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지원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투지원부대는 주력 부대의 전투 수행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부대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포병, 공병, 통신, 화생방, 군사경찰, 정보, 항공대, 심리전 부대 등이 전투지원부대에 해당하며, 보병사단의 경우 포병여단, 공병대대, 통신대대, 화생방대대, 군사경찰대대, 사단 항공단 등으로 구성된다. 전투지원부대는 화력 지원, 방공 지원, 정보 지원, 공병 지원, 통신 지원, 항공 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주력 부대를 지원한다. 미군의 경우 화학 부대, 군사 정보 부대, 군사 경찰 부대, 통신 부대 등이 전통적인 전투 지원 부대에 속하며, 해병대는 지상 전투 부대의 보병을 제외한 모든 병력을 전투 지원 부대로 지정한다. 또한 한미 연합 작전에서도 정보 공유, 연합 훈련, 작전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 카투사
카투사는 한국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의 합의로 창설되어 미군에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로,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군의 작전 및 행정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병무청 추첨과 영어 성적을 통해 선발되지만, 법적 근거 미비 등의 논란도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 카트콤
카트콤은 한국 전쟁 중 영국군에 배속된 한국군 부대로, 영연방군 작전 지원, 훈련, 유엔군 사령부 소속 복무, 주요 전투 참전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한국 전쟁 이후 주한 영연방군과 함께 유지되다 해체되었다.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투지원부대 | |
---|---|
개요 | |
유형 | 군사 지원 |
역할 | 전투 부대에 대한 작전 지원 |
설명 | 작전 지원은 전투 부대가 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군사 활동의 범주이다. |
포함 | 정보 공병 수송 군수 의료 지원 통신 헌병 화학, 생물학, 방사능, 핵 방어 (CBRN) 심리전 |
2. 대한민국 국군의 전투지원부대
대한민국 국군에서 전투지원부대는 전투부대가 전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화력, 기동, 방호, 정보, 통신 등 다방면에 걸쳐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부대를 의미한다. 이들 부대는 현대전에서 전투부대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작전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군의 전투지원부대는 다양한 전문 병과로 구성되어 각자의 영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아군 전투부대의 작전 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국군의 각급 제대는 자체적인 전투지원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작전 상황에 따라 상급 부대나 공군, 해군 등 타군의 지원을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이러한 유기적인 지원 체계는 국군의 전투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2. 1. 병과
2. 2. 사단의 전투지원부대
보병사단의 자체적인 전투지원부대로는 포병여단(또는 연대급 포병부대), 공병대대, 통신대대, 화생방대대, 군사경찰대대, 사단 항공단 등이 있다. 또한, 상급 부대인 군단으로부터 군단 포병, 정보대대, 심리전 부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필요할 경우 공군으로부터 근접 항공지원을 받거나, 해군으로부터 함포 사격 지원을 받는 것 역시 전투지원의 범위에 포함된다.2. 3. 전투지원부대 활동
전투지원부대는 전투부대가 원활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제공한다. 주요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력 지원: 포병, 항공, 함포 등을 이용한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적 부대 제압 및 아군 전투부대의 작전을 용이하게 한다.
- 방공 지원: 방공 및 대공 작전을 통해 아군을 적의 공중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적 항공기나 미사일 공격에 대한 방어 임무를 담당한다.
- 정보 지원: 수색, 감시, 방첩 활동을 통해 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아군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공병 지원: 공병 작전을 통해 기동로 개척,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진지 구축 등 전투부대의 기동과 생존을 지원한다. 특히 도하 작전 지원은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이다.
- 통신 지원: 원활한 통신 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여 지휘관의 지휘통제를 보장하고 부대 간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 항공 지원: 육군 항공 부대를 운용하여 병력 및 물자 수송, 공중 강습, 항공 정찰, 화력 지원 등 다양한 공중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3. 미군의 전투지원부대
(내용 없음)
3. 1. 미국 육군
현재 미국 육군의 조직 교리는 과거의 전투지원부대를 "기동, 화력 및 효과"(MFE)와 "작전 지원"(OS)이라는 분류 체계 아래 기동 지원, 특수 작전 부대, 네트워크 및 우주 작전, 정보, 감시 및 정찰 기능 영역으로 재편성하였다.[3]미국 육군 내에서 전통적으로 전투지원부대로 분류되었던 병과는 다음과 같다.
병과 | 창설/지정 연도 |
---|---|
화학 부대 | 1918년 (화학전 서비스) / 1945년 (화학 부대) |
군사 정보 부대 | 1962년 |
군사 경찰 부대 | 1941년 |
통신 부대 | 1860년 |
2008년에 전투 병과 / 전투 지원 병과 / 전투 근무 지원 병과 분류 시스템 사용이 중단되기 전까지 다음 병과들이 전투지원부대로 분류되었다. (참고: 육군 항공대와 공병대는 실제로는 전투 병과에 속하지만 전투 지원 역할도 수행한다.)
