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미르 페리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지미르 페리에는 1777년 프랑에서 태어난 은행가, 사업가, 정치가이다. 그는 페리에 은행을 설립하여 프랑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안쟁 탄광 회사의 혁신을 이끌었으며, 프랑스 최초의 저축은행 설립에도 참여했다. 정치적으로는 하원 의원과 7월 혁명 이후 하원 의장, 총리를 역임하며 프랑스의 시민 질서 회복과 유럽 내 신용 재건에 힘썼다. 1832년 콜레라로 사망할 때까지 그는 다양한 사업에 투자하며 부를 축적했고, 교육과 기술 발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를레앙파 - 쥘 뒤포르
쥘 뒤포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총리를 지낸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웅변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거쳐 온건 공화파로서 활동하며 정치적 안정과 배심원 제도 법 통과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오를레앙파 - 프랑수아 다를랑
프랑수아 다를랑은 프랑스 해군 제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부에서 요직을 맡아 친독 협력 정책을 펼치다 1942년 알제에서 암살당했다. - 프랑스의 내무장관 - 니콜라 사르코지
니콜라 사르코지는 헝가리 출신 아버지와 그리스계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프랑스 제23대 대통령(2007년-2012년)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재임 중 경제 및 이민 정책, 리비아 군사 개입 등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퇴임 후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프랑스의 내무장관 - 쥘 뒤포르
쥘 뒤포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총리를 지낸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웅변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거쳐 온건 공화파로서 활동하며 정치적 안정과 배심원 제도 법 통과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그르노블 출신 - 앙드레 더 자이언트
앙드레 더 자이언트는 1946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프로레슬러와 배우로 활동하며, WWF에서 헐크 호건과 대립하여 유명해졌고, 영화 《프린세스 브라이드》에 출연했으며,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그르노블 출신 - 스탕달
스탕달(마리 앙리 베유)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나폴레옹 군대 참여와 이탈리아 생활을 통해 『적과 흑』, 『파르마의 수도원』 같은 심리 묘사와 역사적 배경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20세기 이후 재평가받아 프랑스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남기기도 했다.
카지미르 페리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위 | |
프랑스 국무회의 의장 | 겸 내무장관 (1832년 4월 27일부) |
생애 | |
출생일 | 1777년 10월 11일 |
출생지 | 프랑스 그르노블 |
사망일 | 1832년 5월 16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10구 |
안장지 | 페르 라셰즈 묘지 |
정치 | |
소속 정당 | 독트리네르 (1817–1830), 레지스탕스 당 (1830–1832) |
개인 정보 | |
배우자 | 폴린 로예 (1805년 결혼, 1832년 사망) |
자녀 | 오귀스트, 폴 |
교육 | 리옹 오라토리오회 |
직업 | 은행가, 산업 |
경력 | |
총리 임기 시작 | 1831년 3월 13일 |
총리 임기 종료 | 1832년 5월 16일 |
총리 전임 | 자크 라피트 |
