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티스 캘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티스 캘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헤이버퍼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여러 저명한 물리학자들을 지도했다. 캘런은 캘런-시만지크 방정식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다이온-페르미온 역학, 끈 솔리톤 및 블랙홀 분야에서 양자장론과 끈 이론에도 기여했다. 제이슨 국방 자문 그룹 회원 및 의장을 역임했으며, 미국 물리학회 회장,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물리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21세기 물리학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이론물리학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이론물리학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커티스 캘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커티스 고브 캘런 2세 |
출생일 | 1942년 10월 11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스애덤스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헤이버퍼드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샘 트라이먼(Sam Treiman), 로버트 H. 디케 |
박사 제자 | 필립 아지리스 피터 워이트 이고리 클레바노프 후안 말다세나 윌리엄 E. 캐즈웰 비제이 발라스브라마니안 세카지 음팅와 |
경력 | |
직장 | 프린스턴 대학교 |
업적 | |
알려진 업적 | 캘런-루바코프 효과 캘런-쥐만치크 방정식 CGHS 모형 캘런-트라이먼 관계 순간자 물리학에 대한 기여 세타 진공 |
수상 | |
수상 | 사쿠라이 상 (2000) |
2. 생애 및 학력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2. 1. 학력
헤이버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과정을 밟았으며, 그곳에서 샘 트레이먼의 지도 아래 공부했다. 1964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구면 대칭 우주론 모델"이라는 논문으로 물리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경력
헤이버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샘 트레이먼의 지도 아래 "구면 대칭 우주론 모델"이라는 논문으로 1964년 물리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가 되어 비자이 발라수브라마니안, 윌리엄 E. 캐스웰, 피터 보이트, 이고르 클레바노프, 후안 말다세나 등 여러 물리학자들을 지도했다.캘런은 깨진 척도 불변성에 관한 연구(캘런-시만지크 방정식)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다이온-페르미온 역학, 끈 솔리톤, 블랙홀 분야에서 양자장론과 끈 이론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68년부터 제이슨 국방 자문 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90년부터 1995년까지 그룹 의장을 역임했다. 2010년에는 미국 물리학회(APS) 회장을 지냈다.[3] 그는 1971년에 APS 펠로우로 선출되었다.[4]
또한, 1987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1989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6]
3. 주요 연구 업적
캘런의 주요 연구 분야는 깨진 척도 불변성(캘런-시만지크 방정식)과 양자장론, 끈 이론 등이다. 특히 다이온-페르미온 역학, 끈 솔리톤, 블랙홀 연구에 기여했다.
3. 1. 캘런-시만지크 방정식
캘런은 깨진 척도 불변성에 관한 연구, 즉 캘런-시만지크 방정식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3. 2. 양자장론 및 끈 이론
캘런은 깨진 척도 불변성에 관한 연구 (캘런-시만지크 방정식)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양자장론과 끈 이론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기여를 했다. 특히 다이온-페르미온 역학, 끈 솔리톤 및 블랙홀 연구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4. 제자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안 말다세나를 비롯한 여러 유명 물리학자를 제자로 양성하였다.
4. 1. 주요 제자 목록
박사 과정 제자로는 비자이 발라수브라마니안, 윌리엄 E. 캐스웰, 피터 보이트, 이고르 클레바노프, 후안 말다세나 등이 있다.참조
[1]
뉴스
2000 J. J. Sakurai Prize for Theoretical Particle Physics Recipient
http://www.aps.org/p[...]
APS Physics
2009-07-22
[2]
서적
Spherically symmetric cosmological models
https://catalog.prin[...]
1964
[3]
웹사이트
Curtis Callan
http://www.aip.org/h[...]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4]
웹사이트
APS Fellow Archive
https://www.aps.org/[...]
[5]
웹사이트
Curtis G. Callan
https://www.amacad.o[...]
2020-06-15
[6]
웹사이트
Curtis Callan
http://www.nasonline[...]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