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르눈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르눈노스는 뿔 달린 모습으로 묘사되는 켈트 신이다. 기원전 1세기 초의 갈로-로만 유물인 뱃사람의 기둥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뿔과 토르크 장신구를 착용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금석학적 증거와 도상학적 특징을 통해 케르눈노스는 뿔, 동물, 물질적 풍요와 연관되며, 때로는 자연과 야생의 지배자로, 때로는 양방향성의 중재자로 묘사된다. 신화적 역할과 상징, 다른 신들과의 비교를 통해 켈트 신화 내에서의 위상을 알 수 있으며, 기독교와의 관계, 신이교주의에서의 숭배,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케르눈노스를 살펴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사슴 - 케리네이아의 암사슴
    케리네이아의 암사슴은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중 하나로, 황금 뿔을 가진 아르테미스의 암사슴을 생포하여 미케네로 데려오는 과업이었다.
  • 신화의 사슴 - 기린 (전설)
    기린은 사슴의 몸, 소의 꼬리, 말의 발굽, 이마의 뿔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자애롭고 덕망 높은 존재로 묘사되며, 중국, 한국 등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 풍요의 남신 - 가네샤
    가네샤는 코끼리 머리를 가진 힌두교 신으로 지혜, 재산, 행운을 관장하며 장애를 제거하는 존재로 숭배받고, 인도 미술에서 인기가 많을 뿐 아니라 불교와 자이나교에서도 나타나며 매년 가네샤 차투르티 축제가 열린다.
  • 풍요의 남신 - 틀랄록
    틀랄록은 아즈텍 신화에서 비, 번개, 천둥을 다스리는 신으로 농업과 풍요와 관련되어 있으며 둥근 눈과 송곳니, 콧수염 모양의 입술로 묘사되고 어린이 희생을 포함한 의례와 함께 숭배되었다.
  • 갈리아의 신 - 디스 파테르
    디스 파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부유한 아버지'라는 뜻으로 저승과 죽음을 다스리는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하데스 및 플루토와 동일시되며 지하 광물 자원과 죽은 자들의 영역을 관장한다.
  • 갈리아의 신 - 타라니스
    타라니스는 켈트 신화에서 천둥, 하늘, 태양과 관련된 신으로 바퀴 숭배와 연관되며, 갈리아, 픽트족, 히스파노-켈트어 등 다양한 문화에서 나타난다.
케르눈노스

2. 이름

"케르눈노스"(''Cernunnos'')라는 신명은 기원후 1세기 초 갈로-로만 유물인 뱃사람의 기둥에 나타난다. 이 기둥에서 케르눈노스는 수사슴 뿔이 달린 신으로 묘사되며, 뿔은 아직 덜 자란 상태이다.[42] 뿔은 한 쌍이며, 양쪽 뿔에 토크가 걸려 있다.[43]

이 이름은 프랑스 에로 주 몽타냑에서 발견된 그리스어 켈트 각석의 "카르노노스"(καρνονου)와 비교된다.[44] 통속 라틴어 형용사 중에는 "뿔이 난"이라는 뜻의 "카르누아투스"(''carnuātus'')도 있다.[45]

갈리아어 "카르논"(''karnon'')은 라틴어 "코르누"(''cornu''), 영어 "호른"(horn)과 어원이 같으며,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조어 ''*k̑r̥no-''에서 비롯되었다.[46]

"뿔"을 뜻하는 어근 ''karn-''은 대륙 켈트어군의 갈리아어갈라티아어 모두에서 발견된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갈라티아어 "카르논"(κάρνον)을 "갈리아 나팔"로 주석했는데, 이는 철기 시대 켈트 군사용 나팔인 카르닉스(κάρνυξ)를 가리킨다. 테살로니카의 에우스타티우스는 이 관악기 입이 동물 모양이라 언급했다.[47] 이 어근은 카르누테스족(Carnutes)처럼 "뿔 난 자들"이라는 뜻의 켈트 부족명에도 나타난다.[48] 금석문에 나타나는 켈트 인명("카르나루스", "카르나투스", "카르네올루스", "카르니우스", "카르니쿠스" 등)에도 이 어근이 많다.[49]

"케르눈노스"는 뱃사람의 기둥에만 나타난다.[50] 18세기 그림에서는 "케르눈노스"(''Cernunnos'')를 분명히 볼 수 있지만, 현재는 C가 지워져 "에르눈노스"(''[_]ernunnos'')만 보인다.[52]