총리 후임 | 장드디외 술트 |
하원 의장 임기 시작 | 1830년 11월 11일 |
하원 의장 임기 종료 | 1831년 5월 31일 |
하원 의장 전임 | 자크 라피트 |
하원 의장 후임 | 아메데 지로 드 랭 |
하원 의장 임기 시작2 | 1830년 8월 6일 |
하원 의장 임기 종료2 | 1830년 8월 21일 |
하원 의장 전임2 | 피에르 폴 루아예 콜라르 |
하원 의장 후임2 | 자크 라피트 |
오브 하원 의원 임기 시작 | 1827년 11월 18일 |
오브 하원 의원 임기 종료 | 1832년 5월 16일 |
오브 하원 의원 전임 | 빅토르 알렉상드르 마송 |
오브 하원 의원 후임 | 니콜라 베르니에 게라르 |
선거구 | 트루아 |
센 하원 의원 임기 시작 | 1817년 9월 21일 |
센 하원 의원 임기 종료 | 1827년 11월 17일 |
센 하원 의원 전임 | 엘리 드카즈 |
센 하원 의원 후임 | 니콜라 바부 |
선거구2 | 파리 3구 |
2. 초기 생애 및 가문 배경
1777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태어난 카지미르 페리에는 부유한 상인, 제조업자이자 은행가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클로드 페리에는 1788년 7월 21일 자신의 비질 샤토(Château de Vizille)에서 도피네 삼부회(Estates of Dauphiné)를 개최하여 프랑스 혁명을 예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의 어머니 마리 샤를롯 파스칼은 보아롱(Voiron)의 저명한 리넨 제조업자의 딸이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자크 페리에는 모두 캔버스와 리넨 천 무역으로 재산을 축적했다. 클로드 페리에는 비질 샤토에서 인디엔(Indiennes, 인쇄된 면직물) 제조업을 했다. 클로드 페리에는 파리로 사업 중심지를 옮겨 1794년부터 거주했으며, 프랑스 금융가들과 교류했다. 1795년 프랑스 북부 최대 석탄 광산 회사인 안쟁 회사(Anzin Company)에 투자하여 이사가 되었고, 1796년 파리의 주요 투자 은행인 카이스 데 꽁트 쿠랑(Caisse des Comtes Courants)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1799년 브뤼메르 18일 쿠데타 직후 프랑스 중앙은행(Bank of France)의 창립자이자 초대 이사 중 한 명이 되었다.[1]
카지미르 페리에는 형제들과 함께 은행, 광산,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펼쳤다.
클로드 페리에는 1801년 사망하여 막대한 재산을 남겼다. 당시 24세였던 카지미르는 안쟁 회사의 지분과 그르노블(이제르주)의 토지, 파리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그는 교회 학교와 예수회 가정교사로부터 고전 교육을 받았다. 1799년부터 1800년까지 이탈리아에서 군 복무를 하기도 했다.[2]
3. 사업 경력
1801년 6월 8일, 카지미르와 스키피옹 형제는 파리 뱅돔 광장에 은행을 설립했다.[3] 이 은행은 프랑스 산업혁명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라 오트 방크 파리지엔"으로 알려진 소규모 사립 은행 그룹에 속했다.[3] 페리에 형제는 안쟁 석탄 회사와 샤이요 철주조 공장 등 주요 기업에 투자하고 경영하며 프랑스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4]
페리에 형제는 프랑스 최초의 저축은행 설립에 참여하고, 보험 회사와 운하 건설 회사 설립을 지원하는 등 금융 분야에서도 활약했다.[6] 카지미르 페리에는 자본 투자를 다양한 사업에 분산시키는 정책을 추구했으며, 토지와 부동산에도 꾸준히 투자했다.[7]
카지미르와 스키피옹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 기술 발전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들은 초등 교육 개선 협회를 지원하고, 안쟁 광산 노동자들을 위한 야간 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 사업에도 힘썼다.[8]
3. 1. 은행업
1801년, 카지미르 페리에는 형 스키피옹 페리에와 함께 파리 뱅돔 광장 8번지에 은행을 설립했다.[3] 1809년까지 그곳에 위치했으며, 이후 27번지 뤼뇌브 뒤 뤼크상부르(현 뤼 캉봉)로 이전했다.[3] 페리에 은행은 프랑스 산업혁명 초기에 중요하고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라 오트 방크 파리지엔(La Haute Banque Parisienne)"으로 알려진 소규모 사립 은행 그룹 중 하나였다.[3]
