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주도 제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리포니아주도 제1호선(State Route 1, SR 1)은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시스템의 일부로, 로스앤젤레스 광역권, 몬터레이, 산타크루즈, 샌프란시스코 광역권을 통과하는 구간은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에 포함된다. 빅 서 구간은 국립 경관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노선은 미국 군인을 기리기 위해 블루 스타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오렌지 카운티,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벤투라 카운티, 센트럴 코스트, 빅 서, 몬터레이 베이,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멘도시노 카운티를 지나며, 해안선을 따라 달리거나 해안에 가깝게 위치해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노선이다. 잦은 산사태와 침식으로 인해 일부 구간은 장기간 폐쇄되거나 우회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롱비치 (캘리포니아주)의 교통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C선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C선은 노워크 역에서 시작하여 A선, J선과 환승 가능하고, 2024년 11월 이후 K선과 연결되며, 105번 주간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를 따라 운행하는 고가 경전철 노선이다. - 롱비치 (캘리포니아주)의 교통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A선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A선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 운행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롱비치에서 애로요 지역까지 51.5km 구간에 28개의 역을 운행하며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주요 교통 동맥 역할을 수행한다. - 캘리포니아주도 - 캘리포니아주도 제3호선
캘리포니아주도 제3호선은 캘리포니아주 북부의 시스키유 군을 통과하는 주 도로로, 몬태규에서 주간고속도로 제5호선과 교차하며 캘리포니아 주 경관 도로 시스템 및 트리니티 헤리티지 경관 도로의 일부를 이룬다. - 캘리포니아주도 - 캘리포니아주도 제18호선
캘리포니아주 제18호선은 샌버나디노에서 시작해 샌버나디노 산맥을 가로지르며 캘리포니아 남부의 주요 도시와 휴양지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로, 림 오브 더 월드 경치 좋은 길 구간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을 거쳤다.
캘리포니아주도 제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캘리포니아 주도 |
노선 번호 | 1호선 |
관리 | 캘리포니아 교통국 |
총 길이 | 655.845 마일 (1,055.465 km) |
특별 제한 | 세풀베다 터널 내 가연성 액체 탱크 차량 통행 금지 말리부 통과 시 4축 이상 트럭 통행 금지 롬폭 통과 시 3톤 초과 트럭 통행 금지 톰 랜토스 터널 내 폭발물, 가연성 액체 통행 금지 카멜에서 샌 시메온 구간은 킹핀에서 후방 차축까지 30피트 초과 트럭 통행 금지 |
비고 | US 101호선에 의해 5개 구간으로 나뉨 |
관광 | [[파일:MUTCD D6-4.svg|20px|alt=|link=국가 경관 도로]] [[파일:California Scenic State.svg|20px|link=캘리포니아 경관 도로 시스템]] 빅서 해안 고속도로 및 샌 루이스 오비스포 북부 해안 도로 [[파일:California Scenic State.svg|20px|link=캘리포니아 경관 도로 시스템]] 산타 바바라 및 산 마테오 카운티의 카브릴로 고속도로 일부 |
개통 | 1934년 |
남쪽 기점 | 다나 포인트의 I-5 |
주요 교차로 | SR 55 (뉴포트 비치) I-10 (산타 모니카) SR 34 (옥스나드) SR 46 (캠브리아 근처) SR 68 (몬테레이) SR 17 (산타 크루즈) SR 92 (하프 문 베이) I-280 (데일리 시티) SR 20 (포트 브래그 근처) |
북쪽 종점 | 레겟 근처의 US 101호선 |
경유 카운티 | 오렌지 로스앤젤레스 벤투라 산타 바바라 샌 루이스 오비스포 몬테레이 산타 크루즈 산 마테오 샌프란시스코 마린 소노마 멘도시노 |
이전 노선 종류 | I |
이전 노선 번호 | 980 |
다음 노선 종류 | SR |
다음 노선 번호 | 2 |
2. 경로 설명
SR 1은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며,[4] 로스앤젤레스 광역권, 몬터레이, 산타크루즈, 샌프란시스코 광역권을 통과하는 구간은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다.[5] 이 시스템은 연방 고속도로 관리국에 의해 국가의 경제, 국방, 이동성에 필수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로 간주된다.[6]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데이나 포인트, 뉴포트 비치, 산타모니카, 옥스나드 내 일부 구간에 대한 주 정부의 통제권을 포기했으며, 해당 구간은 현재 각 지자체에서 관리한다.[7]
빅 서 구간(산루이스오비스포에서 카멜까지)은 공식 국립 경관 도로로 지정되어 있다.[8] SR 1은 주 경관 고속도로 시스템에 포함될 자격이 있으며,[9]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 사이의 몇몇 구간은 공식적으로 경관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0] 이는 "기억에 남는 풍경"을 통과하며 "시각적 침해"가 없는 상당한 구간의 고속도로를 의미하며, 이러한 지정이 지역 사회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음을 나타낸다.[11]
전체 노선은 미국 군인을 기리기 위해 블루 스타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이 지정은 캘리포니아 가든 클럽이 후원하지만, 아직 SR 1을 따라 관련 표지판은 설치되지 않았다.[12] 1959년 주 의회는 여러 구간에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 데이나 포인트의 I-5와 옥스나드 근처의 US 101 사이의 남부 캘리포니아 구간은 태평양 연안 고속도로(Pacific Coast Highway, 일반적으로 PCH로 불림)로 지정되었다. Las Cruces 교차로(부에르톤에서 남쪽으로 약 약 12.87km)의 US 101과 피스모 비치의 US 101 사이, 그리고 산루이스오비스포의 US 101과 샌프란시스코의 I-280 사이의 구간은 탐험가 후안 로드리게스 카브리요를 기려 카브리요 고속도로(Cabrillo Highway)로 명명되었다. 또한 마린 시티 근처 Manzanita 교차로부터 레게트까지의 북쪽 구간은 1957년에 쇼어라인 고속도로(Shoreline Highway)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고속도로의 작은 구간들은 주 및 지방 정부에 의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13]