켈트 트레베리족 영토였던 룩셈부르크에서 발견된 철판의 글에서도 추가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이 금석문은[53] "데오 케르누인코"(''Deo Ceruninco'')로, "케르누인코스 신에게"라는 뜻으로 추정된다. 몽타냑의 갈리아 금석문[54]에는 "알레테이우스 카르노누 알리손테아스"(αλλετ[ει]υος καρνονου αλ[ι]σο[ντ]εας)가 새겨져 있는데, 마지막 단어는 마가목을 뜻하는 "알리시아"(''alisia'')나 바위를 뜻하는 "알리시이아"(''Alisiia'')에 뿌리를 둔 지명으로 추측된다.[55]

3. 금석학

뱃사람의 기둥의 케르눈노스


"케르눈노스"(''Cernunnos'')라는 신명은 기원후 1세기 초 갈로-로만 유물인 뱃사람의 기둥에 나타난다. 케르눈노스는 수사슴의 뿔이 달려 있고, 양쪽 뿔에는 토크가 걸려 있다.[42][43]

이 이름은 프랑스 에로 주 몽타냑에서 발견된 그리스어 켈트 각석의 "카르노노스"(καρνονου)와 비교된다.[44] 통속 라틴어 형용사 중에는 "뿔이 난"이라는 뜻의 "카르누아투스"(''carnuātus'')가 있다.[45]

갈리아어 "카르논"(''karnon'')은 라틴어 "코르누"(''cornu''), 영어 "호른"(horn)과 어원이 같으며, 인도유럽조어 ''*k̑r̥no-''에서 비롯되었다.[46]

"뿔"을 뜻하는 ''karn-''은 대륙 켈트어군 갈리아어갈라티아어에서 모두 발견된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갈라티아어 "카르논"(κάρνον)을 "갈리아의 나팔", 즉 철기 시대 켈트 군사용 나팔 카르닉스(κάρνυξ)로 주석했다.[47] 이 어근은 카르누테스족(Carnutes) ("뿔 난 자들") 등 켈트 부족명과 금석문에 나타나는 켈트 인명("카르나루스", "카르나투스", "카르네올루스", "카르니우스", "카르니쿠스" 등)에도 숱하게 발견된다.[48][49]

1845년 책에 실린 뱃사람의 기둥 그림


"케르눈노스"는 뱃사람의 기둥에만 나타난다.[50] 이 기둥은 파리 국립중세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기원후 14년경 갈리아 뱃사람들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기둥은,[51] 1710년 노트르담 대성당 토대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은 켈트 파리시족의 수도 루테시아였다. 갈로-로만 종교의 중요 유물인 이 기둥에는 유피테르, 불칸, 카스토르와 폴룩스 등 로마 신들과 에수스, 스메르트리오스, 타르보스 트리가라누스 등 갈리아 신들의 이름이 박육조로 새겨져 있다. 18세기 그림에서는 "케르눈노스"(''Cernunnos'')를 분명히 볼 수 있으나, 현재는 C가 지워져 "에르눈노스"(''[_]ernunnos'')만 보인다.[52]

켈트 트레베리족 영토였던 현대 룩셈부르크 철판의 "데오 케르누인코"(''Deo Ceruninco'') ("케르누인코스 신에게")라는 글도 같은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53] 몽타냑 갈리아 금석문에는 "알레테이우스 카르노누 알리손테아스"(αλλετ[ει]υος καρνονου αλ[ι]σο[ντ]εας)가 새겨져 있는데, 마지막 단어는 마가목을 뜻하는 "알리시아"(''alisia'')나 바위를 뜻하는 "알리시이아"(''Alisiia'')에 뿌리를 둔 지명으로 추측된다.[54][55]

4. 도상학



보트맨 기둥에서 케르눈노스는 수사슴 뿔이 묘사되어 있으며, 뿔에는 "[C]ernunnos"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르크가 걸려 있다. 부조의 하단 부분은 유실되었지만, 치수를 볼 때 신은 다리를 꼬고 앉아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통적으로 "붓다 자세"[18]로, 군데스트루프 단지에 있는 뿔 달린 형상과 직접적인 유사성을 보여준다.[19]