페리에 은행의 주요 고객은 안쟁 석탄 회사(노르드주)와 파리 샤이요에 있는 페리에 소유의 철주조 공장 및 작업장이었다.[4] 카지미르와 스키피옹은 안쟁의 혁신과 경영 재편, 사업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
카지미르와 스키피옹 형제는 모두 프랑스 중앙은행 이사를 역임했다. 스키피옹은 1818년, 카지미르는 1820년에 이사가 되었다.[3] 두 사람 모두 파리 상공회의소 회원이었다.[3]
카지미르 페리에는 다른 은행가 및 사업가들과 함께 새로운 금융 기관 설립에도 참여했다.[6] 1818년, 카지미르와 스키피옹은 프랑스 최초의 저축은행인 파리 저축 및 예방 은행(뤼 리슐리외 104번지)의 설립 이사 중 한 명이었다.[6]
3. 2. 안쟁 탄광 회사
카지미르 페리에는 프랑스 북부 최대 석탄 광산 회사인 안쟁 회사(Anzin Company)의 주요 주주이자 경영진이었다. 1795년 그의 아버지 클로드 페리에가 안쟁 회사의 이사가 된 이후, 카지미르와 그의 형제 스키피옹은 회사의 혁신과 경영 재편을 주도했다.[1]
페리에 형제는 증기기관 도입 등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효율적인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쟁 회사를 프랑스 산업혁명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다. 특히, 1818년 샤이요 회사를 인수하여 아서 울프가 프랑스에서 특허를 받은 더 효율적인 코니시 고압 기관으로 안쟁을 업그레이드했다.[4] 카지미르는 혁신과 위험 감수를 추구하며 1820년대 안쟁의 'homme fort'(실력자)로 불렸다. 그의 노력으로 안쟁 회사의 석탄 생산량은 1816년 25만 톤에서 1830년 50만 9천 톤으로 크게 증가했다.[5]
페리에 형제는 조제프 드제랑도의 초등 교육 개선 협회(1815년 설립)를 지원했으며, 샤를 뒤팽이 고안한 강좌를 사용하여 안쟁에서 근로자를 위한 야간 학교 교육을 마련했다.[8]
3. 3. 기타 사업 활동
카지미르와 스키피옹 페리에 형제는 1818년 샤이요(Chailly) 회사를 인수하여, 아서 울프가 프랑스에서 특허를 받은 더 효율적인 코니시 고압 기관으로 안쟁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했다.[4]
페리에 형제는 프랑스 최초의 저축은행인 파리 저축 및 예방 은행(Caisse d'Épargne et de Prévoyance de Paris) 설립에 참여했으며[6], 자크 라피트(1814-19년 프랑스은행 총재), 레페브르, 필레 윌, 코티에 은행 등도 투자자로 참여했다.[6] 이들은 1816년부터 1820년까지 보험 회사인 콩파니 로얄 다쉬랑스(Compagnie Royale d'Assurance) 조직을 지원했고, 1823년에는 프랑스 북부 운하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부 대출 합자 회사인 콩파니 데 카트르 까노(Compagnie des Quatre Canaux) 설립에도 참여했다.[6]
카지미르 페리에는 은행가로서 자본 투자를 19세기 초 광범위한 사업에 분산시키는 정책을 펼쳤으며,[7] 1815년부터 1830년까지 토지와 부동산에 총 투자액의 약 15%를 투자했다.[7]
4. 정치 경력
카지미르 페리에는 폭넓은 사업적 이해관계와 투자를 바탕으로 복고 왕정의 재정 정책에 대해 하원에서 반대했다. 1817년 리슐리외 내각의 전쟁 배상금 지불을 위한 차관 조달 정책에 반대했고,[9] 1820년대에는 빌렐 내각의 운하 건설 자금 조달 및 귀족 배상 정책에 대한 논쟁을 주도했다.[10]
1817년 파리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중도좌파에 속했으며, 언론 자유를 옹호하는 연설로 주목받았다. 1822년과 1824년 파리, 1827년 파리와 트루아에서 재선되었고, 트루아를 대표하여 사망할 때까지 의원직을 유지했다. 페리에는 프랑스 왕정 복고에 대한 불충이 아닌, 논쟁에서의 공격성을 보였으며, 1830년 7월 혁명을 야기한 공화파의 음모와는 거리를 두었다. 마르티냐크 내각 하에서는 왕실과의 화해 가능성이 있었고, 1829년 1월 하원 의장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폴리냐크 공작의 집권으로 관계가 단절되었고, 1830년 3월 15일 샤를 10세의 법령에 반대한 221명의 의원 중 한 명이었다.