대부분의 경우 SR 1은 해안선을 따라 또는 그에 가깝게 이어지지만,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 디아블로 캐니언 발전소, 포인트 레이스 국립 해안과 같은 연방 관리 구역이나 보호 구역을 피하기 위해 여러 지점에서 내륙으로 몇 마일 정도 우회한다. 이 노선은 경로를 따라 해안 도시와 지역 사회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해변, 공원 및 기타 해안 명소로의 접근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경로이다. 이를 통해 캘리포니아주는 매년 수십억 달러의 관광 수입을 올리고 있다.[14] SR 1의 도로는 도시 지역의 고속도로에서부터 시골의 단순한 2차선 도로까지 다양하다. 캘리포니아 해안법에 따라 보호되는 해안 지역의 시골 구간은 경관 보존을 위해 2차선 도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없다.[15]
2. 1. 오렌지 카운티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 최남단에서 1번 주도(SR 1)는 데이나 포인트의 카피스트라노 비치 지역에 있는 I-5에서 시작하여 시내 중심가를 향해 서쪽으로 이동한다. 데이나 포인트를 벗어나면 태평양 연안 고속도로(Pacific Coast Highway, PCH)는 공식 명칭이 "코스트 하이웨이"(Coast Highway)로 변경되며, 해안을 따라 북서쪽으로 라구나 비치와 크리스탈 코브 주립공원을 통과한다. 라구나 비치에서는 SR 133의 남쪽 종점과 만난다.[22][23]
1번 주도는 이후 뉴포트 비치로 진입하여 뉴포트 코스트 및 코로나 델 마를 포함한 여러 지역을 지나간다. 어퍼 뉴포트 만의 입구를 가로지르는데, 이 지점은 이스트 코스트 하이웨이와 웨스트 코스트 하이웨이 사이의 경계가 된다. 또한 남쪽 종점 부근에서 SR 55와 교차한다. 산타 아나 강 하구를 건너 헌팅턴 비치로 들어가면 1번 주도는 다시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PCH)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이 도로는 헌팅턴 주립 해변과 SR 39의 남쪽 종점을 지나 볼사 치카 주립 해변 및 볼사 치카 생태 보호 구역에 도달한다. PCH는 이후 오렌지 카운티 내 마지막 통과 도시인 실 비치의 해안선을 따라 계속 이어진다.[22][23]
2. 2.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와 벤투라 카운티

태평양 연안 고속도로(PCH)는 샌 가브리엘 강을 건너 로스앤젤레스군의 롱비치 시로 진입한다. SR 1은 이후 시내를 북서쪽으로 지나 로스 알라미토스 서클에서 레이크우드 대로(SR 19) 및 로스 코요테스 다이어고날과 합류하는데, 이 지점은 해안에서 약 3.22km 이상 떨어져 있다. 교통 서클을 지나 롱비치를 통과하며 서쪽 내륙으로 계속 이어지고, 약 약 1.61km 구간은 시그널힐의 남쪽 경계와 인접해 있다. 롱비치 구간은 PCH로 표시되어 있지만, 원래 이름은 교통 서클 동쪽의 해더웨이 애비뉴와 서쪽의 스테이트 스트리트였다. 이후 PCH는 로스앤젤레스의 윌밍턴과 하버시티 지역을 통과한다. 팔로스 버데스 반도의 해안선을 직접 통과하지 않고, SR 1은 과거 레돈도-윌밍턴 대로의 경로를 따라 로미타와 토런스 시를 향해 서쪽으로 이어진다.[22][23]
PCH는 이후 레돈도 비치와 허모사 비치를 거쳐 북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맨해튼 비치에 들어서면 세풀베다 대로가 되며, 엘 세군도를 통과한 후 다시 PCH로 명칭이 변경된다.[16] 임페리얼 하이웨이 교차점에서 도로는 LAX의 두 활주로 아래를 지나는 세풀베다 대로 터널을 통과하며 다시 세풀베다 대로라는 이름을 사용한다.[22][23]
LAX를 지나면 SR 1은 세풀베다 대로에서 갈라져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링컨 대로가 된다. 이 도로는 웨스트체스터, 플레이야 비스타, 베니스와 같은 로스앤젤레스 시의 지역들과 마리나 델 레이의 미편입 지역을 통과한다. 이 구간은 I-405 서쪽에 마땅한 남북 간선 도로가 부족하여 대부분 시간대에 심각한 교통 체증을 겪는다. 이후 SR 1은 샌타모니카 시로 진입하여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샌타모니카 고속도로(I-10)의 가장 서쪽 구간과 합류한다. 맥클루어 터널(I-10의 미국 서부 종점이기도 함)을 통과한 후, SR 1은 다시 PCH라는 이름으로 샌타모니카 해변가에 나타나 해안을 따라 이어진다. 이 도로는 샌타모니카 부두 북쪽의 절벽에 의해 샌타모니카 시내와 분리된다. 이 구간은 지역적으로 팔리세이드 비치 로드 또는 과거 루스벨트 하이웨이로도 불렸다. 샌타모니카를 벗어난 후 PCH는 해안을 따라 계속 이어지며,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을 지나 서쪽으로 굽어지며 말리부 시의 주요 도로가 되어 도시 전체 약 33.80km를 관통한다.[22][23]

SR 1은 군 경계를 넘어 벤투라군으로 진입하여 말리부 해안을 따라 레오 카릴로 주립공원과 포인트 무구 주립공원을 통과한다. 포인트 무구의 곶을 절개하여 지나가는데, 이곳은 샌타모니카 산맥의 서쪽 끝이자 옥스나드 평원의 시작점이다. 이 도로 공사로 인해 곶 끝에는 '무구 록'이라는 거대한 바위 지형이 남게 되었다. 이 지점에서 PCH는 해안을 떠나 북쪽으로 방향을 틀고, 해군 기지 벤투라군 포인트 무구의 북동쪽 경계를 따라 고속도로 형태로 몇 마일을 이동하여 옥스나드의 라이스 애비뉴, 플레전트 밸리 로드, 옥스나드 대로 인터체인지에 도달한다.[22][23] 재건된 라이스 애비뉴/플레전트 밸리 로드 인터체인지는 일반 도로인 라이스 애비뉴에서 US 101과의 인터체인지로 북쪽 방향 교통을 유도한다. 옥스나드 대로를 경유하는 기존 경로는 2014년에 폐지되었다. 후에네메 항구를 오가는 트럭 교통 역시 이 지정 경로를 이용하여 라이스 애비뉴/후에네메 로드 연결로를 통해 라이스 애비뉴 인터체인지에서 US 101과 연결된다.[17]
벤투라 시를 통과한 후, SR 1은 US 101에서 분기되어 역사적인 해변 경로를 따라 린콘 해안을 지나간다. 이 경로는 원래 엠마 우드 주립 해변에서 씨 클리프 인근의 모빌 부두 지하차도까지 철도 해안선 건설로 인해 개통된 구간이다. 씨 클리프에서 SR 1은 샌타바버라군 경계에서 약 약 4.83km 떨어진 지점, 라 콘치타 근처에서 US 101과 다시 합류한다.[22][23]
2. 3. 센트럴 코스트