케르눈노스와 관련된 도상학은 종종 수사슴과 숫양 뿔 뱀과 함께 묘사된다. 덜 자주 황소(랭스), 가 등장한다.[20] 군데스트루프 단지에 새겨진 그의 이미지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케르눈노스를 동물의 지배자 또는 야생의 지배자로 묘사하며, 미란다 그린은 그를 "자연과 풍요의 평화로운 신"[21]으로 묘사하며, 전통적인 샤먼들이 종종 동물에 둘러싸여 묘사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앉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22] Ceisiwr Serith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케르눈노스를 양방향성과 반대 사이의 중재자 신으로 묘사하며, 예술 작품에서 동물의 상징성을 이러한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23]

''필리에 데 노트''는 그를 뱃사람 및 상업과 연결하며, 이는 그가 물질적 부와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랭스(마른, 샹파뉴, 프랑스)의 케르눈노스에서 발견된 동전 주머니—고대에는 레미 부족의 ''civitas'' 수도인 두로코르토룸—와 트레베리족의 땅인 니더코른-투르벨슬라흐(룩셈부르크)에서 동전을 토하는 수사슴에서도 이러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신은 수사슴이 서식하는 숲의 다산을 상징했을 수 있다.

케르눈노스 이미지의 다른 예로는 갈리아 키살피나의 발 카모니카의 암각화에 있는 암각화가 있다.[8][24] 뿔 달린 인간 형상은 기원전 7세기에서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4] 뿔 달린 여신 두 명이 프랑스 브장송클레르몽페랑에 나타난다. 뿔 달린 신은 로마 시대에 제작된 영국 치렌세스터의 부조에 나타나며, 햄프셔 피터스필드에서 발견된 동전에 묘사되어 있다.[8] 뿔 달린 아이는 벤드뢰브르의 부조에 뱀에게 둘러싸여 지갑과 토르크를 들고 나타난다.[25] 가장 잘 알려진 이미지는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된 윌란에서 발견된 군데스트루프 단지에 나타나며, 트라키아인의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켈트족의 주제를 묘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켈트이베리아인 사이에서 케르눈노스 유형의 뿔 달린 또는 뿔이 달린 인물에는 두 개의 얼굴과 두 개의 작은 뿔을 가진 야누스와 같은 신(살라망카 칸델라리오), 리오틴토 (우엘바)의 언덕에서 발견된 뿔 달린 신, 그리고 루리산 (폰테베드라)에 있는 그의 제단 근처에 있는 베스티우스 알로니에쿠스 신의 가능한 묘사가 포함된다. 뿔은 "공격적인 힘, 유전적 활력 및 다산"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26]

랭스의 갈리아인제단. 왼쪽부터 아폴론, 케르눈노스, 메르쿠리우스.


케르눈노스의 묘사 방식은 켈트 지역 전체에서 매우 일관되게 나타난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사슴의 뿔이며, 일반적으로 긴 머리에 턱수염을 기른 성인 남성의 모습으로, 켈트에서 고귀함을 나타내는 화려한 장식이 달린 목걸이, 토르크를 착용하고 있다. 동전으로 가득 찬 지갑을 소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종종 다른 토르크를 팔이나 뿔에 걸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그 자세는 명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거나 샤먼의 주술을 행하는 모습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켈트인이 사냥할 때 쪼그려 앉는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케르눈노스는 거의 항상 동물, 특히 사슴과 함께 묘사된다. 종종 이 신 특유의 동물이며 첫 번째 권속으로 여겨지는 양의 뿔을 가진 뱀과 함께 묘사되는데, 뱀 자체도 신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들만큼 빈번하지는 않지만 황소, 집쥐 등의 짐승이 곁에 묘사되기도 한다. 동물과 함께 묘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케르눈노스를 "백수의 신" 또는 "야생의 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사슴과 함께 묘사되고, 이것이 주요 사냥감이었기 때문에 "사냥의 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뱃사람의 기둥"은 케르눈노스를 뱃사람이나 무역과 연결시키지만, 고대에는 드루코르툼이라는 레미족도시였던 프랑스, 샹파뉴아르덴 지방의 마른주에서 출토된 케르눈노스의 동전 지갑이나, 트레베리족의 거주지 내에 있었던 룩셈부르크의 Niedercorn-Turbelslach에서 출토된 동전을 뱉는 사슴 등에서 그와 물질적인 풍요와의 관련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이 신은 숲에 사는 사슴의 번식력의 상징이었을지도 모른다.