1830년 7월 3일, 페리에는 파리 시청(Hôtel de Ville, Paris)의 5인 임시 위원회에 참여했지만, 샤를 10세의 퇴위 선언에는 서명하지 않았다. 그는 인민 혁명을 본능적으로, 그리고 이해관계상 꺼렸지만, 루이 필립의 7월 왕정 헌법 군주제가 혁명의 지속에 대한 유일한 대안임을 인정했다. 그러나 파리의 '폭도'와 협상한 것에 대한 경멸로 인해 새 왕의 총애를 받지는 못했다. 페리에는 하원 의장을 역임하고, 몇 달 동안 무임소 장관으로 내각에 참여했다.[11]
4. 1. 하원 의원 (1817-1830)
카지미르 페리에는 사업가로서의 이해관계와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복고 왕정 내각의 재정 정책에 대해 하원에서 반대했다. 1817년 그는 리슐리외 내각이 나폴레옹 전쟁 배상금 지불을 위해 차관을 조달하려는 정책에 반대했다.[9] 1820년대에는 빌렐 내각의 운하 건설 자금 조달(1821~1822년)과 혁명 기간 몰수된 토지에 대한 귀족 배상(1824~1825년) 정책에 반대하는 논쟁을 주도했다.[10]1817년, 페리에는 파리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중도좌파에 합류했으며, 언론 자유를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 1822년과 1824년에는 파리에서, 1827년에는 파리와 트루아에서 재선되었는데, 트루아(오브주)를 대표하기로 하고 사망할 때까지 그곳을 대표했다. 페리에의 논쟁에서의 공격성은 프랑스 왕정 복고에 대한 불충성 때문이 아니었으며, 1830년 7월 혁명의 원인이 된 공화파의 음모와는 거리를 두었다. 마르티냐크 내각 시기에는 왕실과의 화해 가능성이 있었고, 1829년 1월 하원 의장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8월 폴리냐크 공작이 집권하면서 이러한 관계는 끝났고, 1830년 3월 15일 페리에는 샤를 10세의 법령을 거부한 221명의 의원 중 한 명이었다.
4. 2. 7월 혁명과 7월 왕정 (1830-1832)
카지미르 페리에는 1830년 7월 혁명 당시 파리 시청(Hôtel de Ville)에 있는 5명의 임시 위원회에 참여했지만, 샤를 10세의 퇴위 선언에는 서명하지 않았다.[11] 그는 인민 혁명을 꺼렸지만, 루이 필립의 7월 왕정 헌법 군주제 정부가 혁명의 지속에 대한 유일한 대안임을 인정했다.[11]페리에는 하원 의장을 역임했고, 잠시 무임소 장관으로 내각에 참여했다.[11] 1831년 3월 13일, 수상으로 임명되어 프랑스의 시민 질서를 회복하고 유럽에서 프랑스의 신용을 재건하는 데 힘썼다.[11]
페리에는 1830년 혁명이 더 큰 변화의 시작이 아니라 1789년 혁명의 종말이라고 생각했다.[12] 그는 라피트의 "운동당" 소속 오딜롱 바로에게 "아닙니다, 몽시외, 혁명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단지 국가 원수만 바뀐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2]
4. 3. 총리 (1831-1832)
1831년 3월 13일, 카지미르 페리에는 루이 필리프 1세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는 시민 질서를 회복하고 유럽에서 프랑스의 위상을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1]페리에는 국내적으로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파리에서는 3월부터 9월까지 끊임없이 소요가 발생했지만, 페리에의 단호한 결의로 겨우 진압되었다.[12] 리용에서는 카뉘 반란이 격렬한 전투 끝에 진압되었고, 그르노블에서는 군대와 주민 간의 분쟁에 대해 시민들에게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았다.[12] 페리에는 1830년 혁명이 더 큰 변화의 시작이 아니라 1789년 혁명의 종말이라고 생각했다.[12]
대외적으로 페리에는 평화 정책을 추구하면서도 프랑스의 이익을 강력히 옹호했다. 그는 바르샤바 혁명 정부를 지지하는 무력 개입은 거부했지만, 1831년 8월에는 북부 군대를 네덜란드에 신속하게 파병하여 프랑스를 벨기에의 보호자로 만들었다. 또한 안코나 점령(1832년 2월 23일)을 통해 이탈리아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행사했고, 포르투갈 정부가 프랑스 거주자에 대한 피해 보상을 거부하자 리스본에 해군을 파견했다.[12]
