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나다 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 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원정군의 지휘를 받았으며, 1916년 군단 창설 이후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비미 능선 전투에서 승리하고 아미앵 전투에서 독일군에 큰 타격을 입히는 등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으며, 1919년 해산될 때까지 4개의 사단을 예하에 두었다. 캐나다 군단의 활약은 캐나다의 국가 정체성 확립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육군의 군단 - 왕립기갑군단
    왕립기갑군단은 1939년 영국 육군에서 기계화된 기병 연대와 왕립 전차 군단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군단으로, 현재는 기갑, 기갑기병, 경기병 연대로 구성되어 정규군과 예비군을 운용하며 훈련 및 NATO 지원 작전에 참여한다.
  • 캐나다의 군사사 - 골드플레이크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은 골드플레이크 작전을 통해 이탈리아 전선에서 북서부 유럽으로 대규모 병력 이동을 은밀하게 수행하려 했으며, 독일군을 속이기 위해 펜나이프 작전이라는 기만 작전을 병행했으나, 캐나다 언론에 의해 작전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 캐나다의 군사사 - 6.25 전쟁 기간 캐나다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캐나다의 군사사는 유엔 결의에 따라 한국 전쟁에 참전한 캐나다군의 군사적 활동으로, 육군, 해군, 공군을 파병하여 가평 전투 등에 참여, 총 26,791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516명의 전사자와 1,042명의 부상자를 냈으며, 정전 후에도 한반도 평화 유지 노력과 대한민국과의 우호 관계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캐나다 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캐나다 군단 본부, Neuville-Vitasse, 프랑스, 1918년
활동 기간1915년–1919년
소속캐나다 원정군
규모4개 사단
명령 체계여러 영국 야전군
지휘관
1915–1916년에드윈 알더슨 경
1916–1917년줄리안 빙 경
1917–1919년아서 커리 경
전투
참전제2차 이프르 전투
몽소렐 전투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70고지 전투
아라스 전투
캉브레 전투

2. 역사

캐나다 징병 포스터


비미 능선의 유령


캐나다 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원정군의 지휘를 받았지만, 1916년 솜 전투 이후 캐나다 내에서는 군단이 하나의 부대로 싸워야 한다는 정치적 압력이 거셌다.[3] 에드윈 알프레드 헤리 앨더슨 경이 군단을 지휘했으나, 정치적인 문제로 줄리안 빙 중장으로 교체되었다.[4] 1917년 빙이 승진하면서 아서 커리 장군이 군단 최초의 캐나다인 사령관이 되었다. 커리는 국가 독립에 대한 열망과 연합군 통합의 필요성을 조화시켰으며, 훈련되고 경험 있는 캐나다인 장교들이 양성될 때까지 영국군 장교들을 유임시켰다.[1]

캐나다 군단은 1917년 4월 비미 능선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고, 커리는 이를 "군단이 가진 가장 위대한 날"이라고 칭했다.[6] 1918년 춘계 대공세 동안 영국 및 프랑스 군을 지원하여 독일군을 저지했다.[7] 같은 해 8월 아미앵 전투에서 독일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는 캐나다의 백일천하의 시작점으로 불린다.[8] 이후 연합군의 공세를 이끌었고, 1918년 11월 11일 몽스에서 종전을 맞이했다.[8]

전쟁이 끝나자 제1, 2캐나다사단은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했고, 1919년 군단은 해산되었다.[9] 귀국한 참전용사들은 전국적인 환영을 받았다.[8] 전쟁 중 캐나다 군단의 사상자는 총 56,638명으로, 해외 파병 병력의 13.5%, 입대자의 9.26%에 달했다.[10]

2. 1. 편성 및 초기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캐나다 원정군이 편성되었고, 그 핵심 부대로 캐나다 군단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원정군의 지휘를 받았으나, 1916년 솜 전투 이후 캐나다 정부는 여러 사단이 흩어져 있는 것보다 군단을 창설해 하나의 부대로 운용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14]