5. 신화적 역할 및 상징

케르눈노스는 위카를 비롯한 여러 신이교주의에서 숭배하는 뿔 난 남신의 원형 중 하나로, 생명, 죽음, 그리고 재생의 순환을 상징한다.[56] 가드네리안 위카에서는 케르눈노스 또는 케르눈노라고 불리기도 한다.[57]

케르눈노스의 이름은 "뿔" 또는 "사슴 뿔"을 의미하는 켈트어 어근 ''karnon''에서 유래했으며, 갈리아어와 갈라티아어 등 대륙 켈트어에서 나타난다.[2][3]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갈라티아어 단어 ''karnon''을 카르닉스와 같은 켈트 군사용 뿔로 풀이했다.[4] 이 어근은 카르누테스와 같은 켈트족 국가 이름과 비문에 나타나는 여러 인명에도 나타난다.[5][6]

케르눈노스의 역할에 대한 해석은 동물의 신, 자연, 비옥함과 번영의 신에서 권위, 힘, 불굴의 인내와 정력의 상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는 또한 여행, 상업, 양방향성의 신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교차로, 지하 세계, 환생과 관련되어 생과 사의 순환을 상징하기도 한다.[11]

노테 파리지아키 기념물은 서기 14년에 갈리아의 선원들에 의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12] 저부조에는 여러 로마 신과 갈리아 신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케르눈노스'라는 이름은 비문에 대한 18세기 그림에서 명확하게 읽을 수 있지만, 현재는 첫 글자가 가려져 "''[_]ernunnos"''라는 읽기만 확인할 수 있다.[14]

보트맨 기둥에서 케르눈노스는 수사슴 뿔에 토르크가 걸린 모습으로 묘사되며,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는 군데스트루프 단지의 뿔 달린 형상과 유사하다.[18][19]

케르눈노스는 종종 수사슴과 숫양 뿔 뱀과 함께 묘사되며, 덜 자주 황소(랭스), 가 등장한다.[20] 일부 학자들은 케르눈노스를 동물의 지배자 또는 야생의 지배자로 묘사하며,[21] 다른 학자들은 양방향성과 반대 사이의 중재자 신으로 묘사한다.[23]

''필리에 데 노트''는 케르눈노스를 뱃사람 및 상업과 연결하며, 이는 그가 물질적 부와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랭스의 케르눈노스에서 발견된 동전 주머니와 니더코른-투르벨슬라흐에서 동전을 토하는 수사슴은 이러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이 신은 수사슴이 서식하는 숲의 다산을 상징했을 수 있다.

갈리아 키살피나의 발 카모니카의 암각화에는 기원전 7세기에서 4세기의 뿔 달린 인간 형상이 있다.[8][24] 뿔 달린 여신 두 명이 프랑스 브장송클레르몽페랑에 나타난다. 뿔 달린 신은 로마 시대 영국 치렌세스터의 부조와 햄프셔 피터스필드의 동전에 묘사되어 있다.[8] 뿔 달린 아이는 벤드뢰브르의 부조에 나타난다.[25] 군데스트루프 단지에는 기원전 1세기의 뿔 달린 형상이 나타난다.

켈트이베리아인 사이에서 케르눈노스 유형의 뿔 달린 인물에는 야누스와 같은 신, 뿔 달린 신, 베스티우스 알로니에쿠스 신의 묘사가 포함된다. 뿔은 "공격적인 힘, 유전적 활력 및 다산"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26]

케르눈노스는 헤르메스,[29] 악타이온, 유피테르의 특수한 형태, 디스 파테르와 기능적으로 비교되기도 한다.[30]

슈투트가르트 시편에는 케르눈노스가 하데스의 아치형 틈새에 앉아 지옥으로의 강림 장면에 등장하는 모습이 남아 있다.[14]

울스터 대계의 쿠 훌린의 의붓 형제 코날 케르나크의 이름에서 ''cern'' 어원을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증거는 거의 없다.[31][32]

클론맥노이스 수도원의 북쪽 십자가에는 케르눈노스가 구조물의 기저부에 묘사되어 있다.

"핀과 나무 속의 남자"라는 이야기에는 핀 막 쿰할의 사냥꾼이자 하인으로 분한 케르눈노스의 화신으로 여겨지는 데르그 코라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케르눈노스라는 명칭은 파리에서 출토된 "뱃사람의 기둥"에서 발견된다(단, 불완전하여 첫 글자가 빠져 있다). 그의 모습은 덴마크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은제 군데스트루프의 솥에도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 그는 가부좌를 틀고 앉아 있으며, 머리에는 두 개의 , 에는 염소 (혹은 수양) 머리을 쥐고 있다.