US 101번 국도와 SR 1번 국도가 함께 지나는 구간은 샌타바버라 시와 샌타바버라 카운티 해안을 따라 인접 지역 사회를 지나며 약 약 86.90km 동안 이어진다. 이 도로는 가비오타 주립 해변에서 가비오타 해안을 벗어나 포인트 컨셉션을 지나 가비오타 주립공원과 가비오타 터널을 통과하며 북쪽으로 향한다. 라스 크루세스에서 SR 1번 국도는 '카브리요 고속도로'(Cabrillo Highway)라는 이름으로 US 101번 국도에서 다시 갈라져 나와 북서쪽으로 롬폭 시로 향한다. 롬폭 시내에서는 동서 방향의 오션 애비뉴(Ocean Avenue)를 따라 SR 246번 국도와 잠시 합쳐진 후, H 스트리트(H Street)에서 해리스 그레이드 로드(Harris Grade Road)로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다시 카브리요 고속도로라는 명칭을 사용한다.[22][23]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의 정문에 도착한 후, SR 1번 국도는 기지의 해안선에서 벗어나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SR 135번 국도와 합류한다. 이후 SR 135번 국도는 오컷 남쪽에서 SR 1번 국도와 분리되고, 카브리요 고속도로는 다시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해안으로 돌아가 과달루페 시로 진입한다. 샌루이스오비스포 군으로 들어서면 보호 구역인 과달루페-니포모 듄의 해안선을 피해 그로버 비치를 통과하고, 이어서 피스모 비치에서 세 번째로 US 101번 국도와 합류한다. US 101번 국도와 SR 1번 국도가 함께 가는 이 구간은 아빌라 비치와 디아블로 협곡 원자력 발전소의 해안선을 피하고, 대신 내륙으로 곧장 샌루이스오비스포 시로 향한다.[22][23]
SR 1번 국도는 샌루이스오비스포 시의 산타 로사 스트리트(Santa Rosa Street)에서 US 101번 국도와 다시 분기되어 카브리요 고속도로라는 이름의 4차선 도로로 이어진다. 모로 베이에서 해안과 다시 만나며 도시를 고속도로 형태로 통과하는데, 이곳에서는 몰링스톤 호라이즌 시대의 선사 시대 추마시족 정착지였던 모로 크릭을 건넌다.[18] 모로 베이를 지나 북쪽으로 카유코스로 향하면서 도로는 다시 구불구불한 2차선 도로가 되며 가끔 추월 차선이 나타난다. 이후 캠브리아와 샌 시미언을 지나며 해안을 따라 계속 이어지고,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등대 인근의 코끼리물범 서식지를 지난다. SR 1번 국도는 샌 시미언 북쪽 샌루이스오비스포 카운티에 위치한 허스트 캐슬로 접근하는 주요 도로 역할을 한다.[22][23]
2. 4. 빅서


주도 제1호선은 이후 빅서 지역으로 진입하여 몬터레이 군 경계 바로 남쪽의 산 카포로포 개울을 건너간다. 산 카포로포 개울에서 말파소 개울까지 약 약 115.87km 구간 동안 도로는 빅서의 험준한 절벽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지며, 이 지역의 다양한 해안 공원을 지나간다. 나시미엔토-퍼거슨 로드를 제외하고는 산타루시아산맥의 반대편으로 연결되는 포장도로는 없다. 도로는 잠시 해안을 벗어나 빅서 강 계곡의 레드우드 숲을 통과하기도 한다. 1919년에서 1937년 사이에 건설된 이 고속도로의 빅서 구간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여러 유서 깊은 다리를 건너간다. 대표적인 다리로는 빅스비 다리, 빅스비 크릭 협곡을 가로지르는 약 97.54m 길이의 철근 콘크리트 아치교인 로키 크릭 다리[22][23], 그리고 빅 크릭 다리가 있다.[19]
2. 5. 몬터레이 베이 지역
카멜 강을 건너면 1번 주도는 내륙으로 방향을 틀어 카멜의 동쪽 경계와 카멜 밸리의 서쪽 경계를 따라 달린다. 이후 몬터레이에 이르러 고속도로 형태로 바뀐다. 페블 비치와 나머지 몬터레이 반도의 해안선을 우회한 뒤, 고속도로는 몬터레이 만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샌드 시티, 시사이드, 마리나를 통과한다. 156번 주도와 카스트로빌 근처의 나들목에서 1번 주도는 모스 랜딩까지 2차선 지방 도로 형태로 북쪽으로 이어진다.[22][23]1번 주도는 산타크루즈 카운티로 진입하기 직전에 다시 고속도로가 된다. 이 4차선 고속도로는 왓슨빌을 지나 몬터레이 만 해안을 따라 산타크루즈에서 17번 주도와 만나는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이 트럼펫 나들목은 위에서 보았을 때 좁은 루프 램프가 낚싯바늘처럼 생겼다고 하여 현지에서는 '더 피시훅(The Fishhook)'이라고 불린다. 짧은 간선도로 구간을 지나면, 도로는 4차선 미션 스트리트(Mission Street)가 되어 산타크루즈 시내를 통과한다. 시를 벗어나면 캐브릴로 고속도로(Cabrillo Highway, 지역/역사적 명칭은 '코스트 로드(Coast Road)')로 지정되며, 데이븐포트를 거쳐 해안을 따라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2차선 도로(간혹 4차선 구간이 있음)가 된다.[22][23]
2. 6.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SR 1의 샌프란시스코 광역권 통과 구간은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다.[5] 산루이스오비스포의 미국 국도 101호선(US 101)부터 샌프란시스코의 주간 고속도로 280호선까지의 구간은 1959년 주 의회에 의해 탐험가 후안 로드리게스 카브리요를 기려 '카브리요 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13] 또한, 마린 시티 인근 Manzanita 교차로부터 레게트까지 북쪽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1957년에 '쇼어라인 고속도로'라는 이름이 붙었다.[13]특히 금문교를 건너는 구간에서는 국도 제101호선과 노선을 공유한다.
2. 7. 멘도시노 카운티
SR 1은 그 후 괄랄라강을 건너 멘도시노군으로 진입한다. 고속도로는 포인트아레나 시에 진입하여 메인 스트리트가 된 후, 스쿨 스트리트를 따라 북서쪽으로 향한 다음 다시 쇼어라인 하이웨이가 된다. 가르시아강을 건너고 엘크 근처에서 나바로강을 건너 캘리포니아주도 제128호선과 만난다.[22][23]앨비언 마을에서는 고속도로에 남아있는 유일한 나무 트레슬 다리인 앨비언강 다리가 앨비언강을 가로지른다. SR 1은 그 후 리틀리버와 밴댐 주립공원을 지나 빅강을 건너 멘도시노 헤드랜즈 주립공원과 빅토리아 시대의 멘도시노 지역을 통과한다. 북쪽으로 계속 가면 SR 1은 프레데릭 W. 판호르스트 다리 위에서 러시안 걸치 주립공원을 건너 캐스퍼 마을을 통과한다.

캘리포니아주도 제20호선의 서쪽 종점 교차로 바로 남쪽에 있는 로터리를 지나[20][21] 차선이 2개로 넓어진 다음 노요에서 노요강을 건너 포트브래그의 메인 스트리트가 되고 캘리포니아 웨스턴 철도를 건넌다.[22][23]
다시 2차선 고속도로가 된 포트 브래그 북쪽에서는 SR 1이 매커리처 주립공원과 클레온 및 잉글누크 마을을 지나 텐마일강을 건넌다. 웨스트포트-유니언 랜딩 주립 해변을 지나면 이 도로는 록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일련의 레드우드 숲이 우거진 스위치백(급커브길)을 통과한다. 록포트 북쪽에서는 고속도로가 멘도시노 삼중 접합부 융기에 의해 생성된 가파르고 불안정한 고지대를 피하기 위해 로스트 코스트에서 멀어진다. 고속도로는 레겟 외곽에서 US 101에서 끝나기 전까지 레드우드 숲이 우거진 산악 지형을 통해 코타네바 크릭을 따라 내륙으로 이어진다.[22][23]
3. 역사
SR 1은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며,[4] 로스앤젤레스 광역권, 몬터레이, 산타크루즈, 샌프란시스코 광역권을 통과하는 주요 구간은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에도 포함된다.[5] 이 도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62] 현재의 단일 노선은 1964년 이전까지 존재하지 않았으며, 여러 다른 이름과 번호로 불리던 도로 구간들이 통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SR 1 지정 자체는 1939년에 처음 부여되었으나, 전체 노선이 SR 1로 통합된 것은 1964년 주 고속도로 번호 재정비 이후이다.