1916년까지 에드윈 알프레드 헤리 앨더슨 경이 캐나다 군단을 지휘했다. 그러나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줄리안 빙으로 지휘관이 교체되었다. 1917년 여름 빙이 진급하자 아서 커리가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어 캐나다 군단의 첫 캐나다인 군단장이 되었다. 커리는 연합군과의 통합성과 국가의 독립성에 대한 열망을 조화롭게 이끌었다. 그는 모든 영국군 장교를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했고, 잘 훈련되고 경험이 풍부한 캐나다 장교들이 양성된 이후에 영국군 장교들을 교체했다.[12] 이러한 영국군 장교들 중에는 앨런 브룩윌리엄 아이언사이드가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훗날 영국의 육군 원수가 되었다.[15]

2. 2. 주요 지휘관

에드윈 알프레드 헤리 앨더슨 경은 1916년까지 캐나다 군단을 지휘했으나, 정치적인 문제로 줄리안 빙으로 교체되었다.[14] 1917년 여름 빙이 진급하자, 아서 커리가 그의 뒤를 이어 캐나다 군단 최초의 캐나다인 군단장이 되었다.[14]

아서 커리는 캐나다군의 독립성과 연합군과의 통합성을 조화롭게 유지했다. 그는 모든 영국군 장교를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며, 유능하고 경험 많은 캐나다 장교들이 충분히 양성될 때까지 기다렸다.[12] 영국군 장교들 중에는 앨런 브룩윌리엄 아이언사이드가 있었는데, 이들은 훗날 영국의 육군 원수까지 역임하게 된다.[15]

2. 3. 주요 전투

캐나다 군단은 1916년 솜 전투 이후 하나의 부대로 운용되어야 한다는 캐나다 정부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주요 전투에 참전하게 되었다.[14]

1917년 4월 비미 능선 전투에서 캐나다 군단은 큰 승리를 거두었으며, 당시 군단장이었던 아서 커리는 이 날을 "군단이 창설된 이래 가장 훌륭한 날"이라고 칭송했다.[16] 1918년 독일군의 춘계 대공세 기간에는 영국군과 프랑스군을 지원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17]

1918년 8월 8일부터 11일까지 벌어진 아미앵 전투에서 캐나다 군단은 선봉에서 독일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이 전투는 캐나다의 백일천하의 시작점으로 평가받는다.[18] 이후 캐나다군은 연합군과 함께 공세를 이어갔고, 1918년 11월 11일 몽스에서 진격을 멈추었다.[18]

2. 3. 1. 1916년

전투날짜
몽 소렐 전투6월 2일–13일
플레르-쿠르스레트 전투9월 15일–22일
모르발 전투9월 25일
티에프발 고지 전투9월 26일–28일
르 트랑슬루아 전투10월 1일–18일
앙크르 고지 전투10월 1일–11월 11일


2. 3. 2. 1917년

Battle of Vimy Ridge영어: 4월 9일–12일[1]

Arras영어: 1917년 4월 9일–5월 16일[2]

Battle of Arleux영어: 4월 28일–29일[3]

Third Battle of the Scarpe영어: 5월 3일–4일[4]

Battle for Hill 70영어: 8월 15일–25일[5]

Second Battle of Passchendaele영어: 10월 26일–11월 10일[6]

2. 3. 3. 1918년

전투기간
아미앵 전투8월 8일–11일
제2차 솜 전투8월 21일–9월 2일
노르드 운하 전투 (부를롱 숲 점령 포함)9월 27일–10월 1일
캉브레 전투 (캉브레 점령 포함)10월 8일–9일


2. 4. 해산 및 유산

1918년 11월 11일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캐나다 군단은 활동을 중단했고, 1919년에 해산되었다.[19] 전쟁 말기 제1캐나다사단과 제2캐나다사단은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19] 캐나다 전국에서는 참전용사들의 귀환을 열렬히 환영했다.[18]

캐나다 군단의 사상자는 총 56,638명으로, 이는 캐나다 정부가 해외에 파견한 418,052명의 병사들 중 약 13.5%이며, 등록된 병사들의 약 9.26%에 해당한다.[20]

3. 예하 캐나다 사단

캐나다 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4개의 사단을 주력으로 운용했다. 각 사단은 고유의 편성 뱃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쟁 기간 동안 다양한 전투에 참여했다.