케르눈노스는 일반적으로 긴 머리에 턱수염을 기른 성인 남성으로, 토르크를 착용하고 동전 지갑을 소지하며, 종종 다른 토르크를 팔이나 뿔에 걸고 있다. 보통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 모습은 명상 또는 샤먼의 주술을 행하는 모습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케르눈노스는 거의 항상 동물, 특히 사슴과 양의 뿔을 가진 뱀과 함께 묘사되며, 황소,[20] 집쥐 등의 짐승이 곁에 묘사되기도 한다. 연구자들은 케르눈노스를 "백수의 신", "야생의 신", "사냥의 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 켈트 부족과의 연관성

"뿔"을 의미하는 어원 ''karn-''은 갈리아어와 갈라티아어의 대륙 켈트어 분파에서 모두 나타난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갈라티아어 단어 (κάρνον)을 "갈리아 트럼펫", 즉 카르닉스 (κάρνυξ)로 풀이하는데, 테살로니키의 에우스타티우스는 이 악기의 동물 모양의 종을 언급한다.[4] 이 어근은 또한 "뿔 달린 자들"과 같은 의미를 지닌 켈트족 국가의 이름,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카르누테스와, 비문에서 발견되는 여러 인명에도 나타난다.[5][6]

비문, 그림, 조각상과 같은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케르눈노스는 갈리아, 북이탈리아 (Gallia Cisalpina), 브리튼 남부 해안 지역에서 숭배되었다. 가장 오래된 묘사는 이탈리아의 발 카모니카 (Val Camonica)에서 발견된 기원전 4세기의 것이며, 가장 유명한 것은 덴마크에서 발견된 귄데스트루프의 솥 (Gundestrup Cauldron)으로, 기원전 1세기의 것이다. 이 신의 이름은 파리의 "선원의 기둥"에서 알려졌으며, 현재 파리의 국립 중세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갈리아인선원들이 1세기 초, 아마도 기원 14년 티베리우스 황제의 즉위 때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비문 CIL XIII number 03026). 1710년 노트르담 대성당기초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장소는 루테티아 (파리의 고대 로마 시대의 이름), 켈트의 파리시족의 "시민적" (civitas) 수도였다. 그곳에는 케르눈노스 외에도 여러 켈트 신들이 유피테르, 불카누스, 카스토르, 폴룩스와 같은 로마 신화의 신들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

"선원의 기둥" 외에 두 개의 유사한 비문이 더 발견되었다. 하나는 Treveri의 세력권이었던 Seinsel-Rëlent (룩셈부르크)에서 발견된 금속 장식판으로, "Deo Ceruninco" (신 케르닌코스에게)라는 문자를 읽을 수 있다 (AE 1987, 0772). 다른 하나는 프랑스의 랑그도크루시용 레지옹에로 주에 있는 몽타냐크 (Montagnac)에서 발견된 골 (Gaul)의 비문으로, 그리스어로 "αλλετ[ει]υος καρνονου αλ[ι]σο[ντ]εας" 라고 카르노노스의 이름이 적혀 있다.

7. 다른 신과의 비교

케르눈노스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뿔 달린 신으로, 그 이름은 "뿔" 또는 "사슴 뿔"을 의미하는 켈트어에서 유래했다. 이 신은 수사슴 뿔, 토르크, 숫양 뿔 뱀 등과 함께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황소, , 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20]

보트맨 기둥에 새겨진 케르눈노스는 수사슴 뿔에 토르크가 걸려 있고,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군데스트루프 단지에 있는 뿔 달린 형상과 유사하다.[18][19]

일부 학자들은 케르눈노스를 동물의 지배자 또는 야생의 지배자로 보기도 하고,[21] 다른 학자들은 양방향성과 반대 사이의 중재자 신으로 보기도 한다.[23] 또한, 케르눈노스는 뱃사람 및 상업과 관련되어 물질적 부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동전 주머니나 동전을 토하는 수사슴의 이미지로 표현되기도 한다.[20]

켈트이베리아인 사이에서도 케르눈노스와 유사한 뿔 달린 신의 모습이 발견되는데, 이 뿔은 "공격적인 힘, 유전적 활력 및 다산"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6]