도로 건설은 191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빅 서 해안과 같이 건설이 매우 어려운 구간도 포함되었다. 초기에는 지역 자금이나 뉴딜 정책과 같은 연방 지원, 심지어 교도소 노동력까지 동원되어[28] 각 구간이 점진적으로 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로는 '카멜-샌시메온 고속도로', '루스벨트 고속도로', '코스트 대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주 의회는 SR 1의 특정 구간에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 1959년에는 남부 캘리포니아 구간(데이나 포인트 ~ 옥스나드 부근)이 '태평양 해안 고속도로'(Pacific Coast Highway, PCH)로,[13] 샌루이스오비스포 북쪽부터 샌프란시스코까지의 구간은 '카브리요 고속도로'(Cabrillo Highway)로 지정되었다.[13] 마린 시티 북쪽 구간은 1957년에 '쇼어라인 고속도로'(Shoreline Highway)라는 이름이 붙었다.[13]
SR 1은 아름다운 해안 경관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구간이 주 경관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0] 특히 빅 서 구간(산루이스오비스포 ~ 카멜)은 공식 국립 경관 도로이며,[8] 1965년 캘리포니아 최초의 주 지정 경관 고속도로가 되었다.[38] 또한, 전체 노선은 미국 군인을 기리는 블루 스타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12]
이 도로는 캘리포니아 해안을 따라 주요 도시와 지역 사회를 연결하고 해변, 공원 등 관광 명소로의 접근성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경로이며, 주 관광 수입에 크게 기여한다.[14] 도로는 도시 지역의 현대적인 고속도로에서부터 시골 지역의 2차선 도로까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캘리포니아 해안법에 따라 보호되는 일부 구간은 경관 보존을 위해 확장이 제한된다.[15]
3. 1. 초기 건설
SR 1의 건설은 1910년 이전에 캘리포니아주가 세 번째 고속도로 채권 발행을 통과시킨 후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대에 처음 구상될 당시에는 고속도로 이름이나 노선 번호로 불리지 않았으며, 노선 번호는 1915년부터 주 정부 내부적으로만 사용되었다.[62] SR 1 지정은 1939년에 처음 부여되었다.
벤투라와 산타바바라 사이의 직접적인 해안 도로를 원했던 시민들은 1911년 지역 자금으로 린콘 해수면 도로 건설을 시작했다. 초기 경로는 벤투라 강과 카핀테리아 사이의 해안 절벽을 따라가는 개선되지 않은 도로였다.[24] 서던 퍼시픽 철도 건설 과정에서 생긴 사석으로 도로 기반이 마련되었고, 이후 포장 및 나무 잔교 건설이 이루어졌다.[25] 지역 자금이 부족해지자 새로 설립된 주 고속도로 위원회가 사업을 인수하여 1913년에 도로를 완공했다.[26]
빅 서 해안 구간은 건설이 가장 어려운 곳 중 하나였다. 주는 빅 서와 캘리포니아 다른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1919년 56번 노선(카멜-샌시메온 고속도로) 건설을 승인했다.[27] 연방 기금이 배정되었고, 1921년 유권자들은 추가 주 기금을 승인했다. 샌 퀜틴 주립 교도소는 도로 건설을 위해 세 곳의 임시 교도소 캠프를 설치하고 죄수 노동을 제공했다. 수감자들은 하루 35센트를 받고 노동했으며, 그 대가로 형기가 단축되었다. 이 구간에는 빅스비 다리를 포함하여 총 33개의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포인트 서와 카멜 사이에는 6개의 콘크리트 아치 다리가 추가로 건설되었다.[28]

대공황 시기 뉴딜 정책 자금 지원을 받아 18년간의 공사 끝에, 포장된 2차선 도로인 빅 서 구간은 1937년 6월 17일에 완공되어 개통되었다.[29] 이 도로는 공식적으로 카멜-샌시메온 고속도로(56번 노선)로 불렸지만, 당시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기리기 위해 루스벨트 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졌다. 1921년 법에 따라 56번 노선은 캠브리아까지 남쪽으로 확장되었고,[30] 1931년에는 샌루이스오비스포의 US 101과 연결하기 위해 캠브리아에서 남쪽으로 더 확장되었다.[33]
한편, 옥스나드에서 샌후안카피스트라노까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60번 노선은 1925년에 옥스나드에서 엘 리오까지 확장되었다. 포인트 무구 구간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남은 폭발물을 사용하여 산을 뚫어 길을 냈다.[31] 1921년 법 제정으로 60번 노선은 이론적으로 US 101과 연결되어 옥스나드와 카피스트라노 해변 사이의 연속적인 해안 순환 도로를 형성하게 되었다.[32] 말리부를 경유하여 산타 모니카에서 옥스나드까지의 구간은 1925년 "코스트 대로"로 계약되었으나, 1929년 헌정 시에는 "시어도어 루즈벨트 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
1933년 주 고속도로 시스템이 대규모로 확장되면서 56번 노선은 양방향으로 연장되었다. 남쪽으로는 피스모 비치의 US 101에서 시작하여 과달루페와 롬폭을 지나 로스 크루세스에서 US 101과 다시 만나는 구간이 추가되었다. 북쪽으로는 카멜에서 산타크루즈를 거쳐 샌프란시스코까지 해안을 따라 연장되었다. 샌프란시스코 북쪽으로는 골든 게이트 북쪽에서 밸리 포드 근처, 러시안 강에서 제너 근처를 지나 웨스트포트까지, 그리고 펀데일에서 펀브리지 근처까지 여러 불연속적인 구간이 추가되었다.[36][37] 샌시메온에서 카멜까지의 경로와 60번 노선은 오리건주에서 멕시코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해안 도로 건설 계획의 일부였다.[34][35]
1934년 캘리포니아가 고속도로 번호 체계를 도입하면서 SR 1 표지판이 처음 설치되었다. 북부 및 중부 해안의 56번 도로 구간(라스 크루세스에서 펀브리지까지)은 SR 1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벤투라,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카운티를 지나는 60번 도로 구간은 처음에는 SR 3으로 지정되었으나,[39] 1936년까지 US 101 Alt.로 변경되었다. 이 변경은 US 66의 종점을 산타 모니카로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40]
몬타라와 퍼시피카를 연결하던 기존의 좁고 구불구불한 페드로 마운틴 로드는 1937년 현재의 SR 1 노선이 완성되면서 대체되었다. 퍼시피카와 데일리 시티 사이의 해안 구간은 1957년 3월 22일 발생한 규모 5.3의 지진으로 인해 손상되어 폐쇄되었으며, 손튼 해변 근처에 일부 흔적이 남아 있다.
빅 서를 따라가는 56번 노선은 1939년에 주 고속도로 시스템에 편입되면서 공식적으로 SR 1로 재지정되었다. 이후 1964년 주 고속도로 번호 재정비(1964년 캘리포니아 재번호) 과정에서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벤투라 카운티의 US 101A 구간도 SR 1로 통합되었다.[43] 북부 해안의 미개통 구간들은 1951년 입법을 통해 노선에 포함되었고,[41] 록포트에서 레겟까지의 연결 구간은 1964년 재번호 지정 시 SR 208이 되었다가[43] 나중에 SR 1의 일부가 되었다.
