 휘파람새과, 수염오목눈이과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의 DNA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속은 참새하목 내에서 초기에 분기한 그룹에 속하며, 바위새과(Picatharthidae)와 가장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따른 참새하목의 계통 분류를 보면, 카이톱스속은 바위새속과 함께 뜸부기꼬리치레과(Orthonychidae)에 포함된다. 이 뜸부기꼬리치레과는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Maluridae)와 자매 그룹을 형성한다. 더 상위 분류 단계에서는 이 그룹이 아랫볏찌르레기과(Callaeidae) 및 노티오미스티스과(Notiomystidae) 그룹, 멜라노카리스과(Melanocharitidae) 그룹, 크네모필루스과(Cnemophilidae) 그룹 등과 단계적으로 분기하며, 흰턱딱새소목, 딱새소목, 참새소목 등과 함께 참새하목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 형태
이들은 주로 검정, 흰색, 빨간색 깃털을 가진 작은 새이다. 두 종 모두 길고 흰색 팁이 있는 검은색 꼬리, 검은색 목, 넓은 흰색 뺨선과 눈썹, 적갈색 또는 주황색 배와 엉덩이, 회색과 검은색 무늬의 등과 날개를 가지고 있다. 암컷은 수컷과 비슷한 무늬를 가지지만 더 칙칙하다.[1] 홍채는 붉은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날개는 매우 작으며 자주 날지 않는다. 그들은 곤충을 사냥하면서 바위와 풀밭 사이를 뛰어다니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4. 생태 및 행동
바위뛰기새는 무리를 지어 땅에서 먹이를 찾는다. 무리는 케이프바위뛰기새의 경우 최대 6마리, 드라켄즈버그바위뛰기새의 경우 최대 12마리까지 이를 수 있지만, 먹이를 먹는 동안에는 상당히 넓게 흩어질 수도 있다.[3][4] 주요 먹이는 곤충이며, 애벌레, 나방, 메뚜기, 딱정벌레, 파리 등 다양한 종류를 먹는다. 특히 케이프바위뛰기새는 작은 척추동물을 잡아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 곤충 외에도 도마뱀, 게코, 양서류, 전갈, 환형동물, 거미 등을 먹이로 한다.
까마귀와는 먹이가 비슷하여 경쟁 관계에 놓이기도 하는데, 까마귀는 종종 바위뛰기새를 공격하여 먹이를 빼앗으려 한다.
4. 1. 번식
이들은 일부일처제이며, 짝을 이루어 연중 영토를 형성하고 방어한다. 케이프 바위뛰기새의 영토는 4ha 에서 11ha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두 종 모두 보조자를 활용하는데, 보통 이전 번식의 어린 개체들이 번식 쌍을 도와 새끼를 키운다.[5] 둥지는 풀로 땅에 지어진다(바위솔새가 군집에서 흙 둥지를 짓는 것과는 대조적이다).[6] 둥지 당 알의 수는 케이프 바위뛰기새는 2개, 드라켄스버그 바위뛰기새는 2~3개이다.[1] 암수 모두 19~21일 동안 알을 품는다. 새끼는 19~21일 만에 둥지를 떠나지만, 둥지를 떠난 후에도 최대 4주까지 부모와 보조자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다.참조
[1]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2: Picathartes to Tits and Chickadees.
Lynx Edicions
[2]
논문
[3]
간행물
Cape Rockjumper (Chaetops frenatus)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Barcelona
2017-07-04
[4]
간행물
Drakensberg Rockjumper (Chaetops aurantius)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Barcelona
2017-07-04
[5]
논문
Breeding System of the Cape Rockjumper, a South African Fynbos Endemic
[6]
서적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2: Picathartes to Tits and Chickadees.
Lynx Edicions
[8]
저널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