페리에는 과로와 걱정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1832년 봄, 파리에 콜레라가 발생하자 오를레앙 공작 페르디낭 필리프와 함께 병원을 방문했다가 콜레라에 감염되어 6주 후 사망했다.[13]
5. 사생활
카지미르 페리에는 1805년 10월 13일 마리 세실 로랑스 루아예(Marie Cécile Laurence Loyer|마리 세실 로랑스 루아예프랑스어)와 결혼했다. 그녀의 애칭은 "폴린(Pauline)"이었고, 옛 제도 리옹의 고등 법관이었던 로랑-푸투 루아예(Laurent-Pouthus Loyer)의 딸이자 프랑스 혁명 시대 테러의 희생자였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센과 오브 지역의 국회의원을 지낸 오귀스트 카지미르 페리에(Auguste Casimir-Perier, 1811~1876)와 센마리팀 지역의 국회의원과 상원의원을 역임한 샤를-폴 페리에(Charles-Paul Perier, 1812~1897)이다. 오귀스트 카지미르 페리에의 아들 장 카지미르 페리에(Jean Casimir-Perier, 1847~1907)는 1894년 프랑스 제3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6. 유산 및 평가
카지미르 페리에는 프랑스 산업혁명과 7월 왕정 시기에 경제와 정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경제 정책은 자유방임주의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국가의 개입을 통해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방향을 추구했다.[3][4][5][6] 그는 은행가로서 자본 투자를 광범위한 사업에 분산시켰고, 토지와 부동산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했다.[7]
페리에는 교육의 중요성과 과학 기술 발전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그는 초등 교육 개선 협회를 지원하고, 안쟁에서 근로자를 위한 야간 학교 교육을 마련했다. 파리에서는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했다.[8]
정치적으로 페리에는 온건 자유주의 노선을 걸으며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했다.[9][10] 1830년 7월 혁명 당시에는 임시 위원회에 참석했지만, 샤를 10세의 퇴위 선언에는 서명하지 않았다.[11] 그는 루이 필리프 1세의 7월 왕정 수립에 기여했지만, 혁명보다는 질서 유지를 중시했다.[12] 수상 재임 기간 동안에는 시민 질서를 회복하고 프랑스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13] 그러나 리옹의 카뉘 반란을 강경하게 진압하는 등 노동자들의 저항을 억압한 점은 비판받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Le père de Casimir Perier, 1743–1801
[2]
문서
Liquidation de la succession de Claude Perier (n.d)
Municipal Library of Grenoble
[3]
논문
The Perier Bank during the Restoration (1815–1830)
[4]
서적
The Anzin Coal Company, 1800–1833
[5]
서적
The Anzin Coal Company
[6]
서적
The Perier Bank
[7]
서적
Achats et Ventes Immobiliers de Casimir Perier
Bourset
[8]
논문
Éloge de M. Scipion Perier
[9]
서적
Réflections sur le projet d'emprunt
Paris
[10]
서적
Planning the French Canals
[11]
서적
Casimir Perier
[12]
서적
Mémoires posthumes
Paris
[13]
서적
Casimir Per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