빅 서 해안 구간은 1965년에 캘리포니아 최초의 주 지정 경관 고속도로가 되었으며, 1966년에는 영부인 레이디 버드 존슨이 참석한 가운데 빅스비 다리에서 공식 지정식이 열렸다.[38] 이 구간은 미국 연방 정부에 의해 올 아메리칸 로드(All-American Road)로도 지정되었다.[28]
3. 2. 명칭 변경 및 확장
SR 1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62] 1964년 이전에는 여러 다른 노선 번호와 이름으로 불렸다. 제1차 세계 대전 시대에 도로가 처음 구상되었을 때, 캘리포니아의 고속도로는 이름이나 노선 번호로 불렸다. 노선 번호는 1915년부터 1964년까지 주 고속도로 계획가와 주의회에서 사용되었지만, 도로 표지판에 게시되거나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지는 않았다. SR 1이라는 지정은 1939년에 처음 부여되었으며, 그 이전과 이후에도 여러 구간이 다양한 이름과 번호로 불렸다.[13]SR 1이 될 도로의 건설은 1910년 이전에 주의 세 번째 고속도로 채권 발행이 통과된 후 시작되었다. 벤투라와 산타바바라 사이의 해안 도로 건설은 지역 주민들의 염원으로, 1911년 지역 자금으로 린콘 해수면 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초기 경로는 간조 때 해안 절벽을 따라가는 비포장 도로였으나,[24] 서던 퍼시픽 철도 건설로 생긴 사석 제방 위에 도로를 포장하고 나무 잔교를 건설하여 개선되었다.[25] 지역 자금이 소진되자 새로 설립된 주 고속도로 위원회가 인계받아 1913년에 완공했다.[26]
가장 건설하기 어려웠던 구간 중 하나는 빅 서 해안이었다. 주는 1919년에 빅 서와 캘리포니아 다른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56번 노선, 즉 카멜-샌시메온 고속도로 건설을 승인했다.[27] 연방 기금이 배정되고 1921년 유권자들이 추가 주 기금을 승인하면서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샌 퀜틴 주립 교도소는 세 곳의 임시 교도소 캠프를 설치하여 도로 건설에 죄수 노동력을 제공했다. 수감자들은 하루 0.35USD를 받고 형기 단축 혜택을 받았다. 이 구간은 33개의 다리 건설을 필요로 했으며, 그중 가장 큰 다리는 빅스비 다리이다.[28] 대공황 시기 뉴딜 정책 자금의 지원을 받아 18년간의 공사 끝에 포장된 2차선 도로는 1937년 6월 17일에 완공되었다.[29] 처음에는 카멜-샌시메온 고속도로(56번 노선)로 불렸으나, 당시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기리기 위해 루스벨트 고속도로로 더 널리 알려졌다. 1921년 법에 따라 56번 노선은 캠브리아까지 남쪽으로 확장되었다.[30]
옥스나드에서 해안을 따라 샌후안카피스트라노까지 이어지는 60번 노선은 1925년에 옥스나드에서 엘 리오까지 확장되었다. 포인트 무구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남은 폭발물을 사용하여 산을 깎아 도로를 만들었다.[31] 1921년 법은 60번 노선을 US 101과 연결하여 연속적인 해안 순환 도로를 만들려는 구상을 담고 있었다.[32] 56번 노선은 1931년에 캠브리아에서 남쪽으로 더 확장되어 샌루이스오비스포의 현재 US 101과 연결되었다.[33]
1933년 주 고속도로 시스템의 대규모 확장으로 56번 노선은 양방향으로 크게 늘어났다. 남쪽으로는 피스모 비치의 US 101에서 시작하여 과달루페와 롬폭을 지나 가비오타 패스 북쪽의 로스 크루세스 교차로에서 US 101과 다시 만나는 구간이 추가되었다. 북쪽으로는 카멜에서 산타크루즈를 거쳐 샌프란시스코까지 해안을 따라 이어졌고, 샌프란시스코 북쪽으로는 몇 개의 불연속적인 구간이 추가되었다(골든 게이트 북쪽에서 밸리 포드 근처까지, 러시안 강에서 제너 근처까지, 웨스트포트까지, 펀데일에서 펀브리지 근처까지).[36][37]
말리부를 통과하는 산타 모니카-옥스나드 구간은 1925년 '코스트 대로'로 계약되었으나, 1929년 개통 시에는 '시어도어 루즈벨트 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 몬타라와 퍼시피카 사이에는 1914년에 완공된 좁고 구불구불한 '페드로 마운틴 로드'가 있었으나, 현재의 SR 1 노선은 이후에 건설되었다. 퍼시피카와 데일리 시티 사이의 해안 구간은 1957년 규모 5.3의 지진으로 손상되어 폐쇄되었다.
캘리포니아가 고속도로 번호 체계를 도입한 1934년에 SR 1 표지판이 처음 설치되었다. 당시 56번 도로로 지정되었던 북부 및 중부 해안 구간(라스 크루세스에서 펀브리지까지)에 SR 1 번호가 부여되었다. 반면, 60번 도로였던 남부 구간(샌후안카피스트라노에서 옥스나드 지역까지)은 SR 3으로 지정되었고 일부 표지판이 설치되기도 했다.[39] 그러나 SR 3 표지판은 도로가 건설되면서 1936년까지 US 101 Alt. 표지판으로 대체되었다.[40] 빅 서를 따라가는 56번 노선은 1939년에 주 고속도로 시스템에 편입되면서 SR 1로 재지정되었다.
북부 해안의 미연결 구간은 1951년 입법을 통해 마침내 연결 계획이 세워졌으며, 록포트 근처에서 레겟의 US 101까지 이어지는 연결로도 56번 노선 정의에 추가되었다.[41] 하지만 록포트에서 펀데일까지의 기존 군도는 당시 포장되지 않은 상태였다.[42]
1957년에는 마린 시티 근처 만자니타 교차로부터 레겟까지의 구간이 쇼어라인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1959년에는 남부 캘리포니아 구간(데이나 포인트의 I-5부터 옥스나드 근처 US 101까지)이 태평양 해안 고속도로(PCH)로, 라스 크루세스 교차로부터 피스모 비치까지 및 산루이스오비스포부터 샌프란시스코의 I-280까지의 구간이 탐험가 후안 로드리게스 카브리요를 기려 카브리요 고속도로로 공식 지정되었다.[13]
1963년, 주 의회는 오래되고 혼란스러운 입법 노선 번호 체계를 폐지하고 대대적인 1964년 재번호를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벤투라 카운티의 US 101A 노선이 폐지되고 SR 1로 통합되었다. 이로써 현재의 SR 1 노선이 대부분 확정되었다. 다만, 록포트에서 레겟까지의 연결 구간은 당시 주 고속도로 208번으로 지정되었다.[43] 1964년 가을, 포인트 무구에서 새로운 SR 1 표지판이 설치되는 모습이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잡지 표지에 실리기도 했다.[44] 같은 해 입법부는 SR 1의 공식 명칭을 구간별로 지정했다: 오렌지, 로스앤젤레스, 벤투라 카운티는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 산타바바라 북쪽부터 샌프란시스코까지는 '카브리요 하이웨이', 마린 카운티 북쪽 종점까지는 '쇼어라인 하이웨이'. 하지만 로스앤젤레스의 링컨 대로, 샌프란시스코의 주니페로 세라 대로 등 많은 도시 내 거리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64년 이후에도 노선 확장과 변경이 계속되었다. 몬터레이 지역에서는 1956년부터 1976년까지 여러 단계에 걸쳐 고속도로 구간이 개통되어 기존 시내 도로를 우회하게 되었다. 엠마 우드 주립 해변 근처 벤투라 북서쪽에는 1980년에 구 US 101 노선 일부가 SR 1으로 추가 지정되었다. 1988년에는 롬폭의 푸리시마 로드에서 SR 135까지의 구간이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를 더 직접적으로 연결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로스트 코스트 지역의 록포트와 펀데일 사이 미연결 구간 건설은 결국 중단되었다. 해안 산맥의 가파른 지형과 관련된 지반 공학적 문제로 인해 건설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46] 1984년, SR 1 노선은 록포트와 레겟을 연결하는 기존의 주 고속도로 208번을 흡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펀데일과 펀브릿지 사이의 북쪽 끝 구간은 주 고속도로 211호선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47]
데블스 슬라이드 남쪽의 퍼시피카 구간은 잦은 산사태로 악명이 높았다. 캘트랜스는 1958년부터 내륙 우회로 건설을 추진했으나, 지역 사회와 환경 단체는 터널 건설을 요구하며 반대했다. 수십 년간의 법적 분쟁 끝에 연방 고속도로 관리국은 1995년 캘트랜스에 터널 안 재검토를 명령했고, 1996년 샌마테오 카운티 유권자들은 투표를 통해 터널 건설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마침내 2005년 공사가 시작되어 톰 란토스 터널이 2013년 4월에 개통되었다.