캐나다 사단[21][11]
부대편성 패치활동 기간주요 지휘관주요 전투
제1캐나다사단
1914년 8월 편성
1919년 해산
에드윈 앨더슨, 아서 커리, 아치볼드 카메론 맥도넬제2차 이프르 전투, 몽소렐 전투,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70고지 전투, 파스샹달 전투
제2캐나다사단
1915년 5월 편성
1919년 해산
샘 스틸, R. E. W. 터너, 헨리 에드워드 버스탈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제3캐나다사단
1916년 1월 편성
1919년 해산
맬컴 머서, 루이 립세트, 프레데릭 오스카 워렌 루미스몽소렐 전투,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제4캐나다사단
1916년 4월 편성
1919년 해산
데이비드 왓슨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아미앵 전투, 아라스 전투, 캉브레 전투
제5캐나다사단
1917년 2월 편성
1918년 2월 해산
가넷 휴스없음


3. 1. 제1캐나다사단



제1캐나다사단 정보[21]
편성 시기지휘관임기주요 전투
1914년 8월[21]에드윈 앨더슨1915년 3월 – 1915년 9월제2차 이프르 전투
1914년 8월[21]아서 커리1915년 9월 – 1917년 6월몽소렐 전투,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아치볼드 카메론 맥도넬1917년 6월 – 1919년70고지 전투, 파스샹달 전투


3. 2. 제2캐나다사단



제2캐나다사단은 1915년 5월에 편성되어 1919년에 해산되었다.[21] 이 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서부 전선에서 싸웠다.

제2캐나다사단 주요 지휘관 및 임기[21]
지휘관임기
샘 스틸1915년 5월 – 1915년 8월
R. E. W. 터너1915년 9월 – 1916년 12월
헨리 에드워드 버스탈1916년 12월 – 1919년



제2캐나다사단은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등에 참전했다.[21]

3. 3. 제3캐나다사단



제3캐나다사단은 1916년 1월에 편성되어 1919년에 해산되었다.[21] 주요 지휘관과 임기, 참전한 전투는 다음과 같다.[21]

지휘관임기주요 전투
맬컴 머서1915년 12월 – 1916년 6월 (전사)몽소렐 전투
루이스 립세트1916년 6월 – 1918년 9월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프레더릭 오스카 워렌 루미스1918년 9월 – 1919년없음


3. 4. 제4캐나다사단



제4캐나다사단은 1916년 4월에 편성되어 1919년에 해산된 캐나다 군단의 사단급 부대이다.[21][11] 데이비드 왓슨이 1916년 4월부터 1919년까지 사단의 지휘관을 맡았다.[21][11]

제4캐나다사단은 비미 능선 전투, 파스샹달 전투, 아미앵 전투, 아라스 전투, 캉브레 전투 등 여러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21][11]

3. 5. 제5캐나다사단



제5캐나다사단은 1917년 2월에 편성되어 1918년 2월에 해산되었다.[21][11] 이 사단은 가넷 휴스가 1917년 2월부터 1918년 2월까지 지휘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주요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21][11]

