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트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트콤은 한국 전쟁 중 영연방군의 병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인 병사를 영연방군에 편입시킨 제도로, 1952년 5월 창설되어 1993년까지 존속했다. 약 100여 명의 카트콤이 주로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에 참여했으며, 영국과 캐나다 무기 훈련을 받았다. 카투사와 달리 벨기에, 네덜란드 등 유엔군 소속 부대에서도 복무했으며, 가평 전투 참전을 기념하여 가평군에 우정의 호주정원이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 카투사
    카투사는 한국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의 합의로 창설되어 미군에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로,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군의 작전 및 행정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병무청 추첨과 영어 성적을 통해 선발되지만, 법적 근거 미비 등의 논란도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 전투지원부대
    전투지원부대는 화력, 방공, 정보, 공병, 통신, 항공 등 다양한 지원 기능으로 전투 부대의 작전 수행을 돕는 부대이며, 각 군별 편성과 역할에 차이가 있으나 현대전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1993년 해체된 단체 - 제5전구군지역사령부
    제5전구군지역사령부는 남유럽 태스크포스 군수사령부로 재소집되어 제5군단지역사령부에서 재편성된 후 유럽 주둔 미군의 전력 운용 및 지원을 담당하다 남유럽 태스크포스(SETAF)와 통합되어 SETAF/제5군단으로 재편성된 후 해산된 부대이다.
  • 1993년 해체된 단체 - 북부군집단 (소련)
    북부군집단은 폴란드에 주둔하며 폴란드 해방과 공산 정권 유지, 냉전 시대 NATO 견제 및 동유럽 국가 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한 소련군 부대로, 폴란드 민주화 이후 철수하여 폴란드 민주주의 발전과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쳤다.
  • 주한 영연방군 -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4개국 참전 용사 21,000명의 용기와 희생을 기리기 위해 부산 UN기념공원에 세워진 3.6m 높이의 검은색 화강암 기념물이다.
  • 주한 영연방군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카트콤
기본 정보
1954년, 호주왕립군 제3대대 소속 카트콤이 호주군과 함께 훈련에 참가한 사진
1954년, 호주왕립군 제3대대 소속 카트콤이 호주군과 함께 훈련에 참가한 사진
원어 이름Korean Augmentation Troops to Commonwealth Division, KATCOM
병과보병
역할주한 영연방군에 대한 대한민국 육군의 병력 지원
역사
활동 기간1950년 ~ 1993년
참전한국 전쟁

2. 역사

카트콤은 한국 전쟁중인 1952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주로 단순히 병력 순환 기간 동안 숫자를 구성하기 위한 대체 목적으로 영연방군 내에 포함되기도 하였었다.[3]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략 100명 정도 카트콤이 주로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뤘다고 한다.[4][5]

KATCOM으로 배정된 병사들은 영국과 캐나다의 무기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한국의 대체훈련센터에서 16주간의 표준 기초 훈련을 받았다.[6][7] 또한 주한 미군에 배속되었던 카투사와 달리 보다 광범위하게, 카트콤은 벨기에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엔사령부 소속 부대에서 복무하기도 하였다. 카트콤은 한국전쟁 이후에도 주한 영연방군이 주둔함에 따라서 유지되었으며, 1993년까지 존속하였다.[8][9]

카트콤의 존재는 카투사의 존재에 비해서 한국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영연방군 소속이었던 영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한국전쟁에 관련하여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 편이다.