2014년에는 데이나 포인트 시내의 PCH 일부 구간(코퍼 랜턴-블루 랜턴 스트리트)이 25년간의 일방 통행 운영 끝에 양방향 통행으로 복원되었다.[48]
SR 1을 남쪽으로 샌디에고나 북쪽으로 크레센트 시티까지 확장할 계획은 없었다. 이 지역들에서는 각각 I-5와 US 101이 주요 해안 고속도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3. 현대의 노선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노선의 일부 구간이 현대적인 고속도로 형태로 개선되었다. 1956년에서 1960년 사이에는 몬터레이의 68번 고속도로에서 문라스 애비뉴(Munras Avenue)까지의 구간이 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45] 이어서 1968년에는 문라스 애비뉴에서 샌드 시티와 시사이드 북쪽 경계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어, 몬터레이와 시사이드 시내를 통과하던 기존 노선을 우회하게 되었다.[45] 시사이드 북쪽으로는 1973년에 과거 포트 오드를 지나던 기존 노선 위에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45] 포트 오드 북쪽에서는 마리나 시를 서쪽으로 우회하는 새로운 경로가 만들어졌으며, 이 구간은 SR 156과의 인터체인지 및 짧은 2차선 캐스트로빌 우회로와 함께 1976년에 개통되었다.[45] 원래 SR 1은 캐스트로빌 시내를 통과하는 현재의 SR 183 경로를 따라갔었다.모든 구간이 고속도로로 계획된 것은 아니었다. SR 1을 남쪽 종점인 데이나 포인트에서 옥스나드까지 완전한 고속도로로 만들려던 계획은 1971년에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특히 말리부 남쪽 해안에 바다 위로 도로를 건설하는 방안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45]
이후에도 노선 변경은 계속되었다. 1980년에는 벤투라 북서쪽 엠마 우드 주립 해변 근처에서 기존 US 101의 옛 2차선 도로 일부가 SR 1으로 지정되었다.[45] 1988년에는 롬포크의 푸리시마 로드(Purisima Road)에서 SR 135까지의 구간이 해리스 그레이드 로드(Harris Grade Road)에서 구 카운티 노선 S20으로 경로가 변경되어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로의 직접적인 접근성을 높였다.[45]
북부 해안의 로스트 코스트 지역, 즉 록포트(Rockport)와 펀데일 사이의 끊어진 구간을 연결하려던 계획은 결국 중단되었다. 이 지역 해안 산맥의 가파른 경사와 불안정한 지반 문제로 인해 도로 건설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46] 1984년, SR 1의 북쪽 종점은 록포트에서 내륙의 레게트로 이어지는 기존 주 고속도로 208호선을 대체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펀데일과 펀브릿지(Fernbridge) 사이의 해안 도로는 SR 211로 재지정되었다.[47] 현재 이 지역 해안선의 대부분은 싱키온 야생 국립공원과 킹 레인지 국립 보존 지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데블스 슬라이드 구간은 잦은 산사태로 악명 높았으며, 이로 인해 인명 사고와 도로 폐쇄가 반복되었다. 1958년부터 캘트랜스는 몬타라 산을 가로지르는 내륙 우회로 건설을 추진했으나, 지역 사회와 환경 단체들은 터널 건설을 강력히 요구하며 반대했다. 수십 년간의 법적 다툼 끝에 연방 고속도로 관리국은 1995년 캘트랜스에 터널 안을 재검토하라고 명령했다. 마침내 1996년 11월, 샌마테오 카운티 유권자들은 투표(Measure T)를 통해 우회로 대신 터널 건설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공사는 2005년에 시작되었고, 2013년 4월 톰 란토스 터널이 개통되어 데블스 슬라이드 구간을 대체했다.

2014년에는 데이나 포인트 시내의 PCH(태평양 해안 고속도로) 구간 중 코퍼 랜턴(Copper Lantern)에서 블루 랜턴 스트리트(Blue Lantern Street)까지의 원래 노선이 25년 만에 양방향 통행으로 복원되었다.[48] 이전까지 이 구간은 북쪽 방향 일방통행이었고, 남쪽 방향 차량은 평행한 델 프라도 애비뉴(Del Prado Avenue)로 우회해야 했다.
SR 1은 투어 오브 캘리포니아 자전거 대회의 일부 구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50][51]
4. 주요 교차점
wikitext
5. 유지 보수
캘리포니아주 해안선의 지질학적 특성상 잦은 산사태와 해안 침식이 발생하며, 이는 캘리포니아 주도 제1호선(SR 1)의 유지 보수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해 도로의 일부 구간이 장기간 폐쇄되거나 우회 경로가 마련되기도 한다.
캘트랜스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도로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해안 침식에 대비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책의 예로, 샌루이스오비스포군의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등대 인근 도로를 예상 침식 구역을 피해 내륙으로 최대 약 144.78m 이전하는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재정렬 프로젝트(Piedras Blancas Realignment Project)가 계획되어 있다.[53] 구체적인 산사태 발생 및 복구 사례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5. 1. 산사태
잦은 산사태와 해안 침식으로 인해 캘리포니아 주도 제1호선(SR 1)의 일부 구간이 장기간 폐쇄되거나 완전히 우회되었다. 주요 산사태 및 도로 폐쇄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57년 3월 22일, 규모 5.3의 지진으로 인해 퍼시피카와 데일리 시티 사이, 현재 손턴 비치가 위치한 해안 구간이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SR 1은 결국 내륙으로 우회하여 주간 고속도로 280호선과 합류하도록 변경되었다.