케르눈노스는 로마의 갈리아 정복 이후에도 켈트족이 인간의 모습으로 신을 묘사한 예외적인 경우 중 하나로, 로마 판테온으로 번역되지 않고 독자적인 특징을 유지했다.[27][28] 케르눈노스는 헤르메스,[29] 악타이온, 유피테르의 특수한 형태, 디스 파테르 등과 비교되기도 한다.[30]

8. 기독교와의 관계

일부에서는 케르눈노스의 자질이 아일랜드의 12 사도 중 한 명인 세인트 키어런 오브 사이거의 '삶'에 흡수되었다고 본다. 그의 성인전에 따르면, 그가 첫 번째 작은 수도원을 짓고 있을 때, 그의 첫 번째 제자이자 수도승은 하느님에 의해 온순해진 멧돼지였다. 그 뒤를 여우, 오소리, 늑대, 수사슴이 따랐다.[34]

이 신의 흔적은 기독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웨일스아일랜드 양쪽의 문학적 전통에서 이 신을 암시하는 묘사를 찾아볼 수 있다. 브르타뉴에서는 전설 속의 성자인 카르낙의 코르넬리에게 케르눈노스의 속성이 있다. 영국의 민간 전승에서 보이는 사냥꾼 허네(Herne the Hunter)도 케르눈노스의 암시라는 설도 있지만, 허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 제4막 4장에서 처음 언급되는 색슨족의 생존자이므로, 이 설은 의심스럽다.

세인트 키어런(Saint Ciarán)의 스테인드글라스 묘사, 아일랜드 오팔리 주의 세어 키어런 교회.

9. 신이교주의



위카를 비롯한 여러 신이교주의에서는 뿔 난 남신을 숭배하는데, 이들이 숭배하는 뿔 난 남신은 다양한 문화의 여러 신들이 융합된 것이고, 그 중에는 케르눈노스도 포함되어 있다. 뿔 난 남신은 생명, 죽음, 그리고 재생의 계절 순환을 상징한다.[56]

가드네리안 위카에서는 뿔 난 남신을 케르눈노스 또는 케르눈노라고 부르기도 한다.[57] 신이교주의, 특히 위카 전통 내에서, 뿔 달린 신은 위대한 여신과 동등하다고 여겨지는 신이며, 다양한 문화권의 뿔 또는 뿔 달린 신들을 혼합한 존재이다. 케르눈노스라는 이름은 20세기 초 이집트학자이자 민속학자인 마가렛 머레이의 저술을 채택하면서 위칸 뿔 달린 신과 연관되었다. 머레이는 마녀 숭배 가설을 통해 유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뿔 달린 신들이 "원형 뿔 달린 신"의 표현이라고 믿었고, 1931년에는 자신의 이론을 ''마녀의 신''에 발표했다. 그녀의 연구는 당시 매우 논란이 많았지만, 위카의 종교 운동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제럴드 가드너에 의해 채택되었다.[35]

위칸 전통 내에서 뿔 달린 신은 일 년의 주기를 생, 사, 환생의 형태로 반영하며, 그 이미지는 골족 신 케르눈노스, 그리스 신 , 그린 맨 모티프, 그리고 다양한 다른 뿔 달린 영적 이미지의 혼합이다.[36][37] 위카에 대표되는 현대의 복고 이교주의 운동에서는 뿔 달린 신에 대한 숭배가 부활했다. 신봉자들은 일반적으로 생명과 풍요와 죽음의 순환을 케르눈노스에 귀속시킨다. 이 신의 죽음은 현재, 보통 사윈 즉 10월 31일에 행해지는 켈트족의 새해 축제일에 설정되어 있다.

역사적인 케르눈노스와 복고 이교주의의 그것과의 큰 차이점은, 후자가 남근적인 상징의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단, 이 특징은 발 카모니카의 도상에서도 나타난다). 과의 혼동, 혹은 사바트의 악마 레오나르 등의 묘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10. 대중문화 속 케르눈노스