가평군오스트레일리아가평 전투에 참전한 카트콤과 호주군을 기리기 위해서 가평군에 우정의 호주정원을 설립하였다.[10]

2. 1. 창설 배경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영연방군은 병력 부족 문제를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한국인 병사를 영연방군에 편입시키는 카트콤 제도가 시행되었다.[3] 카트콤은 1952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병력 순환 기간 동안 숫자를 보충하기 위한 대체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3]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약 100여 명의 카트콤이 주로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렀다.[4][5] 카트콤으로 배정된 병사들은 영국캐나다의 무기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한국의 대체훈련센터에서 16주간의 표준 기초 훈련을 받았다.[6][7] 주한 미군에 배속되었던 카투사와 달리, 카트콤은 벨기에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엔사령부 소속 부대에서도 복무하였다.[8][9]

2. 2. 카트콤의 역할

카트콤은 한국 전쟁 중인 1952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주로 영연방군 부대에 배속되어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3]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략 100명 정도의 카트콤이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렀다.[4][5] 카트콤으로 배정된 병사들은 영국과 캐나다의 무기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한국의 대체훈련센터에서 16주간의 표준 기초 훈련을 받았다.[6][7] 주한 미군에 배속되었던 카투사와 달리, 카트콤은 벨기에군, 네덜란드군 등 다른 유엔군 사령부 소속 부대에도 배속되어 복무하였다.[8][9]

2. 3. 훈련 과정

카트콤으로 선발된 병사들은 한국의 대체 훈련 센터에서 16주간의 표준 기초 훈련을 받았다.[6][7] 이 과정에서 영국과 캐나다 무기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았다.[6][7]

2. 4. 한국 전쟁 이후

카트콤은 한국 전쟁 이후에도 주한 영연방군이 주둔함에 따라 1993년까지 존속하였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략 100명 정도의 카트콤이 주로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렀다. 카트콤으로 배정된 병사들은 영국과 캐나다의 무기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한국의 대체훈련센터에서 16주간의 표준 기초 훈련을 받았다. 또한 주한 미군에 배속되었던 카투사와 달리, 카트콤은 벨기에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엔사령부 소속 부대에서 복무하기도 하였다. 카트콤의 존재는 카투사의 존재에 비해서 한국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영연방군 소속이었던 영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한국전쟁에 관련하여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 편이다. 가평군오스트레일리아가평 전투에 참전한 카트콤과 호주군을 기리기 위해서 가평군에 우정의 호주정원을 설립하였다.

2. 5. 카트콤의 인지도

카트콤은 주한 미군에 배속되었던 카투사와 달리 주한 영연방군 소속이었기 때문에 대한민국 내에서는 그 존재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3] 반면,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 영연방 국가에는 한국 전쟁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있어 카트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가평군호주가평 전투에 참전한 카트콤과 호주군을 기리기 위해 가평군에 우정의 호주정원을 설립하였다.[10]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략 100명 정도의 카트콤이 주로 호주 왕립군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렀다고 한다.[4][5]

3. 참전 전투

가평 전투카트콤이 참전한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다. 카트콤은 호주 왕립군과 함께 중공군의 공세를 막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3. 1. 가평 전투

가평 전투카트콤이 참전한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다. 카트콤은 호주 왕립군과 함께 중공군의 공세를 막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4. 기념 사업

4. 1. 가평군 호주정원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1950-53 Osprey 1986
[2] 뉴스 My Korean War https://www.koreatim[...] 2010-09-03
[3] 웹인용 영(英)군복 입고 싸운 '카트콤' 아시나요 https://www.chosun.c[...] 2020-08-04
[4] 웹인용 KATCOM http://www.koreanwar[...]
[5] 웹인용 가평전투 70주년 호주군과의 아름다운 우정을 사진에 담다, 전쟁기념관 사진전시회 https://blog.naver.c[...]
[6] 웹인용 My Korean War (4) https://www.koreatim[...] 2010-12-03
[7] 웹인용 잊혀진 6·25 참전 병사 카트콤을 아시나요? https://www.mbn.co.k[...] 2020-06-06
[8] 서적 Far Eastern Tour: The Canadian Infantry in Korea, 1950-1953 https://www.jstor.or[...]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2
[9] 간행물 In from the cold: reflections on Australia's Korean War https://www.academia[...] 2020-01-01
[10] 웹인용 가평군 '우정의 호주정원' 조성…"미래평화 기원" https://news.nat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