- 1983년 9월 말리부에서 발생한 빅 록 메사(Big Rock Mesa) 산사태는 주 역사상 최악의 산사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이 산사태로 총 250채의 가옥이 붕괴되거나 균열이 생겼으며, 30채는 철거되었다. 주 정부는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 건설을 위해 언덕을 절개한 것이 산사태의 원인임을 인정하고 4000만달러를 배상하기로 합의했다.[54]
- 데블스 슬라이드 지역은 대규모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1995년 산사태로 도로는 5개월간 폐쇄되었고, 2006년 산사태로는 4개월간 폐쇄되었다.[55] 이 지역을 우회하기 위해 전 미국 하원의원 톰 랜토스의 이름을 딴 톰 랜토스 터널이 2013년에 개통되었다.[56]
- 2007년 산사태 피해 복구를 위한 4개월간의 2500만달러 규모 재건 공사에 이어, 2011년에는 뮤어 비치와 스틴슨 비치 사이에서 대규모 재건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공사에는 길이 약 159.41m, 높이 약 6.10m의 대형 옹벽 설치가 포함되었다.[57]
- 2011년 3월 빅서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캘트랜스(Caltrans)는 고속도로를 여러 달 동안 폐쇄해야 했다.[58] 산사태가 잦은 루시아 남쪽의 피트킨스 커브(Pitkins Curve)와 레인 록스(Rain Rocks) 구간은 다리와 낙석 방지 시설로 교체되었다.[59]
- 2016-2017년 겨울, 빅서 지역에는 약 152.40cm 이상의 기록적인 강우량이 내렸다. 이로 인해 도로는 최소 6곳에서 토사 유출 및 산사태로 폐쇄되거나 부분 폐쇄되었다. 2017년 2월 20일, 캘트랜스는 파이퍼 빅서 주립공원 바로 남쪽에 있는 파이퍼 캐니언 브리지(Pfeiffer Canyon Bridge)가 복구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SR 1의 해당 구간은 8개월 동안 폐쇄되었고, 빅서 지역은 사실상 양분되었다.[60] 고립된 일부 상점은 문을 닫아야 했고, 일부 주민들은 헬리콥터로만 이동할 수 있었다.[61][62] 캘트랜스는 3월에 다리를 철거하고 교체 공사를 시작했으며,[63] 2400만달러의 비용을 들여 재건된 다리는 2017년 10월 13일에 개통되었다.[64][65]
- 2017년 5월, 머드 크릭(Mud Creek)에서 또 다른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여 고속도로의 약 48.28km 구간이 폐쇄되었다.[66] 이 거대한 산사태는 고속도로의 약 3분의 1 마일 구간을 약 12.19m 높이의 흙과 암석으로 덮었다. 이 산사태는 이미 작은 산사태로 폐쇄되었던 구간에서 발생했으며, 그 규모는 1983-1984년 겨울에 SR 1을 1년 이상 폐쇄시켰던 대규모 산사태와 비교될 정도였다.[67] 산사태 잔해 위에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어 2018년 7월, 4000만달러의 비용으로 재개통되었다.[68][69][70][71]
- 2021년 1월, 폭우 후 몬터레이군의 랫 크릭(Rat Creek) 인근 30마일 지점의 고속도로 일부가 바다로 무너져 내렸다.[72] 이 구간은 2021년 4월에 다시 개통되었다.[73]
- 2023년 1월, 연이은 폭풍으로 인한 여러 차례의 산사태로 고속도로의 거의 약 64.37km 구간이 폐쇄되었다.[74] 2023년 4월 기준으로 약 40.23km 이상의 구간이 여전히 폐쇄 상태였다.[75]
- 2024년 3월, 빅서 지역의 로키 크릭 브리지 북쪽 약 2.25km 지점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도로가 폐쇄되었다.[76]
한편,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재정렬 프로젝트(Piedras Blancas Realignment Project)는 샌루이스오비스포군의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등대에서 아로요 데 라 크루즈 다리(Arroyo de la Cruz Bridge)까지 예상되는 해안 침식을 피하기 위해 도로를 최대 약 144.78m 내륙으로 이전하는 계획이다.[53]
6. 대중 문화
팀 버클리의 1969년 앨범 해피 새드에는 "Love from Room 109 at the Islander (On Pacific Coast Highway)"라는 제목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2002년, 더 데셈버리스트는 앨범 캐스터웨이즈 앤드 커트아웃에 "California One/Youth and Beauty Brigade"라는 제목의 노래를 발표했다.
2012년, 비치 보이스는 "Pacific Coast Highway"라는 제목의 노래를 발표했다. 평론가들은 이 노래를 "내성적", "가을 분위기", "찬송가"라고 묘사했으며,[97][98][99] 노년의 사람이 석양 속에서 고속도로를 운전하며 자신의 노년을 회상하고, 혼자 사는 것이 더 편안하다고 결론 내리는 시점을 노래한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Route Restrictions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4-07-25
[2]
웹사이트
Truck Networks on California State Highways
https://dot.ca.gov/-[...]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0-01-05
[3]
Caltrans scenic
2019-03-27
[4]
웹사이트
Article 2 of Chapter 2 of Division 1
http://leginfo.legis[...]
California Office of Legislative Counsel
2019-02-06
[5]
FHWA NHS map
2017-10-21
[5]
FHWA NHS map
2017-10-21
[5]
FHWA NHS map
2017-10-21
[5]
FHWA NHS map
2017-10-21
[6]
웹사이트
What is the National Highway System?
http://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2-06-20
[7]
웹사이트
California Streets and Highways Code §§ 301, 301.1, 301.2
https://web.archive.[...]
2019-02-06
[8]
웹사이트
Big Sur Coast Highway
https://web.archiv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1-11-29
[9]
웹사이트
Article 2.5 of Chapter 2 of Division 1
http://leginfo.legis[...]
California Office of Legislative Counsel
2019-02-06
[10]
Caltrans scenic
2017-10-21
[11]
서적
Scenic Highway Guidelines
https://dot.ca.gov/-[...]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7-06-08
[12]
웹사이트
Blue Star Memorial Highways
https://dot.ca.gov/p[...]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11-02
[13]
서적
2007 Named Freeways, Highways, Structures and Other Appurtenances in California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7-03-28
[14]
간행물
The Ups and Downs of Highway 1
https://archive.toda[...]
2013-07-02
[15]
웹사이트
Article 6 of Chapter 3 of Division 20
https://leginfo.legi[...]
California Office of Legislative Counsel
2021-09-23
[16]
뉴스
El Segundo says goodbye to Sepulveda Boulevard, hello to PCH
https://web.archive.[...]
2018-06-05
[17]
뉴스
City, County to Jointly Seek U.S. Funds for Freeway Link
https://www.latimes.[...]
1996-01-26
[18]
웹사이트
Morro Creek: Ancient Village or Settlement in United States in The West
https://web.archive.[...]
The Megalithic Portal
2011-07-04
[19]
웹사이트
Big Creek Bridge
https://web.archive.[...]
2018-09-03
[20]
뉴스
Fort Bragg's $4.4 million roundabout
https://web.archive.[...]
2011-05-18
[21]
웹사이트
Simpson Lane Intersection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7-07
[22]
지도
Official State Map
California Travel & Tourism Commission
[23]
google maps
Overview Map of State Route 1
https://www.google.c[...]
2015-01-24
[24]
간행물
Drive the Planks
http://ww1.calif.aaa[...]
Automobile Club of Southern California
2014-12-18
[25]
Report
Historic Resources Survey Update, Downtown Specific Plan Area, Prepared for the City of Ventura, California
http://www.cityofven[...]
City of Ventura, California
2007-04
[26]
간행물
Rincon Sea-Level Road Soon Completed
https://books.google[...]
1912-10-17
[27]
웹사이트
Bixby Bridge
https://web.archive.[...]
Monterey County Historical Society
2011-11-13
[28]
웹사이트
The Building of Highway One
https://web.archive.[...]
Cambria Historical Society
2011-12-16
[29]
웹사이트
Naval Facility (NAVFAC) Station History
https://web.archive.[...]
The Navy CT / SECGRU History
2011-12-17
[30]
California statute
[31]
episode
Pacific Coast Highway
[32]
California statute
[33]
California statute
[34]
서적
California Highways: A Descriptive Record of Road Development by the State and by Such Counties as Have Paved Highways
https://archive.org/[...]
2015-12-17
[35]
Report
Engineers' Report to California State Automobile Association Covering the Work of the California Highway Commission for the Period 1911–1920
https://books.google[...]