  • 네이선 헤드의 시리즈 Apparitions 시즌 2 에피소드 2의 엔딩 크레딧에서 춤을 추는 케르눈노스가 등장하며, 벤자민 라일리가 연기했다.[38][39]
  • SCP 재단에서 케르눈노스 등급 객체는 "기능적으로 격리가 가능하지만, 재단이 물류적 및/또는 윤리적인 이유로 이를 달성할 수 없는" 객체이다.[40]
  • 케르눈노스는 소설 시리즈 ''불멸의 니콜라스 플라멜의 비밀''의 세 번째 책인 ''마법사''에서 아르콘이자 와일드 헌트의 리더로 묘사된다.
  • 소설 시리즈 ''카라크 토르의 전설''에서 뿔 달린 군주이자 사슴 군주라고도 불리는 Kr'Nunos는 사슴 뿔을 가진 거대한 남자로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Celtic Art, Reading the Messages The Everyman Art Library
[2]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Éditions Errance 2003
[3] 웹사이트 "k̑er-, k̑erə-; k̑rā-, k̑erei-, k̑ereu" http://www.utexas.ed[...] 2014-03-07
[4] 간행물 Account of a Collection of Roman Gold Coins https://books.google[...] Numismatic Chronicle 1865
[5] 문서 Also Carni and Carnonacae
[6] 문서 Such as Carnarus, Carnatus, Carneolus, Carnius, and Carnicus. Altay Coşkun and Jürgen Zeidler,
[7]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lfred Kröner, Boydell
[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21-03-17
[9]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10] 문서 Equivalent to Latin cornutus, "horned"; Delamarre, citing J. Vendryes, Revue Celtique 42 (1925) 221–222
[11]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https://ceisiwrserit[...] Routledge
[12] 문서 Based on the inscription (CIL XIII. 03026), on the accession of the Roman emperors Tiberius.
[13] 간행물 A Sculpture at Tandragee Burlington Magazine
[14] 논문 Cernunnos: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a Celtic Divinity https://www.jstor.or[...] 1951
[15] 문서 AE 1987, 0772 = AE 1989, 00542
[16] 문서 RIG 1, number G-224
[17] 문서 Delamarre, Dictionnaire pp. 38–39. See also Pierre-Yves Lambert,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2003), pp. 53 and 58
[18] 간행물 Una réplica desconocida al Cernunnos de Val Camonica: el Cernunnos de Numancia
[19] 서적 Symbol and Image in Celtic Religious A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10-03
[20] 서적 Gods of the Celts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1-09-30
[21]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22] 서적 Caesar's Druids: story of an ancient priesthood Yale University Press
[23] 논문 Cernunnos: Looking a Different Way 2003
[24] 문서 Webster, "Creolizing the Roman Provinces," p. 221, especially note 103
[25] 간행물 Chain Symbolism in Pagan Celtic Religion
[26] 간행물 Religion and Religious Practices of the Ancient Celts of the Iberian Peninsula
[27] 문서 Webster, "Creolizing the Roman Provinces," p. 221
[28] 간행물 Creolizing the Roman Provinces
[29] 간행물 Archaeological Notes and Discussions
[30] 간행물 Cernunnos: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a Celtic Divinity
[31] 문서 Porter, A Sculpture at Tandragee, p. 227
[32] 서적 Cernunnos ABC-Clio
[33] 서적 Pagan Celtic Britain: Studies in Iconography and Tradition Academy Chicago Publishers
[34] 서적 Celtic Mythology https://archive.org/[...] The Hamlyn Publishing Group Limited
[35] 웹사이트 Forced into the Fringe: Margaret Murray's Witch-Cult Hypothesis https://thenewinquir[...] 2017-04-21
[36] 서적 Eight Sabbats for Witches
[37] 서적 The Rebirth of Witchcraft
[38] 웹사이트 Apparitions http://nathanhead.tv[...] 2024-02-19
[39] 웹사이트 Let's all be Fairies (2022) https://www.imdb.com[...]
[40] 웹사이트 A Comprehensive List of Esoteric Classes https://scp-wiki.wik[...] 2023-10-15
[41]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42] 간행물 A Sculpture at Tandragee Burlington Magazine
[43]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http://books.google.[...] Alfred Kröner, Boydell
[44]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45] 기타
[46] 기타
[47] 기타
[48] 기타
[49] 기타
[50] 서적 Celtic Culture http://books.google.[...]
[51] 기타
[52] 학술 논문 Cernunnos: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a Celtic Divinity http://www.jstor.org[...]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951-01
[53] 기타
[54] 기타
[55] 서적 Dictionnaire
[56] 서적 Eight Sabbats for Witches
[57] 서적 The Rebirth of Witchcra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