4. 평가

캐나다 군단의 군사적 효과는 광범위하게 분석되어 왔다. 군단은 1915년 여름 작전 이후 꾸준히 발전했다. 고드프루아(Godefroy, 2006)가 지적하듯이, 캐나다 원정군은 "가용한 모든 정치적, 물리적 자원을 전투력으로 전환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2] 군단 발전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모든 학습 기회를 활용하려는 독특한 노력과 능력이었다. 이는 지휘관부터 일병까지 모든 계급에 걸친 군단 전체의 활동이었다. 연합군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우는 이러한 능력은 군단을 점점 더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교리는 제한된 교전에서 시험되었고, 효과적임이 입증되면 대규모 전투를 위해 발전되었다. 각 교전 후에는 교훈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모든 부대에 전파했다. 비효율적이거나 너무 많은 희생을 치른 교리와 전술은 폐기되었고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학습 과정은 기술 혁신과 전장에서 유능한 고위 지휘관들과 결합하여 서부 전선에서 가장 효과적인 연합군 전투 부대 중 하나를 만들었다.[2]

5. 대중문화 속의 캐나다 군단

도널드 잭, 로버트슨 데이비스, 루시 모드 몽고메리 등의 작가들은 소설을 통해 캐나다 군단의 경험을 묘사했다.[1]

5. 1. 문학

도널드 잭의 유머 소설 시리즈인 《밴디 논문》의 주인공 바솔로뮤 밴디는 처음에는 캐나다 군단에서 보병 장교로 복무하다가 왕립 비행대로 전출되었다.[1]

로버트슨 데이비스의 1970년 소설 《제5의 인물》 상당 부분은 주인공이 캐나다 군단 군인으로서 경험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1]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소설 《잉글사이드의 릴라》(초록 지붕집의 앤 시리즈의 8번째 책)는 캐나다 민간인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의 경험을 다룬 최초의 성공적인 상업 출판물 중 하나이다.[1] 이는 당대 캐나다 작가가 쓴 유일한 제1차 세계 대전 소설이며, 갈리폴리 전투와 ANZAC 군대를 언급한 최초의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1]

참조

[1] 서적 The Canadian Army and the Normandy Campaign: A Study of Failure in High Command Praeger Publishers
[2] 서적 The Canadian Way of War: Serving the National Interest Dundurn Press 2006-04-01
[3] 간행물 Using the Legacy of World War I to Evaluate Canadian Military Leadership in World War II 2010-05-24
[4] 문서 Ross Rifle controversy
[5] 서적 Vimy Ridge: A Canadian Reassessment
[6] 서적 Vimy McClelland and Stewart
[7] 웹사이트 Spring Offensive https://web.archive.[...] Loyal Edmonton Regiment Museum 2010-05-24
[8] 웹사이트 Canada's Hundred Days https://web.archive.[...] Veterans Affairs Canada 2004-07-29
[9] 웹사이트 Armistice http://www.collectio[...]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0-05-24
[10] 웹사이트 Number of casualties in the First World War, 1914 to 1918, and the Second World War, 1939 to 1945 http://www65.statcan[...] Statistics Canada 2010-05-24
[11] 서적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Canadian Expeditionary Force 1914–1919 http://www.dnd.ca/dh[...] Queen's Printer and Controller of Stationery
[12] 서적 The Canadian Army and the Normandy Campaign: A Study of Failure in High Command Praeger Publishers
[13] 서적 The Canadian Way of War: Serving the National Interest Dundurn Press 2006-04-01
[14] 간행물 Using the Legacy of World War I to Evaluate Canadian Military Leadership in World War II 2010-05-24
[15] 서적 Vimy Ridge: A Canadian Reassessment
[16] 서적 Vimy McClelland and Stewart
[17] 웹인용 Spring Offensive https://web.archive.[...] Loyal Edmonton Regiment Museum 2010-05-24
[18] 웹인용 Canada's Hundred Days https://web.archive.[...] Veterans Affairs Canada 2004-07-29
[19] 웹사이트 Armistice http://www.collectio[...]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0-05-24
[20] 웹사이트 Number of casualties in the First World War, 1914 to 1918, and the Second World War, 1939 to 1945 http://www65.statcan[...] Statistics Canada 2010-05-24
[21] 서적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Canadian Expeditionary Force 1914–1919 http://www.dnd.ca/dh[...] Queen's Printer and Controller of Station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