2015-12-17
[36]
California statute
[37]
California statute
[38]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the Carmel to San Simeon Highway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12-17
[39]
간행물
State Routes Will Be Numbered and Marked with Distinctive Bear Signs
https://archive.org/[...]
1934-08
[40]
지도
Automobile Route Along the Pacific Coast from Seal Beach to Santa Monica
https://archive.toda[...]
Automobile Club of Southern California
2013-01-27
[41]
California statute
[42]
지도
Highway Map of California
https://web.archive.[...]
H.M. Gousha Company
[43]
California statute
[44]
citation
California Highways
1964-09
[45]
웹사이트
From Roosevelt Highway to the 1: A Brief History of Pacific Coast Highway
https://web.archive.[...]
KCET
2013-11-17
[46]
웹사이트
King Range National Conservation Area
https://web.archive.[...]
Bureau of Land Management
2012-06-25
[47]
California statute
[48]
뉴스
Dana Point sees two-way traffic flow on Pacific Coast Highway
http://www.ocregiste[...]
2015-01-01
[49]
서적
1932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s://web.archive.[...]
[50]
뉴스
2013 Amgen Tour of California to Include San Francisco to Santa Rosa Stage
https://archive.toda[...]
2013-06-03
[51]
뉴스
South County Gearing Up for Amgen Tour Cycling Race
https://archive.toda[...]
2013-06-03
[52]
뉴스
New Efforts to Make a Scenic California Highway Less Perilous
https://www.nytimes.[...]
2013-03-25
[53]
웹사이트
Piedras Blancas Realignment Project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11-29
[54]
뉴스
$97-Million Settlement Over Malibu Landslide : Agreement Requires County, Caltrans, Insurers to Pay Homeowners for Big Rock Mesa Damage
https://www.latimes.[...]
2017-11-10
[55]
웹사이트
Major Progress on Devil's Slide Tunnel
http://www.sfgate.co[...]
2011-08-14
[56]
뉴스
Cutting Edge Calif. Tunnels Poised to Open
https://web.archive.[...]
ABC News
2013-02-25
[57]
뉴스
Highway 1 Repair Plan near Stinson Outlined
http://www.insidebay[...]
2011-08-14
[58]
뉴스
Highway 1 to Be Closed at Least 1 Month
https://web.archive.[...]
KSBW
2011-08-14
[59]
웹사이트
Pitkins Curve & Rain Rocks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2-08-12
[60]
뉴스
Caltrans: Pfeiffer Canyon Bridge on Highway 1 in Big Sur beyond repair
https://web.archive.[...]
2017-02-22
[61]
뉴스
Update: Pfeiffer Canyon Bridge on Highway 1 closed to traffic until further notice
http://www.montereyc[...]
2017-03-16
[62]
뉴스
Big Sur Ravaged by Floods, Mudslides and Storms: 'Paradise Can Turn on You'
https://www.theguard[...]
2017-03-16
[63]
뉴스
Big Sur: Final Span of Highway 1 Bridge Comes Down
http://www.mercuryne[...]
2017-03-25
[64]
뉴스
Big Sur: Pfeiffer Canyon Bridge to open Oct. 13
http://www.mercuryne[...]
2017-10-04
[65]
뉴스
A vital Highway 1 bridge connection in Big Sur set to reopen next week, Caltrans says
https://www.latimes.[...]
2017-11-07
[66]
뉴스
Cut off again, southern Big Sur visited only by helicopter
http://www.mercuryne[...]
2017-05-24
[67]
뉴스
Big Sur Hit Again as Huge Landslide Covers Highway 1
http://www.sfgate.co[...]
2017-05-23
[68]
뉴스
Highway 1 south of Big Sur now won't be completely reopened until late summer 2018
http://www.latimes.c[...]
2017-09-12
[69]
뉴스
Big Sur's brave new routes cross epic landslide
http://www.mercuryne[...]
2017-09-12
[70]
뉴스
Highway 1 was buried under a massive landslide. Months later, engineers battle Mother Nature to fix it
http://www.latimes.c[...]
2017-11-10
[71]
뉴스
It's open! The last landslide closure on Highway 1 near Big Sur reopened to traffic earlier than expected
http://www.latimes.c[...]
2018-07-20
[72]
뉴스
Huge piece of Highway 1 south of Big Sur falls into ocean
https://www.sfgate.c[...]
2021-01-30
[73]
웹사이트
Highway 1 at Rat Creek Reopened to Traffic at Noon on April 23
https://dot.ca.gov/n[...]
2022-06-06
[74]
뉴스
7 large slides could keep Highway 1 closed to Big Sur for months. Take a look at the damage
https://www.sanluiso[...]
2023-04-11
[75]
웹사이트
Portion of Hwy 1 along Big Sur coast reopens; highway still closed in SLO County
https://www.cbsnews.[...]
2023-04-05
[76]
뉴스
Part of Highway 1 near Big Sur crumbles as new landslide closes more of historic roadway
https://www.latimes.[...]
2024-04-02
[77]
뉴스
Oxnard Set to Gain Control of Oxnard Boulevard
http://www.vcstar.co[...]
2013-02-24
[78]
뉴스
Rice Avenue interchange a turning point for Oxnard
http://www.vcstar.co[...]
2015-01-25
[79]
뉴스
Metrolink train slams into truck in Oxnard; driver arrested for hit-and-run
http://abc7.com/5321[...]
KABC-TV
2015-02-25
[80]
뉴스
Spending on rail crossing safety upgrades varies widely across Southland
http://www.latimes.c[...]
2015-03-03
[81]
웹사이트
Oxnard Receives $16.5 Million in State Funding for Building Rice Ave. Overpass, Santa Clara Levee Construction and Channel Islands Harbor Water Quality
https://www.oxnard.g[...]
2023-07-12
[82]
뉴스
$20M Safety Plan Proposed For Malibu's PCH After String of Traffic Fatalities
http://losangeles.cb[...]
KCBS-TV
2015-07-10
[83]
뉴스
Pacifica Residents Rally against Caltrans' Plan to Widen Highway 1
http://www.mercuryne[...]
2014-05-13
[84]
간행물
2007-07
[85]
서적
All Traffic Volumes on CSHS
http://traffic-count[...]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02-18
[86]
웹사이트
State Route 1 Freeway Interchanges
http://www.dot.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9-02-05
[87]
문서
[88]
웹사이트
Interstate 10 Freeway Interchanges
https://dot.ca.gov/-[...]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6-24
[89]
문서
[90]
문서
[91]
뉴스
Wrecking Ball No Match for Big Sur's Pfeiffer Canyon Bridge
http://www.nbcbayare[...]
KNTV-TV
2017-03-16
[92]
뉴스
Big Sur back in business with opening of Pfeiffer Canyon Bridge on Highway 1
https://www.sfgate.c[...]
2018-07-26
[93]
웹사이트
Northbound SR 1 Exit 439 signage
https://www.google.c[...]
2022-07-23
[94]
웹사이트
Southbound SR 1 Exit 439 signage
https://www.google.c[...]
2022-07-23
[95]
문서
[96]
문서
[97]
웹사이트
The Beach Boys: That's Why God Made the Radio
https://www.popmatte[...]
2012-06-04
[98]
웹사이트
Album review: The Beach Boys 'That's Why God Made the Radio'
https://oklahoman.co[...]
2012-06-01
[99]
뉴스
Another Solstice in an Endless Summer
https://www.nytimes.[...]
2012-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