병과 | 지정 연도 | 비고 |
---|---|---|
육군 항공대 | 1983년 | 전투 병과 분류 관련 상세 내용은 전투 병과 – 육군 항공대 참조. |
민사 부대 | 2006년 | |
심리 작전 부대 (군사 정보 지원 작전) | 2006년 | |
공병대 | 1775년 | 전투 병과 분류 관련 상세 내용은 전투 병과 – 공병대 참조.[4] |
'''주요 전투 지원 병과 휘장'''[5]
3. 2. 미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 교리에 따르면, 지상 전투 부대(GCE) 병력 중 보병을 제외한 모든 병력은 전투 지원 부대로 지정된다. 여기에는 야전 포병, 상륙 돌격 장갑차, 전투 공병, 경장갑 정찰, 정찰 부대가 포함된다. 과거에는 전차 부대도 포함되었으나, 2021년 말까지 모든 전차를 매각하면서 제외되었다. 이들 전투 지원 부대의 주된 임무는 보병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다.해병대는 별도의 "화학 군단"을 운영하지 않는다. 대신 각 GCE 대대의 작전 참모부에 NBC(Nuclear, Biological, Chemical) 전문 인력(장교 및 부사관)을 배치한다. 또한, II 해병 원정군(II MEF) 예하에 화생방 사고 대응 부대(CBIRF)라는 대대 규모의 부대를 두어 화학, 생물학, 방사능, 핵 및 고성능 폭발물(CBRNE) 관련 상황 관리를 담당한다.
군사 정보(정보 대대), 군사 경찰(법 집행 대대), 신호(통신 대대), 무선 대대(신호 정보 및 전자전 담당), 항공 해군 포병 연락, 특수 정찰, 심리 작전, 민사, 공보 부대 등은 지휘 부대(CE)로 지정되며, C4ISTAREW(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Target Acquisition, Reconnaissance, Electronic Warfare)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은 GCE 전투 지원 부대와는 별도로 분류된다.
모든 해병대 항공 관련 부대, 즉 항공대와 항공 지원 부대(항공 본부, 전술 항공 지휘, 항공 통제, 항공 지원, 통신, 항공 병참, 항공 지상 지원 비행대, 저고도 방공 대대)는 항공 전투 부대(ACE)에 소속된다. 육군 항공의 전투 지원 임무인 전장 정찰, 신호 정보, 강습 헬기 지원 등은 해병대에서 ACE가 항공 정찰, 전자전, 강습 지원 기능을 통해 수행한다.
전투 지원(CSS)은 해병대에서 병참 전투 부대(LCE)로 불린다. LCE는 GCE 부대에 직접적인 병참 지원을 제공하고, MAGTF 전체에 일반적인 병참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투 병참 대대(CLB)는 특정 GCE 부대에 수송, 보급 분배, 상륙 지원(자재 처리 등)을 직접 제공하며, 전투 병참 중대(CLC)는 특정 ACE 부대에 직접적인 병참 지원을 제공한다. ACE에는 두 가지 특수한 CSS 부대인 해병 항공 병참 비행대(MALS)와 해병 비행단 지원 비행대(MWSS)도 포함된다. MALS는 특정 항공대대에 중간 단계 항공기 정비, 항공 보급, 항공 병기 지원을 제공하고, MWSS는 특정 해병 항공 그룹(MAG)에 비행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급, 정비, 수송 지원, 공병 지원, 의무, 치과 대대는 MAGTF 전체에 일반적인 병참 지원을 제공한다.
4. 한미 연합 전투지원
이전 요청에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한미 연합 전투지원'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검토하고 수정할 대상 결과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원본 소스 자료가 필요합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 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제시하신 지침에 따라 검토 및 수정을 거쳐 최종 결과물을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lligence Jobs & Careers
http://www.goarmy.co[...]
2016-04-26
[2]
웹사이트
Army Branches
https://web.archive.[...]
2016-04-26
[3]
웹사이트
UNC Charlotte Army ROTC: Career Path & Branch Homepages, Branches Overview
http://arotc.uncc.ed[...]
2016-12-12
[4]
간행물
U.S. Army Field Manual FM 3-90: Tactics (dated 4 July 2001), Appendix A: Army Branches and Tactical Echelons, Appendix A: Army Branches and Tactical Echelons, A-2, A-13, A-14, A-15, and A-16. Combat Arms, as well as A-8. Combat Support, Figure A-2. Combat Support Capabilities
http://www.bits.de/N[...]
2016-12-12
[5]
웹사이트
Insignia
http://www.goarmy.co[...]
2016-04-26
[6]
문서
보병, 기갑(전차), 기계화보병부대 등 직접 전투를 수행하는 부대
[7]
문서
보급(병참), 의무(의료), 수송, 정비, 행정, 법무, 민사심리전, 건설 부대 등 전투근무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